KR100335086B1 -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086B1
KR100335086B1 KR1019990067401A KR19990067401A KR100335086B1 KR 100335086 B1 KR100335086 B1 KR 100335086B1 KR 1019990067401 A KR1019990067401 A KR 1019990067401A KR 19990067401 A KR19990067401 A KR 19990067401A KR 100335086 B1 KR100335086 B1 KR 100335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auxiliary
tank
pulsato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9864A (ko
Inventor
이명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0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10)의 내측 일부분을 격벽(11)에 의해 분리구획하여서 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세탁조(120)와, 상기 보조세탁조(1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130)와,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보조세탁조(120) 및 펄세이터(130)에 전달하는 보조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내조(10)와 별도로 구비된 보조세탁조(120)에 의해 세탁물의 분리세탁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반세탁물과 부드러운 세탁물을 단 한번의 세탁행정으로 동시에 효율적인 세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세탁수와 전력소비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device for separation washing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펄세이터방식 세탁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펄세이터방식 세탁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펄세이터방식 세탁기는 사각함체 형상의 세탁기 케이스(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의 내측에는 외조(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조(10)의 내측에는 측면 및 저면에 다수개의 탈수공(22)이 형성된 내조(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조(20)의 상단에는 내조(20)의 회전시에 수평을 보정하는 유체밸런서(40)가 설치되고, 상기 내조(20)의 내측 중앙 하부에는 세탁행정시에 회전되는 펄세이터(3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내조(20) 및 펄세이터(30)의 하단부에는 탈수축(25) 및 세탁축(35)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탈수축(25) 및 세탁축(35)은 상기 외조(10)의 저면 중앙에 설치된 클러치수단(5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외조(10)의 하부 일측에는 구동모터(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3)의 출력축에 연결된 모터풀리(3a)와 상기 클러치수단(50)의 입력축에 연결된 클러치풀리(50a)는 벨트수단(5)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3)의 회전력이 상기 클러치풀리(50a)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의 상부 일측에는 마이콤(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의해 외조(10)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70)가 설치되고, 상기 외조(10)의 하부 일측에는 마이콤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조(10) 내의 세탁수를 배수호스(8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85)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펄세이터방식 세탁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행정의 경우에는, 구동모터(3)의 회전력은 모터풀리(3a)와 벨트수단(5)을 통하여 클러치풀리(50a)와 클러치수단(50)에 전달되며, 상기 클러치수단(50)은 구동모터(3)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을 감속시키고 정역회전시켜 세탁축(35)을 통해 펄세이터(3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30)가 정역회전을 반복하여 내조(20) 내의 세탁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수류를 일으켜 주게 됨으로써 세탁물은 펄세이터(30)와의 충격과 수류 및 내조(20)와의 마찰작용 및 세제의 유화작용에 의해 세탁된다.
세탁행정이 완료된 후에는 내조(20)와 펄세이터(3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배수호스(80)를 통해 세탁수를 배출한 후, 또한 상기 내조(20)와 펄세이터(30)를 동시에 고속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탈수행정의 경우에는, 구동모터(3)의 작동에 의해 클러치수단(50)으로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탈수축(25)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내조(20)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이때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가 탈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펄세이터방식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청바지 등과 같은 일반세탁물과 란제리 등과 같은 부드러운 세탁물에 관계없이 강한 회전으로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부드러운 세탁물이 세탁 도중에 손상되거나 수축되는 등 변형될 우려가 있다.
둘째, 일반세탁물과 부드러운 세탁물을 별도로 분리하여 두 번에 걸쳐서 세탁해야 함으로 인해 물이나 전기의 소비량이 많아지고 또한 세탁시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반세탁물과 부드러운 세탁물을 단 한번의 세탁행정으로 동시에 효율적인 세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세탁수와 전력소비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펄세이터방식 세탁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세탁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조, 11 : 격벽,
30,130 : 펄세이터, 50,150 : 클러치수단,
120 : 보조세탁조, 170 : 종동축,
171 : 보스, 173 : 활주부,
175 : 자성체, 179 : 이동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외조의 내측 일부분을 격벽에 의해 분리구획하여서 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세탁조와, 상기 보조세탁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보조세탁조 및 펄세이터에 전달하는 보조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내조와 별도로 구비된 보조세탁조에 의해 세탁물의 분리세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명기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는 종래와 달리 외조의내측을 분리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여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기존의 내조 이외에 별도의 보조세탁조를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세탁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내측에 외조(10)가 설치되고, 상기 외조(10)의 내부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격벽(11)이 형성되어 상기 외조(10)의 내측을 두 개의 공간부로 양분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공간부 내측에는 측면 및 저면에 다수개의 탈수공(22)이 형성된 내조(20)와 보조세탁조(12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격벽(11)에는 다수개의 통공(11a)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된 급수밸브(70)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외조(10)의 내측에 세탁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내조(20)와 보조세탁조(120)의 내측에도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내조(20)는 도 1에서 설명된 내조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내조(20)의 상단에는 유체밸런서(40)가 설치되고, 상기 내조(20)의 내측 중앙 저면에는 펄세이터(30)가 설치되며, 상기 펄세이터(30)의 하부 일측은 그 직하방의 외조(10) 하부에 설치된 클러치수단(50)의 탈수축(25)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수단(50)과 인접된 외조(10)의 하부 일측에는 구동모터(3)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의 출력축에 연결된 모터풀리(3a)와 상기 클러치수단(50)의 입력축에 연결된 클러치풀리(50a)는 벨트수단(5)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구동모터(3)의 회전력이 상기 벨트수단(5)에 의해 상기 내조(20) 및 펄세이터(3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세탁조(120)는 상기 외조(10) 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며, 그 상단에는 유체밸런서(140)가 설치되고 내측 중앙 저면에는 펄세이터(1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분리세탁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보조세탁조(120) 및 펄세이터(130)는 보조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보조세탁조(120)의 회전축을 이루는 종동축(170)과, 상기 종동축(170)의 하부에 결합되는 종동풀리(170a)와, 상기 구동모터(3)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170a)에 전달하는 벨트수단(5)과, 상기 종동풀리(170a)로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종동축(170)에 선택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보조클러치수단(180)과, 상기 종동축(170)으로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보조세탁조(120) 또는 펄세이터(13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조세탁조(120)와 펄세이터(130)는 종동축(17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펄세이터(130)는 상기 종동축(170)의 세탁축(135)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세탁조(120)는 탈수축(125)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보조세탁조(120)의 직하방 외조(10)의 하부에 설치된 클러치수단(150)에 의해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세탁조(120)와 펄세이터(13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170)의 하단부는 케이스(1)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종동축(170)의 하단부에는 종동풀리(170a)가 동축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종동풀리(170a)는 상기 종동축(17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보조동력발생수단에 의해 구동모터(3)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풀리(170a)에 전달되면 상기 종동풀리(170a)에 전달된 회전력은 보조클러치수단(180)에 의해 상기 종동축(170)으로 전달되는데, 상기 보조클러치수단(18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조클러치수단(180)은 상기 종동축(170)상에 형성된 활주부(173)와, 상기 활주부(173) 상에서 상하이동되는 이동부재(179)와, 상기 활주부(173)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자성체(175)와, 상기 종동풀리(170a)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스(171)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활주부(173)는 상기 종동축(170)의 수직방향 중앙에 그 외주면상에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79)는 상기 활주부(173)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활주부(713)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의 활주공(178)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179)의 저면에는 치차(179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활주부(173)의 단면형상은 사각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재(179)의 활주공(178)과 맞물려 상기 종동축(170)을 회전시킬 수 잇는 단면구조로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주부(173)의 상단부에는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성체(175)가 설치되고, 보스(171)는 상기 종동풀리(170a)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173)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이동부재(179)의 치차(179a)와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치차(172)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자성체(175)에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함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79)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재(179)의 치차(179a)와 상기 보스(171)의 치차(172)가 서로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3)로부터 종동풀리(170a)로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종동축(170)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세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을 할 경우 청바지 등과 같은 일반세탁물은 내조(20)에 투입하고, 란제리 등과 같은 부드러운 세탁물은 보조세탁조(120)에 투입한 후 세탁을 시작하게 되면 급수밸브(70)를 통해 외조(10)의 내측으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외조(10) 내로 유입된 세탁수는 격벽(11)에 형성된 통공(11a)을 통해 외조(10)의 내부 전체로 공급되고, 동시에 탈수공(22)을 통해 내조(20)와 보조세탁조(120)의 내측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행정이 이루어진다.
급수행정이 완료된 후 세탁행정, 헹굼행정, 배수행정,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행정을 수행할 경우 구동모터(3)의 회전에 의해 내조(20)와 보조세탁조(120) 내측의 펄세이터(30,13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먼저 내조(20)의 내측에 설치된 펄세이터(3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3)의 회전은 벨트수단(5)을 통하여 클러치수단(50)으로 전달되고, 클러치수단(50)은 구동모터(3)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을 감속시키고 정역회전시켜 펄세이터(3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30)가 정역회전을 반복하여 내조(20) 내의 세탁물을 회전시켜 줌과 동시에 수류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펄세이터(30)와의 충격 및 내조(20)와의 마찰력, 그리고 세제의 유화작용 등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조세탁조(120)의 내측에 설치된 펄세이터(13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3)의 회전력이 벨트수단(5)를 통하여 종동풀리(170a)로 전달된다.
이 경우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자성체(175)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로 됨으로써 이동부재(179)가 활주부(173)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179)의 치차(179a)와 보스(171)의 치차(172)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동풀리(170a)로 전달된 구동모터(3)의 회전력이 종동축(170)에 전달되며, 종동축(170)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이동부재(179)와 보스(171)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클러치수단(150)으로 전달된다.
또한 클러치수단(150)은 전달받은 회전력을 감속시키고 정역회전시켜 세탁축(135)을 통해 펄세이터(13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수단(150)은 상기 클러치수단(50)과는 달리 상기 펄세이터(130)의 회전을 적절히 감속하여 상기 클러치수단(50) 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부드러운 세탁물에 적합한 수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펄세이터(130)가 정역회전을 반복하여 보조세탁조(120) 내의 세탁물을 회전시켜 줌과 동시에 수류를 일으키면서 상기 내조(20)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세탁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세탁행정이 완료된 후에는 내조(20)와 보조세탁조(1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배수호스(80)를 통해 세탁수가 배수되고, 상기 내조(20)와 보조세탁조(120)가 동시에 고속회전하면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탈수행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내조(20)에서의 탈수행정은 구동모터(3)에서 클러치수단(50)으로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클러치수단(50)의 내부에 구비된 클러치스프링(미도시)의 절환에 의해 탈수축(25)을 통해 내조(20)에 전달되고, 상기 내조(20)가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이 때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내조(20)에서의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조세탁조(120)에서의 탈수행정은 구동모터(3)에서 종동풀리(170a)로 전달된 회전력이 마이콤의 제어에 따른 이동부재(179)의 하강에 의해 보스(171)를 통해 종동축(170)으로 전달되고, 종동축(170)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클러치수단(150)의 내부에 구비된 클러치스프링의 절환에 의해 탈수축(125)을 통해 보조세탁조(1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세탁조(12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되어 상기 보조세탁조(120)에서의 탈수행정이 이루어지고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일정시간 경과 후 탈수행정이 끝나면 일련의 세탁행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세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란제리 등과 같은 부드러운 세탁물을 일반세탁물과 분리하여 세탁함으로써 부드러운 세탁물이 세탁 도중에 손상되거나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종류가 다른 세탁물을 동시에 세탁함으로써 세탁수와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세탁시간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사각함체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내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내조 및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의 내측 일부분을 격벽에 의해 분리구획하여서 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세탁조와,
    상기 보조세탁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보조세탁조 및 펄세이터에 전달하는 보조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내조와 별도로 구비된 보조세탁조에 의해 세탁물의 분리세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동력전달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보조세탁조의 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동축결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벨트수단과,
    상기 종동풀리로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종동축에 선택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보조클러치수단과,
    상기 종동축으로 전달된 동력을 상기 보조세탁조 또는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클러치수단은 상기 종동축의 수직방향 중앙 외주면상에 일정간격 만큼 상하로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활주부와,
    상기 활주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자성체와,
    상기 종동풀리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그 외주면상에는 치차가 형성된 보스와,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상기 활주부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중앙부에 활주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치차와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치차가 형성된 이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공은 상기 활주부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1019990067401A 1999-12-30 1999-12-30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100335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401A KR100335086B1 (ko) 1999-12-30 1999-12-30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401A KR100335086B1 (ko) 1999-12-30 1999-12-30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64A KR20010059864A (ko) 2001-07-06
KR100335086B1 true KR100335086B1 (ko) 2002-05-04

Family

ID=1963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401A KR100335086B1 (ko) 1999-12-30 1999-12-30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950B1 (ko) * 2008-04-30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127395B2 (en) 2007-11-21 2015-09-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983U (ko) * 1986-10-21 1988-05-09
KR960027204U (ko) * 1995-01-27 1996-08-17 석영숙 물통을 구비한 분리세탁용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983U (ko) * 1986-10-21 1988-05-09
KR960027204U (ko) * 1995-01-27 1996-08-17 석영숙 물통을 구비한 분리세탁용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7395B2 (en) 2007-11-21 2015-09-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461950B1 (ko) * 2008-04-30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64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512B2 (en) Washing machine
KR20000014198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335086B1 (ko)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US6951121B2 (en) Washing machine having floatage clutch
JPH10225587A (ja) 洗濯機用のパルセータ
US4622708A (en) Clothes washing machines
US3722234A (en) Power rinse clothes washers
KR100399324B1 (ko) 절수형 세탁기
KR20060004377A (ko) 이중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
KR200292035Y1 (ko) 세탁조 분리형세탁기
KR19980076976A (ko) 세탁기의 와류발생장치
KR19990080319A (ko)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200319436Y1 (ko) 세탁기의 클리닝 구조
KR100213134B1 (ko) 세탁기
KR0132998Y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30024962A (ko) 부력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0125615Y1 (ko) 전자동 세탁기
KR20014113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제 자동 투입장치
KR950007052B1 (ko) 분리세탁기
KR100220752B1 (ko)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KR100210094B1 (ko) 세탁기의 배수장치
KR20020060337A (ko) 세탁기의 세탁물 인출을 위한 제어 방법
KR19990021141U (ko) 2조식 세탁기의 보조세탁봉
KR20030024968A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020006897A (ko) 교반식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