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536A - 흙을 이용한 수로관 - Google Patents

흙을 이용한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536A
KR20090114536A KR1020080040213A KR20080040213A KR20090114536A KR 20090114536 A KR20090114536 A KR 20090114536A KR 1020080040213 A KR1020080040213 A KR 1020080040213A KR 20080040213 A KR20080040213 A KR 20080040213A KR 20090114536 A KR20090114536 A KR 20090114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member
water pipe
soil
coupl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환
Original Assignee
박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환 filed Critical 박문환
Priority to KR102008004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4536A/ko
Publication of KR2009011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Abstract

본 발명은 흙을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로관을 흙을 구워 형성하고, 안쪽과 바깥쪽에는 지지부재를 결합하며, 수로관 연결시에는 연결부재를 사용하고, 수로관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조립할 때 다양한 크기의 관통공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작업이 편리하고, 수질 및 토양 오염을 방지하며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흙을 이용한 수로관은, 내부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흙을 구워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로관, 흙, 지지부재, 관통공

Description

흙을 이용한 수로관 { WATERWAY PIPE USING CLAY }
본 발명은 흙을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로관을 흙을 구워 형성하고, 안쪽과 바깥쪽에는 지지부재를 결합하며, 수로관 연결시에는 연결부재를 사용하고, 수로관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조립할 때 다양한 크기의 관통공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작업이 편리하고, 수질 및 토양 오염을 방지하며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흙을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수로관은 철근과 콘크리트로 된 수로관의 일측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시공시 플랜지 내에 또 다른 수로관을 끼우는 수단에 의해 여러 개의 수로관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였다.
또는 수로관이 설치될 현장에서 직접 거푸집을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강도가 떨어지기 쉬운 품질관리상의 문제점이 있고 시공이 복잡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지연되어 설치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은 동절기에는 매우 불리하기 때문에 시공시기에 제한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로의 바닥이나 벽면 등의 부재를 미리 판넬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들을 현장에서 간단히 연결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수로의 단면적을 현장의 지형에 따라 임의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립식 수로관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대안들을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로관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콘크리트의 유해한 성분이 수질 및 토양을 오염시키며, 그에 따라 사람과 동식물에게도 2차적인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흙을 구워 수로관을 형성함으로써, 수질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흙을 이용한 수로관은, 내부로 유체가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흙을 구워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로관은, 하판과; 상기 하판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판과; 상기 하판과 측판에 접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하판 또는 측판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판에 면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판에 면접촉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판의 내측면과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는 내측지지부재와; 상기 하판의 외측면과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각각 접하는 외측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내측지지부재와 외측지지부재를 상기 하판 또는 측판에 결합시킨다.
상기 하판과 측판과 지지부재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측판 및 지지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중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로관은, 양측으로 제1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반원 형상의 제1상부원호부재와; 양측으로 제2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반원 형상의 제1하부원호부재와;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와 제1하부원호부재가 원형을 이루도록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를 관통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에 형성된 관통공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로관은, 반원 형상의 제2상부원호부재와; 반원 형상의 제2하부원호부재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의 끝단과 상기 제2하부원호부재의 끝단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의 내측에 접촉 되는 내측부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의 외측에 접촉되는 외측부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 사이에서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부 및 외측부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에 체결된다.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와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내측부 및 외측부와,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중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로관은, 반원 형상의 제2상부원호부재와; 반원 형상의 제2하부원호부재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접촉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와 연결부재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와,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중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흙을 이용한 수로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로관을 콘크리트가 아닌 흙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오염, 특히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방지하며 친환경적이다. 또한 흙을 구웠기 때문에 견 고하다.
둘째, 구성요소가 따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되는 간편함이 있다. 그리고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단순한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쌓기 쉽기 때문에 제작,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셋째, 하판과 측판의 연결부분의 안과 밖을 'L' 형상으로 형성된 내측지지부재와 외측지지부재로 지지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속적인 토압에 측판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수로관의 조립시 내측지지부재와 외측지지부재가 하판 또는 측판에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더 좋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섯째, 관통공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흙을 구웠을 때 관통공의 크기가 변형되어도 구성요소들을 유동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여섯째, 원형 수로관의 구성요소인 상부원호부재와 하부원호부재의 양 끝단에 결합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원형 수로관의 조립시 바깥쪽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다.
일곱째, 원형 수로관의 조립시, 원형 수로관에 연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연결부재는 원형 수로관의 구성요소인 상부원호부재와 하부원호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수로관을 지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더 좋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은 하판(110)과, 측판(120)과, 지지부재(130)와, 체결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은 모두 흙을 구워 형성하며, 상기 흙은 점토와 황토 등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수로관을 흙을 구워 형성함으로써, 수로관 주변의 토양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다.
상기 하판(110)은 상기 수로관의 하부에 배치되며,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판(120)은 상기 하판(110)의 좌우측면에 각각 상기 하판(110)과 수직으로 배치되며,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흙으로 만든 제품은 구울 경우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모양을 갖는 제품의 경우에는 흙을 구우면 그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을 판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구워도 그 형상의 변화가 적어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의 형상이 같게 되면,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의 구분없이 한 모양으로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제작 장비를 줄일 수 있고 호환성이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사각형의 판형상은 쌓기도 쉽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시에도 편리하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플라스틱 또는 철판 또는 흙 등으로 형성하며,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에 각각 면접촉하여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하판에 면접촉하는 수평부(133)와, 상기 수평부(133)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판(120)에 면접촉하는 수직부(13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재(130)는 '┗' 또는 ' ┛' 모양으로 상기 수로관의 내측과 외측의 모서리 부분에 덧대어, 상기 수평부(133)는 상기 하판(110)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부(134)는 상기 측판(12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하판(110)의 내측면과 상기 측판(120)의 내측면에 접하는 내측지지부재(131)와, 상기 하판(110)의 외측면과 상기 측판(120)의 외측면에 각각 접하는 외측지지부재(13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외측지지부재(132)를 모두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외측지지부재(132)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외측지지부재(132) 중 하나만 사용한다면, 상기 수로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지속적인 압력과 상기 수로관의 외부에 있는 토양의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지지력이 약화되어 상기 측판(120)이 넘어가는 등 구조 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외측지지부재(132)를 이용하여 상기 수로관의 내측과 외측에서 동시에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50)은 상기 지지부재(130)를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에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수단(150)은 볼트(151)와 너트(15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30)를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에 상기 체결수단(150)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은 서로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5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30), 하판(110), 측판(120)을 체결함으로써 보다 강하게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수로관의 길이와 동일하게 길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30)를 작게 형성하여 일정간격마다 배치하였다.
상기 하판(110)과 측판(120)과 지지부재(130)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15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140)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120) 및 지지부재(13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40) 중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0)은 상기 측판(120)에 형성된 제1관통공(141)과, 상기 지지부재(130)에 형성된 제2관통공(142)과, 상기 하판(110)에 형성된 제3관통공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판(12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141)을 상하방향 으로 길게 형성하였고, 상기 측판(120)과 면접촉하는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상기 외측지지부재(132)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142)의 크기는 상기 볼트(151)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외측지지부재(132)의 위치를 상하로 맞추고, 상기 볼트(151)를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측판(120)과 외측지지부재(132)에 관통시켜, 상기 너트(152)를 조임으로써 체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외측지지부재(132)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142)의 크기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측판(12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141)을 상기 볼트(151)의 크기에 맞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내측지지부재(131)와 외측지지부재(132)와 측판(12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141)과 제2관통공(142)의 크기를 모두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관통공(140)의 크기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흙으로 만든 상기 하판(110), 측판(120), 지지부재(130)를 구웠을 때 상기 측판(120)과 하판(110)이 수축되어 상기 관통공(140)의 크기 및 위치가 변형되어도, 상기 관통공(140)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판(120) 또는 지지부재(130)를 알맞게 움직인 후 상기 체결수단을(150) 통해 상호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로관의 구성요소를 조립하거나 상기 수로관의 연장시에 발생하는 틈새는 별도의 메움재로 마무리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로관의 하판(110) 및/또는 측판(120)에는 물고기와 같은 어류가 상기 수로관 내부에서 외부에 있는 흙 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형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수로관은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와,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와, 체결수단(2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와,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는 모두 흙을 구워 형성하며, 상기 흙은 점토와 황토 등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수로관을 흙을 구워 형성함으로써, 수로관 주변의 토양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다.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결합돌기(2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원호부재(220)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2결합돌기(221)가 돌출 형성된다.
흙으로 만든 제품은 구울 경우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모양을 갖는 제품의 경우에는 흙을 구우면 그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를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구워도 그 형상의 변화가 적어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의 형상이 같게 형성되어,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의 구분없이 한 모양으로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제작장비를 줄일 수 있고 호환성이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는 쌓기도 쉽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시에도 편리하다.
상기 체결수단(250)은 볼트(251)와 너트(25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211)를 상기 제2결합돌기(221)에 상기 체결수단(250)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는 서로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250)에 의해, 상기 제1결합돌기(211), 제2결합돌기(221)를 체결함으로써 보다 강하게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는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의 길이와 동일하게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25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2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211) 및 제2결합돌기(22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4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의 폭방향 즉,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의 돌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40)은 상기 제1결합돌기(211)에 형성된 제1관통공(241)과 상기 제2결합돌기(221)에 형성된 제2관통공(24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돌기(211)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241)을 상기 제1결합돌기(211)의 돌출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였고, 상기 제2결합돌기(221)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242)의 크기는 상기 볼트(251)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의 위치를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의 돌출방향으로 맞추고, 상기 볼트(251)를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에 관통시켜, 상기 너트(252)를 조임으로써 체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결합돌기(221)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242)의 크기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211)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241)의 크기를 상기 볼트(251)의 크기에 맞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241)과 제2관통공(242)의 크기를 모두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관통공(240)의 크기를 상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의 돌출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흙으로 만든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를 구웠을 때,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와 제1하부원호부재(220)가 수축되어 상기 관통공(240)의 크기 및 위치가 변형되어도, 상기 관통공(240)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210) 또는 제1하부원호부재(220)를 알맞게 움직인 후 상기 체결수단(250)을 통해 상호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수로관의 제1상부원호부재(210) 및/또는 제1하부원호부재(220)에는 물고기와 같은 어류가 상기 원형 수로관 내부에서 외부에 있는 흙 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형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형수로관에 다른 연결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D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수로관은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와, 연결부재(330)와, 체결수단(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는 모두 흙을 구워 형성하며, 상기 흙은 점토와 황토 등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수로관을 흙을 구워 형성함으로써, 수로관 주변의 토양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다.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는 상부에 배치되며, 반원 형상이다.
상기 제2하부원호부재(320)는 하부에 배치되며, 반원 형상이다.
흙으로 만든 제품은 구울 경우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모양을 갖는 제품의 경우에는 흙을 구우면 그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를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구워도 그 형상의 변화가 적어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형상이 같게 되면,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구분없이 한 모양으로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제작장비를 줄일 수 있고 호환성이 우수하게 된다.
반원 형상은 쌓기도 쉽기 때문에 운반 또한 용이하며,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시에도 편리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의 끝단과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끝단 사이에 배치되고, 'H'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30)는 플라스틱 또는 철판 또는 흙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길이와 같도록 일체형으로 길게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 및 제2하부원호부재(320) 의 내측에 접촉되는 내측부(333)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 및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외측에 접촉되는 외측부(331)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 사이에서 상기 내측부(333)와 상기 외측부(331)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332)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330)의 상기 내측부(333), 외측부(331), 연결부(332)는 수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끝단 부분을 상기 연결부재(330)에 끼울 수 있도록 면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연결부재(330)를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끝단부분을 끼울 수 있도록 곡선처리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끝단을 상기 연결부재(330)에 끼울 수 있도록 면치하여 형성하였다.
또한 시공시에는, 상기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양 끝단 위에 상기 연결부재(330)를 올려 체결하고, 그 상기 연결부재(330)의 내측부(333)와 외측부(331) 가운데 부분의 홈에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를 올려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30)에 의해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의 배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초기 위치를 잘 잡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연결부(332)없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의 내측과 상기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기 내측부(333)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의 외측과 상기 제2하부원호부재(310)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기 외측부(331)로 이루 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내측부(333)와 외측부(331)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의 끝단과 상기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끝단은 직접 맞닿는다.
상기 체결수단(350)은 상기 연결부재(330)를 원형수로관이 되도록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에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수단(350)은 볼트(351)와 너트(352)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부(333) 및 외측부(331)를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에 상기 체결수단(350)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는 서로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350)에 의해, 상기 내측부(333), 외측부(331), 제2상부원호부재(310),제2하부원호부재(320)를 체결함으로써 보다 강하게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0)의 길이는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길이와 동일하게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와 내측부(333)와 외측부(331)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35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340)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부(333)와 외측부(331)와 제2상부원호부재(310) 및 제2하부원호부재(32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40) 중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40)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에 형성된 제1관통공(341)과, 상기 내측부(333)와 외측부(331)에 형성된 제2관통공(34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341)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였고, 상기 내측부(333)와 외측부(331)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342)의 크기는 상기 볼트(351)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내측부(333)와 외측부(331)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맞추고, 상기 볼트(351)를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와 연결부재(330)를 관통시켜, 상기 너트(352)를 조임으로써 체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내측부(333)와 외측부(331)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342)의 크기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의 상기 제1관통공(341)의 크기를 상기 볼트(351)의 크기에 맞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내측부(333)와 외측부(331)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341)과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341)의 크기를 모두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공(340)의 크기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흙으로 만든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를 구웠을 때,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가 수축되어 상기 관통공(340)의 크기 및 위치가 변형되어도, 상기 관통공(340)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측부(333)와 외측부(331) 또는 제2상부원호부재(310)와 제2하부원호부재(320)를 알맞게 움직 인 후 상기 체결수단(350)을 통해 상호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수로관의 제2상부원호부재(310) 및/또는 제2하부원호부재(320)에는 물고기와 같은 어류가 상기 원형 수로관 내부에서 외부에 있는 흙 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로관 연장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E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F-F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 연장시에는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과, 연장결합부(430)와, 체결수단(4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은 모두 흙을 구워 형성하며, 상기 흙은 점토와 황토 등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수로관을 흙을 구워 형성함으로써, 수로관은 주변의 토양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다.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수로관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로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로관(410)은 '└┘' 또는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수로관은(420) '└┘' 또는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흙으로 만든 제품은 구울 경우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모양을 갖는 제품의 경우에는 흙을 구우면 그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을 하판과 측판으로 분리하여 판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구워도 그 형상의 변화가 적어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의 형상이 같게 되면,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의 구분없이 체결하여 연장하면 되기 때문에, 호환성이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은 분리되어 운반되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은 현장에서 조립 후 체결하여 연장하기 때문에 시공시에도 편리하다
상기 연장결합부(430)는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을 연결한다.
상기 연장결합부(430)는 상기 제1수로관(41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와 상기 제2수로관(420)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제2연장돌출부(43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장결합부(430)는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와 제2연장돌출부(432)는 상호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하여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을 연결한다.
상기 체결수단(450)은 볼트(451)와 너트(452)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결합부(430)를 상기 체결수단(450)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은 서로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450)에 의해, 상기 연장결합부(430)와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을 체결함으로써 보다 강하게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연장결합부(430)와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4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 및 제2연장돌출부(432)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44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40)은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에 형성된 제1관통공(441)과, 상기 제2연장돌출부(432)에 형성된 제2관통공(44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441)을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였고, 상기 제2연장돌출부(432)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442)의 크기는 상기 볼트(451)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제2연장돌출부(432)의 위치를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의 길이방향으로 맞추고, 상기 볼트(451)를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와 제2연장돌출부(432)에 관통시켜, 상기 너트(452)를 조임으로써 체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연장돌출부(432)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442)의 크기 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441)의 크기를 상기 볼트(451)의 크기에 맞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441)과 상기 제2연장돌출부(432)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442)의 크기를 모두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관통공(440)의 크기를 상기 제1연장돌출부(431)와 제2연장돌출부(43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흙으로 만든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의 상기 하판과 측판을 구웠을 때 상기 하판과 측판이 수축되어 상기 관통공(440)의 크기 및 위치가 변형되어도, 상기 관통공(440)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수로관(410) 또는 제2수로관(420)을 알맞게 움직인 후 상기 체결수단(450)을 통해 상호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에는 물고기와 같은 어류가 상기 제1수로관(410)과 제2수로관(420) 내부에서 외부에 있는 흙 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5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수로관 연장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G-G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H-H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로관 연장시에 다른 연장결합부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I-I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수로관 연장시에는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과, 연장결합부(530)와, 체결수단(5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은 모두 흙을 구워 형성하며, 상기 흙은 점토와 황토 등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수로관을 흙을 구워 형성함으로써, 수로관은 주변의 토양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다.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수로관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로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로관(510)은 '└┘' 또는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수로관(520)은 '└┘' 또는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흙으로 만든 제품은 구울 경우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모양을 갖는 제품의 경우에는 흙을 구우면 그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을 하판과 측판으로 분리하여 판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구워도 그 형상의 변화가 적어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의 형상이 같게 되면,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의 구분없이 체결하여 연장하면 되기 때문에, 호환성이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은 분리되어 운반되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은 현장에서 조립 후 체결하여 연장하기 때문에 시공시에도 편리하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결합부(530)는 플라스틱 또는 철판 또는 흙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결합부(530)는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의 내측에 접촉하는 내측결합부(533)와,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의 외측에 접촉하는 외측결합부(531)와,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 사이에서 상기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결합부(5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결합부(533) 및 외측결합부(531)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550)에 의해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연장결합부(530)는 상기 체결수단(550)을 이용해 상기 제1수로관(510)의 측판과 상기 제2수로관(520)의 측판을, 상기 제1수로관(510)의 하판과 상기 제2수로관(520)의 상기 하판을 연결하여 상기 수로관을 필요한 길이만큼 쉽게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시공시에는, 상기 제1수로관(510)의 끝단에 상기 연장결합부(530)의 일단을 삽입한 후 체결수단으로 체결하고, 그 상기 연장결합부(530)의 타단에 형성된 홈부분에 상기 제2수로관(520)을 삽입하고 체결수단으로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결합부(530)에 의해 상기 제1수로관(510) 및 제2수로 관(520)의 배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초기 위치를 잘 잡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결합부(53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상기 연결결합부(532)없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로관(510)의 내측과 상기 제2수로관(520)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기 내측결합부(533)와, 상기 제1수로관(510)의 외측과 상기 제2수로관(510)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기 외측결합부(531)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수로관(510)의 끝단과 상기 제2수로관(520)의 끝단은 직접 맞닿는다.
상기 체결수단(550)은 볼트(551)와 너트(552)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550)에 의해, 상기 내측결합부(533), 외측결합부(531), 제1수로관(510), 제2수로관(520)을 체결함으로써 보다 강하게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과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55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540)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결합부(533) 및 외측결합부(531)와,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1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54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수로관(510) 및 제2수로관(5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40)은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에 형성된 제1관통공(541)과, 상기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에 형성된 제2관통공(54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541)은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542)의 크기는 상기 볼트(551)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과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의 위치를 맞추고, 상기 볼트(551)를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과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에 관통시키고, 상기 너트(552)를 조임으로써 체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542)의 크기를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541)의 크기를 상기 볼트(551)의 크기에 맞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541)과 상기 내측결합부(533)와 외측결합부(531)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542)의 크기를 모두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관통공(540)의 크기를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흙으로 만든 상기 하판과 측판을 구웠을 때 상기 하판과 측판이 수축되어 상기 관통공(540)의 크기 및 위치가 변형되어 도, 상기 관통공(540)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수로관(510) 및 제2수로관(520) 또는 상기 내측결합부(533) 및 외측결합부(531)를 알맞게 움직인 후 상기 체결수단(550)을 통해 상호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에는 물고기와 같은 어류가 상기 제1수로관(510)과 제2수로관(520) 내부에서 외부에 있는 흙 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흙을 이용한 수로관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형수로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형수로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형수로관에 다른 연결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D-D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로관 연장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E-E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F-F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로관 연장시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G-G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H-H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로관 연장시에 다른 연장결합부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I-I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판, 120 : 측판, 130 : 지지부재, 131 : 내측지지부재, 132 : 외측지지부재, 133 : 수평부, 134 : 수직부, 140, 240, 340, 440, 540 : 관통공, 141, 241, 341, 441, 541 : 제1관통공, 142, 242, 342, 442, 542 : 제2관통공, 150, 250, 350, 450, 550 : 체결수단, 151, 251, 351, 451, 551 : 볼트, 152, 252, 352, 452, 552 : 너트, 210 : 제1상부원호부재, 220 : 제1하부원호부재, 310 : 제2상부원호부재, 320 : 제2하부원호부재, 211 : 제1결합돌기, 221 : 제2결합돌기, 330 : 연결부재, 331 : 외측부, 332 : 연결부, 333 : 내측부, 410, 510 : 제1수로관, 420, 520 : 제2수로관, 430, 530 : 연장결합부 431 : 제1연장돌출부, 432 : 제2연장돌출부.

Claims (12)

  1. 내부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흙을 구워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하판과;
    상기 하판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판과;
    상기 하판과 측판에 접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하판 또는 측판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판에 면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판에 면접촉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판의 내측면과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는 내측지지부재와;
    상기 하판의 외측면과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각각 접하는 외측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내측지지부재와 외측지지부재를 상기 하판 또는 측판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과 측판과 지지부재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측판 및 지지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중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양측으로 제1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반원 형상의 제1상부원호부재와;
    양측으로 제2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반원 형상의 제1하부원호부재와;
    상기 제1상부원호부재와 제1하부원호부재가 원형을 이루도록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를 관통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에 형성된 관통공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반원 형상의 제2상부원호부재와;
    반원 형상의 제2하부원호부재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의 끝단과 상기 제2하부원호부재의 끝단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의 내측에 접촉되는 내측부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의 외측에 접촉되는 외측부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 사이에서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부 및 외측부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와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내측부 및 외측부와,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중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반원 형상의 제2상부원호부재와;
    반원 형상의 제2하부원호부재와;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접촉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 및 제2하부원호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와 연결부재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상부원호부재와, 제2하부원호부재와,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중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을 이용한 수로관.
KR1020080040213A 2008-04-30 2008-04-30 흙을 이용한 수로관 KR20090114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213A KR20090114536A (ko) 2008-04-30 2008-04-30 흙을 이용한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213A KR20090114536A (ko) 2008-04-30 2008-04-30 흙을 이용한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536A true KR20090114536A (ko) 2009-11-04

Family

ID=4155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213A KR20090114536A (ko) 2008-04-30 2008-04-30 흙을 이용한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45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2905A (zh) * 2016-08-31 2016-12-07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排水沟槽的衬砌装置
CN108589881A (zh) * 2018-03-20 2018-09-2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可拆卸可周转使用排水沟及其施工方法
CN110144852A (zh) * 2019-04-26 2019-08-20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板衬砌底部混凝土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2905A (zh) * 2016-08-31 2016-12-07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排水沟槽的衬砌装置
CN108589881A (zh) * 2018-03-20 2018-09-2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可拆卸可周转使用排水沟及其施工方法
CN110144852A (zh) * 2019-04-26 2019-08-20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板衬砌底部混凝土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691B2 (en) Dowel bar assembly with snap fit side frames
US7155874B2 (en) Tubular structure and modular building assembly using the same
KR101620096B1 (ko) 휨 성능 개선을 위한 파형강판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시공방법
KR20090114536A (ko) 흙을 이용한 수로관
KR102090172B1 (ko) 리브강관 연결구조
KR20160003644U (ko)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KR101663691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20090114537A (ko) 수로관의 연결구조
KR100862062B1 (ko) 조립식 암거
JP2007039898A (ja) トンネル用アーチ部材
JP2008231732A (ja) 杭の継ぎ手構造
KR200477104Y1 (ko) 중공형 강관 기둥과 강재 보의 접합부 구조
KR100657228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 장치
JP2007040086A (ja) 鋼管の連結構造
JP5316116B2 (ja) 床版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4312623B2 (ja) 段差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床の構築方法及びその構造並びにその構築方法に用いられる段差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板
KR200216305Y1 (ko) 암거설비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KR20120021973A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터널
KR100661596B1 (ko)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CN219888970U (zh) 一种波纹管连接用可视套筒接头
KR101010414B1 (ko) 강관 연결장치
JP4351593B2 (ja) フランジ付鋼管矢板及びその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