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043A -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043A
KR20090114043A KR1020080039799A KR20080039799A KR20090114043A KR 20090114043 A KR20090114043 A KR 20090114043A KR 1020080039799 A KR1020080039799 A KR 1020080039799A KR 20080039799 A KR20080039799 A KR 20080039799A KR 20090114043 A KR20090114043 A KR 20090114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connector
terminal
hous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234B1 (ko
Inventor
노관호
Original Assignee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2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lectromagne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Lead Wire Type Connector)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Solenoid)에 관한 것으로서, 리드 와이어 타입의 전원 커넥터가 삽입되어 자계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커넥터는, 솔레노이드 둘레면에 형성되며, 자계코일과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 타입(Lead Wire Type)의 솔레노이드 터미널이 돌출된 공간을 가지며 그 외부면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킨 제1하우징을 구성하고; 리드 와이어 타입(Lead Wire Type)의 솔레노이드 커넥터에 삽입되어 솔레노이드 터미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는, 전원공급선과 연결된 전원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선단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솔레노이드 커넥터에 삽입되는 캡과, 캡의 단차진 부분의 둘레벽 바깥에 감겨진 실링(Sealing)과,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하우징의 외부면에 형성된 탄성아암을 구성하여; 솔레노이드 커넥터와 전원 커넥터간 방진ㆍ방습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내트랙킹 및 내전압을 향상시켜 솔레노이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커넥터

Description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LEAD WIRE TYPE CONNECTOR AND SOLENOID WITH AS THE SAM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전자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간 방진ㆍ방습 상태를 유지시켜 내트랙킹 및 내전압을 향상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전류 인가에 따라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는, 크게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빈과, 이 보빈에 권선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계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솔레노이드는 주로 세탁기나 냉장고 또는 커피자동판매기 등 용수의 급수제어를 위한 전자밸브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자밸브 등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는 보빈의 몸체 길이방향 양단부에 그 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의 플랜지를 구비하여 몸체 주벽이 채널형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그 채널형 주벽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자기장 발생을 위한 자계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또 어느 일 측의 플랜지에 자계코일의 양단부가 각기 결선되고 전원공급을 위해 접지(Earth)와 입력단인 양ㆍ음극의 터미널을 갖추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솔레노이드의 터미널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판재로서 별도의 프레스 가공물로 제작되어 보빈의 플랜지에 인서트방식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터미널은 상대 접속물인 콘센트(전원 터미널)와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와 자계코일의 양단부가 결선되는 심편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터미널이 상대 접속물인 콘센트에 삽입되더라도 실질적으로 터미널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습기가 많은 지역에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경우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내트래킹 및 내전압을 저하시켜 솔레노이드 성능이 저하되거나 작동불능 상태가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절연파괴 감전사고로 이어져 인명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계코일과 연결된 솔레노이드 터미널이 돌출된 공간을 갖는 솔레노이드 커넥터를 솔레노이드 둘레벽에 결합시키거나 일체로 형성시키고, 솔레노이드 터미널에 연결되는 전원 터미널을 수용하고 있으며, 실링 및 탄성아암을 통해 밀폐상태 및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전원 커넥터를 솔레노이드 커넥터에 결합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간 방진ㆍ방습 상태를 유지시키는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에 있어,
리드 와이어 타입(Lead Wire Type)의 전원 커넥터가 삽입되어 자계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커넥터는, 솔레노이드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기 자계코일과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 타입(Lead Wire Type)의 솔레노이드 터미널이 돌출된 공간을 가지며 그 외부면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킨 하우징을 포함하며;
리드 와이어 타입(Lead Wire Type)의 솔레노이드 커넥터에 삽입되어 솔레노이드 터미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는, 전원공급선과 연결된 전원 터미널과, 상기 전원 터미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커넥터에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의 단차진 부분의 둘레벽 바깥에 감겨진 실링(Sealing)과,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형성된 탄성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를 갖는 솔레노이드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는 몸체를 가지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자계코일; 상기 보빈의 플랜지의 어느 하나에 일단이 인서트방식에 의해 사출 성형되고, 타단은 상기 자계코일의 단부가 권선되는 심봉; 상기 심봉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 터미널; 및 상기 솔레노이드 터미널이 돌출된 공간을 가지며 그 외부면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킨 제1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보빈의 둘레에 도포되는 절연성의 피복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터미널은 상기 심봉을 연장시켜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에 삽입되어 솔레노이드 터미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는, 전원공급선과 연결된 전원 터미널; 상기 전원 터미널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커넥터의 공간에 삽입되는 캡; 상기 캡의 단차진 부분의 둘레벽 바깥에 감겨진 실링(Sealing); 및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면에 형성된 탄성아암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원 터미널은 상기 솔레노이드 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용수의 급수제어가 이루어지는 습한 환경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간 방진ㆍ방습 상태가 유지되므로 내트랙킹 및 내전압이 향상되어 솔레노이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간 절연상태가 유지되므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크게 솔레노이드와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Lead Wire Type Connector)로 구성되는데,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자체,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가 적용된 솔레노이드를 각각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가 적용된 솔레노이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 둘레벽에 솔레노이드 커넥터(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공급선(PL)의 말단에 형성된 전원 커넥터(3)가 솔레노이드 커넥터(2)에 결합되게 된다. 이에 솔레노이드 커넥터(2)와 전원 커넥터(3) 간 밀폐상태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게 된다.
솔레노이드(1)는 그 외부가 피복층(11)으로 감싸여져 있으며, 자계코일과 결속되는 심봉(12)을 솔레노이드 터미널(13)과 연결시키고 있다. 여기서, 심봉(12) 자체를 솔레노이드 터미널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솔레노이드 커넥터(2)는 심봉(12)이 돌출된 공간(S1)을 갖는 단순 하우징을 의미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심봉(12)과 솔레노이드 터미널(13)이 분리되어 제작되고, 이들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터미널(13)을 제외하고 솔레노이드(1)의 내부 구성은 기존 구성과 유사하다. 즉,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는 보빈의 몸체 길이방향 양단부에 그 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의 플랜지를 구비하여 몸체 주벽이 채널형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그 채널형 주벽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자기장 발생을 위한 자계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또 어느 일 측의 플랜지에 자계코일의 양단부가 각기 결선되고 전원공급을 위해 접지(Earth)와 입력단인 양ㆍ음극의 솔레노이드 터미널(13)을 갖추고 있다.
솔레노이드 커넥터(2)는 피복층(1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피복층(11)에 결합되도록 한다. 솔레노이드 커넥터(2)를 별도로 제작할 경우, 솔레노이드 커넥터(2)는 심봉(12)을 연계하여 솔레노이드(1)의 자계코일과 연결된 솔레노이드 터미널(13)이 돌출되며 전원 커넥터(3)가 삽입되는 공간(S1)이 형성된 하우징(21)과, 이 하우징(21)의 외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2)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이 고정돌기(22)는 상하부면 또는 좌우면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모든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 커넥터(3)는, 그 내부에 전원공급선(PL)과 연결된 전원 터미널(31)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32)과, 하우징(32)의 선단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솔레노이드 커넥터(2)의 공간(S1)에 삽입되는 캡(33)과, 캡(33)의 단차진 부분의 둘레벽 바깥에 감겨진 실링(Sealing, 34)과, 하우징(32)의 외부면에는 솔레노이드 커넥터(2)의 고정돌기(22)에 결합되는 탄성아암(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전원 커넥터(3)에 형성된 전원 터미널(31)은 솔레노이드 커넥터(2)의 솔레노이드 터미널(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S2)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전원 배선이 결속되는 결속요소(3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실링(34)은 오링(O-Ring)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커넥터(3)는 실링(3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32)의 캡(33)의 단차 영역 둘레면에 오목부(H)를 형성시키고, 이 오목부(H)에 실링(34)을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커넥터(2)와 전원 커넥터(3)간 착탈시 실링(3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전원 커넥터(3)의 캡(33)의 단차 영역에 체결한 실링(34)은 단차 높이보다 0.1~2mm 높게 형성시키고, 상기 단차 높이에 대응하여 솔레노이드 커넥터(2)의 공간(S1)을 단차지게 형성시킨다. 이에 실링(34)이 공간(S1)의 단차 영역까지 삽입되어 솔레노이드 커넥터(2)의 단차 영역과 전원 커넥터(3)의 단차 영역 사이에 끼워진 실링(34)에 의해 두 접속부분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커넥터(2)와 전원 커넥터(3)가 체결될 때, 전원 커넥터(3)에 압력을 가하여 탄성아암(35)이 고정돌기(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실링(34)은 연성재질을 이용하여 더욱 확실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 터미널(13)이 전원 터미널(31)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연결되며, 고정돌기(22)와 탄성아암(35)을 통해 더욱 확실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솔레노이드 터미널(13)과 전원 터미널(31)간 방진ㆍ방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트랙킹 및 내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감전사고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가 적용된 솔레노이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솔레노이드 11 : 피복층
12 : 심봉 13 : 솔레노이드 터미널
2 : 솔레노이드 커넥터 21 : 하우징
22 : 고정돌기 3 : 전원 커넥터
31 : 전원 터미널 32 : 하우징
33 : 캡 34 : 실링
35 : 탄성아암

Claims (6)

  1. 리드 와이어 타입(Lead Wire Type)의 전원 커넥터가 삽입되어 자계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커넥터는,
    솔레노이드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기 자계코일과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 타입(Lead Wire Type)의 솔레노이드 터미널이 돌출된 공간을 가지며 그 외부면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킨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2. 리드 와이어 타입(Lead Wire Type)의 솔레노이드 커넥터에 삽입되어 솔레노이드 터미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는,
    전원공급선과 연결된 전원 터미널;
    상기 전원 터미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커넥터에 삽입되는 캡;
    상기 캡의 단차진 부분의 둘레벽 바깥에 감겨진 실링(Sealing); 및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형성된 탄성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3.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는 몸체를 가지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자계코일;
    상기 보빈의 플랜지의 어느 하나에 일단이 인서트방식에 의해 사출 성형되고, 타단은 상기 자계코일의 단부가 권선되는 심봉;
    상기 심봉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 터미널; 및
    상기 솔레노이드 터미널이 돌출된 공간(S1)을 가지며 그 외부면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킨 제1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보빈의 둘레에 도포되는 절연성의 피복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를 갖는 솔레노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터미널은 상기 심봉을 연장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를 갖는 솔레노이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삽입되어 솔레노이드 터미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커넥터는,
    전원공급선과 연결된 전원 터미널;
    상기 전원 터미널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커넥터의 공간(S1)에 삽입되는 캡;
    상기 캡의 단차진 부분의 둘레벽 바깥에 감겨진 실링(Sealing); 및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면에 형성된 탄성아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를 갖는 솔레노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터미널은 상기 솔레노이드 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S2)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를 갖는 솔레노이드.
KR1020080039799A 2008-04-29 2008-04-29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 KR10097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799A KR100975234B1 (ko) 2008-04-29 2008-04-29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799A KR100975234B1 (ko) 2008-04-29 2008-04-29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043A true KR20090114043A (ko) 2009-11-03
KR100975234B1 KR100975234B1 (ko) 2010-08-11

Family

ID=4155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799A KR100975234B1 (ko) 2008-04-29 2008-04-29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33B1 (ko) * 2013-11-07 2014-11-2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단자 조립식 솔레노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928A (ko) 2020-12-17 2022-06-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트래킹 방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5608A (ja) * 1998-12-24 2000-07-14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KR100712898B1 (ko) * 2001-07-03 2007-05-02 덕유패널 주식회사 경질 폐우레탄폼을 재활용한 경질우레탄 패널
KR200303594Y1 (ko) * 2002-10-28 2003-02-11 주식회사 디케이씨 에어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커넥터 구조
JP4561583B2 (ja) * 2005-10-14 2010-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33B1 (ko) * 2013-11-07 2014-11-2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단자 조립식 솔레노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234B1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008B2 (ja) 二面開口型点火コイル装置
US10897105B2 (en) Connector with an annular shaped megnetic core
JP4992926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8053204A (ja) 点火コイル
US10931060B2 (en) Connector with an annular shaped magnetic core and an insulating potting agent
KR100975234B1 (ko) 리드 와이어 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솔레노이드
JP2009299614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6814092B2 (ja) 固体絶縁母線の防水構造、及び固体絶縁母線の接続構造
KR101460633B1 (ko) 단자 조립식 솔레노이드
JP2014149007A (ja) 電磁弁
JP2002005019A (ja) 電装部品の保護装置
KR20140059925A (ko) 전동기용 터미널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전동기
TWI323537B (en) Table tap
US11004640B2 (en) Relay
JP2004319617A (ja) 電磁装置、高電圧パルス発生器および高輝度放電灯点灯装置
JP3716696B2 (ja) トランス
JP2008166649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15038337A (ja) 点火装置
JP3828596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CN214946736U (zh) 一种车用电子膨胀阀线圈
KR101245162B1 (ko) 전자석의 실링구조
JP2009272439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CN106168305B (zh) 电磁阀装置
JP2599102Y2 (ja) 電磁弁
JPS62468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