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939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939A
KR20090113939A KR1020080039657A KR20080039657A KR20090113939A KR 20090113939 A KR20090113939 A KR 20090113939A KR 1020080039657 A KR1020080039657 A KR 1020080039657A KR 20080039657 A KR20080039657 A KR 20080039657A KR 20090113939 A KR20090113939 A KR 2009011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rinsing
dishwasher
wa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771B1 (ko
Inventor
강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Priority to KR1020080039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77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8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vertical sliding closing doors, e.g. hood-type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통의 기울기 구조, 헹굼통의 센서 체결부위, 헹굼라인의 보우형태, 지주프레임의 커버판 체결구조, 식기세척실의 핀랙 거치대 구조, 상부덮개의 승강구조 및 투시창 구조에 따른 식기세척기 조립시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조물 또는 부속품을 단순 및 견고하게 조립되어지도록 식기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식기세척기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통의 기울기 구조, 헹굼통의 센서 체결부위, 헹굼라인의 보우형태, 지주프레임의 커버판 체결구조, 식기세척실의 핀랙 거치대 구조, 상부덮개의 승강구조 및 투시창 구조에 따른 식기세척기 조립시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조물 또는 부속품을 단순 및 견고하게 조립되어지도록 식기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는 대량 발생되는 식기들을 세척하기 위해 업소용 식기세척기를 많이 사용하며, 상기 업소용 식기세척기를 주방에 설치할 때는 대부분 불림조를 겸한 애벌세척용 세정대와 건조대 사이에 식기세척기 본체가 놓이도록 세척라인을 설치하고 있다.
즉, 세척할 식기들은 세정대에서 먼저 애벌 세척되며, 그 애벌 세척된 식기들은 세정대에서 랙에 담긴 후 식기세척기의 세척실로 이동되어 세척되고, 그 세척실 내의 식기들은 세척/헹굼이 완료된 후 식기세척기의 일측에 연이어 설치된 건조대로 옮겨져 건조되도록 세정대와 세척기본체 및 건조대가 하나의 세척라인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구조 및 기능을 살펴보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업소용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대부분 상부의 승강식 덮개(20)로 여닫히는 세척실(11)의 바닥면과 상부면 중앙에는 한쌍의 상/하측 세척노즐(30a)(30b)과 상/하측 헹굼노즐(50a)(50b)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측 세척노즐(30a)(30b)은 세척실(11) 중앙에 놓이는 랙의 식기들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단계를 행하며, 상/하측 헹굼노즐(50a)(50b)은 세척된 식기들을 향해 헹굼수를 분사하여 헹굼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세척실(11) 아래쪽의 세척기몸체(10) 내부에는 세척수탱크(40)와 헹굼수탱크(60)가 내장형으로 설치되며, 세척수탱크(4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하측 세척노즐(30a)(30b)로 공급하는 세척모터(41), 헹굼수탱크(60)의 헹굼수를 펌핑하여 상/하측 헹굼노즐(50a)(50b)로 공급하는 헹굼모터(61), 식기세척기의 동작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콘트롤부의 회로기판(도면에 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또한, 온수부스타 또는 순간온수기(도면에 미도시)에서 대략 40~45℃ 정도로 미리 가열된 후 물공급라인(71)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는 각 유로가 솔레노이드밸브로 개폐 제어되는 분배기(70)에 의해 헹굼수탱크(60)와 세척수탱크(40)를 차례로 채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헹굼수탱크(60)에는 수위감지기로 동작되는 밸브에 의해 수위가 낮아지면 온수가 자동으로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헹굼수탱크(60) 내부에는 별도의 히터(62)가 설치되어 헹굼수를 대략 80℃ 이상의 뜨거운 물로 가열하므로서 헹굼단계를 행할 때 헹굼되는 식기의 살균효과와 함께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식기세척기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식기세척기 조립시 발생되는 작업성을 개선하고자 함이며, 식기세척기 내에서 발생되는 세척/헴굼수의 누수방지와 부속품 또는 구성물의 견고한 체결력 향상, 편리한 조립구조와 조립시 작업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수평의 판상형 바닥판 모서리에 수직으로 축설된 4개의 지주프레임에 사방(四方)면을 커버하는 판상형의 커버판이 구비되며, 상기 지주프레임 각각의 상단부를 사각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의 수평프레임 내측에 식기가 수용된 핀랙을 위치시키기 위한 식기세척실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식기세척실 하부 일측에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통과 상기 헹굼통과 구획되는 세척수를 저장하여 배출시키는 세척통으로 구성되는 저수탱크와; 상기 본체의 상부 후면에 설치된 후방판 양측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며, 그 전면에 투영부재를 통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된 상부덮개와; 상기 본체 및 상부덮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상방에 아래위로 이격 구성되어 상하 하우징에 각기 동축연결된 상하 세척임펠러 및 상하 헹굼임펠러와;
상기 식기세척실 하부 타측에 상하 세척임펠러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펌프와; 상기 세척펌프 일측에 헹굼통과 연결되어 헹굼임펠러로 헹굼수를 이동시키 는 헹굼펌프와; 상기 상부덮개에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손잡이의 양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타측이 지지바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덮개가 일정 한도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롤러장치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단마클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덮개의 개방시 그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손잡이 양측단 하부에 위치되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된 후에 더이상 상승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상부덮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축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실의 내부에 수용되어 식기가 수용된 핀랙을 거치하며, 사각(四角)형상으로 4개의 프레임이 일체로 연결되며, 정면 및 좌/우측면 프레임 끝단부는 내측 상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이 연결되고,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어 수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정면의 경사면에 결속되어 외측 상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차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기세척실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체결되는 좌/우측면 프레임 외측에 걸림고리가 형성된 핀랙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의 상부 후면에 장착된 양측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판에 있어, 상기 후방판 하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식기세척실 후방 수평프레임 일면을 감싸도 록 단차지게 절곡된 가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덮개의 전면에 구비된 투시창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재의 테두리 전방에 설치되며, 내측 내주면에 투시창 테두리를 수용하여 구획되도록 제1단턱이 형성되며, 외측 내주면에 상부덮개의 전면판 테두리를 수용하여 구획되도록 제2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과 제2단턱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형 체결구가 구성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투영부재의 테두리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나사형 체결구와 대면되도록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후방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식기세척실 하부 일측에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통과 상기 헹굼통과 구획되는 세척수를 저장하여 배출시키는 세척통으로 구성되는 저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헹굼통 일측에 구획되게 형성된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하면이 관통된 단면이 “
Figure 112008030695162-PAT00001
”형상을 가진 측부케이스와;, 상기 측부케이스의 하면을 경사지게 밀폐하며, 상/하측변에 대칭되게 연장되어 하향 절곡된 제1날개편이 형성되며, 좌측변은 사각판상의 제2날개편이 하향 절곡되며, 우측변은 상기 좌측변에 형성된 제2날개편에 2배 면적의 사각판상의 제3날개편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바닥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세척통의 측부케이스 일측면 상부에 오버(over)하는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구와;, 상기 측부케이스 일측면 하부에 세척수를 자동 배출시키기 위해 자동배수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된 제2배출구와;,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과 연결된 배출관을 연결하는 “T”형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헹굼통과 연결된 헹굼펌프를 통해 헹굼수를 상하 헹굼임펠러에 이동시키는 연결수단에 있어, 상기 헹굼펌프에서 헹굼수를 이동되는 배출관을 통해 연결된 제1연결구가 형성되며, 상하 헹굼임펠러로 각각 헹굼수를 이동시키는 배출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2, 3연결구가 형성되며, 린스공급관과 연결되는 제4연결구가 형성되는 “T”형 보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헹굼통 일면에 온도센서 또는 수위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보조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관통공에 체결되며 일측에 링형상의 돌출단이 돌출형성되어 보조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단과 연장되어 내주(內周)에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축에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에서 삽입되는 머리와 몸통으로 구분되며, 상기 몸통의 내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암나사와;, 상기 암나사에 몸통 외주에 삽입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 측부에 설치되며, 몸통 외주에 삽입되는 베이링부와;, 상기 체결축의 관통구로 삽입되어 암나사의 몸통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와셔가 삽입된 숫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에 있어 상기 고무재질의 스토퍼 내부에 한쌍의 너트가 삽입되며, 상기 너트의 끝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압축스프링의 끝단부와 결속되는 일측에 제1결속핀를 형성하며, 상기 단마클 지지대의 제1체결구를 통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속되는 타측에 제2결속핀을 형성하며, 상기 제1결속핀과 제2결속핀 사이에 연결되어 압축스프링의 완충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완충부재의 제2결속핀을 결속시키는 제1체결구가 형성된 단마클 지지대가 상기 제1체결구 일측 끝단부에 한쌍의 제2체결구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임 일측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의 커버판을 안착시켜 체결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 각 일변 양끝단부에 수평으로 돌출연장된 안착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덮개 내부 후방면에 소정의 길이만큼 사각형상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통기구가 모여 형성된 절개군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개구가 상기 금속판의 후방면 표면을 펀칭하여 상단부는 절단되게 하고 하측은 절곡하여 절단된 부분이 돌출 되게 함으로서 좁고 긴 겔러리 형태(Gallery type)의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세척/헹굼수 누수방지효과, 견고한 상부덮개 승강구조로 인한 사용자의 편익을 향상시키고, 편리한 조립구조로 인해 작업자의 조립이 수월해지며, 이에 식기세척기에 사용되는 부속품 또는 구성물에 조립이 용이해짐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을 가져온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판상형 바닥판(110) 모서리에 수직으로 축설된 4개의 지주프레임(120)에 사방(四方)면을 커버하는 판상형의 커버판(130)이 구비되며, 상기 지주프레임(120) 각각의 상단부를 사각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40)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의 수평프레임(140) 내측에 식기가 수용된 핀랙을 위치시키기 위한 식기세척실(150)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00)와; 상기 식기세척실(150) 하부 일측에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통(210)과 상기 헹굼통(210) 과 구획되는 세척수를 저장하여 배출시키는 세척통(220)으로 구성되는 저수탱크(2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 후면에 설치된 후방판(170) 양측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160)과; 상기 지지프레임(160)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며, 그 전면에 투영부재(311)를 통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310)이 구비된 상부덮개(300)와; 상기 본체(100) 및 상부덮개(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탱크(200)의 상방에 아래위로 이격 구성되어 상하 하우징(241, 251)에 각기 동축연결된 상하 세척임펠러(240) 및 상하 헹굼임펠러(250)와;
상기 식기세척실(150) 하부 타측에 상하 세척임펠러(240)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펌프(245)와; 상기 세척펌프(245) 일측에 헹굼통(210)과 연결되어 헹굼임펠러(250)로 헹굼수를 이동시키는 헹굼펌프(255)와; 상기 상부덮개(300)에 구비된 손잡이(320)와; 상기 손잡이(320)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손잡이(320)의 양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타측이 지지바(321)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덮개(300)가 일정 한도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롤러장치(322)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320)의 양단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양측에 설치된 단마클 지지대(360)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덮개(300)의 개방시 그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340)과; 상기 손잡이(320) 양측단 하부에 위치되며, 지지프레임(160)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32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된 후에 더이상 상승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350)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320)의 양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160)에 장착되어 상부덮개(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축(330)으로 구성 되는 공지의 식기세척기(10)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실(150)의 내부에 수용되어 식기가 수용된 핀랙을 거치하며, 사각(四角)형상으로 4개의 안착프레임(410)이 일체로 연결되며, 정면 및 좌/우측면 안착프레임(410) 내측 끝단부는 내측 상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411)이 연결되고, 상기 경사면(411)과 연결되어 수평면(412)을 형성하며, 상기 정면의 경사면(411)에 결속되어 외측 상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차단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식기세척실(150)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1)에 체결되는 좌/우측면 안착프레임(410) 외측에 걸림고리(413)가 형성된 핀랙거치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핀랙을 안착시키기 위한 핀랙거치대(400)로서 상기 핀랙거치대(400)의 좌/우측면 안착프레임(410) 외측에 형성된 걸림고리(413)를 상기 식기세척실(150)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1)에 결속하여 상기 핀랙거치대(400)를 구비하고, 상기 핀랙거치대(400) 상면에 핀랙을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나타낸 상기 핀랙거치대(400)의 차단부(420)로 인해 상기 식기세척실(150) 내부에 세척중 발생되는 수압으로 인해 핀랙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과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 후면에 장착된 양측 지 지프레임(160)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판(170)에 있어, 상기 후방판(170) 하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식기세척실(150) 후방 수평프레임(140) 일면을 감싸도록 단차지게 절곡된 가림부(17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양측 지지프레임(160)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판(170)이 상기 후방판(170) 하단부가 연장되는 가림부(171)가 형성되어 상기 식기세척실(150)의 후방 수평프레임(140)을 식기세척실(150) 내측으로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렇게 상기 식기세척실(150)의 후방 수평프레임(140)을 후방판(170) 가림부(171)가 감싸지게 형성됨으로서 식기세척실(150)에서 헹굼수 또는 세척수로 인해 분산되는 세척/헴굼수가 후방판(170) 또는 후방 수평프레임(140)에 뿌려져 후방판(170)과 후방 수평프레임(140)의 경계지점에 세척/헴굼수가 후방판의 가림부(171)로 인해 고여 있지 않고 식기세척실(150) 내측으로 다시 유입되어 세척통(220)으로 유입되게 된다. 즉, 종래 후방 수평프레임(150) 외측으로 후방판(170)을 면접하게 하여 용접하여 체결됨에 따라 이 면접부위를 통해 식기세척실(150)에서 분산되는 세척/헹굼수가 유출되어 식기세척기(10)의 후면을 오염하는 동시에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또한, 식기세척실(150) 하부 공간부 기계 구성물로 유입되어 기계의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후방 수평프레임(140)을 내측으로 감싸도록 후방판(170) 하단부가 연결 단차지게 가림부(171)를 형성함으로서 이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300)의 전면에 구비된 투시창(310)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재(311)의 테두리 전방에 설치되며, 내측 내주면에 투시창(310) 테두리를 수용하여 구획되도록 제1단턱(313)이 형성되며, 외측 내주면에 상부덮개(300)의 전면판(301) 테두리를 수용하여 구획되도록 제2단턱(314)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313)과 제2단턱(314)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형 체결구(315)가 구성되는 전방프레임(312a)과;,
상기 투영부재(311)의 테두리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나사형 체결구(315)와 대면되도록 다수개의 체결공(316)이 형성된 후방프레임(31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덮개(300) 전면에 형성된 관통창(302) 전면에 강화유리 또는 아크릴판으로 구성된 투영부재(311)의 테두리를 수용하도록 상기 전방프레임(312a)의 제1단턱(313) 내측 내주면에 수용하며, 상기 투영부재(311)의 테두리가 상기 전방프레임(312a)의 제1단턱(313)에 의해 더 이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렇게 상기 투영부재(311)를 수용한 전방프레임(312a)을 상기 상부덮개(300)의 관통창(302) 전면에 부착하여 상기 전방프레임(312a)의 외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2단턱(314)까지 상기 관통창(302) 테두리 일측이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에 상기 관통창(302) 후면으로부터 후방프레임(312b)을 부착하고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공(316)을 통해 체결하여 식기세척기의 투시창(310)을 완성하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기세척실(150) 하부 일측에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통(210)과 상기 헹굼통(210)과 구획되는 세척수를 저장하여 배출시키는 세척통(220)으로 구성되는 저수탱크(200)에 있어 상기 세척통의 구성은, 상기 헹굼통(210) 일측에 구획되게 형성된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하면이 관통된 단면이 “
Figure 112008030695162-PAT00002
”형상을 가진 측부케이스(221)와;, 상기 측부케이스(221)의 하면을 경사지게 밀폐하며, 판상의 바닥면(223) 상/하측변은 서로 대칭되며 끝단변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양측끝단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연장되어 하향 절곡된 제1날개편(224a)이 형성되며, 바닥면(223) 좌측변은 사각판상의 제2날개편(224b)이 하향 절곡되며, 바닥면(223) 우측변은 상기 좌측변에 형성된 제2날개편(224b)에 2배 면적의 사각판상의 제3날개편(224c)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바닥부재(2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도 16과 같이 상기 바닥부재(222)의 전개도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바닥면(223) 상/하측변에 형성된 제1날개편(224a)은 상기 상/하측변 끝단과 연장되어 끝단변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양측끝단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서 하향 절곡된 제1날개편(224a)을 구성한다.
그리고, 바닥부재(222)가 측부케이스(221) 하면에 장착되어 바닥부재(222)의 바닥면(223)이 기울기를 가지도록 상기 바닥면(223)의 좌측변의 길이는 상/하측변의 양측 끝단변 중 일변과 면접하는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상기 우측변의 길이는 상/하측변의 양측 끝단변 중 타변과 면접하는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사방(四方)측부에 하향 절곡된 바닥부재(222)를 상기 측부케이스(221) 하면에 내속되어 삽입되도록 설치하며, 이때 상기 바닥부재(222)의 하향 절곡된 제1, 2, 3날개편(224a, 224b, 224c) 하부 끝단부 둘레와 측부케이스(221) 하부 끝단 둘 레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설치하여야만 상기 바닥부재(222)의 바닥면(223)이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통(220)의 측부케이스(221) 일측면 상부에 오버(over)하는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구(225)와;, 상기 측부케이스(221) 일측면 하부에 세척수를 자동 배출시키기 위해 자동배수되는 솔레노이드밸브(227)가 장착된 제2배출구(226)와;, 상기 제1배출구(225)와 연결된 배출관(228)과 상기 제2배출구(226)와 연결된 배출관(228)을 연결하는 “T”형 밸브(2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배출구(225)는 세척통(220)에 수용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상기 제1배출구(225) 상위로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1배출구(225)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게 되며, 상기 제2배출구(226)는 측부케이스(221)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통(220) 내에 수용된 세척수를 상기 제2배출구(226)와 솔레노이드밸브(227)가 연계하여 연속적으로 세척수를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세척통(220)에 세척수의 유입이 과량으로 유입되어 제1배출구(225)에 도달하게 되면 세척수가 제1배출구(225)를 배출되게 되며, 이에 동시에 제2배출구(226)는 솔레노이드밸브(227)로 인해 세척수가 자동배수가 되게 된다.
도 18과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헹굼통(210)과 연결된 헹굼펌프(255)를 통해 헹굼수를 상하 헹굼임펠러(250)에 이동시키는 연결수단에 있어, 상기 헹굼펌 프(255)에서 헹굼수를 이동되는 배출관(214)을 통해 연결된 제1연결구(231)가 형성되며, 상하 헹굼임펠러(250)로 각각 헹굼수를 이동시키는 배출관(214)과 각각 연결되는 제2, 3연결구(232a, 23b)가 형성되며, 린스공급관(234)과 연결되는 제4연결구(233)가 형성되는 사구(四口)형 보우(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미도시된 기존 식기세척기에 사용되던 헹굼수 연결수단에 있어 헹굼펌프에서 헹굼수를 이동시키는 배출관을 통해 연결된 제1연결구와, 상하 헹굼임펠러로 각각 헹굼수를 이동시키는 배출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2, 3연결구로 구성되는 “T”형 보우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T”형 보우 몸체 일측면에 강제로 천공기구를 이용하여 구멍을 형성한 제4연결구에 린스공급관을 연결하여 사용됨으로서 강제된 제4연결구에 린스공급관을 체결시 이탈되지 못하도록 별도의 접착수단을 이용함에 따른 부가적인 비용 상승 또는 작업공정의 복잡성과, 식기세척기의 장기간 사용중 제4연결구와 린스공급관의 결속부위가 이탈되는 우려가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도 19와 같이 린스공급관(234)을 체결할 수 있는 사구(四口)형 보우(230)를 사용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다.
도 20과 도 2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헹굼통(210) 일면에 온도센서 또는 수위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보조관통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관통공(211)에 체결되며 일측에 링형상의 돌출단(213)이 돌출형성되어 보조관통공(211)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단(213)과 연장되어 내주(內周)에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볼트(212)가 구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미도시된 기존 온도센서 또는 수위센서를 장착하기 위해 보조관통공에 고무재질의 고무막을 이용하여 보조관통공에 압착하여 밀어 넣어 사용함으로서 상기 고무재질의 고무막에 의존하여 헹굼통 내부의 헹굼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고무막 중간에 형성된 구멍에 온도센서 또는 수위센서를 장착하여 사용함에 상기 센서들의 고장 또는 오작동시 교체를 행할시 문제의 고무막을 제거하여 새로운 고무막을 교체사용함에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고무막의 부식으로 인해 헹굼통 내부의 헹굼수가 누수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관통공(211)에 체결되며 일체화를 이루도록 일측에 링형상의 돌출단(213)이 돌출형성되어 보조관통공(211)에 삽입되어 내측에서 용접처리되며, 상기 돌출단(213)과 연장되어 내주(內周)에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볼트(212)를 구비하여 상기 온도센서 또는 수위센서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볼트(212) 내주에 형성된 나사선에 체결되도록 나사선이 구비된 체결수단이 상기 온도센서 또는 수위센서에 부가되어 형성됨으로서 누수방지 및 작업성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축(330)에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160) 내측에서 삽입되는 머리(332)와 몸통(333)으로 구분되며, 상기 몸통(333)의 내부에 나사구멍(334)이 형성된 암나사(331)와;, 상기 암나사(331)에 몸통(333) 외주에 삽입되는 회전링(335)과;, 상기 회전링(335) 측부에 설치되며, 몸통(333) 외주에 삽 입되는 베이링부(336)와;, 상기 체결축(330)의 관통구(339)로 삽입되어 암나사(331)의 몸통(333) 나사구멍(334)에 체결되는 와셔(337)가 삽입된 숫나사(338)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덮개(300)의 승강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반복적인 승강동작에 의한 각 결합부의 이탈, 마모 및 파손 등이 최소화 된다.
도 24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50)에 있어 상기 고무재질의 스토퍼(350) 내부에 한쌍의 너트(351)가 삽입되며, 상기 너트(351)의 끝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미도시된 기존 스토퍼는 수평의 환봉으로 일단부에 고무캡을 씌우고, 타단부는 지지프레임 일측면에 용접처리하여 결속되어 있어 고무캡을 씌워 사용함에 따라 부식으로 인해 제거되어 환봉만 남아 스토퍼 구실을 하게 되며, 일 인해 스토퍼와 면접되는 손잡이 파손이 발생하게 되고, 지지프레임에 용접처리로 결속됨으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5와 같이 고무재질의 스토퍼(350) 내부에 한쌍의 너트(351)가 삽입되며, 상기 너트(351)의 끝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350)를 지지프레임(160) 일측면에 너트(3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을 천공하여 상기 천공된 구멍을 통해 상기 스토퍼(350)의 너트(351)를 삽입하여 반대쪽 지지프레임(160)에서 볼트(352)로 체결하여 스토퍼(350)를 설치함에 있다.
도 24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스프링(340)의 끝단부와 결속되는 일 측에 제1결속핀(341)을 형성하며, 상기 단마클 지지대(360)의 제1체결구(361)를 통해 볼트(500)와 너트(510)에 의해 결속되는 타측에 제2결속핀(342)을 형성하며, 상기 제1결속핀(341)와 제2결속핀(342) 사이에 연결되어 압축스프링(340)의 완충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43)으로 구성되는 완충부재(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도 26에 나타낸 상기 완충부재(344)를 구비됨으로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압축스프링(340)의 느슨함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344)의 조절수단(343)을 조여줌으로서 완충력을 복원하는 것을 제공한다. 즉, 상기 너트형 조절수단(343)과 볼트형 제1, 2결속핀(341, 342)의 구조에 의해 상기 조절수단(343)을 회전함으로서 제1, 2결속핀(341, 342)이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서 압축스프링(340)의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340)의 제2결속핀(342)을 결속시키는 제1체결구(361)가 형성된 단마클 지지대(360)가 상기 제1체결구(361) 일측 끝단부에 한쌍의 제2체결구(362)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60) 일측에 볼트(500)와 너트(51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도 27과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커버판(130)을 안착시켜 체결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110) 각 일변 양끝단부에 수평으로 돌출연장된 안착단(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미도시된 기존 커버판을 체결시 지주프레임 외측면에 용접방식 또는 볼트체결방식과 같은 결속수단을 이용함에 있어 상기 커버판을 지주프레임에 조립시 커버판의 정위치 또는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작업성에 불편함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에 도 28과 같이 본 발명은 물리적인 지지수단 없이 상기 바닥판(110) 각 일변 양끝단부에 수평으로 돌출연장된 안착단(111)을 형성하게 하여 상기 커버판(130)의 하단면을 상기 안착단(111)에 안착시켜 지주프레임(120) 공간면에 전면 설치함으로서 용접 또는 볼트체결수단 작업시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4에 나타낸 상기 상부덮개(300) 내부 후방면에 소정의 길이만큼 사각형상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통기구(303)가 모여 형성된 절개군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덮개(300)가 식기세척실(150)을 밀폐하여 식기를 세척중 헹굼수 또는 세척수 분사로 인해 식기세척실(150) 내부 공기압이 증가하여 상부덮개(300)의 열림현상이 발생하거나 공기압의 증가로 인해 분사되는 세척/헴굼수의 분사 각도 및 속도에 이상(異常)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상기 식기세척실(150)의 공기압을 인위적으로 발출하고자 상기 상부덮개(300) 내부 후방면에 소정의 길이만큼 사각형상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통기구(303)가 모여 형성된 절개군이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상기 통기구(303)가 상기 금속판의 후방면 표면을 펀칭하여 상단부는 절단되게 하고 하측은 절곡하여 절단된 부분이 돌출 되게 함으로서 좁고 긴 겔러리 형태(Gallery type)의 통기구(30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업소용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부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투시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A”부위인 핀랙거치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핀랙거치대 조립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핀랙거치대를 식기세척실에 설치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가림부가 형성된 후방판이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후방판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부덮개 투시창의 조립분해도.
도 12는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상부덮개 투시창의 A-A`부위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투시창 단면도의 “B”부위 조립단면도와 조립분해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저수탱크 상태도와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저수탱크의 세척통 조립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세척통의 바닥부재 전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세척통에 제1, 2배출구와 배출관 연결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헹굼통과 연결된 헹굼펌프와 연결된 사구(四口)형 보우와의 연결상태도.
도 19는 도 18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헹굼펌프와 연계되는 사구(四口)형 보우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저수탱크의 헹굼통에 센서를 결속시키는 체결볼트 설치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저수탱크 헹굼통의 보조관통공에 돌출단-체결볼트 조립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체결축을 설명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투영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체결축 “B”부위의 조립분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면도.
도 25는 도 24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스토퍼 “C”부위의 조립분해도.
도 26은 도 24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단마클지지대-완충부재 “D”부위의 조립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하부 커버판을 안착단에 설치하는 상태도.
도 28은 도 27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바닥판 끝단부에 구비된 안착단 “E”부위의 확대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상부 덮개 후면에 겔러리형태의 통기구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식기세척기 10 본체 100 바닥판 110 안착단 111 지주프레임 120 커버판 130 수평프레임 140 식기세척실 150 걸림홈 151 지지프레임 160 후방판 170 가림부 171 저수탱크 200 헹굼통 210 보조관통공 211 체결볼트 212 돌출단 213 세척통 220 측부케이스 221 바닥부재 222 바닥면 223 제1날개편 224a 제2날개편 224b 제3날개편 224c 제1배출구 225 제2배출구 226 솔레노이드밸브 227 배출관 228 사구(四口)형 보우 230 제1연결구 231 제2, 3연결구 232a, 232b 제4연결구 233 린스공급관 234 세척임펠러 240 하우징 241 세척펌프 245 헹굼임펠러 250 하우징 251 헹굼펌프 255 “T”형 밸브 260 상부덮개 300 전면판 301 관통창 302 통기구 303 투시창 310 투영부재 311 전방프레임 312a 후방프레임 312b 제1단턱 313 제2단턱 314 체결구 315 체결공 316 손잡이 지지바 321 롤러장치 322 체결축 330 암나사 331 머리 332 몸통 333 나사구멍 334 회전링 335 베어링부 336 와셔 337 숫나사 338 관통구 339 압축스프링 340 제1결속핀 341 제2결속핀 342 조절수단 343 완충부재 344 스토퍼 350 너트 351 볼트 352 단마클 지지대 360 제1체결구 361 제2체결구 362 핀랙거치대 400 안착프레임 410 경사면 411 수평면 412 걸림고리 413 차단부 420 볼트 500 너트 510

Claims (14)

  1. 수평의 판상형 바닥판(110) 모서리에 수직으로 축설된 4개의 지주프레임(120)에 사방(四方)면을 커버하는 판상형의 커버판(130)이 구비되며, 상기 지주프레임(120) 각각의 상단부를 사각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40)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의 수평프레임(140) 내측에 식기가 수용된 핀랙을 위치시키기 위한 식기세척실(150)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00)와; 상기 식기세척실(150) 하부 일측에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통(210)과 상기 헹굼통(210)과 구획되는 세척수를 저장하여 배출시키는 세척통(220)으로 구성되는 저수탱크(2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 후면에 설치된 후방판(170) 양측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160)과; 상기 지지프레임(160)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며, 그 전면에 투영부재(311)를 통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310)이 구비된 상부덮개(300)와; 상기 본체(100) 및 상부덮개(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탱크(200)의 상방에 아래위로 이격 구성되어 상하 하우징(241, 251)에 각기 동축연결된 상하 세척임펠러(240) 및 상하 헹굼임펠러(250)와;
    상기 식기세척실(150) 하부 타측에 상하 세척임펠러(240)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펌프(245)와; 상기 세척펌프(245) 일측에 헹굼통(210)과 연결되어 헹굼임펠러(250)로 헹굼수를 이동시키는 헹굼펌프(255)와; 상기 상부덮개(300)에 구비된 손잡이(320)와; 상기 손잡이(320)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손잡이(320)의 양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타측이 지지바(321)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덮개(300)가 일정 한도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롤러장치(322) 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320)의 양단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양측에 설치된 단마클 지지대(360)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덮개(300)의 개방시 그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340)과; 상기 손잡이(320) 양측단 하부에 위치되며, 지지프레임(160)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32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된 후에 더이상 상승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350)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320)의 양단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160)에 장착되어 상부덮개(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축(330)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식기세척기(10)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실(150)의 내부에 수용되어 식기가 수용된 핀랙을 거치하며, 사각(四角)형상으로 4개의 안착프레임(410)이 일체로 연결되며, 정면 및 좌/우측면 안착프레임(410) 내측 끝단부는 내측 상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411)이 연결되고, 상기 경사면(411)과 연결되어 수평면(412)을 형성하며, 상기 정면의 경사면(411)에 결속되어 외측 상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차단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식기세척실(150)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1)에 체결되는 좌/우측면 안착프레임(410) 외측에 걸림고리(413)가 형성된 핀랙거치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 후면에 장착된 양측 지지프레임(160)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판(170)은,
    상기 후방판(170) 하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식기세척실(150) 후방 수평프레임(140) 일면을 감싸도록 단차지게 절곡된 가림부(17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300)의 전면에 구비된 투시창(310)은,
    상기 투영부재(311)의 테두리 전방에 설치되며, 내측 내주면에 투시창(310) 테두리를 수용하여 구획되도록 제1단턱(313)이 형성되며, 외측 내주면에 상부덮개(300)의 전면판(301) 테두리를 수용하여 구획되도록 제2단턱(314)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313)과 제2단턱(314)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형 체결구(315)가 구성되는 전방프레임(312a)과;,
    상기 투영부재(311)의 테두리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나사형 체결구(315)와 대면되도록 다수개의 체결공(316)이 형성된 후방프레임(31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20)은,
    상기 헹굼통(210) 일측에 구획되게 형성된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하면이 관통된 단면이 “
    Figure 112008030695162-PAT00003
    ”형상을 가진 측부케이스(221)와;, 상기 측부케이스(221)의 하면을 경사지게 밀폐하며, 판상의 바닥면(223) 상/하측변은 서로 대칭되며 끝단변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양측끝단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연장되어 하향 절곡된 제1날개편(224a)이 형성되며, 바닥면(223) 좌측변은 사각판상의 제2날개편(224b)이 하향 절곡되며, 바닥면(223) 우측변은 상기 좌측변에 형성된 제2날개편(224b)에 2배 면적의 사각판상의 제3날개편(224c)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바닥부재(2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20)의 측부케이스(221) 일측면 상부에 오버(over)하는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구(225)와;
    상기 측부케이스(221) 일측면 하부에 세척수를 자동 배출시키기 위해 자동배수되는 솔레노이드밸브(227)가 장착된 제2배출구(226)와;
    상기 제1배출구(225)와 연결된 배출관(228)과 상기 제2배출구(226)와 연결된 배출관(228)을 연결하는 “T”형 밸브(26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통(210)과 연결된 헹굼펌프(255)를 통해 헹굼수를 상하 헹굼임펠러(250)에 이동시키는 연결수단은,
    상기 헹굼펌프(255)에서 헹굼수를 이동되는 배출관(214)을 통해 연결된 제1연결구(231)가 형성되며, 상하 헹굼임펠러(250)로 각각 헹굼수를 이동시키는 배출관(214)과 각각 연결되는 제2, 3연결구(232a, 23b)가 형성되며, 린스공급관(234)과 연결되는 제4연결구(233)가 형성되는 사구(四口)형 보우(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통(210) 일면에 온도센서 또는 수위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보조관통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관통공(211)에 체결되며 일측에 링형상의 돌출단(213)이 돌출형성되어 보조관통공(211)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단(213)과 연장되어 내주(內周)에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볼트(2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330)은,
    상기 지지프레임(160) 내측에서 삽입되는 머리(332)와 몸통(333)으로 구분되며, 상기 몸통(333)의 내부에 나사구멍(334)이 형성된 암나사(331)와;, 상기 암나사(331)에 몸통(333) 외주에 삽입되는 회전링(335)과;, 상기 회전링(335) 측부에 설치되며, 몸통(333) 외주에 삽입되는 베이링부(336)와;, 상기 체결축(330)의 관통구(339)로 삽입되어 암나사(331)의 몸통(333) 나사구멍(334)에 체결되는 와셔(337)가 삽입된 숫나사(3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50)는,
    상기 고무재질의 스토퍼(350) 내부에 한쌍의 너트(351)가 삽입되며, 상기 너트(351)의 끝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340)의 끝단부와 결속되는 일측에 제1결속핀(341)을 형성하며, 상기 단마클 지지대(360)의 제1체결구(361)를 통해 볼트(500)와 너트(510)에 의해 결속되는 타측에 제2결속핀(342)을 형성하며, 상기 제1결속핀(341)와 제2결속핀(342) 사이에 연결되어 압축스프링(340)의 완충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43)으로 구성되는 완충부재(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40)의 제2결속핀(342)을 결속시키는 제1체결구(361)가 형성된 단마클 지지대(360)가 상기 제1체결구(361) 일측 끝단부에 한쌍의 제2체결구(362)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60) 일측에 볼트(500)와 너트(51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커버판(130)을 안착시켜 체결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110) 각 일변 양끝단부에 수평으로 돌출연장된 안착단(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300) 내부 후방면에 소정의 길이만큼 사각형 상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통기구(303)가 모여 형성된 절개군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303)가 상기 금속판의 후방면 표면을 펀칭하여 상단부는 절단되게 하고 하측은 절곡하여 절단된 부분이 돌출 되게 함으로서 좁고 긴 겔러리 형태(Gallery type)의 통기구(30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80039657A 2008-04-29 2008-04-29 식기세척기 KR10097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657A KR100975771B1 (ko) 2008-04-29 2008-04-29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657A KR100975771B1 (ko) 2008-04-29 2008-04-29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939A true KR20090113939A (ko) 2009-11-03
KR100975771B1 KR100975771B1 (ko) 2010-08-17

Family

ID=4155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657A KR100975771B1 (ko) 2008-04-29 2008-04-29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06B1 (ko) * 2012-10-23 2013-01-15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식판세척기
CN111904359A (zh) * 2020-07-16 2020-11-1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其密封门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8900B2 (en) 2013-12-19 2017-01-10 Whirlpool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463U (ja) 1983-10-27 1985-05-23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S6073465U (ja) 1983-10-27 1985-05-23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ラツク載置装置
JPH0647408Y2 (ja) * 1990-03-12 1994-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ラックレ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06B1 (ko) * 2012-10-23 2013-01-15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식판세척기
CN111904359A (zh) * 2020-07-16 2020-11-1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其密封门组件
CN111904359B (zh) * 2020-07-16 2021-11-19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其密封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771B1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6883B1 (en) Sump assembly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method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KR101890785B1 (ko) 싱크대형 세척기
EP1788921B1 (en) Dish washer
EP3025627B1 (en) Dishwasher drain assemblies having overmolded volutes
JP6598038B2 (ja) 洗濯機のダブルヘッド排水ポンプ
KR100975771B1 (ko) 식기세척기
EP1842477A1 (en) Dish washer
US10499788B2 (en) Dishwasher with pump hangar to reduce motor noise
KR19990062390A (ko) 식기세정건조기가 부착된 싱크대
KR101241871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US20200221919A1 (en) Dishwasher
US11382485B2 (en) Blade and pump impeller assembly for a dishwasher
US7021322B2 (en) Warewash machine with wrap-around hood and multi-position splash guard, and drip flange for warewash machine
NZ569965A (en) Appliance pump
JP3982528B2 (ja) 食器洗浄機
CN215838897U (zh) 一种清洗机
KR20150006261A (ko) 식기세척기
CN215383792U (zh) 一种清洗机
CN114680771A (zh) 一种清洗机
JP4652975B2 (ja) 食器洗浄機の設置構造
WO2020160694A1 (zh) 用于洗碗机器具的流体循环组件的悬置系统
US2013029190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pump in an appliance
US20200214532A1 (en) Dishwashing appliance and vibration-reducing mounting assembly
KR200150893Y1 (ko) 식기세척기의 수평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