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898A -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898A
KR20090113898A KR1020097019610A KR20097019610A KR20090113898A KR 20090113898 A KR20090113898 A KR 20090113898A KR 1020097019610 A KR1020097019610 A KR 1020097019610A KR 20097019610 A KR20097019610 A KR 20097019610A KR 20090113898 A KR20090113898 A KR 2009011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d
antennas
base station
measurem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11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2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ain and with auxiliary or diversity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97Direct sequence modulation interference
    • H04B2201/709709Methods of preventing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이동국이 베스트 셀의 측정을 수행할 때, 그 수신 다이버시티의 복수의 안테나의 고려 방법은 셀마다 변경된다. 기지국은, 수신 다이버시티의 복수의 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결정하고, 그것을 이동국에 알림정보, 혹은, 메저먼트 컨트롤 정보로서 이동국에 통지한다.
다이버시티, 이동국, 셀, 안테나, 알림정보, 메저먼트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USER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와 HSDPA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LTE가,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어,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downlink)에 대해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상향링크(uplink)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검토되어 있다.
OFDM은, 주파수대역(frequency band)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subcarrier))으로 분할하여,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방식(multicarrier scheme)이며,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상에, 일부 서로 겹치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 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싱글캐리어 방식(single carrier scheme)이다. SC-FDMA에서는,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므로,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넓은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에서는, 전송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개 이상의 안테나(antenna)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LTE에 있어서의 이동국에서는, 하향링크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2개의 안테나가 구비되고, 수신 다이버시티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동국은, 보다 일반적으로는 유저장치(UE:User Equipment)라 불리어도 좋다. 또한, 이동국이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 경우에는, 이동국의 코스트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W-CDMA에서는, 수신 다이버시티는 필수가 아니다.
이동국이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에, 이동국의 코스트나 사이즈가 커지지 않도록, 2개의 안테나 중의 1개를, 감도가 좋고, 성능이 좋은 것으로 하고, 다른 1개를, 비교적 감도가 나쁘고, 성능이 나쁜 것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편의상, 전자의 안테나를 메인안테나(main antenna), 후자를 서브안테나(sub-antenna)라고 부른다. 또, 이 경우에, 일반적으로, 상향링크의 송신에 있어서는, 전자의 감도가 좋고, 성능이 좋은 안테나를 송신용 안테나로 한다. 즉,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을 수행하고,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2개의 안테나 중, 성능이 좋은 1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그 통신 에어리어는 복수의 셀(cell)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국은 상기 셀의 1개 내지 2개 이상의 셀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LTE에서는, 하드 핸드오버(Hard Hand Over)가 적용되기 때문에, 이동국은, 하나의 셀과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중인 셀보다도 품질이 좋은 셀이 나타난 경우에는, 그보다 품질이 좋은 셀로 핸드오버한다.
예를 들면, LTE와 마찬가지로 하드 핸드오버에 의한 핸드오버가 적용되고 있던 HSDPA에 있어서는, 이동국은, 파일럿신호(pilot signal)의 수신전력(CPICH RSCP),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CPICH Ec/N0), 패스로스(path loss)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고, 통신중인 셀보다도 품질이 좋은 셀이 나타난 경우에, 베스트 셀을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이 보고는 메저먼트 리포트(MR:Measurement Report)라고 불린다. 네트워크는, 메저먼트 리포트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셀을 전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패스로스는,
Pathloss in dB=Primary CPICH Tx power-CPICH RSCP
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Primary CPICH Tx power는, 기지국장치(base station apparatus)에 있어서의 파일럿신호의 송신전력이며, CPICH RSCP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이다. 상기 식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패스로스는,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CPICH RSCP)과, 파일럿신호(CPICH)의 송신전력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상술한 베스트 셀 변경에 관한 보고는 이벤트 1D(Reporting event 1D)라 불린다. 또, 이동국이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 패스로스 중 어느것을 측정할지는, 네트워크가 이동국 에 대해서 지정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는, 알림채널(broadcast channel)에 있어서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이용하여, 또는, 메저먼트 제어 메시지(MEASUREMENT CONTROL message)를 이용하여, 이동국이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 패스로스 등의 다양한 메트릭(metric) 중 어느 것을 측정할지를 지정하고 있었다. 여기서, 네트워크란, WCDMA에 있어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의미한다.
또한, 네트워크가, 이동국이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 혹은,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 혹은, 패스로스 중 어느것을 측정할지를 지정하는 것은, 보다 유연한 셀 설계를 수행할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2개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어느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이동국에 대해서 패스로스를 지정하고, 또 한쪽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을 지정할 수 있다. 혹은, 하나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교외의 에어리어(area)에서는, 이동국에 대해서 패스로스를 지정하고, 도심부의 에어리어에서는, 이동국에 대해서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을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안테나를 갖고,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이동국이 상기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2개의 안테나를 고려하여,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CPICH RSCP),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CPICH Ec/N0)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이동국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전력(CPICH RSCP),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CPICH Ec/N0)의 산출방법으로서, 이하의 3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1] CPICH RSCP나 CPICH Ec/N0은, 어느 한쪽의 안테나를 메인 안테나로 정의하고, 그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으로 한다.
[2] CPICH RSCP나 CPICH Ec/N0은,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으로 한다.
[3] CPICH RSCP나 CPICH Ec/N0은,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으로 한다.
또한, 상기 3가지 방법 중, 3번째의,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으로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배경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WCDMA 혹은 HSDPA에 있어서는, 셀의 품질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 패스로스가 이용되고, 그리고, 어떤 지표(측정대상 또는 메트릭)를 이용할지는, 네트워크에 의해 지정되고 있었다. 수신 다이버시티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이나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 혹은,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 혹은,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 등은 측정방법에 따라 다른 값을 취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측정대상을 어떻게 측정할지(측정방법)는, 1안테나밖에 상정되어 있지 않는 종래방법에서는 상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HSDPA 등에서의 수법을 LTE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종래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차이, 혹은, 교외나 도심부와 같은 에어리어의 차이에 기초하여,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보고할지, 혹은,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보고할지, 혹은,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보고할지를 선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술한 배경기술에 있어서는, 패스로스는,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CPICH RSCP)과, 파일럿신호의 송신전력으로부터 산출되는 값이기 때문에,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이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으로서 보고된 경우에는, 패스로스의 값도,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에 기초한 값이 된다. 이 값은 하향링크의 패스로스의 영향을 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하향링크의 상황을 정확하게 알고자 하는 기지국에는 적합할지도 모른다. 한편, 상향링크에서는 1안테나에서 송신이 수행되므로, 그와 같은 합계값을 일률적으로 기지국에 보고하면, 상향링크의 패스로스를 알고자 하는 기지국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차세대의 이동통신시스템에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의향을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는 것도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를 배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과제는, 네트워크가,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이동국이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행할 때, 측정대상 및 측정방법을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저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의 관계를 지정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의 지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관계를 결정하는 수단, 결정된 관계를,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유저장치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측정하는 대상과 복수의 안테나의 관계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상기 관계에 기초하여,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를 수행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이동국이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행할 때, 측정대상 및 측정방법을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의 맵핑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측정대상 및 측정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측정대상 및 측정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50 셀
1001, 1002, 1003, 100n 이동국
102 송수신 안테나
104 앰프부
106 송수신부
108 베이스밴드 처리부
110 메저먼트부
112 호처리부
114 애플리케이션부
200 기지국장치
202 송수신 안테나
204 앰프부
206 송수신부
208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210 메저먼트 컨트롤부
212 호 처리부
214 전송로 인터페이스
300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400 코어 네트워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무선전파상황을 나타내는 메트릭(metric)이 복수 종류 마련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에 있어서의 유저장치(user apparatus)가 사용된다. 유저장치는, 복수의 안테나(antenna)와,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향링크(uplink)의 메트릭을 산출하는 제1 산출수단과, 신호의 수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하향링크(downlink)의 메트릭을 산출하는 제2 산출수단과, 기지국장치(base station apparatus)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상향링크 또는 상기 하향링크의 메트릭을 상기 기지국장치에 보고하는 보고수단을 갖는다.
기지국장치 또는 네트워크는 이동국에 지시신호를 송신하고, 그 지시신호는, 수신 다이버시티(receive diversity)를 적용하는 이동국이 메저먼트 리포트(measurement report)를 수행할 때,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보고할지, 혹은,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보고할지, 혹은,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보고할지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 유연한 셀 설계가 가능하게 되고, 보다 고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혹은, 수신 다이버시티의 2개의 안테나를 고려할 때, 파일럿신호의 수신전력의 측정과, 패스로스의 측정에 있어서, 그 2개의 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바꿈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메저먼트 컨트롤(Measurement Control) 및 메저먼트 리포트에 특히 관련되며, 기지국장치가 메저먼트의 방법을 지정하고, 지정된 측정을 이동국이 수행하고, 그 측정결과를 기지국장치에 보고하는 수순에 관련한다. 따라서 메저먼트 컨트롤 및 메저먼트 리포트에 관련된 부분이 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 기지국장치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며, 기지국장치(eNB:eNode B)(200)와, 기지국장치(200)와 통신중인 복수의 이동국(UE:User Equipment)(100n(1001, 1002, 1003, …100n, n은 n>0의 정수))을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upper station),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이동국(100n)은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이하, 이동국(100n(1001, 1002, 1003, …100n)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국(100n)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LTE용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하향링크에서는, LTE용의 하향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 공유 물리채널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와 트랜스포트 포맷(transport format)의 정보, 상향 공유 물리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와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상향 공유 물리채널의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ACK/NACK)) 등이 통지된다. 또한, 상기 송달확인정보는,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PHICH)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PHICH는, 상기 PDCCH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PDCCH와는 병렬의 관계에 있는, 다른 물리채널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또,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유저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 Downlink-Share Channel(DL-SCH)이다.
또,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파일럿신호(pilot signal)로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가 송신된다.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는, 이차원의 직교계열(Orthogonal Sequence)과, 이차원의 의사랜덤계열(Pseudo Random Sequence)로 구성되는, 이차원의 계열이다. Downlink Reference Signal의 물리 리소스에의 맵핑의 예를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는, 이차원의 직교계열과 이차원의 의사랜덤계열로 구성되었으나, 이차원의 의사랜덤계열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LTE용의 제어채널(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제어채널에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시간 다중되는 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의 2종류가 있다.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은,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라고 불린다. 상향링크에서는, LTE용의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채널의 스케줄링, 적응변복조·부호화(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HARQ ACK information)가 전송된다. 또,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유저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상향링크 공유채널 Uplink-Share Channel(UL-SCH)이다.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 안테나(202)와, 앰프부(204)와, 송수신부(2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와, 메저먼트 컨트롤부(210)와, 호 처리부(212)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14)를 구비한다.
하향링크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송신되는 유저데이터는, 기지국장치(200)의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4)를 통해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PDCP 레이어의 송신처리, 유저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 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처리, 스케줄링(scheduling),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또,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와 역 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또,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로부터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 호 처리부(212)로부터 셀 선택 또는 셀 변경(Cell Change)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나 셀 선택 또는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에 대해서, 유저데이터와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나 셀 선택 또는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는, RRC 메시지의 하나이며, 논리채널로서는,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로서 송신된다.
또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로부터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broadcast information)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에 대해서도, 채널 부호화와 역 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한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 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이동국(100n)으로부터 기지국장치(200)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2)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신호가 앰프부(204)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정정복호,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 PDCP 레이어의 수신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214)를 통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 전송된다.
또,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이동국(100n)으로부터의 RRC 메시지, 예를 들면, 메저먼트 리포트에 대해서도,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정정복호,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 등을 수행하고, 호 처리부(212)에 전송한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100n)으로부터의 RRC 메시지로서, 예를 들면, 셀 체인지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가 포함된다.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는, 셀(50)에 재권하는 이동국(100n)이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행할 때 이용하는 지표,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을 지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으로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대상(측정대상, 지표 또는 메트릭)으로서, 레퍼런스 신호의 수신전 력,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 패스로스의 3가지를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측정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한다,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한다의 3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1안테나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로 해도 좋다. 혹은, 상기 메인 1안테나는, 수신감도가 좋은 안테나로 해도 좋다. 혹은, 상기 메인 1안테나는, 상기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이 가장 좋은 1안테나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측정하는 대상에 관한 3가지와, 2안테나의 고려 방법에 관한 3가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결과로서, 기지국장치는, 9가지의,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패스로스가 선택된 경우,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의 각각에 대해서 패스로스는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하는 경우>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TxAnt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하는 경우>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RxAnt,Average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하는 경우>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RxAnt,Sum
여기서, RS Tx power는,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전 력을 의미하고, RSRPTxAnt는,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메인 1안테나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의미하고, RSRPRxAnt,Average는,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2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RSRPRxAnt,Sum는,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2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 신호의 수신전력의 합계값을 의미한다. 또, 상기 RS Tx power는, 예를 들면, 알림정보 등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시그널링된다.
또,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가 선택된 경우에는,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2종류의 측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에 관해서는,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한다고 하고,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관해서는, 도 4에 도시하는 선택지로부터 선택된다고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9가지 중에서, 해당 셀에 최적인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 즉,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유연한 셀 설계가 가능하게 되고, 보다 고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혹은, 예를 들면, 상기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으로서,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있어서의 2안테나의 고려 방법과,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에 있어서의 2안 테나의 고려 방법과, 패스로스에 있어서의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다르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관해서는,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한다고 하고,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에 관해서는,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한다고 하고, 패스로스에 관해서는,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고 해도 좋다. 여기서, 상기 메인 1안테나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로 해도 좋다. 패스로스는 다음 식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산된다: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TxAnt
여기서, RS Tx power는,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전력을 의미하고, RSRPTxAnt는,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메인 1안테나의 레퍼런스 신호의 수신전력을 의미한다. 또, 상기 RS Tx power는, 예를 들면, 알림정보 등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시그널링된다. RSRPTxAnt는, 메인 1안테나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의미하므로, 2안테나에서 측정한 합계값으로서 측정되는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는 다른 값이다. 이 경우,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이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의 비는, 양방의 안테나를 고려하므로,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을 측정하게 되고, 패스로스에 관해서는, 메인 안테나, 혹은,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를 고려하므로, 상향링크의 무선품질을 측정하게 된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하향 링크나 상향링크를 고려하여, 해당 셀에 최적인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유연한 셀 설계가 가능하게 되고, 보다 고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한,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의 조합은, 일 예이며, 도 4에 도시한 9가지의,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의 조합으로부터, 임의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스로스에 관해서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선택지 3),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한다(선택지 4)의 어느한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선택지 4를 선택한 경우, 패스로스는 다음 식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산된다: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RxAnt,Sum
여기서, RS Tx power는,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전력을 의미하고, RSRPRxAnt,Sum는,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2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의 합계값을 의미한다. 또, 상기 RS Tx power는, 예를 들면, 알림정보 등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시그널링된다.
선택지 3을 선택한 경우, 메인 1안테나, 혹은,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기초한 패스로스의 값이 되므로, 상향링크의 패스로스를 측정하는 것에 상당한다. 또, 선택지 4를 선택한 경우, 2개의 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의 합계값에 기초한 패스로스의 값이 되므로, 하향링크의 패스로스를 측정하는 것에 상당한다.
혹은,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관해서, 패턴(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선택지 1),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한다(선택지 2)의 어느한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선택지 1에 있어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하는 대신에, 송신에 이용하는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해도 좋다.
혹은,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관해서, 패턴(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평균값을 측정한다(선택지 1),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한다(선택지 2)의 어느한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선택지 1에 있어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의 산출을 수행할 때, 상기 2안테나의 감도를 고려하여 평균값의 산출이 수행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2안테나의 감도를 고려한 가중계수 W1, W2를 정의하고, 상기 W1, W2에 기초하여, 평균값이 산출되어도 좋다: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W1×(안테나1에서 측정한 값)+W2×(안테나2에서 측정한 값))/2
그리고,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는, 상술한, 셀(50)에 재권하는 이동국(100n)이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행할 때 이용하는 지표,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을, 이동국(100n)에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는, 상기 셀(50)에 재권하는 이 동국(100n)이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행할 때 이용하는 지표인,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을 포함한,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를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통지한다. 상기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 송수신부(206), 앰프부(204), 송수신 안테나(202)를 통해서, 이동국(100n)에 통지된다.
혹은,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는, 상기 셀(50)에 재권하는 이동국(100n)이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행할 때 이용하는 지표인,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을 포함한,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를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통지한다. 상기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알림채널의 일부로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 송수신부(206), 앰프부(204), 송수신 안테나(202)를 통해서, 이동국(100n)에 통지된다.
호 처리부(212)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 처리와, 무선기지국(200)의 상태 관리와,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또, 호 처리부(212)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이동국(100n)으로부터의 RRC 메시지, 예를 들면,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신한다. 호 처리부(212)는, 이동국(100n)으로부터, 현재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셀과 다른 셀이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이라고 하는 메저먼트 리포트를 수신한 경우에는, 서빙 셀을, 현재 통신중인 셀로부터, 상기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로 변경하는 셀 체인지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서빙 셀이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셀을 가리킨다. 또, 상기 무선품질이란, 상술한, 기지국장치(200)가 지정한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을 의미한다. 즉, 도 4 또는 도 5 중에서, 기지국장치(200) 내의 호 처리부(212)가 선택한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에 기초하여, 이동국(100n)이 측정을 수행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가 수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장치가, 수신 다이버시티에 있어서의 복수의 안테나를 고려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복수의 안테나의 고려 방법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100n)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이동국(100n)은, 안테나(1021)와, 안테나(1022)와, 앰프부(104)와, 송수신부(1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와, 메저먼트부(110)와, 호처리부(112)와, 애플리케이션부(1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동국(100n)은,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고, 2개의 안테나, 안테나(1021)와 안테나(1022)를 갖기로 한다. 또, 상기 2개의 안테나 중, 안테나(1021)는 메인 안테나로서 정의되고,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메인 안테나, 혹은,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되는 안테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으로 해도 좋으며, 가변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메인 안테나, 혹은,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되는 안테나를 가변으로 하는 경우,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안테나, 혹은,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되는 안테나가 결정되어도 좋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안테나(1021, 1022)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신호가 앰프부(104)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6)에서 주파수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 FFT 처리와, 오류정정복호,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114)로 전송된다. 또, 상기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RRC 메시지는, 메저먼트부(110)와 호처리부(112)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통지되는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는 메저먼트부(110)로 전송되고, 기지국장치(200)로부터 통지되는 셀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는 호처리부(112)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는, 메저먼트부(11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도 메저먼트부(110)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114)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 입력된다. 또, 메저먼트부(110)로부터, 메저먼트 리포트의 메시지가 입력되고, 또, 호 처리부(112)로부터, 셀 체인지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가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메저먼트 리포트의 메시지나 셀 체인지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는, RRC 메시지의 하나이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는, 상술한 유저데이터나 RRC 메시지에 대 해서, 재송제어(H-ARQ(Hybrid ARQ))의 송신처리와, 채널 부호화, DFT 처리, IFFT 처리 등이 수행되어 송수신부(106)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부(104)에서 증폭되어 안테나(1021)로부터 송신된다.
메저먼트부(110)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부터,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와,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와,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저먼트부(110)는,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 또는,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에 기초하여, 메저먼트를 수행한다. 상기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 또는,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에는,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이 포함된다. 즉, 메저먼트부(110)는, 기지국장치(200) 내의 메저먼트 컨트롤부(210)가 지정하는,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에 기초하여, 메저먼트를 수행한다. 상기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지정하는 방법으로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지정 방법(선택지1, 선택지 2, ...)이 있다.
예를 들면, 메저먼트부(110)는,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이 지정되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합계의 값을 측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는, 안테나(1021)에서 수신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안테나(1022)에서 수신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의 합계값을 측정한다.
또 예를 들면, 메저먼트부(110)는,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이 지정되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 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는, 메인 안테나이고,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1021)에서 수신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측정한다.
또 예를 들면, 메저먼트부(110)는,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패스로스가 지정되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는, 메인 안테나이고,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1021)에서 수신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기초한 패스로스를 측정한다. 즉, 패스로스는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된다: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TxAnt
여기서, RS Tx power는,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전력을 의미하고, RSRPTxAnt는, 메인 1안테나이고,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 즉, 안테나(1021)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RS Tx power는, 예를 들면, 알림정보 등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시그널링된다.
또 예를 들면, 메저먼트부(110)는,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패스로스가 지정되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합계값을 측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는, 2안테나, 즉, 안테나(1021)에서 수신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안테나(1022)에서 수신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의 합계값에 기초한 패스로스를 측정한다. 즉, 패스로스는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된다: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RxAnt,Sum
여기서, RS Tx power는,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전 력을 의미하고, RSRPRxAnt,Sum는, 안테나(1021)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안테나(1022)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의 합계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RS Tx power는, 예를 들면, 알림정보 등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시그널링된다.
또한, 측정하는 대상이 패스로스이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이,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인 경우에는, 메인 1안테나, 혹은,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에 기초한 패스로스의 값이 되므로, 상향링크의 패스로스를 측정하는 것에 상당한다. 또, 측정하는 대상이 패스로스이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이,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한다인 경우에는, 2개의 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의 합계값에 기초한 패스로스의 값이 되므로, 하향링크의 패스로스를 측정하는 것에 상당한다.
메저먼트부(110)는, 상술한 메저먼트의 하나로서, 어느 셀이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지를 측정하는 베스트 셀의 측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품질이란, 상기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 또는, 메저먼트에 관한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을 의미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지정된다. 즉, 도 4 또는 도 5 중에서, 기지국장치(200) 내의 호 처리부(212)가 선택한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 즉,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에 기초하여, 이동국(100n)은 베스트 셀의 측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저먼트부(110)는, 현재의 베스트 셀보다도 무선품질이 좋은 셀이 나타난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베스트 셀보다도 무선품질이 좋은 셀을 보고하는 메저먼트 리포트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 통지한다. 여기서, 상기 현재의 베스트 셀보다도 무선품질이 좋은 셀이 나타났다고 판정할 때, 무선품질에 관한 히스테리시스나 시간적인 히스테리시스(Time To Trigger)가 고려되어도 좋다. 또, 상기 베스트 셀이란, 이동국(100n)의 내부에서 보유하는,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을 나타내는 변수를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이동국이 2개의 안테나를 갖고, 그 중의 하나가 송신 안테나로서 이용되고, 2개가 수신 안테나로서 이용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동국이 3개의 안테나를 갖고, 그 중의 하나가 송신 안테나로서 이용되고, 나머지 2개가 수신 안테나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한다, 또는,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는, 수신에 이용하는 2개의 안테나에 관해서 측정을 수행하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는, 송신에 이용하는 하나의 안테나에 관해서 측정을 수행한다.
혹은,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이동국이 2개의 안테나를 갖고, 그 중의 하나가 송신 안테나로서 이용되고, 2개가 수신 안테나로서 이용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동국이 2개의 안테나를 갖고, 그 중의 2개 모두 송신 안테나로서 이용되고, 그리고, 수신 안테나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한다, 또는,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 값을 측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에 관해서 측정을 수행하고,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도, 상기 2개의 안테나에 관해서 측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한다가 지정된 경우에, 2개의 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해도 좋다.
호 처리부(112)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 처리와, 이동국(100n)의 상태관리를 수행한다. 또, 호 처리부(112)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부터, 기지국장치(200)로부터 통지되는 셀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호 처리부(112)는, 상기 셀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의 처리를 수행한다. 또, 상기 셀 체인지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생성하고,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 통지한다. 즉,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호 처리부(212)와,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호 처리부(112)는, 셀 체인지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부(114)는, 물리 레이어와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0)가, 수신 다이버시티에 있어서의 복수의 안테나를 고려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복수의 안테나의 고려 방법에 기초하여, 이동국(100n)이 베스트 셀의 측정을 수행하고, 그 베스트 셀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702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 내의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는, 도 4에 도시하는 측정하는 대상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 패스로스 증의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 S704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 내의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는, 도 4에 도시하는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2안테나의 고려 방법으로서,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 중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 S706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나타내는 메저먼트 Quantity를 포함하는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를, 이동국(100n)에 통지한다.
단계 S708에 있어서, 이동국(100n) 내의 메저먼트부(110)는, 상기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나타내는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에 기초하여, 베스트 셀에 관한 측정을 수행한다.
단계 S710에 있어서, 단계 S708에서 이동국(100n)에 의해 수행되는 베스트 셀에 관한 측정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가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00n)은, 베스트 셀에 관한 메저먼트 리포트를 기지국장치(200)에 통지하고, 기 지국장치(200)는, 상기 베스트 셀이, 해당 타이밍에 있어서의 서빙 셀과 다른 경우에는, 상기 베스트 셀을 서빙 셀로 변경한다고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장치(200)와 이동국(100n)과의 사이에서, 셀 체인지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셀 체인지의 처리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802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 내의 메저먼트 컨트롤부(210)는, 도 5(a)에 도시하는 선택지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의 조합으로서, 선택지 1, 선택지 2, 선택지 3을 선택한다.
단계 S804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선택지를 선택함으로써 결정되는,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나타내는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를 포함하는 메저먼트 컨트롤의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를, 이동국(100n)에 통지한다.
단계 S806에 있어서, 이동국(100n)은, 상기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나타내는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에 기초하여, 베스트 셀에 관한 측정을 수행한다.
단계 S808에 있어서, 단계 S806에서 이동국(100n)에 의해 수행되는 베스트 셀에 관한 측정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가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국(100n)은, 베스트 셀에 관한 메저먼트 리포트를 기지국장치(200)에 통지하고,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베스트 셀이, 해당 타이밍에 있어서의 서빙 셀과 다른 경우에는, 상기 베스트 셀을 서빙 셀로 변경한다고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장치(200)와 이동국(100n)과의 사이에서, 셀 체인지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셀 체인지의 처리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 패스로스와 같은 이동국이 측정하는 대상에 더하여,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과,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 메인 1안테나에서 측정한 값과 같은 2안테나의 고려 방법을, 기지국장치가 선택하고, 이동국에 지정함으로써, 셀마다 또는 오퍼레이터마다 유연한 셀 설계가 가능하게 되고, 결과로서, 고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국,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주로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었으나, 3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 패스로스의 3종류를 나타내었으나, 상기 이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외로서, 레퍼런스신호의 SIR(Signal-to-Interference Ratio)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가 지정한, 측정하는 대상과 2안테나의 고려 방법에 기초하여, 이동국이 베스트 셀의 측정을 수행하고, 그 베스트 셀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그 밖의 측정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스트 셀의 측정 대신에, 이주파의 무선품질의 측정이나, 다른 시스템의 무선품질의 측정에 적용되어도 좋다. 혹은, 인접하는 셀을 감시하기 위한 측정에 적용되어도 좋다. 인접하는 셀을 감시하기 위한 측정은, 예를 들면,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고려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송신전력제어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혹은,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패스로스의 측정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Evolved UTRA and UTRNA(다른 이름: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를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은,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시스템에 있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3GPP에 있어서의 WCDMA나 HSDPA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 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2월 28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05083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11)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장치와 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의 관계를 지정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상기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의 지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대상은,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 및 패스로스 중의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고,
    측정의 대상과 복수의 안테나와의 상기 관계는,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하는 것,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하는 것,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하는 것 중의 하나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대상이 패스로스이고, 그리고,
    측정하는 대상 및 복수의 안테나의 상기 관계가,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하는 것인 경우로,
    상기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RS Tx power라고 하고,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RSRPTxAnt라고 한 경우에,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TxAnt
    에 의해 패스로스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대상이,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인 경우에는, 측정하는 대상 및 복수의 안테나의 상기 관계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하는 것이 지정되고,
    상기 측정하는 대상이 패스로스인 경우에는, 측정하는 대상 및 복수의 안테나의 상기 관계로서,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하는 것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RS Tx power라고 하고,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RSRPTxAnt라고 한 경우에,
    Pathloss in dB=RS Tx power-RSRPTxAnt
    에 의해 패스로스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을 측정하고,
    상기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을, 상기 기지국장치에 보고하는 보고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 메시지(RRC 메시지) 또는 알림채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유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관계를 결정하는 수단; 및
    결정된 관계를, 상기 유저장치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대상은,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잡음전력을 포함시킨 전 수신전력과의 비 및 패스로스 중의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고,
    측정의 대상과 복수의 안테나의 관계는,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하는 것,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하는 것,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하는 것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대상이,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인 경우에는, 측정하는 대상 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상기 관계로서, 2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의 합계값을 측정하는 것을 지정하고,
    상기 측정하는 대상이 패스로스인 경우에는,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상기 관계로서, 상향링크의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에서 측정한 값을 측정하는 것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1.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유저장치와, 상기 유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가,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관계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측정하는 대상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상기 관계에 기초하여,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무선품질이 좋은 셀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셀 체인지를 수행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KR1020097019610A 2007-02-28 2008-02-21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090113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0836 2007-02-28
JPJP-P-2007-050836 2007-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898A true KR20090113898A (ko) 2009-11-02

Family

ID=3972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610A KR20090113898A (ko) 2007-02-28 2008-02-21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43074B2 (ko)
EP (1) EP2120466A4 (ko)
JP (1) JP5069283B2 (ko)
KR (1) KR20090113898A (ko)
CN (1) CN101663836B (ko)
WO (1) WO20081053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79B1 (ko) * 2013-04-23 2015-01-2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Cran 구조의 기지국 장치의 휴대용 du 에뮬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6066A1 (en) * 2009-03-31 2012-02-23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765738A1 (en) * 2009-06-19 2010-12-23 Cohda Wireless Pty Ltd Characteris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link
WO2011013410A1 (ja) * 2009-07-29 2011-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中継局、および制御方法
CN102104487B (zh) * 2009-12-21 2014-12-17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及其设备
WO2012008705A2 (en) * 2010-07-16 2012-01-19 Lg Electronics Inc.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and uplink mimo
CN102036295B (zh) * 2010-12-02 2014-04-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确定上下行配置的方法、系统和设备
CN102158264A (zh) * 2011-03-09 2011-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信号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9215650B2 (en) * 2011-10-19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92550B2 (en) * 2011-11-12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wing terminal to determine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006436B2 (ja) * 2013-01-24 2016-10-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間直接通信のためのディスカバリ信号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9226175B2 (en) * 2013-03-14 2015-12-29 Apple Inc. Adaptive use of receiver diversity
JP6289812B2 (ja) * 2013-03-25 2018-03-0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7231680B (zh) * 2016-03-23 2021-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开环功率控制的方法和装置
JPWO2018230138A1 (ja) * 2017-06-15 2020-04-1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及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303B (fi) 1995-05-16 2003-11-14 Nokia Corp Usealla taajuuskaistalla toimiva matkapuhelinjärjestelmä
ATE320683T1 (de) * 1997-08-01 2006-04-15 Iwics Inc Leistungsanpassung in einem mehrstationsnetzwerk
US6597723B1 (en) * 2000-03-21 2003-07-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eighted open loop power control in a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KR100392643B1 (ko) * 2000-12-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프 결정지원 방법
US20020193146A1 (en) * 2001-06-06 2002-12-19 Mark Wallace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3124856A (ja) * 2001-10-10 2003-04-2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アダプティブアレイアンテナ指向性制御システム
JP4364788B2 (ja) * 2002-04-30 2009-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局におけるセクタ選択方法
US6765952B2 (en) * 2002-05-06 2004-07-2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pilot processing
CN1266856C (zh) * 2002-08-09 2006-07-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基于时分双工的信号发射和接收方法
FR2844119B1 (fr) * 2002-08-27 2005-02-18 Nortel Networks Ltd Procede d'emission de signaux radio en diversite de polarisation, station et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2004208001A (ja) * 2002-12-25 2004-07-22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839323B (zh) * 2003-08-04 2012-03-21 洛克达公司 使用空间移位键控(ssk)调制特征图来确定姿态的系统和方法
ATE360969T1 (de) * 2003-09-16 2007-05-15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zum ausführen von strahlungstests von drahtlosen geräten
WO2005060123A1 (en) * 2003-12-19 2005-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in a mimo based communication system
EP1739852A4 (en) * 2004-04-14 2012-01-04 Utstarcom Telecom Co Ltd METHOD FOR SEVERAL INPUTS AND MULTIPLE OUTPUTS (MIMO) BASED ON A DISTRIBUTED TRANSMISSION SOURCE IN A CENTRALIZED BASE STATION SYSTEM
JPWO2005115034A1 (ja) 2004-05-21 2008-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第3世代移動体通信・無線lan統合システム及び第3世代移動体通信・無線lan統合方法
CN1635819A (zh) * 2005-01-06 2005-07-06 东南大学 移动通信系统的物理层快速切换方法
JP4624186B2 (ja) * 2005-06-14 2011-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ダイバーシチ装置及びダイバーシチ方法
JP2007028436A (ja) * 2005-07-20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品質推定方法
JP4993553B2 (ja) 2005-08-19 2012-08-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外機
JP4768368B2 (ja) * 2005-09-09 2011-09-0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機および受信機
US7917176B2 (en) * 2006-02-14 2011-03-29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Structured codebook and successive beamforming for multiple-antenna systems
US20070244657A1 (en) * 2006-04-11 2007-10-18 Drago Randall A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having multiple antennas
US8442572B2 (en) * 2006-09-08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ments for delta-base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37792B2 (en) * 2007-02-14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for L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79B1 (ko) * 2013-04-23 2015-01-2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Cran 구조의 기지국 장치의 휴대용 du 에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3074B2 (en) 2014-09-23
CN101663836B (zh) 2013-04-17
EP2120466A4 (en) 2014-03-26
JPWO2008105311A1 (ja) 2010-06-03
EP2120466A1 (en) 2009-11-18
JP5069283B2 (ja) 2012-11-07
WO2008105311A1 (ja) 2008-09-04
US20100120370A1 (en) 2010-05-13
CN101663836A (zh)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28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6518825B2 (j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956585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上行链路通信的终端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终端
US8964587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data obtaining method
JP6472463B2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50358920A1 (en) Handling uplink transmit power reporting
CN109997389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US20120257588A1 (en)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20120243450A1 (en) Base station device and user equipment
KR20090110346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US20120243429A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EP2984766A1 (en) Methods, mobile devices and nodes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124410B2 (en) Multicarrie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546893B (zh) 下一代通信系统中测量干扰的方法及其装置
US8983485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scheduling method
WO2016190804A1 (en) Channel information reporting
US9288811B2 (en)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