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893A - 서브캐리어 간격 식별 - Google Patents

서브캐리어 간격 식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893A
KR20090113893A KR20097019524A KR20097019524A KR20090113893A KR 20090113893 A KR20090113893 A KR 20090113893A KR 20097019524 A KR20097019524 A KR 20097019524A KR 20097019524 A KR20097019524 A KR 20097019524A KR 20090113893 A KR20090113893 A KR 2009011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subcarrier interval
type
subcarrier
current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292B1 (ko
Inventor
벵트 린드오프
로버트 발데메이어
스테판 파크발
에릭 다흘만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9011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2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th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자신의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OFDM을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어느 것이 현재 사용중인지는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표시된다. 발생된 것이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 및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 중 어느 것이든지 간에 송신된다. 제 1 및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동기화 신호, 서브캐리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서브캐리어 간격 식별{SUBCARRIER SPACING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가 다수의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및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와 같은 이동 셀룰러 표준의 다가오는 에볼루션(evolution)에서, OFDM과 같은 새로운 송신 기술이 발생할 것 같다. 더욱이,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기존의 무선 스펙트럼에서의 새로운 고성능 고 데이터 레이트 시스템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새로운 시스템은 동적으로 변화 가능한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유연한 셀룰러 시스템에 대한 제안이 3G WCDMA 표준의 에볼루션으로서 간주될 수 있는 3G 롱 텀 에볼루션(3G Long Term Evolution: 3G LTE, 여기서 "3G"는 "제 3 세대"를 나타낸다)이다. OFDM은 다수의 사용자가 다운링크에서 무선 스펙트럼으로의 액세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OFDM 다중 액세스("OFDMA")라 칭하는 기술에서 이 시스템에서 사용될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1.25MHz로부터 20MHz까지의 범위의 대역폭 상에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최대 대역폭 상에서 100Mb/s까지의 데이터 레이트가 지원될 것이다.
LTE의 또 다른 중요한 양상은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이다. LTE에서, 기지국이 동기화되는 소위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동작이 예견된다. 여기서, MBMS 콘텐트가 동일한 물리적인 자원을 사용하여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다. 이러한 다수의 송신으로부터의 신호는 자동적으로 "무선으로 결합되어", 이 목적을 위하여 추가적인 수신기 자원이 필요하지 않다. 이 "무선 결합(over the air combining)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모든 관여하는 기지국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의 길이의 프랙션(fraction)의 정도까지 아래로 주파수 도메인 및 시간-도메인 둘 모두에서 동기화되어야 한다. 시간 동기화 요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긴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유용하다. 그러나, OFDM 심볼 지속기간을 증가시킴이 없이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증가시키는 것은 오버헤드를 증가시키므로, 매력적이지 않다.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은 더 작은 서브캐리어 간격(및 대응하는 대역폭)을 사용하여, OFDM 심볼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OFDM 심볼 지속기간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을 반감시키는 것은 2배 길이의 OFDM 심볼을 발생시킴으로써, 2배 길이의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 방식으로, 오버헤드의 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일 지원하는 것 이외에, LTE는 또한 SFN 동작을 위해 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사용을 지원한다.
3G LTE 시스템의 물리적인 계층은 10ms의 지속기간을 갖는 일반적인 무선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1은 하나의 이와 같은 프레임(100)을 도시한다. 각각의 프레 임은 0.5ms의 지속기간을 각각 갖는 (0 내지 19로 넘버링된) 20개의 슬롯을 갖는다. 서브-프레임은 2개의 인접한 슬롯으로 이루어지므로, 1ms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LTE의 하나의 중요한 양상은 이동성 기능이다. 그러므로, 동기화 심볼 및 셀 탐색 절차는 사용자 장비(UE)가 다른 셀을 검출하고 다른 셀과 동기화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셀 탐색 및 동기화 절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규정된 신호는 제 1 동기화 채널(P-SCH) 및 제 2 동기화 채널(S-SCH) 상에서 각각 송신되는 제 1 및 제 2 동기화 신호(각각, P-SyS 및 S-SyS)를 포함한다. P-SyS 및 S-SyS는 각각 프레임 당 2 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에서 한 번, 그리고 서브-프레임 5에서 다시 한 번 브로드캐스팅된다.
UE는 후속 절차가 2개의 경우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7.5kHz/서브캐리어 셀에 접속하고 있는지 또는 15kHz/서브캐리어 셀에 접속하고 있는지를 가능한 한 빨리 검출해야 한다. 하나의 가능성은 물론, 서브캐리어 간격 크기 중 하나와 각각 특정하게 관련되는 2개의 완전히 상이한 동기화 심볼 디자인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UE는 구현되는 동기화 신호 디자인 둘 모두를 갖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이 경우에, UE는 동기화 신호 둘 모두에 대한 검색 알고리즘을 병렬로 실행해야 하거나(따라서, 복잡성을 증가시킴),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해야 할 것이다(따라서, 셀 탐색 시간을 증가시킴).
그러므로, 2개의 상이한 동기화 신호 디자인을 가져야만 함이 없이 서브캐리어 간격이 무엇인지를 UE가 검출할 수 있도록 할 기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가 진술된 특징,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지정하기 위하여 취해지지만; 이러한 용어의 사용이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이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15kHz)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7.5kHz)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서 성취된다. 이것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생된 것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 중 어느 것인지 간에 송신된다.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복수의 인스턴스(instance)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사용하며;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한 세트의 동기화 심볼(Sk)(0≤k≤N-1)을 인접한 세트의 N개의 서브캐리어 상으로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서브캐리어 각각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트의 동기화 심볼(Sk)을 한 세트의 nㆍN개의 서브캐리어(n>1) 상으로 맵핑하여 nㆍN개의 서브캐리어의 n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가 N개의 동기화 심볼 중 하나를 지니고 nㆍN개의 서브캐리어 중 나머지 서브캐리어가 제로 값을 지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ㆍN개의 서브캐리어 각각은 제 2 서브 캐리어 간격을 갖는다.
또 다른 양상에서,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2개의 인스턴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양상에서, 장치 및 방법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15kHz)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7.5kHz)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한다. 이것은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이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가 검출된다.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사용된다.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에 대하여 수신된 신호를 상관시킴으로써 상관 결과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관 결과가 소정의 량만큼 시간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피크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수신된 신호를 상기 수신된 신호의 지연된 카피(copy)와 상관시킴으로써 상관 결과를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지연된 카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용된 지연의 량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기간에 대응하는, 상관 결과 발생 단계; 및 상기 상과 결과가 별개의 피크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발생된 것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 중 어느 것인지 간에 송신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기본적인 파형의 제 1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기본적인 파형의 제 2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복수는 상기 제 2 복수와 동일하지 않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이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 및 기본적이 파형의 얼마나 많은 인스턴스가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기본적인 파형의 제 1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사용된다.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기본적인 파형의 제 2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사용되며, 상기 제 1 복수는 상기 제 2 복수와 동일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이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된 일반적인 무선 프레임의 타이밍도.
도 2A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2개의 가능한 크기 중 더 큰 크기일 때 사용되는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2개의 가능한 크기 중 더 작은 크기일 때 사용되는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N개의 변조 심볼(Sk) 모두가 인접한 서브캐리어로 맵핑되는 P-SySMODE1 신호의 맵핑을 도시한 시간-주파수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동일한 N개의 변조 심볼(Sk)이 2N개의 서브캐리어의 그룹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맵핑되고 나머지 서브캐리어가 제로로 설정되는 P-SySMODE2 신호의 예시적인 맵핑을 도시한 시간-주파수 도면.
도 4A는 수신된 신호가 P-SySMODE1을 포함할 때 예시적인 상간 결과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수신된 신호가 P-SySMODE2를 포함할 때 예시적인 상관 결과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P-SyS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기 내의 관련 구성요소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검출할 수 있는 UE 내의 예시적인 동기화 채널 수신기의 관련 구성요소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검출하는 UE 내의 회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단계의 흐름도.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이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문자가 병기되어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은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많은 양상이 프 로그래밍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하드웨어의 요소에 의해 수행될 동작의 시퀀스에 의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각각에서, 다양한 동작이 특수화된 회로(예를 들어, 특수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호접속된 이산 논리 게이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프로세스가 본원에 설명된 기술을 실행하도록 하는 적절한 세트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고체-상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와 같은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캐리어 내에서 전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모든 이와 같은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 각각에 대하여, 실시예의 임의의 이와 같은 형태는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논리" 또는 대안적으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는 논리"라고 본원에서 칭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양상에서, 제 1 SyS(P-SyS)가 제공되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서브캐리어 간격이 2개의 가능한 간격 중 더 큰 간격일 때(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당 15kHz), 본원에서 P-SySMODE1로 표기되는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가 사용되고 서브캐리어 간격이 2개의 가능한 간격 중 더 작은 간격일 때(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당 7.5kHz), 본원에서 P-SySMODE2로 표기되는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가 사용되고,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함수로서 형성된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는 바로 연속적인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2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양상에서, 사용중에, 검출된 동기화 신호가 바로 연속적인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 중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에, 검출된 셀은 2개의 간격 중 더 작은 간격과 관련된 서브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7.5kHz)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는 반면, 반복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검출된 셀은 2개의 간격 중 더 큰 간격과 관련된 서브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15kHz)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양상 및 다른 양상이 다음의 논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은 LTE 시스템의 콘텍스트에서 설정된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양상을 독자가 이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LTE 용어,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또는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이 LTE 실시예로만 제한된다는 것은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양한 양상은 LTE 시스템과 관련 특성을 공유하는 많은 다른 시스템(예를 들어, 신호 타이밍과 같은 것의 초기 결정을 행하기 위하여 동기화 신호에 의지하는 것)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다른 방식에서는 상이하다.
LET에서의 P-SyS는 시퀀스(Sk)(k=0,1,...,N-1)를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서브캐리어 상으로 맵핑함으로써 구성된다. 역 고속 퓨리에 변환(IFFT) 프로세싱 이후 에, 이것은 시간 도메인 신호:
Figure 112009057475135-PCT00001
를 발생시키며, 여기서, n은 샘플 수이고, N은 서브캐리어의 수이다.
Sk 값 중 일부는 실제로 시간 도메인 신호(s(n))를 이의 대역폭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제로로 설정될 수 있다. 제로의 포함은 또한 DC 왜곡을 피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신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각각 갖는 2개의 동작 모드: SFN(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송신)을 포함하지 않는 제 1 모드 및 SFN을 포함하는 제 2 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서, 제 2 유형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한 P-SyS(P-SySMODE2)는 시간 도메인에서, 자신이 제 1 동작 모드에서 사용된 P-SyS(예를 들어, 비-SFN 사용)(P-SySMODE1)의 복제 더하기 그 신호의 하나 이상의 즉각적인 사본이도록 생성된다. 도 2A 및 2B는 이 포인트를 도시한 시간 도메인 신호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A 및 2B 각각은 시간의 함수로서 플로팅되는 송신된 신호의 진폭의 그래프이다. 다양한 도시된 신호의 형상은 단지 신호의 존재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며, 실제 파형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2A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본원에서 P-SySMODE1로서 도시된) 2개의 가능한 크기 중 더 큰 크기일 때 사용되는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201)를 도시한다.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201)의 지속기간은 본원에서 tMODE로 표기된다.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201)는 식 (1)에 따라 발생되고, 심볼(Sk)은 N개의 인접한 서브캐리어 상으로 맵핑된다. LTE와 같은 실시예에서, 서브캐리어 중 하나는 DC이고, 이 때문에, 펑처링(puncturing)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SDC가 제로로 설정되어야 한다.
도 2B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본원에서 P-SySMODE2로서 도시된) 2개의 가능한 크기 중 더 작은 크기일 때 사용되는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203)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203)는 tMODE2의 총 지속기간 동안의 2개(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인접한 시간 기간 동안 바로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2개의(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구성요소(이 예에서, 제 1 구성요소(203a) 및 제 2 구성요소(203b)로 표기됨)를 포함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203)의 제 1 및 제 2 구성요소(203a, 203b) 각각의 파형은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201)의 파형과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구성요소(203a, 203b) 각각은 tMODE1와 동일한 지속기간을 가지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201)의 인스턴스라고 간주될 수 있다.
이 특성을 갖는 P-SySMODE2는 P-SySMODE1(2개의 가능한 크기 중 더 큰 P-SyS)와 관련된 시퀀스(Sk)를 사용하고 이를 nㆍN개의 서브캐리어(여기서 n>1) 중 n-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로 맵핑함으로써 용이하게 구성된다. 그 후, P-SyS에 대해 할당된 대역폭 내의 나머지 서브캐리어가 제로로 파퓰레이팅(populating)된다. (P-SyS 대 역폭 외부의 서브캐리어가 또한 제로로 취급되어야 하지만, 이는 수신기 측 상의 필터링에 의해 성취될 수 있어서, 제로에 의한 파퓰레이션은 본질적으로 실제적이지 않다.) P-SySMODE2의 결과적인 시간 도메인 파형은 P-SySMODE1 파형의 n개의 인접한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파형을 가질 것이다. SFN 동작에 대한 간격이 원래 서브캐리어 간격의 1/2인 경우에 대하여, 원래 P-SyS 시퀀스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제 2 서브캐리어(즉, n=2)로 맵핑되어, 시간 도메인에서 P-SySMODE1 파형의 2개의 연속적인(그리고 인접한) 인스턴스를 발생시킨다. 이것이 도 3A 및 3B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3A는 P-SySMODE1 신호의 맵핑을 도시한 시간-주파수 도면이고(N개의 변조 심볼(Sk) 모두가 인접한 서브캐리어로 맵핑된다), 도 3B는 P-SySMODE2 신호의 예시적인 맵핑을 도시한 시간-주파수 도면이다(동일한 N개의 변조 심볼(Sk)이 이 경우에 2N개의 서브캐리어의 그룹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맵핑되고, 나머지 서브캐리어는 제로로 설정된다).
더 일반적으로, 맵핑은 새로운 (더 작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나누어진 "원래" 서브캐리어 간격의 비에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이 "원래" 서브캐리어 간격의 크기의 단지 1/3인 경우에, N개의 변환 심볼(Sk)이 3N개의 서브캐리어의 그룹의 세번째 서브캐리어마다 매핑될 것이며, 나머지 서브캐리어는 제로로 설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2N개의 서브캐리어의 그룹의 하나 건너 하나의 서브캐리어 로의 맵핑에 의하여, P-SySMODE2를 변환하는데 필요한 IFFT의 크기가 2배로 커져서(즉, N 대신 2N), 발생된 시간-도메인 샘플의 수가 또한 2배로 커진다: 2N. P-SySMODE2를 나타내는 시퀀스가 다음:
Figure 112009057475135-PCT00002
에 의해 제공된다고 가정하자(여기서 Sk/2는 P-SySMODE1에 대한 시퀀스이다). 그 후, IFFT 프로세싱 이후에 예시적인 P-SySMODE2로부터 획득된 시간 도메인 신호는 다음:
Figure 112009057475135-PCT00003
이다.
이제, k→2k'로 치환하고 k'가 0으로부터 N-1로 진행시키면(그 후, k는 0으로부터 짝수 값만을 파퓰레이팅하는 2N-1로 진행한다), 다음:
Figure 112009057475135-PCT00004
을 획득한다.
Figure 112009057475135-PCT00005
(
Figure 112009057475135-PCT00006
가 Sk이기 때문에, 식 (2) 참조)에 의하여, 다음:
Figure 112009057475135-PCT00007
을 획득하며, 이것은 바로 연속해서 발생된 원래 신호(즉, P-SySMODE1)의 정확히 2개의 인스턴스이다.
이 P-SyS 구조에 의하여, P-SyS 파형의 다수의 인스턴스의 존재 또는 부재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표시한다: 단지 하나의 인스턴스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라는 것을 의미하고 2개의(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그 이상의) 인스턴스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7.5kHz라는 것을 의미한다. 7.5kHz 경우에 대한 P-SyS 파형이 15kHz 경우에 대한 P-SyS 파형과 동일하지만 다수 번(바람직하게는, 2 번) 송신되기 때문에, UE 내의 동일한 동기화 회로가 서브캐리어 간격 둘 모두에 대한 P-SyS를 검출할 수 있다: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경우에, 동기화 메트릭은 하나의 피크를 가지며, 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경우에, 동기화 메트릭은 다수의 피크를 갖는다.
실제로, 동기화 메트릭 피크는 전형적으로 무선 채널 지연 확산으로 인하여 다수의 크러스터링된 피크(clustered peak)로 이루어진다(즉, 클러스터링된 피크는 전체 전력 지연 프로파일("PDP")에 대응한다). 그러나, 전형적인 LTE 시스템에서, 지연 확산은 몇 마이크로초 정도(예를 들어, 최악의 경우에 약 15-20 마이크로초까 지)여서, P-SySMODE1 파형이 검출될 수 있다. P-SySMODE1을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가 공지된 P-SySMODE1에 대해 상관될 때 획득되는 예시적인 상관 결과 파형(401)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P-SySMODE2를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가 공지된 P-SySMODE1에 대해 상관될 때 발생하는 다수의 피크(즉, 7.5kHz 서브캐리어 간격 경우에 획득되는 상관 결과)는 (15kHz 서브캐리어 간격 경우에서 하나의 OFDM 심볼에 대응하는) 65-70 마이크로초 정도인 시간 거리만큼 분리된다. 7.5kHz 서브캐리어 경우에 대해 획득된 상관 결과(403)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7.5kHz 서브캐리어 간격과 관련된 다수의 피크 사이의 상대적으로 큰 분리 때문에, 상기 피크는 전형적인 지연 확산과 관련된 다수의 피크로부터 용이하게 구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P-SyS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기 내의 관련 구성요소(500)의 블록도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n=2(즉, 더 작은(예를 들어, 7.5kHz를 표시하기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이라고 가정되고, 동기화 신호 시퀀스 요소는 하나 건너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맵핑되고, 이들 사이에 제로가 맵핑된다. 동기화 신호 발생기(501)는 시퀀스(Sk)를 발생시키고, 이들을 스위치의 입력으로 공급한다. 스위치(503)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2개의 가능한 값 중 더 작은 값(예를 들어, 7.5kHz)인지 또는 더 큰 값(예를 들어, 15kHz)인지를 표시하는 신호(505)에 의해 제어된다. 2개의 가능한 간격 중 더 작은 간격이 신호(505)에 의해 표시될 때, 스위치(503)는 시퀀스(Sk)를 Sk 심볼 사이에 제로를 삽입하는 논리(507)로 라우 팅한다. 이 예에서, 하나의 제로만이 2개의 Sk 심볼 사이에 삽입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Sk 심볼 사이에 제로를 삽입하는 논리(507)는 기본적인 P-SyS 파형의 2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따라, Sk 심볼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제로를 삽입할 수 있다. Sk 심볼 사이에 제로를 삽입하는 논리(507)의 출력이 P-SyS와 관련된 역 고속 퓨리에 변환(IFFT)(509)의 입력으로 공급된다.
신호(505)가 2개의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더 큰 간격이 효력이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에, 스위치(503)는 Sk 심볼이 IFFT(509)의 대응하는 입력에 직접 라우팅되도록 한다 - Sk 심볼 사이에 제로를 삽입하는 논리(507)는 이 경우에 바이패싱된다.
데이터 유닛(511)은 IFFT(509)의 다른 입력에 공급되는 다른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신호(505)는 데이터 유닛(511) 및 IFFT(509) 각각의 제어 입력에 공급되어, 데이터 유닛(511)의 경우에, 얼마나 많은 입력 심볼이 발생되는지를 제어하고, IFFT(509)의 경우에, 얼마나 많은 입력 심볼이 프로세싱되는지 및 IFFT(509)의 유효 크기를 제어한다.
IFFT(509)의 출력은 P-SyS와 관련된 OFDM 심볼 시간 동안 송신될 OFDM 변조 신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검출할 수 있는 UE 내의 예시적인 동기화 채널 수신기(600)의 관련 구성요소 의 블록도이다. 공급 신호(Yt)가 P-SyS의 할당된 간격 외부에 놓이는 주파수 성분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필터에 의해 공급된다고 가정된다. 동기화 채널 수신기(600)는 P-SyS의 하나의 기간에 정합하는 정합 필터(상관기)(601)를 포함한다. 정합 필터(601)의 출력(Dt)은 정합 필터 출력 신호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5ms 타이밍 정보 및 검출된 셀이 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유닛(603)에 공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603)은 이 예에서, 단지 단일 P-SyS 응답(즉, P-SySMODE1)이 검출되었는지 또는 다수의(예를 들어, 2개의) P-SyS 전력 지연 프로파일(즉, P-SySMODE2)이 검출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이 판정을 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검출하는 UE 내의 회로(예를 들어, 제어 유닛(60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단계의 흐름도이다. 신호가 수신되고(단계 701), 수신된 신호를 공지된 P-SySMODE1과 상관시키는 정합 필터에 의해 프로세싱된다(단계 703). 그 후, 이 프로세싱으로부터의 결과가 예를 들어, 상관 결과가 무선 채널과 관련되는 예상된 지연 확산(PDPmax)보다 더 큰 거리만큼 분리된 별개의 피크를 포함하는지를 테스트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 분석된다(판정 블록 705). PDPmax의 값은 예를 들어, 20 밀리초일 수 있다. 별개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판정 블록(705)으로부터의 "NO" 경로),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이 검출되었고, 프로세싱이 이에 따라 진행된다(단계 707). 그렇지 않은 경우에(판정 블록(705)으로부터의 "YES" 경로), 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이 검출되었고, 프로세싱이 이에 따라 진행된다(단계 709).
대안적인 서브캐리어 간격 검출 알고리즘이 또한 UE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차동 상관기가 수신된 신호를 자신의 지연된 카피와 상관시킨다. 이 경우에, 지연은 더 큰 캐리어 간격에 대한 P-SyS(즉, P-SySMODE1)의 시간 기간(예를 들어, 1/15kHz=66μsec)에 대응하고, 적분 시간은 가장 큰 사이클릭 프리픽스보다 더 크고 원래 P-SyS의 시간 기간 - 예를 들어, 1/15kHz까지의 임의의 지속기간일 수 있다.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P-SySMODE1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때, 상관기 결과는 별개의 피크를 포함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검출기는 블라인드 사이클릭 프리픽스 추정기(blind cyclic prefix estimator)와 유사하므로, 가장 작은 적분 시간이 가장 큰 사이클릭 프리픽스보다 더 커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검출될 수 있다.
제안된 P-SyS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검출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 및 기술을 가능하게 한다. 더 큰(예를 들어,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에 정합하는 동기화 채널 검출 회로가 7.5kHz 서브캐리어 간격들이 사용될 때 P-SyS를 또한 자동적으로 검출하기 때문에, 더 작은(예를 들어, 7.5kHz)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추가적인 동기화 채널 검출 회로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상술된 실시예의 형태와 다른 특정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단지 2개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표시 및 검출될 필요가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2개 이상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표시 및 검출되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상술된 원리를 사용하여 디자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 각각은 "원래" P-SyS 파형의 상이한 수의 인스턴스, 예를 들어,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의 사용을 표시하기 위한 파형의 하나의 인스턴스,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의 사용을 표시하기 위한 파형의 2개의 인스턴스, 제 3 서브캐리어 간격의 사용을 표시하기 위한 파형의 3개의 인스턴스, 등과 특정하게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예를 들어, 15kHz)가 "원래" P-SyS 파형의 단지 하나의 인스턴스의 발생과 관련되었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반대로, 본 발명은 더 일반적으로 다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각각은 "기본적인" 파형의 상이한 수의 인스턴스를 각각 갖는 동일한 수의 가능한 P-SyS 파형 중 하나와 특정하게 관련됨으로써, 이들이 서로로부터 구별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2개의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15kHz 및 7.5kHz)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이러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적인" 파형의 2개의 발생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적인" 파형의 4개의 발생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중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하여 Sk 심볼을 하나 건너 하나의 서브캐리어(이들 사이에는 제로가 삽입됨)로 맵핑하고, 서브캐리어 간격 중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하여 Sk 심볼을 네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이들 사이에 제로가 삽입됨) 상으로 맵핑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2개의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15kHz 및 10kHz)을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적인" 파형의 2개의 발생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적인" 파형의 3개의 발생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Sk 심볼이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하여 두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이들 사이에 제로가 삽입됨) 상으로 맵핑되고, 10kHz 서브케리어 간격에 대하여 세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 상으로 맵핑된다. 이것은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에서, OFDM 심볼 길이가 1/15kHz=66.67μs이기 때문에 성취된다. Sk 심볼이 두번째 마다의 서브캐리어 상에 위치될 때, "효율적인" 서브캐리어 간격은 2×15=30kHz이고, "기본적인" P-SyS 파형의 지속기간은 1/30=33.33μs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OFDM 심볼(=66.67μs)에서, 2개의 기본적인 파형이 포함된다.
10kHz 서브캐리어 간격 모드에 대하여, OFDM 심볼 길이는 1/10kHz=100μs이다. Sk 심볼이 세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이들 사이에 제로가 삽입됨) 상에 위치될 때, "효율적인" 서브캐리어 간격은 3×10=30kHz이고, "기본적인" P-SyS 파형의 지속기간은 1/30=33.33μs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OFDM 심볼(=100μs)에서, 3개의 기본적인 파형이 포함된다. 기본적인 파형의 상기 3개의 인스턴스는 식 2 내지 5와 유사한 식에 의해 제시될 수 있는 세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 상으로 Sk 심볼을 맵핑함으로써 생성될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설명적이고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설명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제공되며,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 및 등가물이 본원에 포함되게 된다.

Claims (22)

  1.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발생된 것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 중 어느 것인지 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사용하며;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한 세트의 동기화 심볼(Sk)(0≤k≤N-1)을 인접한 세트의 N개의 서브캐리어 상으로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 하며, 상기 N개의 서브캐리어 각각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트의 동기화 심볼(Sk)을 한 세트의 nㆍN개의 서브캐리어(n>1) 상으로 맵핑하여 nㆍN개의 서브캐리어의 n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가 N개의 동기화 심볼 중 하나를 지니고 nㆍN개의 서브캐리어 중 나머지 서브캐리어가 제로 값을 지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ㆍN개의 서브캐리어 각각은 제 2 서브 캐리어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2개의 인스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은 15kHz이고;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은 7.5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방법.
  6.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이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에 대하여 수신된 신호를 상관시킴으로써 상관 결과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관 결과가 소정의 량만큼 시간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피크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수신된 신호를 상기 수신된 신호의 지연된 카피와 상관시킴으로써 상관 결과를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지연된 카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용된 지연의 량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기간에 대응하는, 상관 결과 발생 단계; 및
    상기 상과 결과가 별개의 피크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은 15kHz이고;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은 7.5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방법.
  10.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논리;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논리; 및
    발생된 것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 중 어느 것인지 간에 송신하는 논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사용하며;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논리는 한 세트의 동기화 심볼(Sk)(0≤k≤N-1)을 인접한 세트의 N개의 서브캐리어 상으로 맵핑하는 논리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서브캐리어 각각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논리는 상기 세트의 동기화 심볼(Sk)을 한 세트의 nㆍN개의 서브캐리어(n>1) 상으로 맵핑하여 nㆍN개의 서브캐리어의 n번째마다의 서브캐리어가 N개의 동기화 심볼 중 하나를 지니고 nㆍN개의 서브캐리어 중 나머지 서브캐리어가 제로 값을 지니도록 하는 논리를 포함하고, 상기 nㆍN개의 서브캐리어 각각은 제 2 서브 캐리어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 화 신호의 2개의 인스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은 15kHz이고;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은 7.5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
  15.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이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논리;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논리;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논리; 및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제 2 서 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논리를 포함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논리는: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에 대하여 수신된 신호를 상관시킴으로써 상관 결과를 발생시키는 논리; 및
    상기 상관 결과가 소정의 량만큼 시간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피크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논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논리는:
    수신된 신호를 상기 수신된 신호의 지연된 카피와 상관시킴으로써 상관 결과를 발생시키는 논리로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지연된 카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용된 지연의 량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기간에 대응하는, 상관 결 과 발생 논리; 및
    상기 상과 결과가 별개의 피크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논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은 15kHz이고;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은 7.5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장치.
  19.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발생된 것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 중 어느 것인지 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기본적인 파형의 제 1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기본적인 파형의 제 2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복수는 상기 제 2 복수와 동일하지 않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방법.
  20.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논리;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이 현재 사용중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논리; 및
    발생된 것이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 중 어느 것인지 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논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기본적인 파형의 제 1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형의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은 기본적인 파형의 제 2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복수는 상기 제 2 복수와 동일하지 않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표시하는 장치.
  21.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이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
    기본적이 파형의 얼마나 많은 인스턴스가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기본적인 파형의 제 1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기본적인 파형의 제 2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복수는 상기 제 2 복수와 동일하지 않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방법.
  22.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이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도출하도록 구성되는 논리;
    기본적이 파형의 얼마나 많은 인스턴스가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논리;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기본적인 파형의 제 1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상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논리; 및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도메인 표현이 상기 기본적인 파형의 제 2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후속 통신 동작에서 상기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논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복수는 상기 제 2 복수와 동일하지 않은, 제 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 2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이 현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지를 검출하는 장치.
KR1020097019524A 2007-02-23 2008-01-28 서브캐리어 간격 식별 KR101462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126507P 2007-02-23 2007-02-23
US60/891,265 2007-02-23
US11/943,440 US9137075B2 (en) 2007-02-23 2007-11-20 Subcarrier spacing identification
US11/943,440 2007-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893A true KR20090113893A (ko) 2009-11-02
KR101462292B1 KR101462292B1 (ko) 2014-12-01

Family

ID=3959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524A KR101462292B1 (ko) 2007-02-23 2008-01-28 서브캐리어 간격 식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137075B2 (ko)
EP (1) EP2122959B1 (ko)
JP (1) JP5244132B2 (ko)
KR (1) KR101462292B1 (ko)
CN (1) CN101636992B (ko)
AT (1) ATE510391T1 (ko)
AU (1) AU2008217095B2 (ko)
MA (1) MA31257B1 (ko)
MX (1) MX2009008815A (ko)
MY (1) MY146715A (ko)
PT (1) PT2122959E (ko)
RU (1) RU2460226C2 (ko)
TW (1) TWI387273B (ko)
WO (1) WO2008101762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042A1 (ko) * 2016-05-09 2017-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동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8174606A1 (ko) * 2017-03-22 2018-09-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128047A (ko) * 2016-03-31 2018-11-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통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190025839A (ko) * 2016-07-05 2019-03-1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90039566A (ko) * 2016-08-12 2019-04-12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동기 신호를 송신 및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15373B2 (en) 2016-05-09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10880146B2 (en) 2016-05-09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11502891B2 (en) 2017-03-22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7075B2 (en) 2007-02-23 2015-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carrier spacing identification
CN101136894B (zh) * 2007-03-23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扩展的ofdm及ofdma带宽分配的方法和系统
WO2010038967A2 (ko) * 2008-10-01 2010-04-08 엘지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신호의 전송방법
KR20130028397A (ko) 2011-09-09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시스템 정보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002454B (zh) * 2011-09-15 2016-04-13 华为技术有限公司 频谱聚合方法和设备
US9160511B2 (en) * 2012-01-30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Cyclic prefix in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with high transmit power
WO2014077741A1 (en) * 2012-11-13 2014-05-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networks
US10862634B2 (en) 2014-03-07 2020-12-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FDM with flexible sub-carrier spacing and symbol duration
WO2015156520A1 (ko) * 2014-04-09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WO2016045704A1 (en) 2014-09-23 2016-03-31 Huawei Technologies Co.,Ltd Transmitter, receiver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receiving synchronisation signals
WO2016208897A1 (ko) * 2015-06-22 201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nb-iot 기기
US10117199B2 (en) * 2015-09-24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WO2017073085A1 (en) * 2015-10-29 2017-05-04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structure system
WO2017073084A1 (en) * 2015-10-29 2017-05-04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structure system
US10742465B2 (en) * 2015-10-29 2020-08-11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structure system
JP2019054308A (ja) * 2016-01-26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3399820B1 (en) * 2016-02-03 2019-12-04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for cell search in mixed numerology environment
JP6624604B2 (ja) * 2016-02-05 2019-12-25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アップリンクサブキャリア間隔指示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
WO2017184865A1 (en) 2016-04-20 2017-10-26 Convida Wireless, Llc Configurable reference signals
CN111052625A (zh) 2016-04-20 2020-04-21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下行链路同步
WO2017184850A1 (en) 2016-04-20 2017-10-26 Convida Wireless, Llc Physical channels in new radio
US10390331B2 (en) 2016-04-20 2019-08-20 Convida Wireless, Llc System information provisioning and light weight connection signaling
US10638474B2 (en) 2016-04-21 2020-04-28 Qualcomm Incorporated Different numerology for signal transmission
US11764914B2 (en) 2016-05-09 2023-09-19 Qualcomm Incorporated Numerology dependent signal transmission
KR102454397B1 (ko) 2016-05-11 2022-10-14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새로운 라디오 다운링크 제어 채널
US10193724B2 (en) 2016-05-24 2019-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fixing of OFDM symbols to support variable subframe length
US11218236B2 (en) 2016-06-01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0498437B2 (en) 2016-06-01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Conveying hypotheses through resource selection of synchronization and broadcast channels
US10887035B2 (en) * 2016-06-01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1563505B2 (en) 2016-06-01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0615897B2 (en) 2016-06-01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CN109644089B (zh) 2016-06-15 2022-04-26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用于新无线电的无许可上行链路传输
CN115835405A (zh) 2016-06-15 2023-03-2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无许可操作的方法及装置
KR102178412B1 (ko) * 2016-07-15 2020-11-16 주식회사 케이티 새로운 무선 액세스 망에서 단말을 위한 동기화 신호 및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012878A1 (ko) * 2016-07-15 2018-01-18 주식회사 케이티 새로운 무선 액세스 망에서 단말을 위한 동기화 신호 및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35765A (ko) 2016-07-26 2019-04-0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전송 기기
WO2018028775A1 (en) * 2016-08-10 2018-0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on synchronization signal for a new radio carrier supporting different subcarrier spacing
KR20240006080A (ko) 2016-08-11 2024-01-1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뉴 라디오를 위한 유연한 프레임 구조에서의 빔포밍 스위핑 및 트레이닝
CN107734674B (zh) * 2016-08-11 2023-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系统
CN107734630A (zh) * 2016-08-11 2018-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1541637A (zh) 2016-08-12 2020-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WO2018030843A1 (ko) * 2016-08-12 201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7734672B (zh) * 2016-08-12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接入的方法和设备
CN107733828B (zh) * 2016-08-12 2020-10-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确定基带参数的方法和设备
WO2018038514A1 (en) * 2016-08-22 2018-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on of code block index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21628A (ko) 2016-08-22 201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블록 인덱스 삽입 방법 및 장치
CN109792419B (zh) 2016-09-23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具有所选脉冲整形方案的信号波形的无线发射器设备和无线接收器设备
WO2018053869A1 (zh) * 2016-09-26 2018-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发送小区参数集合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8062771A1 (en) 2016-09-29 2018-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24958B1 (ko) * 2016-09-29 2021-1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16720B2 (en) 2016-09-30 2024-02-27 Sony Group Corporation Subcarrier spacing selection for synchronization signals
US10992510B2 (en) * 2016-09-30 2021-04-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signals and random access for flexible radio communication
US10925019B2 (en) * 2016-11-02 2021-02-16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499371B2 (en) 2016-11-03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flexible data transmissions and receptions in next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WO2018097947A2 (en) 2016-11-03 2018-05-31 Convida Wireless, Llc Reference signals and control channels in nr
US10356734B2 (en) * 2016-11-30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 options for 5G/new radio
JP2020031250A (ja) * 2016-12-20 2020-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190100239A (ko) 2016-12-28 2019-08-2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BR112019022700A2 (pt) * 2017-05-02 2020-05-19 Ntt Docomo Inc aparelho de usuário, aparelho de estação base e método de comunicação executado por um aparelho de usuário que usa uma pluralidade de espaçamentos de subportadoras
US10985964B2 (en) * 2017-09-11 2021-04-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lecting subcarrier spacing for signal detection
PL3516897T3 (pl) * 2017-10-31 2021-10-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skazanie numerologii odstępu podnośnych
EP3694134B1 (en) 2018-08-09 2022-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182008B2 (ja) 2018-09-18 2022-12-01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信号伝送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WO2020068251A1 (en) 2018-09-27 2020-04-02 Convida Wireless, Llc Sub-band operations in unlicensed spectrums of new radio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37018T2 (de) 1997-09-04 2007-06-28 Sony Deutschland Gmbh Übertragungssystem für OFDM-Signalen mit optimierter Synchronisation
CA2334898C (en) * 1999-04-29 2007-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hannels in a w-cdma communication system
US6493331B1 (en) * 2000-03-30 2002-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of a communications systems
US7548506B2 (en) * 2001-10-17 2009-06-16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ccess and synchronization methods for MIMO OFDM communications systems and physical layer packet and preamble design
KR100532422B1 (ko) * 2003-02-28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일 심볼을 다수의 채널에 중복적으로 전송하여 통신거리를 확장시킨 무선 랜 시스템의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화 송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US7505522B1 (en) * 2003-10-06 2009-03-17 Staccato Communications, Inc. Spectral shaping in multiband OFDM transmitter with clipping
KR20050053907A (ko) 2003-12-03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캐리어 할당 방법
SE0303607D0 (sv) * 2003-12-30 2003-12-30 Ericsson Telefon Ab L M Brandwidth signalling
US7352820B2 (en) 2004-03-16 2008-04-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MT system with variable subchannel spacing in TCM ISDN noise
US7519123B1 (en) * 2004-04-08 2009-04-14 Staccato Communications, Inc. Spectral shaping for multiband OFDM transmitters with time spreading
JP4424047B2 (ja) * 2004-04-19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US7969858B2 (en) * 2004-10-14 2011-06-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erm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supporting different size frequency bands
US7567502B2 (en) * 2004-10-14 2009-07-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andwidth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021609A (ko) * 2005-08-19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탐색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방법
KR101306696B1 (ko) * 2005-11-10 2013-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JP4689724B2 (ja) * 2005-12-20 2011-05-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コードシーケンス生成方法及びコードシーケンス送信方法
TW201238276A (en) * 2005-12-21 2012-09-16 Interdigital Tech Corp Synchronization channel for OFDMA based evolved UTRA downlink
US7911935B2 (en) * 2006-02-08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eaving sequence elements of an OFDMA synchronization channel
US7983143B2 (en) * 2006-02-08 2011-07-1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quisition and cell search for an OFDMA system
KR100761791B1 (ko) * 2006-02-23 2007-09-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Ofdm-fdma/cdma/tdma 시스템의 타이밍추정 성능 향상을 위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N100473225C (zh) * 2006-04-30 2009-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不对称带宽能力的无线网络接入系统的资源分配方法
US7729315B2 (en) * 2006-06-23 2010-06-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cell measurement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665799B2 (en) * 2006-09-14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assisted cell sear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57759B2 (en) * 2006-12-08 2011-06-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deb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SC-FDMA communication systems
US8077801B2 (en) * 2007-01-10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tructure with multiplexed unicast and SFN transmissions
US9137075B2 (en) 2007-02-23 2015-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carrier spacing identification
US8649401B2 (en) * 2007-05-01 2014-02-11 Qualcomm Incorporated Generation and detec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047A (ko) * 2016-03-31 2018-11-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통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0554321B2 (en) 2016-03-31 2020-02-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WO2017196042A1 (ko) * 2016-05-09 2017-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동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442141A4 (en) * 2016-05-09 2019-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715373B2 (en) 2016-05-09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10880146B2 (en) 2016-05-09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11283663B2 (en) 2016-05-0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25839A (ko) * 2016-07-05 2019-03-1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90039566A (ko) * 2016-08-12 2019-04-12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동기 신호를 송신 및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91035B2 (en) 2016-08-12 2024-05-21 Datang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and detecting synchronous signal
WO2018174606A1 (ko) * 2017-03-22 2018-09-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502891B2 (en) 2017-03-22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122959E (pt) 2011-08-25
ATE510391T1 (de) 2011-06-15
US20080205351A1 (en) 2008-08-28
MA31257B1 (fr) 2010-03-01
JP2010519838A (ja) 2010-06-03
TWI387273B (zh) 2013-02-21
EP2122959A1 (en) 2009-11-25
CN101636992A (zh) 2010-01-27
AU2008217095B2 (en) 2011-05-19
RU2460226C2 (ru) 2012-08-27
WO2008101762A1 (en) 2008-08-28
RU2009135390A (ru) 2011-03-27
MX2009008815A (es) 2009-08-28
KR101462292B1 (ko) 2014-12-01
TW200849912A (en) 2008-12-16
CN101636992B (zh) 2014-07-16
EP2122959B1 (en) 2011-05-18
US9137075B2 (en) 2015-09-15
MY146715A (en) 2012-09-14
AU2008217095A1 (en) 2008-08-28
JP5244132B2 (ja)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292B1 (ko) 서브캐리어 간격 식별
JP4422768B2 (ja) 無線通信方法並びに送信機及び受信機
KR10106242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포착
RU2462817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илот-сигнала,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и система сотовой связи, в которой применен этот способ
JP438285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処理方法及び基地局
KR101384503B1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 검출을 위한 제 2 동기화 시퀀스
JP2016195415A (ja) 基地局及びユーザ機器
JP4732967B2 (ja) 基地局装置
KR100715194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의하향링크 초기 동기화 및 셀탐색 장치 및 방법
EP18505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common control channel in an OFDM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73593A (ko)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방법
KR20090106510A (ko)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셀 id 검출
US20090279420A1 (en)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transmiss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program, and timing estimation method
KR10088437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동기채널 전송 방법
EP1845645A1 (en)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transmiss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program, and timing estimating method
KR20070073670A (ko)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 링크 신호 생성 장치와 셀 탐색 방법및 장치
JP4936027B2 (ja) 時間リファレンス識別方法
RU2427083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илот-сигнала,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и система сотовой связи, в которой применен этот способ
KR20070073570A (ko)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 링크 신호 생성 장치와 셀 탐색 방법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