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598A -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598A
KR20090112598A KR1020090035839A KR20090035839A KR20090112598A KR 20090112598 A KR20090112598 A KR 20090112598A KR 1020090035839 A KR1020090035839 A KR 1020090035839A KR 20090035839 A KR20090035839 A KR 20090035839A KR 20090112598 A KR20090112598 A KR 2009011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ternal gear
reduction ratio
switching device
ratio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405B1 (ko
Inventor
요시히로 후카노
토루 스기야마
마사키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16H3/52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 F16H3/54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one of the central gears being internally toothed and the other externally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9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purely mechanical
    • F16H61/0295Automatic gear shift control, e.g. initiating shift by centrifugal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87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using planetary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24)는, 입력축(30)에 연결되는 태양기어(44)와, 이송나사축(36)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캐리어(50, 52)와,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50, 52)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태양기어(44)에 맞물리는 유성기어(46)와, 상기 유성기어(46)에 맞물리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내접기어(66)를 구비한다. 상기 내접기어(66)와 상기 제2캐리어(52)의 사이에는 소정의 값 이상의 추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내접기어(66)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내접기어(66)의 상기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패킹부재(86)가 설치된다.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Description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AUTOMATIC SPEED REDUCTION RATIO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구동원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작동부재에 연결되는 출력축 사이의 감속비를 자동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재 등을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모터 등과 같은 회전구동원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이송나사를 회전구동해서, 자재를 반송하는 슬라이더(작동부재)를 변위시키는 전동 액추에이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구동원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는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사이에 감속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유성기구를 더 포함하다.
이러한 유성기구를 설치하는 설비로서는, 일본특허공개 2007-092982호에 공고되어 있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태양기어,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내접기어, 및 헬리컬기어들로 이루어진 유성기어를 갖는다. 상기 장치는 회전이 가능하게 축으로 상기 유성기어를 지지하고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는 캐리어를 가지는 유성기어기구와, 상기 내접기어에 삽입된 상기 캐리어의 내부부재와 상기 유성기어와 상기 내접기어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내접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사이에서 추력을 발생시키는 점성저항매체와, 출력부하의 증감에 따라서 상기 내접기어를 상기 추력에 의해 입력축 방향 또는 출력축 방향으로 평행 변위시키는 제동수단을 구더 포함한다.
상기의 일본특허공개 2007-092982호에 의하면, 점성저항매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출력부하의 증감에 따라 상기 내접기어를 추력에 의해 입력축 방향 또는 출력축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내접기어의 회전운동이 제어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자전 및 공전사이의 전환에 의한 감속비의 전환이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그리스가 점성저항으로 사용된 이후, 온도변화에 의해 상기 그리스의 점도(저항치)가 변동하거나, 그리스의 누설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동 액추에이터의 토크특성이 변동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의 견지에서, 본 발명은 온도변화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간단한 기계적 구성으로 고정된(정량적인) 토크특성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구동원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작동부재에 연결되는 출력축사이의 감속비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는, 입력축에 연결되는 태양기어와, 출력축에 연결되는 캐리어와, 상기 태양기어에 맞물리면서 상기 캐리어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에 맞물리고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내접기어와, 상기 내접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사이에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 력발생기구와, 상기 내접기어가 적어도 상기 한쪽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내접기어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회전규제기구와, 상기 내접기어와 상기 캐리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내접기어의 상기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소정의 값 이상의 상기 추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내접기어를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미끄럼 저항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접기어와 캐리어의 사이에 미끄럼 저항부재가 배치되서, 소정의 값 이상의 추력이 작용하였을 때, 축방향으로의 내접기어의 변위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점성저항매체를 사용하는 구조를 비교하여, 온도변화에 의한 저항값의 변동이나 점성저항매체의 누설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정상작동하에서 정량적인 토크특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감속비의 자동 전환을 고정밀도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과 효과들은 도시적인 예시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에서 더 명백하게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24)를 장착한 전동 액추에이터(10)의 외관 사시도이다.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24)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동 액추에이터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설비에 사용할 수가 있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0)는 축선방향(화살표 A 및 B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12)와,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커버유니트(14)와, 상기 바디(12)와 평행으로 설치되고 전기신호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구동부(16)와, 상기 바디(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16)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주어진 스트로크 하에서 변위가능한 변위너트(18)를 갖는 변위기구(20)와, 상기 구동부(16)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변위기구(20)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22)와, 상기 구동부(16)로부터 상기 변위기구(20)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시켜서 전달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비 자동전환장치(2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6)는, 예를 들면, DC모터나 스테핑모터 등에 의해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원(26)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동원(26)의 구동축(26a)에 연결되는 구동풀리(28)와, 입력축(30)에 장착되는 종동풀리(32)와, 상기 구동풀리(28)와 상기 종동풀리(32)의 사이에 현가되는 타이밍벨트(3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력전달기구(22)는 상기 커버유니트(14) 내에 수용된다.
상기 변위기구(20)는, 상기 바디(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송나사축(출력축)(36)과, 상기 이송나사축(36)에 나사결합되는 변위너트(18)와, 상기 변위너트(18)의 외주측에 장착되는 피스톤(38)과, 상기 피스톤(38)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40)와, 상기 피스톤로드(40)의 단부에 고정되는 소켓(작동부재)(42)를 포 함한다.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24)는 도3 내지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30)의 말단에 고정되는 태양기어(44)를 구비한다. 상기 태양기어(44)에는,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유성기어(46)가 맞물린다.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46)는 각각의 핀(48)으로 제1캐리어(50)와 제2캐리어(52)에 의해 그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플라인홀(54)이 상기 제1캐리어(50)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홀(54)에 연결축(56)의 스플라인축부(58)가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이송나사축(36)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축(56)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연결축(56) 및 상기 제1캐리어(50)는 베어링(60)에 의해 상기 바디(12)내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입력축(30)은 베어링(62, 64)에 의해 상기 제2캐리어(52) 내부 및 커버유니트(14)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46)는 지름이 큰 내접기어(66)에 일체로 맞물린다. 상기 태양기어(44), 상기 유성기어(46) 및 상기 내접기어(66)는 각각 헬리컬기어로 구성되서, 상기 내접기어(66)와 상기 유성기어(46)의 사이에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력발생기구(68)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24)는 상기 내접기어(66)가 축선방향(화살표 A 및 B 방향)으로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내접기어(66)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회전규제기구(7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규제기구(70)는 상기 내접기어(66)의 축방향의 한쪽(화살표 B 방향)에 배치되는 제1락업링(lock up ring; 잠금링)(72)과, 상 기 내접기어(66)의 축방향의 다른 쪽(화살표 A 방향)에 배치되는 제2락업링(잠금링)(74)을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락업링(72)의 일단측 단면에는, 복수의 제1집게부재(76a)가 설치되고, 반면에 상기 내접기어(66)에는, 상기 제1집게부재(76a)에 결합하여 상기 내접기어(66)를 회전불가능하게 유지하는 복수의 제1집게부재(7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락업링(74)의 일단면에는 복수의 제2집게부재(76b)가 형성되고, 또 추가적으로 상기 제2집게부재(76b)에 결합해서 상기 내접기어(66)를 회전불가능하게 유지하는 복수의 제2집게부재(78b)가 상기 내접기어(66)에 형성된다.
상기 제1락업링(72)은 제1케이싱(80) 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고정탭(예를 들면, 스냅피트)(82a)이 상기 제1락업링(72)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1케이싱(80)에 상기 제1고정탭(82a)이 삽입되어 상기 제1락업링(72)을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하는 복수의 홈부(84a)가 설치된다.
상기 제2락업링(74)은, 마찬가지로, 제2케이싱(85) 내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2고정탭(예를 들면, 스냅피트)(82b)이 상기 제2락업링(74)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2케이싱(85)에 상기 제2고정탭(82b)이 삽입되어 상기 제2락업링(74)을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하는 위한 홈부(84b)가 설치된다.
상기 내접기어(66)와 상기 제2캐리어(52)의 사이에는, 상기 내접기어(66)의 축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면서, 또한 규정치 이상의 추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내접기어(66)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미끄럼 저항부재, 예를 들 면, 패킹부재(86)가 배치된다. 상기 패킹부재(86)는, 예를 들면, 상기 제2캐리어(52)의 외주부에 장착된다. 상기 내접기어(66)는 상기 제2캐리어(52)의 외부에 고정되는 외부부재(87)를 더 포함해서, 상기 외부부재(87)의 내주부에 상기 패킹부재(86)의 슬라이딩 접촉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86)는 상기 외부부재(87)의 내주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정 각도 간격으로 각각 이격하는 복수의 볼 플런저(88)는 상기 제2캐리어(52)의 외주부에 장착된다. 상기 내접기어(66)의 외부부재(87)의 내주면에는 홈부(90)가 형성된다. 각 볼 플런저(88)를 구성하여 스프링에 의해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각각 가세되는 볼이 상기 홈부(90)와 슬라이딩 접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0)와 관련하여,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24)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구동부(16)에 대하여 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원(26)의 구동축(26a)을 통하여 상기 구동풀리(28)가 회전구동해서, 그 회전구동력이 상기 타이밍벨트(34)를 통해 종동풀리(32)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풀리(32)가 연결된 입력축(30)이, 예를 들면, 상기 커버유니트(14)측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기어(44)는 상기 입력축(30)에 축의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태양기어(44)가 회전한다. 상기 입력축(30)에 저부하의 회전이 전달되면, 상기 제2캐리어(52)의 외주부에 미끄럼 저항부재로서 작용하는 패킹부재(86)가 장착되서, 상기 패킹부재(86)와 내접기어(66)의 외부부재(87)의 내 주면과의 정마찰력에 의해, 상기 유성기어(46)는 자전하지 않고 공전한다. 따라서, 상기 내접기어(66)는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50, 52)와 일체로 동일한 방향(시계방향)으로 자전한다.
상기 연결축(56)은 상기 제1캐리어(50)에 스플라인결합되고, 상기 연결축(56)에 고정된 이송나사축(36)은 상기 제1캐리어(50)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상기 변위너트(18)는 상기 피스톤(38)과 일체로, 예를 들면, 화살표 B 방향으로 변위해서, 상기 피스톤로드(40)와 상기 소켓(42)도 화살표 B 방향으로 변위한다.
상기 소켓(42)에 의해 상기 이송나사축(36)에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토크를 초과하는 부하가 작용하면, 상기 태양기어(4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성기어(46)는 공전하면서 자전한다. 따라서, 상기 유성기어(46)에 맞물려 있는 내접기어(66)는,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50, 52)에 대하여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 7 참조).
이 때, 회전저항에 의해 상기 추력발생기구(68)를 통하여 상기 내접기어(66)에 축방향의 추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규정치 이상의 추력이 발생되면, 상기 내접기어(66)는 예를 들면, 화살표 B 방향으로 변위하고, 동시에 상기 패킹부재(86)와의 슬라이딩 마찰력 및 각 볼 플런저(88)와 홈부(90)에 의한 결합저항에 대항하여 회전한다.
상기 내접기어(66)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락업링(72)의 제1집게부재(76a)에 제1집게부재(78a)가 결합해서, 상기 내접기어(66)는 상기 제1락업 링(72)에 의해 회전불가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태양기어(44)의 회전작용 하에서, 상기 유성기어(46)는 자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50, 52)와 일체로 상기 태양기어(44)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공전한다. 이에 의해, 상기 이송나사축(36)에 상기 입력축(30)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감속된 회전속도와 증대된 토크가 전달된다.
한편, 상기 입력축(30)을, 예를 들면, 상기 회전구동원(26)을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이송나사축(36)에 미리 설정된 토크를 초과하는 부하가 작용할 때에, 상기 내접기어(66)가 화살표 A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제2캐리어(52)에 대하여 제2집게부재(76b, 78b)에 의해 회전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30)을 통해 상기 태양기어(4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성기어(46)는 자전하면서 제1 및 제2캐리어(50, 52)와 일체로 공전하고, 상기 이송나사축(36)에 감속된 회전속도와 증대된 토크가 전달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양기어(44), 상기 유성기어(46) 및 상기 내접기어(66)가 각각 헬리컬기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내접기어(66)와 상기 제2캐리어(52)의 사이에는 미끄럼 저항부재로서 작용하는 패킹부재(86)가 배치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그리스 등과 같은 점성저항매체를 사용하는 구조에 비하여, 온도변화에 의한 저항값의 변동이나 점성저항매체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고, 규정치 이상의 추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내접기어(66)를 축방향으로 확실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상적인 작동하에 고정된(정량적인) 토크 특성을 유지할 수가 있고,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감속비의 자동 전환을 고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헬리컬기어에 의해 상기 내접기어(66)에 발생하는 추력의 규정치는, 상기 헬리컬기어의 비틀림 각, 상기 패킹부재(86)의 저항, 상기 볼 플런저(88)의 스프링력 및 홈부(90)의 형상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서 설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캐리어(52)의 외주면에 복수의 볼 플런저(88)가 장착되고, 상기 내접기어(66)의 외부부재(87)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 플런저(88)의 볼이 슬라이딩 접촉이 가능한 홈부(9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접기어(66)는 상기 제2캐리어(52)에 대하여 소정값 이상의 추력이 작용하였을 때에만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서, 감속이 전환되는 타이밍을 정량적으로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1고정탭(82a)이 상기 제1락업링(72)의 축방향 일단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1케이싱(80)에 상기 제1고정탭(82a)이 삽입되는 복수의 홈부(8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고정탭(82a)을 상기 홈부(84a)에 단지 삽입하는 것 만으로, 상기 제1락업링(72)을 상기 제1케이싱(80)에 대해 고정할 수 있어서, 전문적인 나사조임구조가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나사조임을 위한 토크관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 수 및 조립공정수가 감소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제1고정탭(82a)을 스냅피트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락업링(72)의 고정작업이 한층 더 간소화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탭(82a)은, 상기 제1락업링(72)의 회전을 저지하는 한, 축방향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이 한층 떠 간소화된다.
본 발명의 확실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여지고 상술되었다 할지라도, 추가되는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의 변화와 변경이 실시예가 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를 장착한 전동 액추에이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의 일부 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의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락업링과 케이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헬리컬기어의 맞물림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Claims (6)

  1. 회전구동원(26)에 연결되는 입력축(30)과 작동부재(42)에 연결되는 출력축(36) 사이의 감속비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30)에 연결되는 태양기어(44);
    상기 출력축(36)에 연결되는 캐리어(50, 52);
    상기 캐리어(50, 5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태양기어(44)에 맞물리는 유성기어(46);
    상기 유성기어(46)에 맞물리고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내접기어(66);
    상기 내접기어(66)와 상기 유성기어(46)의 사이에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력발생기구(68);
    상기 내접기어(66)가 적어도 상기 한쪽의 축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내접기어(66)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회전규제기구(70); 및
    상기 내접기어(66)와 상기 캐리어(50, 52)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접기어(66)의 상기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소정의 값 이상으로 상기 추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내접기어(66)를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하는 미끄럼 저항부재(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발생기구(68)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상기 태양기어(44)와, 헬리 컬기어로 이루어진 상기 유성기어(46)와,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상기 내접기어(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저항부재는 상기 캐리어(52)의 외주면, 또는 상기 캐리어(52)의 외부로 고정되는 상기 내접기어(66)의 외부부재(87)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볼 플런저(88)가 상기 캐리어(5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볼 플런저(88)가 결합가능한 홈부(90)가 상기 내접기어(66)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규제기구(70)는 상기 내접기어의(66)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측으로 회전불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링(72)을 포함하고,
    상기 내접기어(66)와 회전불가능하게 결합하는 집게부재(76a, 78a)가 상기 잠금링(72) 및 상기 내접기어(66)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링(72)을 고정하는 케이싱(82)을 더 포함하고,
    고정탭(82a)은 상기 잠금링(72)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링(72)을 회전불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탭(82a)이 삽입되는 홈부(84a)가 상기 케이싱(8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KR1020090035839A 2008-04-24 2009-04-24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KR101073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3727A JP4596282B2 (ja) 2008-04-24 2008-04-24 減速比自動切換装置
JPJP-P-2008-113727 2008-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98A true KR20090112598A (ko) 2009-10-28
KR101073405B1 KR101073405B1 (ko) 2011-10-18

Family

ID=4111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839A KR101073405B1 (ko) 2008-04-24 2009-04-24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03458B2 (ko)
JP (1) JP4596282B2 (ko)
KR (1) KR101073405B1 (ko)
CN (1) CN101566218B (ko)
DE (1) DE102009018356B4 (ko)
TW (1) TWI372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7728A1 (en) 1999-11-24 2001-05-31 Nuvasive, Inc. Electromyography system
EP1417000B1 (en) 2001-07-11 2018-07-11 Nuvasive, Inc. System for determining nerve proximity during surgery
EP1435828A4 (en) 2001-09-25 2009-11-11 Nuvasive Inc SYSTEM AND METHODS FOR EVALUATIONS AND SURGICAL ACTS
US7582058B1 (en) 2002-06-26 2009-09-01 Nuvasive, Inc. Surgical acc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8137284B2 (en) 2002-10-08 2012-03-20 Nuvasive, Inc. Surgical acc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7691057B2 (en) 2003-01-16 2010-04-06 Nuvasive, Inc. Surgical acc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7819801B2 (en) 2003-02-27 2010-10-26 Nuvasive, Inc. Surgical acc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7905840B2 (en) 2003-10-17 2011-03-15 Nuvasive, Inc. Surgical acc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WO2005030318A1 (en) * 2003-09-25 2005-04-07 Nuvasive, Inc. Surgical acc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WO2006042241A2 (en) 2004-10-08 2006-04-20 Nuvasive, Inc. Surgical acc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20035730A1 (en) 2008-12-26 2012-02-09 Scott Spann Minimally-invasive retroperitoneal lateral approach for spinal surgery
JP5508197B2 (ja) * 2010-08-30 2014-05-28 日本電産シンポ株式会社 変速機
US8443685B2 (en) * 2010-09-07 2013-05-21 Timotion Technology Co., Ltd. Linear actuator and safety mechanism for the same
US8790406B1 (en) 2011-04-01 2014-07-29 William D. Smith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spine surgery
JP5720784B2 (ja) * 2011-06-28 2015-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力伝達装置を備えた車両
CN103987326B (zh) 2011-08-19 2016-06-08 诺威适有限公司 手术牵开器系统及使用方法
US9198765B1 (en) 2011-10-31 2015-12-01 Nuvasive, Inc. Expandable spinal fusion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CN102968127B (zh) * 2012-11-13 2016-04-13 四川钟顺太阳能开发有限公司 一种直线驱动装置及其用于太阳能跟踪的控制及使用方法
US9482326B2 (en) * 2013-07-03 2016-11-01 Goodrich Corporation Electromechanical actuator
TWM466990U (zh) * 2013-08-13 2013-12-01 Timotion Technology Co Ltd 具有多段式齒輪件的致動器
DE102014212413A1 (de) * 2014-06-27 2015-12-31 Robert Bosch Gmbh Druckerzeuger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JP6842939B2 (ja) 2017-02-03 2021-03-17 アズビル株式会社 操作器
KR101907397B1 (ko) 2017-04-26 2018-10-12 주식회사 세진아이지비 서보 실린더
CN108916323B (zh) * 2018-07-28 2021-09-28 西京学院 一种通过双锥面丝杠切换的多速减速器
DE102019125415B4 (de) * 2019-09-20 2021-08-12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Getriebeeinheit für eine Greif- oder Spannvorrichtung und Greif- oder Spannvorrichtung mit automatischem Umschalten zwischen Eilgang und Kraftgang
DE102020212704B4 (de) 2020-10-08 2023-08-17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ktuator mit Zwischenplatte, welche ein Drehlager hält
CN112253696B (zh) * 2020-10-15 2021-10-22 北京特种机械研究所 行星减速机
FI129927B (en) * 2021-10-28 2022-11-15 Motiomax Oy Electromechanica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7645U (ja) * 1982-05-20 1983-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減速装置
JPS59111910U (ja) * 1983-01-18 1984-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潤滑油圧制御装置
JPS636260U (ko) * 1986-06-30 1988-01-16
JPH09296851A (ja) * 1996-03-04 1997-11-18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速動力伝達装置
CN100402893C (zh) * 2004-06-08 2008-07-16 Smc株式会社 自动减速比转换装置
JP4899082B2 (ja) * 2004-06-08 2012-03-21 Smc株式会社 減速比自動切換装置
JP2006174690A (ja) 2004-11-18 2006-06-29 Smc Corp アクチュエータ制御システム
CN100473868C (zh) * 2005-08-29 2009-04-01 Smc株式会社 自动减速比转变装置
JP4899083B2 (ja) * 2005-08-29 2012-03-21 Smc株式会社 減速比自動切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18356B4 (de) 2018-09-20
CN101566218B (zh) 2012-02-15
CN101566218A (zh) 2009-10-28
KR101073405B1 (ko) 2011-10-18
US20090270220A1 (en) 2009-10-29
JP4596282B2 (ja) 2010-12-08
TW200949101A (en) 2009-12-01
US8303458B2 (en) 2012-11-06
DE102009018356A1 (de) 2009-10-29
TWI372829B (en) 2012-09-21
JP2009264469A (ja)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405B1 (ko) 자동 감속비 전환장치
US8495924B2 (en) Electric actuator
EP2875906B1 (en) Multi-speed cycloidal transmission
CN100476243C (zh) 自动变速器
CN1707136B (zh) 行星滚筒式连续变速器
JP4899082B2 (ja) 減速比自動切換装置
CN102003509B (zh) 旋转-直线运动变换机构以及致动器
KR20050049532A (ko) 조정 장치
JP2007512460A (ja) 内燃機関のカムシャフト用の調整装置
CN105782381A (zh) 一种行星滚柱丝杆副
KR20180090755A (ko) 조작기
US20220396349A1 (en) Rotary mechanical screw transmission
EP3564557B1 (en) Electric actuator
CN105209789A (zh) 具有ivt牵引环控制组件的无级可变变速器
CN100402893C (zh) 自动减速比转换装置
CN112412198B (zh) 一种基于方向控制的无源全程锁闭装置
KR101406312B1 (ko) 저항을 이용한 구동 에너지 전달 유닛
CN108730424B (zh) 有利地用于伺服电动机系统的行星齿轮组和使用该行星齿轮组的伺服电动机系统
CN108350767A (zh) 凸轮轴调节装置
JP2009108705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KR101128458B1 (ko) 회전 구동 전동 장치
US20180073600A1 (en) Continuously variable ratio transmission
CN221033831U (zh) 一种蜗轮蜗杆行星无级调速装置
JP2018155340A (ja) トルクカム装置及び無段変速機
KR101007971B1 (ko) 전동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