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971B1 - 전동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전동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971B1
KR101007971B1 KR1020090033854A KR20090033854A KR101007971B1 KR 101007971 B1 KR101007971 B1 KR 101007971B1 KR 1020090033854 A KR1020090033854 A KR 1020090033854A KR 20090033854 A KR20090033854 A KR 20090033854A KR 101007971 B1 KR101007971 B1 KR 10100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electric actuator
displacement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272A (ko
Inventor
요시히로 후카노
토루 스기야마
마사키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3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97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전동 액추에이터에서, 변위기구(20)를 구성하는 나사축(58)의 일단부에는 커넥터(66)가 연결되고, 상기 나사축(58)은 제1 및 제2베어링(32,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상기 나사축(58)의 타단부에는 홀더(76)를 통해 지지링(78)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링(78)이 피스톤로드(62)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피스톤(48)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반향으로 돌출한 돌출부(102)를 갖는 회전멈춤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102)가 상기 바디(12)의 홈부(46)에 삽입된다.
전동 액추에이터

Description

전동 액추에이터{ELECTRIC ACTUATOR}
본 발명은, 구동부의 구동력을 나사축을 통해 변위부재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변위부재를 변위시키는 전동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재 등을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모터 등과 같은 회전구동원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이송나사를 회전구동해서, 상기 자재를 반송하는 슬라이더를 변위시키는 전동 액추에이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0-285867호에서 공지된 전동 액추에이터(1)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2)의 단부에 모터(3)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작동축(4)이 진퇴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커플링(5)에 의해 이송나사축(6)이 상기 모터(3)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나사축(6)에는 너트(7)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7)는 상기 작동축(4)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해서, 상기 모터(3)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송나사축(6)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너트(7) 및 상기 작동축(4)이 축선방향으로 진퇴운동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 종래 기술에서, 상기 이송나사축(6)은 상기 모터(3)가 위치하는 일단부측의 1지점만이 베어링(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2)측에서 상기 이송나사축(6)의 타단부측이 자유단을 형성하므로, 상기 이송나사축(6)의 길이를 축선방향으로 길게 한 경우, 타단부측이 기울어지고 중심을 벗어나게 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상기 이송나사축(6)을 고속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진동이 발생한다.
또, 상기 이송나사축(6)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베어링(8)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을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에서 축선 방향의 스트로크량(스트로크 길이)에 상응하는 상기 이송나사축(6)의 길이가 상이하다. 그에 따라, 상기 베어링(8)에 의한 지지위치도 상이해지기 때문에, 그 때마다, 스트로크량에 대하여 공정을 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번잡하다. 또, 여러가지 길이의 이송나사축(6)을 미리 준비해 둘 시간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나사축(6)을 포함하는 전동 액추에이터(1)의 생산성(제조용이성)이 악영향을 받아 저하된다.
또한, 상기 이송나사축(6)의 회전작용하에서 상기 너트(7)가 상기 하우징(2)의 내부를 축방향을 따라서 변위할 때에, 상기 너트(7)가 상기 이송나사축(6)과 함께 회전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변위부재가 변위할 때의 회전방향으로의 변위를 확실시 저지하고, 또, 이송나사축의 편심을 방지하여, 상기 변위부재를 고정밀도로 변위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가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액추에이터는, 바디와, 전류의 통전작용하에서 회전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와, 상기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변위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하는 변위부재를 갖는 변위기구와, 상기 나사축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에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나사축을 반지름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상기 변위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홈부에 결합되어 상기 변위부재의 회전변위를 규제하는 회전규제기구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나사축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과 효과들은 도시적인 예시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주어지는 이하의 설명에서 더 명백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을 통해, 변위부재가 변위할 때의 회전방향으로의 변위를 확실시 저지하고, 또, 이송나사축의 편심을 방지하여, 상기 변위부재를 고정밀도로 변위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가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0)는 축선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연재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12)와,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커버유니트(14)와, 상기 바디(12)와 대략 평행으로 설치되고 공급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구동부(16)와, 상기 바디(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16)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주어진 스트로크 하에서 변위가 가능한 변위너트(18)를 갖는 변위기구(20)와, 상기 구동부(16)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변위기구(20)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22)를 포함한다.
단면이 원형상으로 개구한 홀부(24)가 상기 바디(12)의 축선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고, 상기 바디(12)의 외주면에는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센서설치홈(26)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에는 하우징(28)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바디(12)와 상기 구동부(16)를 접속하는 상기 커버유니트(14)의 어댑터(30)가 상기 하우징(28)에 의해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8)의 내부에는, 한쌍의 제1베어링(32)이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제1베어링(32)은 상기 하우징(28)과 나사결합된 베어링홀더(34)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32)이 상기 하우징(28)의 내부에 유지된다.
또, 상기 하우징(28)의 일단부에는 상기 베어링홀더(34)에 인접하도록 제1댐 퍼(36)가 장착된다. 상기 제1댐퍼(36)는, 예를 들면,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12)의 타단부측에(화살표 B 방향으로) 면하도록 설치된다.
반면에, 상기 바디(12)의 타단부에는, 상기 홀부(24)의 내부에 원통형상의 로드커버(38)가 수용되고, 상기 로드커버(38)는 상기 홀부(24)의 단차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링(39)에 의해 축선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적절히 고정된다. 상기 로드커버(38)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피스톤로드(62)에 미끄럼접촉이 가능한 로드패킹(40) 및 부시(42)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에 면하도록 탄성재료(예를 들면, 고무, 우레탄)로 이루어지는 제2댐퍼(44)가 장착된다.
또, 홀부(24)의 내주면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재하는 홈부(46)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46)에는 후술하는 변위기구(20)의 피스톤(변위부재)(48)에 설치된 회전멈춤부재(회전규제기구)(50)가 삽입된다. 상기 홈부(46)는 상기 홀부(24)의 내주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예를 들면, 4개)로 설치된다(도 12 참조).
상기 커버유니트(14)는,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와 구동부(16)의 단부를 접속시키고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가 수용되는 중공형상의 어댑터(30)와, 상기 어댑터(30)의 개구부위를 폐쇄 및 차단하는 풀리커버(5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바디(12)와 상기 구동부(16)는 상기 커버유니트(14)에 의해 대략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접속된다(도 2 참조).
상기 구동부(16)는, 예를 들면, DC모터, 스테핑모터 등을 포함하는 회전구동 원(54)으로 이루어지고,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회전구동한다. 상기 구동부(16)는, 상기 구동부(16)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어댑터(30)에 의해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16)의 구동축(54a)에는,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의 구동풀리(56)가 장착된다.
상기 변위기구(20)는 상기 바디(12)의 내부에 수용되는 나사축(58)과, 상기 나사축(58)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변위너트(18)와, 상기 변위너트(18)의 외주측에 장착되는 피스톤(48)과, 상기 피스톤(48)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62)와,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단부를 폐쇄 및 차단하는 소켓(64)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축(58)은 축선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가 각설된다. 상기 나사축(58)의 일단부는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에(화살표 A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나사축(58)의 단부에는 커넥터(접속부재)(66)가 연결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66)는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절삭가공, 단조성형 또는 소성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 상기 커넥터(66)는 축부(68)와, 상기 축부(68)에 인접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관부(70)를 포함한다. 상기 관부(70)의 내부에 상기 나사축(58)의 일단부가 억지끼움(shrink-fitting)으로 삽입되어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나사축(58)과 상기 커넥터(66)를 억지끼움에 의해 함께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66)를 약 100℃~350℃까지 가열한 후, 상온의 상기 나사축(58)을 상기 커넥터(66)에 삽입해서, 억지끼움이 수행된다(즉, 상기 커넥터(66)는 냉각에 따라 수축되서 그 내부에 상기 나사축(58)을 확실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66)를 상기 나사축(58)에 대하여 간편하고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나사축(58)과 상기 커넥터(66)를 연결하는 방법은, 상술한 억지끼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나사축(58)을 상기 관부(70)에 압입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상기 나사축(58)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관부(70)에 확실히 연결될 수가 있다.
상기 관부(70)의 외주측은 상기 바디(12) 및 상기 어댑터(30)에 설치된 상기 제1베어링(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부(68)는 상기 어댑터(30)에 설치된 상기 제2베어링(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상기 축부(68)에는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의 일부를 구성하는 종동풀리(110)가 나사결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제2베어링(72)은 상기 제1베어링(32)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32,72)에 의해 나사축(58)의 일단부는 상기 커넥터(66)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상기 커넥터(66)는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확장하여 상기 관부(70)의 단부에 면하는 플랜지부(74)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74)는 상기 제1베어링(32)의 측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32)은 상기 플랜지부(74)와 상기 하우징(28)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므로, 상기 제1베어링(32)이 상기 하우징(28)의 내부에 수용되고 유지된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32)의 축선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환언하면, 상기 플랜지부(74)는 상기 제1베어링(32)의 축선방향을 따른 변 위를 규제할 수 있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반면, 상기 제1베어링(32)은 상기 하우징(28)과 상기 커넥터(66)의 플랜지부(74)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한편, 상기 나사축(58)의 타단부측(화살표 B 방향)은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축(58)의 단부에는 홀더(76)에 의해 고리모양의 지지링(링체)(78)이 설치된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지지링(78) 및 상기 홀더(76)는, 상기 나사축(58)의 타단부를 반지름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기구로서 공동으로 기능한다.
상기 홀더(76)는 상술한 커넥터(66)와 유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상기 나사축(58)의 외주측에 대하여 억지끼움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홀더(76)를 상기 나사축(58)에 연결하는 방법은, 상술한 억지끼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나사축(58)을 상기 홀더(76)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나사축(58)을 상기 홀더(76)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76)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링(78)이 장착된 오목형상의 홈부(76a)를 갖는다. 지지링(78)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경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76)의 홈부(76a)에 삽입되어 상기 홈부(76a)를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링(78)은 상기 홀더(76)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지지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상기 지지링(78)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지지링(78)의 외주면은 복수(예를 들면, 4)의 지지부재(80)를 가지고 요철형상(오목한/볼록한)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80)가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으로 변위해서, 상기 피스톤로드(62)는 축선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변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80)들 사이의 공간(82)을 통하여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화살표 A 방향)과 타단부측(화살표 B 방향)이 연통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48)이 상기 바디(12)의 내부를 따라서 변위할 때에,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부 공기가 상기 지지링(78)을 통하여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화살표 B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통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밀폐공간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피스톤(48)의 변위저항을 저지할 수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상기 피스톤로드(62)에 미끄럼접촉하는 슬라이딩면(80a)의 단부가, 상기 지지링(78)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원호형상 또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62)가 상기 지지부재(80)를 따라서 슬라이드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을 경감시킬 수가 있고, 이와 함께 상기 지지링(78)의 근방에 사용된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제가 상기 지지부재(80)의 슬라이딩면(80a)에 적절히 이동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링(링체)(78a)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환상의 형상을 가지는 윤활홈(84)을 형성되며, 상기 윤활홈(84)에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제를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윤활제가 상기 지지링(78a)의 외주면 뿐만 아니라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주면에도 적당히 도포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링(78a)에 의해 피스톤로드(62)를 슬라이딩 지지할 때의 저항을 경감시켜, 상기 피스톤(62)이 원활하게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윤활홈(84)이 상기 지지링(78)의 외주면에 대하여 나선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로드(62)가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할 때에, 상기 지지링(78)에 대하여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윤활홈(84)내의 윤활제를 교반하여 적절히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8A 및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링(링체)(78b)의 지지부재(80)에는 지지링(78b)의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80)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의 깊이로 오목한 교란홈(8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란홈(85)은 상기 지지부재(80)와 같이 상기 지지링(78b)에서 대략 같은 크기의 공간에 차지하도록 동등하게 분할되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교란홈(85)은 각각 복수의 지지부재(80)에 대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62)가 축선방향을 따라(도 2의 화살표 A 와 B 방향으로) 변위할 때, 상기 지지링(78b)은 상기 교란홈(85)을 가져서,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고,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제가 상기 교란홈(85)에 들어가기 때문에(도 8B의 화살표 참조), 상기 윤활제는 상기 피스톤로드(62)의 축선에 대하여 상기 교란홈(85)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유도된다. 즉,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변위를 수반하는 상기 교란홈(85)에 의해 윤활제는 원주방향 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윤활제는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주면과 지지링(78b)의 사이에서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변위를 사용하는 것은, 윤활제가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부측의 원주방향으로 교반(교란)되면서, 상기 지지링(78b) 근방의 윤활제는 알맞고 효과적으로 윤활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윤활제는 상기 피스톤로드(62)와 상기 지지링(78b) 사이에서 균등하고 고르게 공급되고, 따라서 윤활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윤활제의 변질을 막을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변위너트(18)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축선방향을 따른 나사홀(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상기 나사축(58)은 나사홀과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58)의 회전작용 하에서, 상기 변위너트(18)는 축선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바디(12)의 내부에서 변위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48)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위너트(18)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대경부(大徑部)(86)와, 상기 대경부(86)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62)가 연결되는 소경부(88)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변위너트(18)가 상기 대경부(86)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외주측으로부터 고정핀(90)의 삽입에 의해 상기 피스톤(48)과 변위너트(18)는 함께 연결된다.
상기 대경부(86)의 외주면에는, 상기 소경부(88)에 인접하여 그 일측이 되는 위치에(화살표 B 방향으로) 고리모양 홈을 통해 자석(92)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92)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를, 상기 바디(12)의 센서설치홈(26)에 장착된 위치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해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0) 내에서상기 피스톤(48)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대경부(86)의 외주면은,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이 되는(화살표 A 방향으로) 영역에 의해 한정되고,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장착오목부(94)가 형성된다. 그 둘레면에는 반지름방향을 따라서 반지름 방향으로 요철(오목/볼록)형상이 되는 복수의 널링을 가지는 널링부(요철부)(96)가 형성되고, 상기 널링부(96)에 인접한 대경부(86)의 단부에는, 상기 널링부(96)보다 더 축경한 환상의 결합홈(9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널링부(96) 및 상기 결합홈(98)을 포함하는 장착오목부(94)에는, 회전멈춤부재(50)(후술)의 일부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멈춤부재(50)는 적은 슬라이딩 저항을 가지는 수지제 재료(예를 들면, 불소수지)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링형상의 베이스부(100)와, 이로부터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쌍의 돌출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대략 일정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부(pawl)(104)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104)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반지름 내측 방향을 향해서 점점 테이퍼지는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을 가진다.
상기 돌출부(102)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주면에 대하여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팽출하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일직선상으로 연장한 스트레이트부(106)와, 상기 스트레이트부(106)의 단부에 접합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한 스프링부(108)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레이트부(106)와 상기 스프링부(108)의 외경은 대략 동일하고, 상기 스프링부(108)는, 그 단부를 향해서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점점 팽창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부(108)는 각각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발력을 가진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또, 상기 돌출부(102)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한쌍이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돌출부(102) 4쌍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멈춤부재(50)는 상기 스프링부(108)가 위치하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48)에서 상기 대경부(86)의 외주측에 압입으로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부(108)가 상기 대경부(86)의 외주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레이트부(106)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부(100)가 상기 장착오목부(94)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부(104)가 상기 결합홈(98)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멈춤부재(50)의 축선방향을 따른 변위가 규제되며, 상기 피스톤(48)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회전멈춤부재(50)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널링부(96)에 압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48)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회전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즉, 상기 회전멈춤부재(50)는, 상기 결합홈(98)에 결합된 걸림부(104)와, 상기 널링부(96)에 압입된 베이스부(100)에 의해 상기 피스톤(48)에 대하여 축선방향 및 회전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48)과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환언하면, 상기 회전멈춤부재(50)는 상기 피스톤(48)에 대하여 상대변위하지 않고, 상기 피스톤(48)과 일체적으로 변위한다.
상기 회전멈춤부재(50)는, 상기 피스톤(48)과 함께 상기 바디(12)의 내부에 삽입되면, 한쌍의 돌출부(102)가 상기 바디(12)의 홈부(46)에 각각 삽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바디(12) 내의 회전멈춤부재(50)를 포함하는 상기 피스톤(48) 및 상기 변위너트(18)의 회전변위가 저지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부(102)는 그 스프링부(108)를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 축경시키도록 홈부(46) 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부(108)의 탄발력이 상기 홈부(46)의 벽면에 대하여 반지름 외측방향으로 치우쳐 가해지는 압력으로써 부여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멈춤부재(50)는 상기 돌출부(102)를 구성하는 상기 스트레이트부(106) 및 상기 스프링부(108)에 의해 바디(12)의 홈부(46)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또한, 상기 홈부(46)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그 슬라이딩면(80a)을 단면을 나선곡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방향으로 부여되는 하중을 적절히 받을 수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6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로드(62)의 일단부는 상기 피스톤(48)의 소경부(88)에 나사결합되는 반면, 타단부에는 블록형상의 소켓(64)이 장착되어 밀폐된다.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부에는 나사축(58)이 수용되서,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주면에 상기 지지링(78)이 미끄럼접촉하게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로드(62)의 외주면에는 상기 로드패킹(40) 및 상기 부시(42)가 미끄럼접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62)는 상기 피스톤(48)의 변위에 따라 상기 피스톤(48)과 함께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되서, 상기 피스톤로드(62)는 상기 바디(12)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외부로(화살표 B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제를 교란할 수 있는 상기 교란홈(109)은 상기 회전멈춤부재(50a)의 돌출부(10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멈춤부재(50a)에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주면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팽창한 직사각형모양의 볼록부(111)가 형성되고, 한쌍의 스프링부(108)가 그 단부에 대하여 각각 결합되며, 축선방향을 따라 연재한다. 상기 교란홈(109)은 상기 볼록부(111)에서 회전멈춤부재(50a)의 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또한, 상기 볼록부(111)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환언하면, 상기 교란홈(109)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111) 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회전멈춤부재(50a)가 피스톤(48)과 함께 축선방향을 따라 변위하면, 상기 회전멈춤부재(50a)의 근접한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제가 상기 회전멈춤부재(50a)의 변위를 수반하는 교란홈(109)에 들어가고, 상기 윤활제는 상기 피스톤(48)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상기 교란홈(109)에 의해 경사방향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윤활제가 상기 교란홈(109)에 의해 상기 바디(12)의 홀(24)에서 원주방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바디(12)의 홀(24)과 상기 회전멈춤부재(50a) 사이에서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윤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피스톤(48)의 변위를 사용해서, 상기 바디(12)의 내주면에서 윤활제가 원주방향으로 교반(교란) 되는 반면, 상기 회전멈춤부재(50a)의 근방의 윤활제는 알맞고 효과적으로 윤활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윤활제는 상기 피스톤(48), 상기 회전멈춤부재(50a)와 상기 바디(12) 사이에서 균등하고 고르게 공급될 수 있고, 따라서 윤활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윤활제의 변질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30) 및 상기 풀리커버(52)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구동원(54)의 구동축(54a)에 연결된 구동풀리(56)와, 상기 나사축(58)에 연결된 커넥터(66)에 장착되는 종동풀리(110)와, 상기 구동풀리(56)와 종동풀리(110)와의 사이에 현가(懸架)되는 타이밍벨트(11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풀리(56)는 상기 구동축(54a)에 대한 그 변위를 볼트핀(114)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구동풀리(56)는 외주측으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 상기 볼트핀(114)이 나사결합된다. 구동풀리(56)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종동풀리(110)는 상기 종동풀리(110)의 외주측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나사결합된 볼트핀(114)에 의해 상기 커넥터(66)에 대한 그 상대변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56) 및 상기 종동풀리(110)의 외주면에 복수의 기어치가 설치되고, 상기 타이밍벨트(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는 상기 구동풀리(56) 및 상기 종동풀리(110)의 기어치와 맞물린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부(16)의 회전구동력이, 상기 구동풀리(56)로부터 타이밍벨트(112)에 의해 상기 종동풀 리(110)로 전달되어 나사축(58)를 회전시켜서, 상기 나사축(58)에 나사결합된 상기 변위너트(18)를 축선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변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액추에이터(10)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어서, 그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상기 피스톤로드(62)가 상기 바디(1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초기위치로 하여 설명한다.
이 초기위치에서, 도시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부(16)에 대하여 전류가 공급되서, 상기 회전구동원(54)의 구동축(54a)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56)가 회전구동하고, 그 회전구동력이 상기 타이밍벨트(112)에 의해 상기 종동풀리(1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풀리(110)가 연결된 나사축(58)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스톤(48)과 함께 상기 변위너트(18)가 상기 바디(12)의 타단부측을 향해서(화살표 B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때, 상기 나사축(58)은, 상기 나사축(58)의 일단부측의 커넥터(66)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32,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나사축(58)은 원활하고 고정밀도로 회전구동하여 상기 변위너트(18)를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피스톤(48)에 장착된 상기 회전멈춤부재(50)가, 상기 돌출부(102)에 의해 상기 바디(12)의 홈부(46)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멈춤부재(50)에 의해 상기 피스톤(48) 및 상기 변위너트(18)의 회전변위가 규제되고, 상기 피스톤(48) 및 변위너트(18)를 축선방향을 따라서만 변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피스톤로드(62)과 함께 피스톤(48)이 변위되서, 상기 피스톤로드(62)의 타단부측이 바디(12)의 타단부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도록 점차 돌출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로드(62)의 내주측은 상기 나사축(58)에 설치된 상기 지지링(78)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로드(62)는 항상 상기 나사축(58)과 동일축상에서 고정밀도로 변위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피스톤로드(62)가 상기 바디(12)의 타단부측을 향해서(화살표 B 방향으로) 변위할 때에, 상기 피스톤로드(62)가 나사축(58)에 대하여 편심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48)이 상기 바디(12)의 타단부측 끝까지 변위한 변위종단위치에서, 상기 피스톤(48)의 단면이 상기 제2댐퍼(4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스톤(48)에 부여되는 충격이 흡수되고 완충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로드(62)를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으로(화살표 A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6)의 회전구동원(54)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풀리(56) 및 상기 타이밍벨트(112)를 통해 상기 종동풀리(11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축(58)의 회전작용하에서 상기 변위너트(18) 및 상기 피스톤(48)이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을 향해서(화살표 A 방향으로) 변위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62)가 유사하게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을 향해서(화살표 A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62)가 서서히 상기 바디(12)의 내부에 수용되어 간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위너트(18) 및 상기 피스톤(48)이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측 끝까지 변 위한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주면에 나사를 가진 나사축(58)의 일단부에, 억지끼움이나 압입 및 접착 등에 의해 상기 커넥터(66)를 연결한다. 상기 커넥터(66)를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32,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축(58)의 일단부에, 미리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32,72)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을 가공해 둘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32,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커넥터(66)를 상기 나사축(58)과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66)와 상기 나사축(58)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종래 상기 나사축(58)의 단부에 미리 실시했던 가공 등을 제거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의 단계가 감축될 수 있어서, 상기 나사축(58)를 포함하는 전동 액추에이터(10)의 생산성(제조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나사축(58)의 타단부에 상기 지지링(78)을 설치하고, 그 외주면에서 상기 피스톤로드(62)를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축(58)의 타단부를 상기 피스톤로드(62)에 의해 반지름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나사축(58)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0)에서, 상기 나사축(58)의 축선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길게 하여 상기 변위너트(18) 및 상기 피스톤(48)의 변위량을 크게 설정한 롱스트로크 사양으로 한 경우에도, 상기 나사축(58)의 타단부가 반지름 방향으로 굽어지는 것과, 상기 나사축(58)이 상기 피스톤로드(62)에 대하여 편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변위너트(18) 및 상기 피스톤(48)을 원활하고 고정밀도로 변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나사축(58)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링(78)에 의해 상기 나사축(58)의 굴곡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변위너트(18) 및 상기 피스톤(48)을 원활하고 고정밀도로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48)의 외주면에 오목부를 통해 상기 회전멈춤부재(5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멈춤부재(50)를 상기 바디(12)의 홈부(46)에 삽입시키며, 이와 함께, 상기 회전멈춤부재(50)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부(108)가 상기 홈부(46)에 대하여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압박력(여압)을 가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바디(12)에 대한 상기 회전멈춤부재(50) 및 상기 피스톤(48)이 헐거워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으며, 상기 피스톤(48) 및 상기 변위너트(18)가 상기 나사축(58)의 회전작용 하에서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할 때에, 그 회전변위를 확실하게 저지하여 축선방향을 따라서 상기 피스톤(48) 및 상기 변위너트(18)를 원활하게 변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미리 주어진 길이로 제조형성된 상기 나사축(58)을, 상기 피스톤(48)의 스트로크변위량에 대응하여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그 단부에 상기 커넥터(66)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상기 나사축(58)를 포함하는 변위기구(20)를 제조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나사축의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동 액추에이터의 스트로크량에 대응하는 주어진 길어로 나사축(58)을 각각 형성하고 재고로 보관하는 종래의 전동 액추에이터와 비교하면,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0)를 구성하는 나사축(58)의 생산성(제조용이성)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 액추에이터(150)를 도 15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액추에이터(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 액추에이터(15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6)로부터 상기 변위기구(20)로 전달하는 구동력을 변속시켜서 전달가능한 변속유니트(변속전달기구)(152)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액추에이터(10)와 상이하다.
상기 변속유니트(152)는, 상기 바디(12)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그 일부가 커버유니트(14)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된 유성기어기구(1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성기어기구(154)는,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의 종동풀리(110)가 장착된 입력축(156)과, 상기 입력축(156)의 단부에 설치된 태양기어(158)와, 상기 태양기어(158)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각도로 서로 이격하여 맞물리고 공전 및 자전하는 유성기어(160)와, 내부기어(162) 및 캐리어(164a,164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축(156)은, 제2베어링(16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유성기어(160)는, 핀(168)에 의해 상기 캐리어(164a,164b)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유성기어(160)의 외주측에는 큰 지름의 내부기어(162)가 고정되서, 상기 유성기어(160)는 상기 내부기어(162)의 내주에 각설된 내치와 맞물린다. 상기 입력축(156)은, 상기 변위기구(20)를 구성하는 상기 피스톤(48) 및 상기 나사축(58)과 동일 축상에 설치된다. 상기 태양기어(158), 상기 유성기어(160) 및 상기 내부기어(162)는 각각 헬리컬기어로 구성된다.
또, 상기 입력축(156)측에 설치된 상기 캐리어(164a)의 외주부에는, 환상 홈을 통해 저항체로 작용하는 패킹(170)이 장착되어 상기 내부기어(162)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한다. 볼 플런저(172)를 구성하는 볼이 스프링의 탄발작용 하에서 상기 내부기어(162)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상기 내부기어(162)를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가세한다.
한편, 제1베어링(32)측에 설치된 상기 캐리어(164b)의 내주측에 커넥터(174)의 축부(68)가 나사결합되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캐리어(164b)의 회전 작용하에서 상기 커넥터(174)에 의해 나사축(58)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내부기어(162)의 외주측에는, 록업링(lockup ring)(176)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기어(162)의 잠금수단으로서 기능을 한다.
이런 방식으로,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액추에이터(150)에 변속유니트(15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부(16)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변속유니트(152)를 구성하는 유성기어기구(154)를 통해 적절히 변속시킨 후, 회전구동력을 상기 변위기구(20)로 전달하여 상기 피스톤(48) 및 상기 피스톤로드(62)를 소망하는 속도 및 변속량으로 변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동 액추에이터는,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포함되는 청구항에 밝힌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본질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의 구성 또는 변형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액추에이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나사축의 일단부에 설치된 커넥터의 근방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나사축의 타단부에 설치된 지지링 근방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지지링 및 홀더의 근방을 나타내는 가로방향단면도이다.
도 7은, 외주면에 윤활홈이 설치된 지지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8A는, 외주면에 교란홈이 설치된 지지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지지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외주면에 설치된 회전멈춤부재를 가지는 피스톤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피스톤, 변위너트 및 회전멈춤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피스톤 및 회전멈춤부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전동 액추에이터에 있어서의 지지링 및 홀더의 근방을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도 13A는, 외주면에 교란홈이 설치된 회전멈춤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 대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회전멈춤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전동 액추에이터에서 변위너트 및 피스톤이 바디의 타단부측으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액추에이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전동 액추에이터의 전체 단면도이다.

Claims (15)

  1. 바디(12);
    전류의 통전작용하에서 회전구동하는 구동부(16);
    상기 구동부(16)에 접속되고, 상기 구동부(16)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22);
    상기 바디(12)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변위하는 나사축(58)과 상기 나사축(58)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바디(12)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하는 변위부재(48)를 갖는 변위기구(20);
    상기 나사축(58)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에 접속되는 접속부재(66);
    상기 나사축(58)을 반지름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기구; 및
    상기 변위부재(48)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12)의 홈부(46)에 결합되어 상기 변위부재(48)의 회전변위를 규제하는 회전규제기구(5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나사축(58)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나사축(58)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링체(78,78a,78b)를 포함하고, 상기 링체(78,78a,78b)는 상기 변위부재(48)에 연결된 로드(62)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78,78a,78b)는 상기 링체(78,78a,78b)의 내주측에 설치된 홀더(76)에 유지되고, 상기 홀더(76)는 상기 나사축(58)에 대하여 억지끼움 또는 압입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62)의 내주면과 상기 링체(78)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78,78a,78b)는, 상기 홀더(76)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부재(8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80)는 상기 링체(78)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7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76a)가 상기 홀더(76)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80)의 외주면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링체(78a)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고리형상의 윤활홈(84)이 상기 지지부재(80)에 형성되고, 상기 윤활홈(84)에 윤활제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8. 제5항에 있어서,
    교란홈(85)이 상기 지지부재(80)에 형성되고, 상기 링체(78b)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며, 상기 지지부재(80)의 외주면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66)는 상기 나사축(58)에 대하여 억지끼움, 또는 압입 및 접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접속부재(66)는 상기 바디(12)에 설치된 베어링(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66)는 반지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74)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74)는 상기 베어링(32)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베어링(32)의 변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규제기구(50)는, 상기 변위부재(48)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주면 및 상기 변위부재(48)의 외주면에 대하여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변위부재(48)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재하는 돌출부(102)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02)는 상기 변위부재(48)에 대하여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치우친 스프링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변위부재(48)의 외주면에 압입되고, 그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반지름 방향으로 요철의 형상을 가지는 요철부(96)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2)는, 상기 바디(12)의 홈부(46)에 압입되서, 상기 스프링부(108)가 반지름 내측방향으로 축경되고, 상기 스프링부(108)의 탄성력은 상기 홈부(46)의 벽면에 대하여 반지름 외측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14. 제11항에 있어서,
    교란홈(109)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돌출부(102)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2)의 외주면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2)에는,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22)에 의해 상기 구동부(16)로부터 상기 변위기구(20)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가능한 변속전달기구(1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
KR1020090033854A 2008-04-17 2009-04-17 전동 액추에이터 KR10100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54A KR101007971B1 (ko) 2008-04-17 2009-04-17 전동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7818 2008-04-17
KR1020090033854A KR101007971B1 (ko) 2008-04-17 2009-04-17 전동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72A KR20090110272A (ko) 2009-10-21
KR101007971B1 true KR101007971B1 (ko) 2011-01-14

Family

ID=4153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54A KR101007971B1 (ko) 2008-04-17 2009-04-17 전동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7707A1 (de) * 2013-12-06 2016-10-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ktuator mit planetenwälzgewindespindel (pwg)
CN113726089A (zh) * 2020-05-25 2021-11-30 永康万户环形山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运动转换成往复直线运动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753A (ja) * 1994-03-14 1995-11-21 Fuji Electric Co Ltd 電動シリンダ
JPH1189169A (ja) 1997-09-01 1999-03-30 Ckd Corp 電動シリンダ
JP2006064162A (ja) 2004-08-30 2006-03-09 Smc Corp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7162850A (ja) 2005-12-14 2007-06-28 Smc Corp 駆動機構及び電動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753A (ja) * 1994-03-14 1995-11-21 Fuji Electric Co Ltd 電動シリンダ
JPH1189169A (ja) 1997-09-01 1999-03-30 Ckd Corp 電動シリンダ
JP2006064162A (ja) 2004-08-30 2006-03-09 Smc Corp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7162850A (ja) 2005-12-14 2007-06-28 Smc Corp 駆動機構及び電動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72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8447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US8303458B2 (en) Automatic speed reduction ratio switching apparatus
US7649290B2 (en) Bearing bush and compound movement using the same
JP6923651B2 (ja) 摩擦嵌合および/または一体型カップリングブッシュを備える搬送ローラ
KR100319820B1 (ko) 액츄에이터
US10041581B2 (en) Planetary roller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901278B1 (ko) 백래시 방지 싸이클로이드 감속기
CN101371062A (zh) 弗雷摩擦齿轮
KR101007971B1 (ko) 전동 액추에이터
JP2012132557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9050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US20040077411A1 (en) Constant velocity joint assembly
US20210268642A1 (en) Bearing, Gear Device, and Robot
JP6033733B2 (ja) 遊星歯車機構の組み立て方法
EP3763968B1 (en) Speed reducer
JP2020005447A (ja) ロックプレートとこのプレートを備えたロック装置、並びにこのロック装置を備えた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20032289A (ko) 롤러 버니싱 툴
US7517295B2 (en) Conical disk pair for a belt-driven conical-pulley transmission
JP6922407B2 (ja) 遊星ローラ式動力伝達装置
JP2010156376A (ja) 転がり軸受装置
JP6254039B2 (ja) 伸縮アクチュエータ
KR102675521B1 (ko) 플라스틱 링을 이용한 가이드 롤러
EP4151884B1 (en) Linear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output member of such actuator
CN110307268A (zh) 差动装置
JP2014214800A (ja) 伸縮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