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151A - 가축용 파워브러시 - Google Patents

가축용 파워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151A
KR20090110151A KR1020080035781A KR20080035781A KR20090110151A KR 20090110151 A KR20090110151 A KR 20090110151A KR 1020080035781 A KR1020080035781 A KR 1020080035781A KR 20080035781 A KR20080035781 A KR 20080035781A KR 20090110151 A KR20090110151 A KR 2009011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brush
livestock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183B1 (ko
Inventor
탁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
Priority to KR102008003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1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4Rubbing-pos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ush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파워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브러시와; 회전브러시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프레임을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가축용 파워브러시를 제가 제공된다.
가축, 회전브러시, 경사각, 고정부

Description

가축용 파워브러시{POWER BRUSH FOR CATTLE}
본 발명은 가축용 파워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가축용 파워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축(예를 들면 소, 말, 사슴, 돼지 등)의 피부에는 진드기, 응애 등 해충이 기생하게 된다. 특히, 흡혈 진드기 및 응애 등은 가축의 피부에 기생하면서 피부 질환, 가려움증을 유발하며, 병원균을 전염시켜 폐사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흡혈 진드기 및 응애 등을 방치할 경우 가축이 주변의 적절치 못한 대상물에 피부를 대고 문지르게 되는 데, 이때 피부에 상처를 입거나 상처를 더욱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축산 농가에서는 가축의 피부에 기생하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솔 또는 갈퀴 등을 이용하여 가축의 피부를 긁어 주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 데, 많은 가축의 피부를 일일이 긁어 주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부에서는 전기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시를 이 용하여 가축의 피부를 긁어 주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가축의 피부를 긁어 주는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가 곤란하고 구매시 경제적인 부담이 커서 쉽게 구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가축용 파워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가축의 접근 및 이격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가축에 의해 긁기 및 약제 살포가 이루어지는 가축용 파워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회전브러시와; 상기 회전브러시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을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브러시와 가축의 접촉 시 상기 가축에게 약제를 투여하는 약제투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브러시는, 중공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솔을 구비하며, 상기 약제투여부는, 상기 솔의 내측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약제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제투여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약제수용부의 상단에는 약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약제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투여부는, 상기 회전축의 상부 일 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약제가 저장되고 상기 약제수용부와 연통되는 약제저장부와, 상기 약제저장부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투여부는, 내부에 약제가 저장되고 상기 약제수용부의 일 측에 상기 약제수용부와 연통되게 배치되는 약제저장부와, 상기 약제저장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수용부 측으로 펌핑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브러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가축이 접근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사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프레임은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축에 대해 5도 내지 25도 경사지게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양 단부가 동시에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과하게 결합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회전브러시와; 상기 회전브러시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을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브러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가축이 접근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 시 상기 가축에게 약제가 투여되는 약제투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브러시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 시 약제가 투여될 수 있게 약제가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축의 피부에 기생하는 진드기, 응애 등 해충, 병원균 및/또는 먼지, 사료가루 등 이물질을 긁기, 털기 및/또는 약제 투여에 의한 살균 및 소독에 의해 가축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가축의 피부질환, 질병 및 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고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축용 파워브러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이 저렴하여 구매시 경제적인 부담이 작아 구입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며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편한 가축용 파워브러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가축의 접근에 의해 동작되고 가축의 이탈에 의해 구동이 중지되므로 기기의 조작을 위해 별도의 노동력을 장기 간 투입할 필요가 없다. 특히, 가축의 접근 및 이탈에 의해 긁기 및 약제 투여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어 설치 장소를 줄일 수 있고 해충 제거 효율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아 고장의 우려가 없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축사의 철제 기둥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수직 기둥에 설치하여도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회전브러시를 기울이기 위해 별도의 지지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수직 기둥에 설치하여도 가축의 피부와 보다 넓은 면적이 자연스럽게 접촉될 수 있어 긁기 및/또는 약제 투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설치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회전브러시(150)와;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100) 과;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고정대상물(147)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2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을 연결하는 경사프레임(13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프레임(130)은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축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θ)은 5도 내지 25도 범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축 중 소(cow)의 경우를 예를 들면 10도 내지 15도로 설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는 상기 경사프레임(130)을 수직하게 배치된 고정대상물(147)에 고정할 경우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수직방향에 대해 상기 경사각(θ)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대상 가축의 피부와 회전브러시(150)의 솔(161)의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커버(112,122)가 각각 분리 또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경사프레임(130)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리벳팅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사프레임(130)에는 상기 프레임(100)을 고정대상물(147)에 고정할 수 있게 고정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경사프레임(13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141)와, 상기 고정볼트(141)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14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4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U”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대상물(147), 즉 축사의 기둥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가축의 키(높이)에 맞춰 회전브러시(150)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사프레임(130)에는 상기 고정볼트(141)의 양 단부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41)의 양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43)에는 상기 너트(145)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회전브러시(150)는, 회전축(151)과, 상기 회전축(15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솔(161)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1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원통부(155)와, 상기 원통부(155)의 양 단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양 축부(156a,15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55)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 시 약제가 투여될 수 있도록 약제투여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투여부(170)는, 상기 원통부(155)의 내부에 형성되는 약제수용부(171)와, 상기 원통부(155)의 원주면에 관통 형성되는 약제투여공(17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55)의 상단에는 상기 약제수용부(171)에 약제를 투입할 수 있게 약제투입구(17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는 분말 또는 액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투여공(173)은 약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투입구(175)에는 상기 약제투입구(175)를 개폐할 수 있게 개폐부재(1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솔(161)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긴 띠 형 상의 지지부재(163)에 각 일단이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솔(161)은 상기 지지부재(163)를 상기 원통부(155)의 원주면에 나선형으로 감은 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55) 및 상기 솔(161)은 결합 후 상기 솔(161)의 최대 외경은 200mm 내지 300mm정도이고, 상기 솔(161) 또는 원통부(155)의 길이는 550mm 내지 65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155)의 둘레에 지지부재(163)를 권회 함에 있어, 지지부재(163)의 권회부(164) 사이에 틈새(165)가 발생되게 권회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틈새(165)를 통해 상기 약제투여공(173)을 통과한 약제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솔(161)은 원통형의 지지부재(163)에 각 일단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163)를 통과하여 약제가 방출될 수 있게 곳곳에 방출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151)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부(18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부(180)는 상기 회전축(151)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s)(181) 및/또는 축선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s)(183)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19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190)와 회전축(151) 사이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적절한 속도(예를 들면 50 rpm 내지 150 rpm 정도)로 감속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복수의 기어(19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어(193)는, 상기 구동모터(190)의 회전축(151)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94a)와,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축부(156a)에 결합되는 피동기어(194b)와, 상기 구동기어(194a) 및 피동기어(194b)에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전동기어(194c)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속도는 솔(161)의 종류, 가축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가축이 접근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205)는 빛을 이용하여 가축의 접근 및 이탈을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가축의 체온 등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200)에는 상기 감지부(205)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190)를 구동 또는 중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205) 및 상기 구동모터(190)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90) 및 제어부(200)는 상용전원 또는 축전지 등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축사의 기둥 등 고정대상물(147)에 상기 경사프레임(130)을 접촉시키고, 상기 고정볼트(141)의 내부에 상기 고정대상물(147)이 수용되게 상기 고정볼트(141)의 양 단부를 상기 관통공(132)에 각각 삽입한다. 상기 관통공(132)을 통과한 상기 고정볼트(141)의 각 단부에 너트(145)를 체결한다. 이때, 너트(145)를 완전히 체결하기 전에 가축의 키에 맞추어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높이를 조절하고, 너트(145)를 체결하여 경사프레임(130)의 유격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205)의 감지영역 내로 가축이 접근되면 상기 감지부(205)는 접근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회전되게 상기 구동모터(19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감지영역으로부터 가축이 이탈되면 상기 감지부(205)는 상기 가축의 이탈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이 중지되게 상기 구동모터(190)를 제어한다.
한편, 가축을 대상으로 약제를 투여하고자 할 때는, 상기 약제투입구(175)를 개방하고, 상기 약제수용부(171)의 내부에 투여할 분량의 약제를 투입한다. 투입된 약제는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회전되면 원심력의 작용으로 상기 약제투여공(173) 및 솔(161)의 지지부재(163) 사이의 틈새(165)를 통해 방출되고, 솔(161)을 따라 이동되어 가축의 피부에 투여된다. 이때, 상기 약제수용부(171)의 외부로 방출된 약제 중 일부는 바닥으로 떨어져 바닥에 기생하는 진드기, 기생충 및 이들의 유충과 병원성 세균 등을 박멸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제어블록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회전브러시(150)와; 상기 회전 브러시(150)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100)을 고정대상물(147)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40)와; 상기 회전브러시(15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가축이 접근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205)와; 상기 감지부(205)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구동모터(19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20)과,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축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을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프레임(130)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프레임(130)에는 고정대상물(147)에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게 고정하는 고정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양 단부가 상기 경사프레임(13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41)와, 상기 고정볼트(14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1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축(1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회전지지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브러시(150)는, 회전축(151)과, 상기 회전축(15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솔(16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솔(161)은 일 단이 지지부재(163)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163)가 상기 회전축(151)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51)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151)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원통부(155)와, 상기 원통 부(155)의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축부(156a,156b)를 구비한다. 상기 축부(156a,156b) 중 원통부(155)의 상측에 연결되는 축부(156a)는 내부에 약제의 유로가 형성되게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의 내부에 가축이 접근 및 이탈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감지부(205)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동모터(190)와, 복수의 기어(19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회전브러시(150) 및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 시 약제를 투여할 수 있게 약제투여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투여부(210)는, 내부에 약제가 일시 수용되는 약제수용부(211)와, 내부에 약제가 저장되고 상기 약제수용부(211)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약제저장부(221)와, 상기 약제저장부(221)의 유출구(227)를 개폐하는 밸브(231)를 구비한다.
상기 약제수용부(211)는 상기 회전축(151)의 원통부(155)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55)의 원주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약제가 방출될 수 있게 약제투여공(17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155)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155)와 상호 협조적으로 약제수용부(211)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215)가 수용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215)는 역 원추 형상 또는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약제수용부(211)의 하부 영역의 체적이 작아지게 함으로써 상기 원통부(155)의 내부에 수용되는 약제의 높이가 낮아져 하부영역에서 집중적으로 투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약제수용부(211)의 내부 상부영역에 수용된 약제가 하부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상하 골고루 약제가 투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약제저장부(221)는 상기 약제수용부(211)의 상측, 즉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약제저장부(221)의 내부에 저장된 약제가 중력에 의해 상기 약제수용부(211)의 내부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약제저장부(221)의 상단에는 약제투입구(2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투입구(223)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외부에서 약제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약제투입구(223)에는 약제투입구(223)를 개폐할 수 있게 개폐부재(2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상기 약제저장부(221)의 내부에 저장된 약제의 양을 관찰할 수 있게 투시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저장부(221)의 약제의 양을 감지하는 약제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약제저장부(221)의 하부에는 약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2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구(227)에는 유출관(229)이 하향 연장되어 있다. 상기 유출관(229)의 하부영역은 내부에 약제가 유동할 수 있게 관상으로 형성된 상기 회전축(151)의 상측 축부(156a)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유출관(229)에는 상기 약제저장부(221)의 내부의 약제가 선택적으로 상기 약제수용부(211)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227)를 개폐하는 밸브(2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231)는 전기력에 의해 구동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200)에는 상기 감지부(205)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회전 및 중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205) 및 구동모터(190)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필요 시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과 연동하여 약제 투여가 가능한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235)와 상기 밸브(231)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밸브(231)를 주기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개방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231) 및 제어부(200)는 약제가 일정량씩 연속적으로 이동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감지부(205)의 감지영역 내로 가축이 접근되면 상기 감지부(205)는 접근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회전되게 상기 구동모터(19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감지영역으로부터 가축이 이탈되면 상기 감지부(205)는 상기 가축의 이탈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이 중지되게 상기 구동모터(190)를 제어한다.
한편, 모드선택부(235)에 의해 약제 투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밸브(231)를 개방하여 상기 약제저장부(221)의 내부의 약제가 상기 약제수용부(211)로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약제수용부(211)의 내부에 일시 수용된 약제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작용으로 상기 약제투여 공(173) 및 솔(161)의 틈새(165)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외부로 방출된 약제 중 일부는 상기 솔(161)의 끝단으로 이동되어 가축의 피부에 투여되고, 다른 일부는 바닥으로 살포되어 바닥의 살균 또는 소독 작용을 하게 된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브러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가축용 브러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축용 브러시는, 회전브러시(150)와;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100)을 고정대상물(147)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40)와; 상기 회전브러시(15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가축이 접근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205)와;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 시 약제가 투여되도록 하는 약제투여부(240)와; 상기 감지부(205)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과,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축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을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프레임(130)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프레임(130)에는 고정대상물(147)에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게 고정하는 고정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축(1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회전지지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감지영역을 가지고 가축의 접근 및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205)와, 상기 회전브러시(15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90) 및 복수의 기어(193)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브러시(150)는, 회전축(151)과, 상기 회전축(15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솔(16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151)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원통부(155)와, 상기 원통부(155)의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축부(156a,156b)를 구비한다. 상기 축부(156a,156b) 중 원통부(155)의 하측에 연결되는 축부(156b)는 내부에 약제의 유로가 형성되게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브러시(150) 및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 시 약제를 투여할 수 있게 약제투여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투여부(240)는, 내부에 약제가 일시 수용되는 약제수용부(241)와, 내부에 약제가 저장되고 상기 약제수용부(241)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약제저장부(251)와, 상기 약제저장부(251)의 약제를 상기 약제수용부(241)로 펌핑하는 펌프(265)를 구비한다.
상기 약제수용부(241)는 상기 원통부(155)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55)의 내부에는 상기 원통부(155)와 상호 협조적으로 약제수용부(241)를 형성할 수 있게 공간형성부재(245)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부(155)의 원주면에는 약제투여공(173)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형성부재(245)가 결합되는 영역에만 상하방향을 따라 약제투여공(17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공간형성부재(24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단면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55)의 내부 저부에는 상기 각 공간형성부 재(245)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151)의 하측 축부(156b)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약제저장부(2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약제저장부(251)의 상단에는 약제를 주입할 수 있게 약제투입구(2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투입구(253)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투입구(253)에는 개폐부재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약제저장부(251)의 하부에는 약제가 유출될 수 있게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와 상기 하측 축부(156b) 사이에는 약제가 이동할 수 있게 약제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약제유로에는 상기 약제저장부(251)의 약제가 상기 약제수용부(241)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게 펌핑하는 펌프(265)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265)의 하류 측에는 약제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보조탱크(2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에는 가축의 접근 및 이탈에 의해 상기 회전브러시(150)를 회전 또는 중지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도록 감지부(205) 및 구동모터(19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시 약제가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 약제 투여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모드선택부(235) 및 펌프(265)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감지부(205)의 감지영역 내로 가축이 접근되면 상기 감지부(205)는 접근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150)가 회전되게 상기 구동모터(190)를 제어한다. 또 한, 상기 감지영역으로부터 가축이 이탈되면 상기 감지부(205)는 상기 가축의 이탈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회전브러시(150)의 회전이 중지되게 상기 구동모터(190)를 제어한다.
한편, 모드선택부(235)에 의해 약제 투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펌프(265)를 제어하여 상기 약제저장부(251)의 약제가 상기 보조탱크를 경유하여 약제수용부(241)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약제수용부(241)로 이동된 약제는 약제투여공(17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약제수용부(241)의 외부로 방출된 약제 중, 일부는 솔(161)을 따라 가축의 피부로 투여되고, 다른 일부는 바닥으로 살포되어 바닥의 살균 또는 소독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도 1의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제어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가축용 파워브러시의 제어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브러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가축용 브러시의 제어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레임 110 : 상부프레임
120 : 하부프레임 130 : 경사프레임
140 : 고정부 150 : 회전브러시
151 : 회전축 155 : 원통부
156a,156b : 축부 161 : 솔
170 : 약제투여부 173 : 약제투여공
175 : 약제투입구 175 : 개폐부재
180 : 회전지지부 190 : 구동모터
193 : 기어 200 : 제어부
205 : 감지부

Claims (13)

  1. 회전브러시와;
    상기 회전브러시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을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와 가축의 접촉 시 상기 가축에게 약제를 투여하는 약제투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는, 중공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솔을 구비하며,
    상기 약제투여부는, 상기 솔의 내측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약제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제투여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수용부의 상단에는 약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약제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투여부는, 상기 회전축의 상부 일 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약제가 저장되고 상기 약제수용부와 연통되는 약제저장부와, 상기 약제저장부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투여부는, 내부에 약제가 저장되고 상기 약제수용부의 일 측에 상기 약제수용부와 연통되게 배치되는 약제저장부와, 상기 약제저장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수용부 측으로 펌핑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가축이 접근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사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은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축에 대해 5도 내지 25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 단부가 동시에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과하게 결합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11. 회전브러시와;
    상기 회전브러시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을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브러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가축이 접근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브러시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 시 상기 가축에게 약제가 투여되는 약제투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 시 약제가 투여될 수 있게 약제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파워브러시.
KR1020080035781A 2008-04-17 2008-04-17 가축용 파워브러시 KR10103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781A KR101033183B1 (ko) 2008-04-17 2008-04-17 가축용 파워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781A KR101033183B1 (ko) 2008-04-17 2008-04-17 가축용 파워브러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51A true KR20090110151A (ko) 2009-10-21
KR101033183B1 KR101033183B1 (ko) 2011-05-06

Family

ID=4153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781A KR101033183B1 (ko) 2008-04-17 2008-04-17 가축용 파워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1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42Y1 (ko) * 2010-10-06 2013-01-24 현동호 가축용 브러쉬
EP3607903A1 (de) * 2018-08-09 2020-02-12 Horst Stehr Vorrichtung zur sanften zeckenentfernung durch rotation
WO2020030464A1 (de) * 2018-08-09 2020-02-13 Stehr Isabell Kerstin Zeckendreher/tick-rotator
WO2020212236A1 (de) * 2019-04-13 2020-10-22 Stehr Isabell Kerstin Vorrichtung zum entfernen milbenartiger parasiten mittels dreh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051U (ja) * 1991-10-22 1993-05-21 株式会社大阪製薬 害虫駆除用ブラシ
JPH11290130A (ja) 1998-04-04 1999-10-26 Takahashi Plastic Kogyo:Kk 薬剤の塗布用具
KR200169176Y1 (ko) * 1999-07-21 2000-02-15 하무증 가축용빗
KR20010069176A (ko) * 2000-01-11 2001-07-23 이상복 간장저림 버섯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90Y1 (ko) * 2000-06-02 2000-10-16 이재호 가축의 피부를 긁어주기 위한 회전장치
KR100416305B1 (ko) * 2000-06-21 2004-01-31 제일약품주식회사 케토프로펜을 함유한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로구성된 경피 흡수 제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42Y1 (ko) * 2010-10-06 2013-01-24 현동호 가축용 브러쉬
EP3607903A1 (de) * 2018-08-09 2020-02-12 Horst Stehr Vorrichtung zur sanften zeckenentfernung durch rotation
WO2020030464A1 (de) * 2018-08-09 2020-02-13 Stehr Isabell Kerstin Zeckendreher/tick-rotator
WO2020212236A1 (de) * 2019-04-13 2020-10-22 Stehr Isabell Kerstin Vorrichtung zum entfernen milbenartiger parasiten mittels drehung
CN114072083A (zh) * 2019-04-13 2022-02-18 马里帕诺有限公司 用于借助转动来去除螨类寄生虫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183B1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183B1 (ko) 가축용 파워브러시
RU2417781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мывания копыт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US20080257272A1 (en) Disinfecting pet watering device and method
GB2476996A (en) Feeder with auger and indexing mechanism
KR20220031621A (ko) 곤충-기반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CN110292647A (zh) 一种牛养殖圈舍清洗消毒装置
KR20190121949A (ko) 양돈용 액상 사료 제조 장치
KR100871666B1 (ko) 오존수 자동화 공급장치
CN112470951B (zh) 全自动宠物猫厕所
CN210170509U (zh) 一种农业养殖用喷药器
WO2020169023A1 (zh) 鱼缸自动净化设备
CN109220869A (zh) 一种农业畜牧养殖用清洗装置
CN214015435U (zh) 一种全自动宠物猫厕所
CN111662805B (zh) 养殖场卧床垫料的衔接式发酵装置
KR20200144270A (ko) 반려동물 하우스
CN209002577U (zh) 一种家畜养殖用投料装置
CN113475409B (zh) 一种牛羊养殖用喂养设备及方法
CN110250089B (zh) 一种鳗鱼养殖水质调节装置
CN208958397U (zh) 一种兽医专用治疗护笼
Bohs et al. Culex automated blood sampler part II: Managing freely-moving animals and monitoring their activity
CN216629233U (zh) 一种用于鸡场疫病防控的养殖场清洁消毒装置
CN208891528U (zh) 一种园林打药机
CN112353524A (zh) 畜牧养殖用可降低养殖人员工作疲劳度的药浴装置
CN216983065U (zh) 养殖料线加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