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793A -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793A
KR20090109793A KR1020080035204A KR20080035204A KR20090109793A KR 20090109793 A KR20090109793 A KR 20090109793A KR 1020080035204 A KR1020080035204 A KR 1020080035204A KR 20080035204 A KR20080035204 A KR 20080035204A KR 20090109793 A KR20090109793 A KR 2009010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mposition
lutein
lycop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정
강덕영
강명보
최찬미
Original Assignee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filed Critical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Priority to KR102008003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793A/ko
Publication of KR2009010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7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42Zin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6Vitamin B8 Folic ac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로감염 및 전립선염을 예방하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및 피로회복 효과를 지니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으로 이루어진 제1성분, 은행엽 추출물, 라이코펜, 루테인, 셀레늄, 엽산, 아연 및 오메가-3-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제2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요로감염 및 전립선염 예방, 항산화, 콜레스테롤감소, 크랜베리(cranberry)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라이코펜, 루테인, 은행엽 추출물, 셀레늄, 엽산, 아연, 오메가-3-지방산

Description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Cranberry or RUBUS COREANUS}
본 발명은 요로감염 및 전립선염을 예방하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및 피로회복 효과를 지니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크랜베리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라이코펜 (lycopene), 루테인 (lutein), 은행엽 추출물, 셀레늄(selenium), 엽산(folic acid), 아연(zinc) 및 오메가-3 지방산(omega-3-fatty acid)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립선염 예방효과, 자유라디칼 소거를 통한 항산화 효과, 동맥경화증 등을 유발하는 콜레스테롤의 감소 효과, 피로 회복 효과를 지니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의학 및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인해 생명연장의 시대에 진입하였으나 사회의 서구화 및 현대화가 진행되면서 운동 부족, 스트레스 증가, 과식, 동물성 식품의 섭취 증가 등으로 인해 심혈관 질환, 암, 고혈압,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이의 예방이나 치료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가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과 장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 기능성 식 품의 개발 또는 기존 식품의 건강기능성 보강 쪽으로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회의 현대화와 더불어 성인병의 사전예방의 중요성이 갈수록 더하는데 이를 위한 일차적 방법으로는 음식물의 고른 섭취를 통한 균형 잡힌 영양공급이다. 각종 음식물에는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 및 영양공급원 이외에도 질병을 막아주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필수성분들이 들어있어 음식물의 고른 섭취만으로도 성인병 예방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음식물을 통해 섭취되는 성인병 예방성분의 양은 충분하지 않아 장기간 적정량을 균형적으로 섭취하기 어렵다는 데 그 한계가 있다.
성인의 건강유지를 위한 이차적 방법으로는 식물에 소량으로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들 중 특정 성분을 추출하여 만든 각종 건강보조식품들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성인건강관련 보조식품들의 경우 특정 생리활성물질만을 단일 성분으로 과다 함유하고 있어, 이미 노화가 진행되어 있는 성인이 장기간 복용 시 영양의 불균형 및 간 기능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성인의 경우 성인병 중 어느 한 성인병의 발병은 바로 다른 성인병을 유발하므로 종합적인 신체기능의 유지 및 강화가 중요하다. 즉 면역기능 등의 신체방어기작이 약해지고 신체의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생리작용의 이상으로 인한 성인병의 발병은 바로 신체대사의 불균형을 가져와서 관련 성인병의 발병을 초래하여 결국 합병증에 의한 사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강의 유지 및 성인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노화가 진행되고 있는 성인의 신체 내에서 항상 성을 보완해주는 효과를 가지는 여러 활성성분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한다. 즉 신체의 다양한 대사조절기능을 조절하는 여러 활성물질들을 함께 공급함으로써 종합적인 신체기능을 유지하는 게 성인건강의 주력점이라 하겠다.
크랜베리(Cranberry)는 우수한 항암효과, 항산화 효과를 지닌 폴리페놀류 (안토시아닌)를 포함하고 있다. 주요 과일 중 가장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으며 (농업,식품화학회지, 2001), 세균 부착 억제효과가 있어 요로감염, 위궤양 등의 예방효과가 있다. 대표적인 약성으로는 방광염, 요도염, 신우신염 등의 요로 감염 및 전립선염을 예방하고, 재발위험을 줄여준다. 미국특허 제7,270,837호에서는 크랜베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 이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복분자는 안토시아닌, 비타민C, 엽산, 아연 성분을 가지고 있어 항암효과, 항산화효과를 지닌다. 또한 이뇨작용 조절, 신장의 기능을 보호해주는 작용을 하므로 야뇨증에 효과가 있으며, 남성의 정력증진, 여성의 불임증에 효과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05-0089241호에서는 복분자 나무뿌리 및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라이코펜(lycopene)은 피토케미칼(phytochemical)로서 토마토, 수박, 파파야, 붉은 포도, 딸기, 감, 석류, 자몽, 구아바 등에서 빨간 색소를 띄게 하는 색소이다. 일부 식물과 동물에게서 합성되며 자외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수종의 자유라디칼(free radical) 공격에 대응하는 무기로 진화해 왔다. 자유라디칼을 소거하는 점에서 비타민 E보다 월등히 뛰어나며 (Fuhrman et al., Tomatoes lycopene and β-carotene inhibit low density lipoprotein oxiation and this effect depends on the lipoprotein vitamin E content. Nutr Metab. Cardiovasc. Dis 7, 1997, 433-443), 이것은 라이코펜이 LDL 콜레스테롤의 산화가 미치는 심장병을 예방하는데 훌륭한 항산화제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라이코펜(lycopene)은 루테인(lutein)과 결합할 때 항산화팀플레이를 함으로써 더욱 효과가 있다. 인체는 자체 항산화 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의 기능이 40대 이후로 극도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SOD를 대신해서 활성산소와 싸우는 물질이 라이코펜, 셀레늄 등이다.
라이코펜(lycopene)은 베타카로틴(β-carotene)과 같이 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화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타카로틴 이상의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노화방지, 항암효과 (전립선암), 심혈관질환 예방 및 혈당저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암세포 성장을 도모하는 주요 조절 인자인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s) 인자를 강력하게 억제하며, 단백질 43효소를 자극하여 세포 간 연락장치(gap junction)를 발현시키는데, 세포 간 연락장치의 발현은 암의 억제와 깊은 연관이 있다. 동물이나 암세포를 이용한 일부 실험에선 폐암, 간암,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방광암, 췌장암 등에도 효과를 보였으며,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실험에서는 유방암, 전립선암에 대해 탁월한 방어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루테인(lutein)은 시금치, 옥수수, 아보카도 등에 함유된 노란색의 카로티노이드 계열 식물영양소이며, 눈의 망막에 다량 함유된 영양소로 시력 보호 및 유지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내장이나 나이와 연관된 황반변성의 위험을 낮춰준 다. 또한 지잔틴(zeaxanthin)과 함께 눈의 황반부에 있는 유일한 카로티노이드로서 망막 카로티노이드의 절반을 구성하여 눈에 특정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 이들의 생리작용은 아직까지 크게 알려져 있지 않다.
은행엽 추출물은 동맥의 혈관은 확장하고, 정맥의 혈관은 수축시키며 모세혈관의 신축성을 증진시키고 혈소판이나 적혈구의 응집을 억제한다. 또한 모세혈관의 과다투과성을 줄여주고, 조직으로의 혈행을 원활하게 하여 세포대사를 촉진한다. 은행엽 추출물의 성분인 징코라이드 B(ginkgolide B)는 혈소판 응집인자 (PAF, 혈소판과 백혈구, macrophage, 혈관상피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인지질로 세포간 매개인자)의 작용을 억제한다.
셀레늄(selenium)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량원소(무기질)로서 정상적인 산소 대사 과정에서 생기는 자유기(free radicals)로부터 세포를 지키는 항산화효소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다. 면역체계와 갑상선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서도 셀레늄은 필수적이다.
엽산은 비타민의 일종으로 적혈구를 만드는데 기여하며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 엽산은 육류, 간, 녹황색 채소, 콩, 시리얼에 많이 있다.
아연은 눈의 망막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며, 소화, 대사, 생식 및 창상치유에 관련된 100종 이상의 효소의 필수적 부분이다. 아연은 황반 변성 변화를 지연시키는데 위약에 비해 현저하게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Newsome, Arch Ophthalmol 106:192-8, 1988). 산화아연이 원소 아연에 대한 최대의 농축된 형태를 제공하며 소화기계에서 잘 허용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일부 정제에서는 산화아연 형태의 아연이 바람직하다.
오메가-3-지방산 (omega-3-fatty acid)은 연어, 참치 등 등푸른 생선과 호두, 아마씨 등에 풍부하다. 뇌의 50% 이상 지방을 차지하며 필수지방산인 알파-리놀레닉산 (α-linolenic acid)과 DHA (docosahexaenoic acid)), EPA (Eicosa- pentaenoe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DHA는 뇌, 신경 눈 조직 구성에 필수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으며 모유를 통해 자연적으로 섭취된다. EPA는 심장혈관 시스템의 염증과 혈액응고를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HA와 EPA는 머리를 좋게 하고,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등과 같은 순환기 계통의 성인병 예방 효과는 물론 당뇨병과 암 및 노화, 치매 예방의 효과가 있다. 여러 임상실험에 따르면 EPA를 풍부하게 섭취한 경우 류머티스 관절염, 크론씨병, 천식, 다발성 경화증, 피부 질환 등에 덜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뼈 손상,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의 주요한 구성 성분으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해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고, 그에 더하여 라이코펜, 루테인, 셀레늄, 엽산, 아연, 오메가-3-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요로감염 및 전립선염을 예방하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및 피로회복 효과를 지니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은행엽 추출물, 라이코펜, 루테인, 셀레늄, 엽산, 아연 및 오메가-3-지방산을 포함하는 항산화작용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 15~40 중량%, 은행엽 추출물 5~20 중량%, 라이코펜 10~40 중량%, 루테인 10~40 중량%, 셀레늄 0.02~0.04 중량 %, 엽산 0.05~0.07 중량%, 아연 2~3 중량% 및 오메가-3-지방산 2~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작용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정제 및 캡슐제, 연질캡슐제, 과립제, 액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건강 식품 또 는 음료 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작용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랜베리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라이코펜, 루테인, 은행엽 추출물, 셀레늄, 엽산, 아연, 및 오메가-3-지방산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우수한 요로감염 및 전립선염 예방효과, 항산화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및 피로회복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 라이코펜, 루테인, 은행엽 추출물, 셀레늄, 엽산, 아연, 및 오메가-3-지방산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함량은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 15~40 중량%, 은행엽 추출물 5~15 중량%, 라이코펜 10~20 중량%, 루테인 10~20 중량%, 셀레늄 0.02~0.04 중량 %, 엽산 0.05~0.07 중량%, 아연 2~3 중량 % 및 오메가-3-지방산 2~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랜베리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2종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함량은 전제 조성물 대비 1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필수성분 이외에 항산화 비타민, 아미노산 및 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미네랄 (마그네슘, 칼슘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타민류로는 비타민 A, 비타민 B1, B2, B6, B12,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F, 비타민 G, 비타민 H, 비타민 K 및 인체에 필요한 통상의 비타민류를 함유할 수 있다. 비타민류 중에서 지용성의 비타민인 경우에는 적당량의 유화제를 가하여 유탁시킨 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아미노산류로서는 글리아신, 알라닌, 발틴, 글루타민산,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타이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 라이코펜, 루테인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한다.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은 상기 크랜베리 열매 또는 복분자 열매로부터의 고형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크랜베리 열매 또는 복분자 열매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 및/또는 분확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은행엽 추출물, 라이코펜(lycopene), 루테인(lutein), 셀레늄(selenium), 엽산(folic acid), 아연(zinc) 및 오메가-3-지방산 (omega-3-fatty acid)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강음료의 제조시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라이코펜은 토마토 올레오레진, 토마토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합성 라이코펜의 형태일 수도 있다.
루테인은 옥수수, 계란 난황, 시금치, 브로콜리 및 기타 녹색잎 야채에서 추출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형태의 루테인 약 6 g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루테인 약 0~3 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50 μg을 포함할 수 있다.
영양 보충제로서 엽산은 약 1000 μ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엽산 약 0 내지 800 μg, 가장 바람직하게는 엽산 약 400~800 μg을 포함할 수 있다.
아연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아연 약 3~15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mg을 포함할 수 있다.
셀레늄은 약 400 μg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80 μg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형태로 투여되는 셀레늄 약 15~180 μ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합비타민 및 무기물 영양 보충제는 구강 투여용이고, 고체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활성 물질 이외에 종합 비타민 및 무기물 영양 보충제는 부형제 및 흡수제, 희석제, 향로, 착색제, 안정화제, 충전제, 결합제, 분해제, 윤활제, 습윤제, 유동화제, 항접착제, 당분 또는 필름 피복제, 방부제, 완충제, 인공조미료, 천연조미료, 분산제, 증점제, 가용화제 등 같은 처리 보조제 또는 이들의 몇몇 배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물 조성은 주약의 약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예를 들어 유당과 같은 희석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같은 활택제, 폴리비닐피롤돈과 같은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과 같은 붕해제 등을 첨가하여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과립제, 액제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형으로 만들 수 있다.
아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실시예 1~3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습식과립압축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을 하기의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혼합한 다음 약 10분간 혼합한다. 과립화는 저속 혼합으로 시작하고, 허용가능한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하면서 물을 정기적으로 첨가했다. 허용가능한 입자가 수득되면, 입자를 유동층 건조기에서 유입 기체 온도 약 90℃의 공기로 건조시켰다. 입자는 건조 잔여량에 대한 자외선 손실에 의해 측정된 수분함량이 약 1.5 중량% 이하로 되도록 건조했다. 상기혼합물에 라이코펜, 루테인, 셀레늄, 엽산, 아연 및 오메가-3-지방산, 유당 및 옥수수전분을 최종적으로 혼합하여 약 2분 동안 지속적으로 혼합한다. 이렇게 수득된 입자를 로타리(Rotary)식 타정기로 정제로 압축시키거나 통상의 방 법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27097579-PAT00001
실시예 4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표 2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08027097579-PAT00002
비교예 1~2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라이코펜, 루테인, 엽산, 아연 및 오메가-3-지방산을 연합하고 잘 혼합한 후 건조시킨다. 상기혼합물에 유당 및 옥수수전분을 최종적으로 혼합한 다음 1정의 중량을 640 mg씩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으로 제조한다. 실험을 위해 적절한 형태의 부형제가 추가되었으며 유효성분은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08027097579-PAT00003
실험예 1 : 자유라디칼 소거능 실험
크랜베리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라이코펜, 루테인, 셀레늄, 엽산, 아연, 오메가-3-지방산을 배합한 실시예 1 ~ 실시예 3의 복합제 조성물과 비교예에 대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IC50값으로 구하여 비교하였다.
사용된 방법은 1,1-Diphenyl-2-Pycryl-Hydrazyl (DPPH)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Blois, M.S. Nature 181, 1190(1958)).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라디칼 상태로 존재 시 517 nm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는다. DPPH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0.15 mM의 농도로 메틸알코올에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제제를 10 ㎍/㎖로 제조하여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씩 넣는다. 여기에 DPPH 용액을 100㎕씩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foplate reader, Bio Rad)를 이용하여 517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실시예의 항산화성 평가를 위해 메틸알코올 100 ㎕만을 사용한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비교예의 시료를 처리한 것의 흡광도가 대조군의 흡광도 절반이 될 때의 시료 농도를 IC50 (Inhibitory Concentration 50)으로 표시하였으며, 그 경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08027097579-PAT00004
실험 결과, 비교예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 실시예 3의 복합제 조성물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콜레스테롤 수치 측정실험
실시예 1, 2, 3의 복합 조성물이 감소시키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맥경화 억제효과 측정웅성흰쥐 8마리를 1군으로 하여 정상군에는 올리브유만을, 대조군에는 콜레스테롤 40 mg/kg과 콜레칼시페롤 3200 IU/kg을 동시에 올리브유에 용해시켜 28일 동안 1일 1회 경구투여하여 동맥경화증을 유발시킨 후, 상기 실시 예 1, 2, 3에서 조제한 복합 조성물을 각각 00 g/kg의 농도로 00일 동안 후처리하였다. 처리방법은 1일 1회 경구투여하고,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동 량의 생리식염수를 동일한 방법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최종일에 정상군과 대조군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우레탄마취하에서 복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얻은 혈액을 3000rpm하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용혈되지않은 혈청을 채취한 다음, 효소법에 의하여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 (T.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 중에 함유된 HDL-콜레스테롤의 함량(HDL-콜/T.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으며, 혈청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은 측정용 키트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5]
Figure 112008027097579-PAT00005
실험예 3 : 스트레스 유발모델에서의 피로회복 효과 실험
약물의 피로회복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동물 모델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침스트레스 유발 모델을 사용한다. 랫트를 고정틀에 고정시키고 수침 스트레스를 부하하였을때 부신 무게의 증가, 부신중의 비타민 C함량의 감소, 비장 무게의 감소가 일어난다고 보고되었다(Brekhamann, I, I : Lloydia vol.32, No.1, 46∼51, 1965).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도 피로의 원인인 수침 스트레스트를 가하여 랫트의 부신과 비장의 무게, 부신의 비타민 C 함량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여 피로회복 효과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시험약을 0.5% CMC.Na에 녹여 스트레스 유발 2시간전, 유발 후 6 및 21시간 후에 경구투여 하였으며, 정상군 및 대조군에는 0.5% CMC.Na만을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의 비장 및 부신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부신속에 포함되어 있는 비타민 C의 함량은 자노이(Zannoi)의 방법(Biochemical Medicine, 11, 41-48, 1974)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기재하였다.
[표 6]
Figure 112008027097579-PAT00006
* 회복율 = (실험군-대조군)/(정상군-대조군) x 100
피로회복 효과를 확인하고 가장 효과적이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농도를 여러 가지로 변화시켜 시험한 결과 투여총량 대비 효과면에서 5 내지 100 ㎎/㎏체중 투여군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Claims (3)

  1.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으로 이루어진 제1성분, 은행엽 추출물, 라이코펜, 루테인, 셀레늄, 엽산, 아연 및 오메가-3-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제2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 15~40 중량%, 은행엽 추출물 5~20 중량%, 라이코펜 10~40 중량%, 루테인 10~40 중량%, 셀레늄 0.02~0.04 중량%, 엽산 0.05~0.07 중량%, 아연 2~3 중량% 및 오메가-3-지방산 2~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로감염 및 전립선염 예방효과, 항산화작용을 갖는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과립제 또는 액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 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080035204A 2008-04-16 2008-04-16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KR20090109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04A KR20090109793A (ko) 2008-04-16 2008-04-16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04A KR20090109793A (ko) 2008-04-16 2008-04-16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793A true KR20090109793A (ko) 2009-10-21

Family

ID=4153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204A KR20090109793A (ko) 2008-04-16 2008-04-16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7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32B1 (ko) * 2011-07-05 2013-06-11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를 포함하는 케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5844A (ko) 2014-08-28 2016-03-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프릴산 및 크랜베리를 포함하는 요로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US10154980B2 (en) * 2013-04-04 2018-12-18 Lycored Ltd. Anti-inflammatory omega-3 synergistic combinations
KR20200078185A (ko) * 2018-12-21 2020-07-01 농업회사법인(주)강림오가닉 들기름의 식물성 오메가-3에 지용성 비타민 d와 e 및 루테인 성분을 함유시킨 혼합물을 식물성 연질 캡슐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들기름의 식물성 오메가-3에 지용성 비타민 d와 e 및 루테인 성분을 함유시킨 혼합물을 식물성 연질 캡슐형으로 제조한 건강기능식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32B1 (ko) * 2011-07-05 2013-06-11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를 포함하는 케첩 및 이의 제조방법
US10154980B2 (en) * 2013-04-04 2018-12-18 Lycored Ltd. Anti-inflammatory omega-3 synergistic combinations
KR20160025844A (ko) 2014-08-28 2016-03-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프릴산 및 크랜베리를 포함하는 요로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078185A (ko) * 2018-12-21 2020-07-01 농업회사법인(주)강림오가닉 들기름의 식물성 오메가-3에 지용성 비타민 d와 e 및 루테인 성분을 함유시킨 혼합물을 식물성 연질 캡슐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들기름의 식물성 오메가-3에 지용성 비타민 d와 e 및 루테인 성분을 함유시킨 혼합물을 식물성 연질 캡슐형으로 제조한 건강기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uhan A pilot study on wheat grass juice for its phytochemical, nutritional and therapeutic potential on chronic diseases
US7887847B2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JP4738464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用飲食品
US20080254135A1 (en) Resveratrol-containing compositions for general health and vitality
US20090098230A1 (en) Nutraceutical moringa composition
KR20190007412A (ko) 식이 및 운동 후 체중 감량 및 심대사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조성물
IL196133A (en) Apanizomonone Plus Aqua Extracts and Nutrient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Containing Them
ES2965143T3 (es) Composición de aceite vegetal y usos de la misma
Arumugam et al. Fruits and vegetables as Superfoods: Scope and demand
US8067045B2 (en) Nutritional formul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80085330A1 (en) Compounds for stimulating stem cell proliferation including spirulina
Sarialtin et al. An overview on the role of macular xanthophylls in ocular diseases
Fürst The role of antioxidants in nutritional support
CA2964067A1 (en) Marine lecithin preparations with enhanced oxidation resistance
KR20090109793A (ko) 크랜베리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KR20100109697A (ko) 체중감량 및 고지혈증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
Elhassaneen et al. Effect of some plant parts powder on obesity complications of obese rats
KR101672274B1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90202668A1 (en) Use of a polyphenol in the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endothelial dysfunction or other vascular sequellae
KR20050099310A (ko) 백녹색 과채류를 주재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US20080089905A1 (en) COMPOUNDS FOR STIMULATING STEM CELL PROLIFERATION INCLUDING AFA-OMEGA (EtOH)
Tufail et al. Wheatgrass juice: A nutritional weapon against various maladies
RU2115336C1 (ru) Биоактивный препарат "прополин"
RU277856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добавки
CA2585010A1 (en) Resveratrol-containing compositions for general health and vit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