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025A -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025A
KR20090109025A KR1020080034417A KR20080034417A KR20090109025A KR 20090109025 A KR20090109025 A KR 20090109025A KR 1020080034417 A KR1020080034417 A KR 1020080034417A KR 20080034417 A KR20080034417 A KR 20080034417A KR 20090109025 A KR20090109025 A KR 20090109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naf
polypropylene
natural fiber
biocomposites
m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512B1 (ko
Inventor
조동환
이현석
한성옥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3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51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빔 처리한 천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는 폴리프로필렌 대비 기계적 특성과 동적 기계적 열 특성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천연섬유,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 전자빔 처리

Description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Amethod for preparing kenaf and polypropylene biocomposites}
본 발명은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빔 처리한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가능한 천연섬유와 생분해 혹은 비생분해성 고분자 매트릭스간 혼합하는 바이오복합재료의 잇점으로는 환경친화적이고, 경량, CO2 감소, 가공의 용이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반해 단점으로는 불량한 계면접착, 흡수성(water absorption), 제한된 열안정성, 불규칙한 섬유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의 일종으로서 케나프 섬유는 셀룰로오스 45-57%, 헤미셀룰로오스 21-23%, 리그닌 8-13% 및 기타 (펩틴, 왁스)로 구성되는 것으로 저비용일 일 뿐 아니라 저밀도(1.42g/cm3)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로프, twine, 의류 및 제지 제조시 사용되어 왔다.
이같은 케나프 섬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가능할 정도의 기계적 특성, 쉬운 조립성, 우수한 치수 안정성, tubular/cellular 구조를 갖는다.
이같은 천연섬유 및 고분자로 이루어진 바이오복합재료 관련 선행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7004507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기 특허출원은 수지와 셀룰로오즈 또는 리그노셀룰로오즈 섬유의 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 섬유는 케나프(청구항 5항) 및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청구항 10항)으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천연섬유 및 열가소성 고분자의 조성물을 기재로 하는 성형성 펠렛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7014189호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출원은 대다수의 휘감은 섬유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스트랜드, 및 열가소성 재료의 외장부를 포함하는 성형성 재료에 관한 것으로, 천연 섬유로는 케나프(청구항 2항) 및 열가소성 재료로는 폴리프로필렌(청구항 4항)으로 이루어진 성형성 재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기계적 특성 등을 개선시키기 위한 특별한 기술에 대하여는 전혀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같은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함에 있어 기계적 특성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면서 가공의 용이성 또한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섬유/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하여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함에 있어 기계적 특성 등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가공 또한 용이한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섬유/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로는 케나프, Jute, Coir, 볏짚, Sisal, Flax, Hemp 또는 Banana를 사용하되 전자빔을 사용하여 표면을 개질하고,
상기 표면개질된 천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는 이중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복합재료는 압축 성형 혹은 사출 성형에 의해 바이오복합재료로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섬유/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굴곡강도 최고 약 100MPa, 굴곡 탄성률 최고 약 5 GPa, 인장강도 최고 약 60 MPa, 탄성률 최고 약 5 GPa인 압축성형된 천연섬유/PP 바이오복합재료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굴곡강도 최고 약 100 MPa, 굴곡 탄성률 최고 약 5 GPa, 인장강도 최고 약 60 MPa, 탄성률 최고 약 5 GPa인 사출성형된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의 바이오복합재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로는 케나프, Jute, Coir, 볏짚, Sisal, Flax, Hemp 또는 Banana를 사용하되 전자빔을 사용하여 표면을 개질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자빔 조건은 1-100kGy 범위내이면 충분하며, 20kGy 이하, 특히 5-20kGy 범위내이면 물성 강화 측면에서 볼 때 가장 바람직하다.
이같이 표면개질된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는 이중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하게 된다. 상기 압출기의 내부온도 profile은 130, 150, 160, 180℃ 이고, 회전속도는 20-250rpm이고, 공급속도는0.5-10kg/hr이고, 천연섬유의 측면 공급속도는 3-100kg/hr이고 천연섬유 함량은 10-60 wt%이었으며, 이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함량은 40-9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압출기내 공급속도는 2kg/hr이고, 천연섬유의 측면 공급속도는 23kg/hr이고 천연섬유 함량은 30 wt%인 것이 폴리프로필렌 수지내에 분산된 천연섬 유의 분산, 압출물의 균일성, 그리고 얻어진 바이오복합재료 물성 향상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가 다른 함량비보다 바람직하다.
이같이 혼합된 복합재료는 압축성형 혹은 사출성형에 의해 바이오복합재료로서 성형하게 된다.
구체적인 압축성형 조건은 150-250℃, 500-1500psi에서 10-60분간 수행되면 충분하며, 사출 성형조건은 150-250℃, 1-15분간 수행되면 충분하다.
이같은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굴곡강도 최고 약 100 MPa, 굴곡 탄성률 최고 약 5 GPa, 인장강도 최고 약 60 MPa, 탄성률 최고 약 5 GPa인 압축 성형된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의 바이오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같은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굴곡강도 최고 약 100 MPa, 굴곡 탄성률 최고 약 5 GPa, 인장강도 최고 약 60 MPa, 탄성률 최고 약 5 GPa인 사출성형된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의 바이오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에 천연 단섬유를 이중축 압출 기술을 통해 편입시킴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단독의 기계적 특성 및 열변형온도를 현저하게 증강시키게 된다. 또한, 사출성형 대비 압출 성형시 굴곡 및 인장 특성이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압출 성형동안 느린 냉각 속도에서 보다 바람직한 재결정 거동이 수행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사출성형된 바이오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또한 성형도중 사출 노즐을 통한 천연섬유 정렬로 인하여 훨씬 증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천연 섬유의 표면을 전자빔으로 개질함으로써 친수성 천연 섬유와 소수성 고분자 매트릭스 기질간 계면접착력(interfacial adhesion)을 증강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재료
1) 케나프 섬유:
셀룰로오스 45-57%, 헤미셀룰로오스 21-23%, 리그닌 8-13% 및 기타 (펩틴, 왁스)로 구성되고, 저밀도(1.42g/cm3).
2) 폴리프로필렌:
대한민국 효성사에서 공급받은 제품으로, 상표명은 J-640 PP이다.
구체적인 물성값은 다음과 같다:
Melt Flow Index: 10 g/10min
Melting Temperature: 161℃
Heat deflection Temperature: 108℃
실시예 1 - 케나프 섬유/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 제조
우선, 케나프 섬유에 20 kGy 이하의 매우 낮은 세기에서 전자빔을 처리하던가 혹은 처리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전자빔 처리 혹은 미처리 kenaf 섬유를 각각 공급받은 상태(straight fibers)상태에서 kenaf 섬유의 압출기 내로의 feeding의 문제점으로 인해 평균길이 약 10 mm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그런 다음 절단된 케나프 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이중축 압출기(Modular Intermeshing사 제품, 상표명 LG(BT-30-S2-421, Ø 30 mm)에서 혼합하였다.
이때 압출조건은 여러 온도 및 섬유 함량 등의 여러 가지 변수들을 고려하여 압출공정을 다수회 수행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Barrel temperature(℃) Screw speed (rpm) Feed rate (kg/hr) Side feed rate (kg/hr)
Zone1 Zone2 Zone3 Zone4 Zone5 Head Die 50-250 0.5-10 3-100
130 150 160 180 180 180 180
참고로, 케나프 섬유 함량별 스크류 속도, 공급 속도 및 적하량 등은 다음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Figure 112008026567806-PAT00001
상기 압출기의 조합은 압출기 내에서의 용융과 혼합거동, 배합물의 물성을 최대화 하고 섬유의 손상을 줄이고자 3개의 니딩 디스크 블락(kneading disk block) 스크류 조합을 사용한 것으로, 도 1a는 3개의 니딩 디스크 블락(kneading disk block) 스크류 조합을 갖는 압출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니딩 디스크 블락의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도 1a에서 보듯이, 사이드 포트(side port)를 이용하여 총 스크류 길이 132 cm에서 hopper로부터 72 cm떨어진 실린더 4번 위치에 케나프 섬유를 side feeding하였다. 이때 kenaf 섬유의 함량을 10 wt%, 20 wt%, 30 wt%, 40 wt%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펠렛 성형성과 그로부터 얻어진 각각의 바이오복합재료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같이 하여 제조된 펠렛(Kenaf 섬유 함량 30 wt%)의 사진을 도 2에 정리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kenaf/PP 펠렛은 여러 온도, 압력, 시간 조건에서 성형공정을 수행한 결과 압축성형인 경우 190℃, 1000psi에서 30분 동안 PP섬유가 충분히 융융된 후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정에 사용된 압축성형기 구조 및 성형 공정을 도 3에 정리하였다.
또한, 제작된 kenaf/PP 펠렛에 대하여 여러 온도, 압력, 시간 조건에서 성형공정을 수행한 결과 사출성형(사출성형기: BAUTECH사 제품)인 경우 190℃에서 8분 동안 PP섬유가 충분히 융융된 후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정에 사용된 사출성형기 구조 및 성형 공정을 도 4에 정리하였다.
참고로, 압축 성형된 Kenaf/PP 바이오 복합재료와 사출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사진을 각각 도 5a 및 5b로서 정리하였다.
실시예 2: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 강도, 인장 강도 및 굴곡 탄성률 측정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 강도 및 굴곡 탄성률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3-point Flexural Test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수행 조건은 다음과 같다:
- ASTM D790M-86
- Load Cell = 30 kN
- Span-to-Depth Ratio = 16:1
- Crosshead Speed = 0.85 mm/min (Compression molding) and 1.2 mm/min (Injection molding)
- UTM (Instron 4476)
또한, 압축성형시 인장강도의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 DIN 53455
- Load Cell = 30 kN
- Gage Length = 100 mm
- Crosshead Speed = 10 mm/min
- UTM (Instron 4476)
또한, 사출성형시 인장강도의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 ASTM D638M-89
- Load Cell = 1 kN
- Gage Length = 7.5 mm
- Crosshead Speed = 10 mm/min
- UTM (Instron 4476)
측정 결과를 도 6 및 7에 각각 정리하였다.
즉, 도 6에서 보듯이, 압축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굴곡 강도는 다른 식물성 섬유와 같이 kenaf 섬유를 구성하는 수많은 cell구조로 인해 PP의 굴곡 강도가 약 44 MPa에서 약 30 wt%의 kenaf 섬유를 첨가하였을 때 약 41 MPa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하지만 이 값은 10 kGy의 세기로 전자빔처리를 하였을 경우 약 50 MPa로 굴곡강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압축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굴곡 탄성률은 kenaf 섬유의 aspect ratio로 인해 PP의 굴곡 탄성률이 약 0.9 GPa에서 kenaf 섬유를 첨가하였을 때 약 1.2 GPa로 향상되었다. 이는 역시 10 kGy의 세기로 전자빔처리를 하였을 경우 최고 약 3.1 GPa까지 크게 증가하였다.
나아가, 압축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인장특성도 kenaf 섬유표면에 처리된 전자빔세기에 따라 굴곡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 모두 10 kGy일 때 인장강도는 최고 약 24 MPa, 탄성률은 최고 약 2.3 GPa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7에서 보듯이, 사출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굴곡 강도는 사출 성형시 노즐을 따라 kenaf 섬유가 배향됨에 따라 PP의 굴곡 강도가 약 39 MPa에서 약 30 wt%의 kenaf 섬유를 첨가만으로도 약 41 MPa로 증가하였다. 이 값은 10 kGy의 세기로 전자빔처리를 하였을 경우 계면 결합력의 향상으로 인해 약 45 MPa로 굴곡강도가 더욱 향상되었다.
또한, 사출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굴곡 탄성률은 kenaf 섬유의 aspect ratio로 인해 PP의 굴곡 탄성률이 약 0.8 GPa에서 kenaf 섬유를 첨가하였을 때 약 1.6 GPa로 향상되었다. 이는 역시 10 kGy의 세기로 전자빔처리를 하였을 경우 최고 약 2.2 GPa까지 크게 증가하였다.
나아가 전반적으로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kenaf/PP 바이오 복합재료의 기계적인 물성이 압축 성형으로 제조된 경우보다 전반적인 값들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출성형 시 전단력이 재료에 가해질 뿐만 아니라 약 1 시간가량 서서히 냉각시키면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압축성형과는 달리, 사출성형은 몇 분이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복합재료를 냉각시킴으로 매트릭스인 PP 수지의 결정화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사출성형으로 제조된 그린 복합재료를 구성하는 PP 매트릭스의 결정화도는 압축성형으로 제조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사출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인장특성도 kenaf 섬유표면에 처리된 전자빔세기에 따라 굴곡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 모두 10 kGy일 때 인장강도는 최고 약 22 MPa, 탄성률은 최고 약 2.3 GPa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바이오 복합재료의 동적 기계적 특성분석
본 발명에서 얻어진 바이오 복합재료의 동적 기계적 특성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 DMA Q800, TA Instruments
- -30℃∼100℃, N2 Gas
- Heating Rate = 5℃/min
- Frequency = 1 Hz
- Oscillating Amplitude: 0.2 mm
분석 결과는 8a로서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 결과를 그리고 8b로서 tan δ결과를 정리하였다.
도 8a에서 보듯이, PP의 저장탄성률은 케나프섬유의 도입으로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욱이 천연섬유의 전자빔세기가 증가할수록 더욱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b에서 보듯이, PP의 tan δ는 케나프섬유의 도입으로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천연섬유의 전자빔처리에 의해 더욱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바이오 복합재료의 열 deflection 온도분석
본 발명에서 얻어진 바이오 복합재료의 열 deflection 온도 조건은 다음과 같다:
- ASTM D648
- Fiber Stress: 0.5 MPa (66 psi)
- Nominal Test Load(g): 313
- Tinius Olsen Co., Model 603
분석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08026567806-PAT00002
표 3에서 보듯이, PP의 열변형온도가 케나프섬유의 도입으로 30 wt% 함량에서 최고 11℃C까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전자빔처리 처리후에 추가로 10℃ 더 증가하였다. 즉 열변형온도가 130℃까지 개선되었다.
실시예 5: 바이오 복합재료의 표면 균열 관찰
본 발명에서 얻어진 바이오 복합재료의 표면 균열 관찰 조건은 다음과 같다:
-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JEOL, JSM 6380)
- Voltage: 5 kV
- Gold coating
얻어진 SEM 사진을 도 9에 정리하였다. 도 9에서 보듯이, 압축성형 및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 바이오복합재료들에서 모두 보이나 크랙 등의 미세구조결함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에 천연 섬유를 이중축 압출 기술을 통해 편입시킴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단독의 기계적 특성 및 heat deflection 온도를 현저하게 증강시키게 된다. 또한, 사출 성형 대비 압출 성형시 굴곡 및 인장 특성이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압출 성형동안 slow 냉각 속도에서 보다 바람직한 재결정 거동이 수행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사출 성형된 생복합 재료의 기계적 특성 또한 성형도중 사출 노즐을 통한 천연 섬유 정렬로 인하여 훨씬 증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천연 섬유의 표면을 전자빔으로 개질함으로써 친수성 천연 섬유와 소수성 중합체 매트릭스 기질간 계면 접촉 (interfacial adhesion)을 증강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중축 압출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1a는 3개의 니딩 디스크 블락(kneading disk block) 스크류 조합을 갖는 압출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1b는 니딩 디스크 블락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Kenaf 함량이 30중량%로서 전자빔 처리된 Kenaf/PP 복합재료로부터 이중 압출기를 거쳐 제조된 펠릿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Kenaf/PP 복합재료 제조시 사용된 압축성형기 구조 및 성형 공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Kenaf/PP 복합재료 제조시 사용된 사출성형기 구조 및 성형 공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사진으로서, 3a는 압축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를 그리고 3b는 사출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각 사진에서 (a)는 폴리프로필렌을, (b)는 미처리된 kenaf/PP을 그리고 (c)는 EB 처리된 kenaf/PP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a의 압축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굴곡 및 인장 특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면내에서 A는 폴리프로필렌, B는 미처리된 kenaf/PP를 그리고 C는 5 kGy 전자빔 처리된 kenaf/PP, D는 10 kGy 전자빔 처리된 kenaf/PP, E는 20 kGy 전자빔 처리된 kenaf/PP를 의미한다.
도 7은 도 5b의 사출 성형된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굴곡 및 인장 특성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면내에서 A는 폴리프로필렌, B는 미처리된 kenaf/PP를 그리고 C는 5 kGy 전자빔 처리된 kenaf/PP, D는 10 kGy 전자빔 처리된 kenaf/PP, E는 20 kGy 전자빔 처리된 kenaf/PP를 의미한다.
도 8은 도 5의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동적 기계적 특성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8a는 storage modulus 결과를 그리고 8b는 tan δ결과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5의 Kenaf/PP 바이오복합재료의 표면 균열 관찰 결과를 보이는 SEM 사진이다.

Claims (7)

  1. 천연 섬유/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로는 케나프, Jute, Coir, 볏짚, Sisal, Flax, Hemp 또는 Banana를 사용하되 전자빔을 사용하여 표면을 개질하고,
    상기 표면개질된 천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는 이중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복합재료는 압축 성형 혹은 사출 성형에 의해 바이오복합재료로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섬유/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자빔 조건은 1-100kGy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압출기의 내부온도 profile은 130, 150, 160, 180℃ 이고, 회전속도는 50-250rpm이고, 공급속도는 0.5-10kg/hr이고, 천연 섬유의 측면 공급속도는 3-100kg/hr이고 천연 섬유 함량은 10-6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성형조건은 150-250℃, 500-1500psi에서 10-60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조건은 150-250℃, 1-15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굴곡강도 최고 약 100 MPa, 굴곡 탄성률 최고 약 5 GPa, 인장강도 최고 약 60 MPa, 탄성률 최고 약 5 GPa인 압축 성형된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의 바이오복합재료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굴곡강도 최고 약 100 MPa, 굴곡 탄성률 최고 약 5 GPa, 인장강도 최고 약 60 MPa, 탄성률 최고 약 5 GPa인 사출성형된 천연섬유/폴리프로필렌의 바이오복합재료
KR1020080034417A 2008-04-14 2008-04-14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0962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417A KR100962512B1 (ko) 2008-04-14 2008-04-14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417A KR100962512B1 (ko) 2008-04-14 2008-04-14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025A true KR20090109025A (ko) 2009-10-19
KR100962512B1 KR100962512B1 (ko) 2010-06-14

Family

ID=4155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417A KR100962512B1 (ko) 2008-04-14 2008-04-14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51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6655B2 (en) 2012-01-10 2013-11-19 Vincent Carrubba Composite board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02014226948A1 (de) 2014-03-07 2015-09-10 Hyundai Motor Company Polyolefin-Naturfaser-Verbundzusammensetzung zum Extrusionsformen
US9353533B2 (en) 2012-02-23 2016-05-31 Admiral Composite Technologies, Inc. Deck system components
US9394698B2 (en) 2012-02-23 2016-07-19 Admiral Composite Technologies, Inc. Deck system and components
KR20170123525A (ko) * 2016-04-29 2017-11-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나프섬유/부들섬유/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바이오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US10760283B2 (en) 2012-02-23 2020-09-01 Admiral Composite Technologies, Inc. Deck system and components
CN114213760A (zh) * 2022-01-12 2022-03-22 安徽工程大学 一种大麻-椰壳混杂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561066A (zh) * 2022-02-22 2022-05-3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clte、低收缩率的木塑阻燃聚烯烃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970B1 (ko) 2014-02-07 2015-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6655B2 (en) 2012-01-10 2013-11-19 Vincent Carrubba Composite board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353533B2 (en) 2012-02-23 2016-05-31 Admiral Composite Technologies, Inc. Deck system components
US9394698B2 (en) 2012-02-23 2016-07-19 Admiral Composite Technologies, Inc. Deck system and components
US10760283B2 (en) 2012-02-23 2020-09-01 Admiral Composite Technologies, Inc. Deck system and components
DE102014226948A1 (de) 2014-03-07 2015-09-10 Hyundai Motor Company Polyolefin-Naturfaser-Verbundzusammensetzung zum Extrusionsformen
US9695305B2 (en) 2014-03-07 2017-07-04 Hyundai Motor Company Polyolefin-natural fiber composite composition for extrusion molding
DE102014226948B4 (de) 2014-03-07 2023-06-29 Hyundai Motor Company Polyolefin-Naturfaser-Verbundzusammensetzung, Verfahren zum Extrusionsformen unter Verwendung derselben und geformtes Erzeugnis, das über ein derartiges Verfahren hergestellt wird
KR20170123525A (ko) * 2016-04-29 2017-11-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나프섬유/부들섬유/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바이오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4213760A (zh) * 2022-01-12 2022-03-22 安徽工程大学 一种大麻-椰壳混杂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561066A (zh) * 2022-02-22 2022-05-3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clte、低收缩率的木塑阻燃聚烯烃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561066B (zh) * 2022-02-22 2024-04-19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clte、低收缩率的木塑阻燃聚烯烃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512B1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512B1 (ko) 천연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방법
Haque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mposites reinforced with chemically treated coir and abaca fiber
EP2190925B1 (fr) Composition polyamide
KR100921114B1 (ko) 폴리유산/천연섬유 복합재의 제조방법
EP2150579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highly crystalline cellulose regenerate fibers
US7482402B2 (en)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s
US20200216624A1 (en) Cellulose composite materials
EP3284574A1 (en)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R2947822A1 (fr) Article polyamide composite
KR101322603B1 (ko) 천연 장섬유강화 사출형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 장섬유강화 사출형 복합재료
Jaszkiewicz et al. Gaining knowledge on the processability of PLA-based short-fibre compounds–A comprehensive comparison with their PP counterparts
DE102019108905A1 (de) Polybutylensuccinat und Polybutylensuccinat-co-adipat umfassendes Verbundmaterial sowie dieses enthaltende kompostierbare Artikel
EP2697291B1 (en) Fiber-reinforced composi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ber-reinforced composite
KR20190062906A (ko) 표면 특성이 향상된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20200071816A (ko) 표면 특성이 향상된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US20060046042A1 (en) Biocomposites sheet molding and methods of making those
CN108948696A (zh) 一种浸渍增强的3d打印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Cao et al. Developmen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agasse fiber reinforced composites
EP4286457A1 (en) Polymer composite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CN112480543A (zh) 一种汽车用仿织物触感的聚丙烯复合材料
KR102258976B1 (ko) 계면특성이 향상된 케나프 섬유 및 재사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바이오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0487B1 (ko) 케나프섬유/부들섬유/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바이오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80495B1 (ko) 폐실크피브로인/폐양모/pbs 하이브리드 바이오복합재
US11938687B2 (en) Plant fiber-containing composite resin molded article with sustained release of aroma
KR20190075699A (ko) 고분자가 코팅된 천연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