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704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704A
KR20090107704A KR1020080033111A KR20080033111A KR20090107704A KR 20090107704 A KR20090107704 A KR 20090107704A KR 1020080033111 A KR1020080033111 A KR 1020080033111A KR 20080033111 A KR20080033111 A KR 20080033111A KR 20090107704 A KR20090107704 A KR 20090107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7723B1 (ko
Inventor
하근동
조대한
문찬경
강지호
김민수
이동수
임정준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723B1/ko
Priority to US12/320,652 priority patent/US7961456B2/en
Priority to EP09154966A priority patent/EP2109144B1/en
Priority to DE602009000271T priority patent/DE602009000271D1/de
Publication of KR2009010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cold-rolling, e.g. Steckel cold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B21B1/3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by cold-rol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베젤을 포함하고, 베젤은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을 포함하며,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의 재질이 상이하고,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컷트부를 각각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베젤(bezel), 충격흡수, 폴리카보네이트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 중에서도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에 수반하여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표시 패널이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위에 화상 표현의 기본 단위인 화소(pixel)를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하고, 각 화소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유기 발광 소자를 배치하여 독립적으로 화소를 제어한다. 여기서, 유기 발광 소자는 정공 주입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 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지녀 모바일 전자 기기의 사용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실런트에 의해 고정된 두 장의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베젤과,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모듈을 구성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조물이 표시 패널과 베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표시 패널과 베젤 사이에 다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낙하 등의 돌발 상황시, 충격이 표시 패널에 그대로 전달되어 표시 패널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취약성이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그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낙하로 인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특성을 지녀야만 표시 장치로서 우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구적 강도 특성이 우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베젤을 포함하고, 베젤은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을 포함하며,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의 재질이 상이하고,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컷트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의 형상이 닮은꼴일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의 강도가 제2 베젤의 강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이 수지 소재,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anate; PC)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젤이 금속 소재,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SUS), 냉간압연강판(Steel plate Cold Commercial; SPCC), 알루미늄 및 니켈-은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의 바닥부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어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전자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인쇄회로기판은 베젤의 스컷트부의 한 측을 감싸면서 구부러져 베젤의 바닥부에 닿으며, 전자 소자가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휴대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 베젤과 제2 베젤을 상이한 재질로 각각 제조하고, 제1 베젤을 제2 베젤 내에 장착하여 고정시키고, 제1 베젤 내에 표시 패널을 수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 베젤을 사출 금형에 삽입하고, 제1 베젤과 상이한 재질로 제2 베젤을 사출하여 제1 베젤과 제2 베젤을 일체형으로 제조하고, 제2 베젤 내에 표시 패널을 수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이 수납되는 베젤을 수지와 금속을이용하여 형성하고 이 베젤에 표시 패널을 수납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표시 패널이 낙하되는 경우, 수지 베젤이 표시 패널보다 먼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표시 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기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두께를 확대 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나타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이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2)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과 표시 패널(10)을 수납하는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2)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일례로 셀룰라폰과 같은 모바일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표시 패널(10)은 모바일용 외에 텔레비젼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용으로 구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제1 기판(12)과 제1 기판(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2 기판(14)을 포함한다. 이 표시 패널(10)에는 실제 영상 표시가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D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가 능동형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제1 기판(12)에는 유기 발광 소자와 이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2)에는 제2 기판(14)보다 연장된 부위로 패드 영역(PA)이 형성되는데 이 패드 영역(PA)에는 표시 영역(DA)의 배선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패드(미도시)가 위치한다. 이 패드들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집적회로칩(16)은 제1 기판(12)의 패드 영역(PA)에 실장되어 표시 패널(10)을 제어한다. 집적회로칩(16)은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를 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신호들을 각각 표시 패널(10)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한다. 집적회로칩(16) 주위에는 보호막(22)이 형성되어 집적회로칩(16)을 보호한다.
인쇄회로기판(20)에는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미도시)이 실장되며, 외부 신호를 인쇄회로기판(20)으로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이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에 수납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에 고정된 연성회로기판(18)은 제2 베젤(32)의 뒤쪽으로 구부러져 인쇄회로기판(20)이 제2 베젤(32)의 뒷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을 포함한다.
제1 베젤(30)의 내부에는 표시 패널(10)을 수납되고, 제1 베젤(30)은 제2 베젤(32)의 내부에 장착된다.
제1 베젤(30)은 표시 패널(10)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바닥부(302)와 이 제1 바닥부(302)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고 직각 상태로 배치되어 형성된 제1 스컷트부(30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이 배치되는 측의 제1 스컷트부(304)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이 간섭 없이 위치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고려하여 절개된다.
제2 베젤(32)의 내부에는 제1 베젤(30)이 수납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베젤(32)은 제1 베젤(3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제1 베젤(30) 전체를 감쌀 수 있다. 즉, 제2 베젤(32)은 제1 베젤(30)의 제1 바닥부(302) 및 제1 스컷트부(304)에 대응되는 제2 바닥부(322) 및 제2 스컷트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이 배치되는 측의 제2 스컷트부(324)는 제1 스컷트부(304)와 같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이 간섭 없이 위치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고려하여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제2 스컷트부(324)의 일부가 절개되는 측에는 제2 스컷트부(324) 뿐만 아니라, 제2 바닥부(322)의 일부도 절개되어 제2 바닥부(322)의 일부가 오목하게 패인 홈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홈부(326)를 통해 제2 바닥부(322)에서는 제1 베젤(30)의 일부가 노출된다. 홈부(326)는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의 조립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여 제2 베젤(32)로부터 제1 베젤(30)을 이탈시켜야 하는 경우, 홈부(326)를 통해 노출된 제1 베젤(30)에 외부에서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쉽게 제1 베젤(30)을 제2 베젤(3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2)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을 각각 제조한다. 이때, 제1 베젤(30)은 제2 베젤(32) 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고려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젤(30)이 제2 베젤(32)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고, 제1 베젤(30)이 제2 베젤(32) 내부에 장착된 후에는 제2 베젤(32)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크기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의 조립이 완료되면, 제1 베젤(30) 내에 표시 패널(10)을 안착시킨다.
한편,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베젤(30)이 제2 베젤(32)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제1 베젤(30)을 사출 금형에 삽입한 후, 제2 베젤(32)을 사출하면 제1 베젤(30) 내부에 제2 베젤(32)이 채워지면서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이 일체의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의 좀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을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하는 경우,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을 함께 한번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양자의 조립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1 베젤(30)이 제2 베젤(3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은 서로 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베젤(30)은 통상 기판이 유리 소재인 표시 패널(10)의 배면(121)과 접촉하므로, 표시 패널(10)이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그 강도가 비교적 약해야 한다. 따라서 제1 베젤(30)을 수지(樹脂)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젤(3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로 제조될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내열성,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절연성이 뛰어나 기계 또는 전자 기기의 부품 따위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이 중에서 폴리카보네이트는 기계적 강도(굽힘 강도)가 높고 내열성, 전기절연성이 좋으며 충격 강도는 열가소성 수지 중 가장 우수하다. 또한, 습도, 온도 변화 등의 환경 변화에도 물리적 특성이 매우 안정적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650kg/㎠의 인장 강도와, 900kg/㎠의 굽힘 강도와, 2800MPa의 굽힘 탄성율(elastic modulus)과, 1.2ㅧ10-9 Ton/㎣의 밀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폴리 카보네이트의 굽힘 탄성율은 스테인리스 스틸(206000MPa)의 약 1/100배이며, 폴리 카보네이트의 밀도는 표시 패널을 이루는 유리 기판(2.5ㅧ10-9 Ton/㎣)의 약 1/2배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베젤(30)은 폴리 카보네이트의 표면 경도가 금속이나 유리에 비해 훨씬 낮아서 외부 충격에 의해 패널과 제1 베젤이 부딪치더라도 표시 패널(10)을 잘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using steel; SUS)의 100배에 해당되는 굽힘 탄성율을 가지므로 SUS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베젤에 표시 패널(10)을 수납하는 경우에 비해 외부 충격을 잘 흡수하면서 굽힘(bending) 등에 안정적일 수 있다.
제2 베젤(32)은 표시 패널(10)과 제1 베젤(30)을 지지하면서 수납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외곽을 형성하므로, 표시 패널(10)을 잘 보호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젤(32)은 일정 강도를 가지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SUS), 냉간압연강판(Steel Plate Cold Commercial; SPCC), 알루미늄 및 니켈-은 합금 등의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제2 베젤(32)의 재질이 상술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수지 소재의 제1 베젤(30)과 금속 소재의 제2 베젤(32)을 함께 사용하면 제1 베젤(30)에 의한 완충 효과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제2 베젤(32)을 통해 강도를 개선시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 낙하 또는 정적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표시 패널(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제1 베젤(30) 내에 수납되고, 제2 베젤(32)이 제1 베젤(30)을 감싸면서 표시 패널(10) 및 제1 베젤(30)을 지지한다.
표시 패널(10)과 제2 베젤(32) 사이에는 제1 베젤(30)이 삽입되며, 이에 의해 표시 패널(10)의 배면(121)과 제1 베젤(30)의 제1 바닥부(302)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제1 베젤(30)은 표시 패널(10)에 대하여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 베젤(32)은 표시 패널(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기구적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완충 테이프(미도시), 예를 들어 이른바 포론(poron) 테이프라 불리우는 완충 테이프를 표시 패널(10)과 제1 베젤(30)의 제1 바닥부(302) 사이에 더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실 제품(예 셀룰라 폰)을 구성하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중, 베젤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베젤은 도 1에 도시한 베젤과 같이 복수의 베젤, 즉 제3 베젤(30')과 제4 베젤(32')을 포함하고, 제3 베젤(30') 및 제4 베젤(32')은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2)과 같이 각각 제조되어 조립되거나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베젤(30') 및 제4 베젤(32')은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2)과 같이 바닥부와 스컷트부로 이루어져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2)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그 재질도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2)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베젤(30') 및 제4 베젤(32')은 바닥부에 복수의 제3 개구(3021') 및 제4 개구(3221')를 각각 구비한다. 제3 개구들(3021')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4 개구들(3221')은 제3 개구들(3021')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제3 베젤(30') 및 제4 베젤(3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므로, 제3 베젤(30') 및 제4 베젤(32')이 결합되는 경우, 제3 개구(3021') 및 제4 개구(3221')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이 구부러져 인쇄회로기판(20)이 베젤의 바닥부에 닿는 경우,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된 전자 소자들(미 도시)이 제3 개구(3021') 및 제4 개구(3221')에 수납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휴대용 제품에 사용되면 제품의 박형화를 위해 전자 소자들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기가 어렵다. 특히,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전자 소자들을 실장하는 경우, 전자 소자들이 베젤의 바닥부에 닿게 되므로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단락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제3 개구(3021') 및 제4 개구(3221')에 전자 소자들을 수납시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2)로 인해 기구적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제1 베젤과 제2 베젤이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진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별도의 낙하 지그(미도시)에 장착하고, 낙하 지그를 떨어뜨려 표시 패널(10)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낙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낙하 지그의 낙하 높이는 1.8m이고, 낙하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면에 대응하는 6개의 화살표 방향(제1 방향 내지 제6 방향)이다. 낙하 지그를 각 방향에서 3번씩 떨어뜨려 표시 패널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였다. 이때, 낙하 테스트에서 양호 판정을 1점으로 계산하고, 불량 판정을 0점으로 계산하여 총 18번(6개의 방향ㅧ3번 실시)의 낙하 점수를 합산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하기 표 1에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평균 낙하 점수와 18번의 낙하 테스트 후의 양호 판정율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 서 양호 판정율은, 18번의 낙하 테스트(또는 3 사이클 테스트)를 모두 통과한 경우를 통과율로 하여 나타내었다.
시료수 평균 낙하 점수 통과율(%)
실시예 5 14.4 20
비교예 5 5.2 0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5.2의 평균 낙하 점수와 0 % 의 통과율을 보이고 있고, 이에 비해, 실시예의 경우는, 14.4의 평균 낙하 점수와 20 % 의 통과율을 보이고 있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30; 제1 베젤
32; 제2 베젤

Claims (13)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베젤
    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의 재질이 상이하고,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컷트부를 각각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이 일체로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의 형상이 닮은꼴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의 강도가 상기 제2 베젤의 강도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이 수지 소재로 제조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anate; PC)로 제조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젤이 금속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젤이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SUS), 냉간압연강판(Steel plate Cold Commercial; SPCC), 알루미늄 및 니켈-은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의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전자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베젤의 스컷트부의 한 측을 감싸면서 구부러져 상기 베젤의 바닥부에 닿으며, 상기 전자 소자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휴대용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을 상이한 재질로 각각 제조하고,
    상기 제1 베젤을 상기 제2 베젤 내에 장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1 베젤 내에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3.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제1 베젤 및 제2 베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을 사출 금형에 삽입하고, 상기 제1 베젤과 상이한 재질로 상기 제2 베젤을 사출하여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을 일체형으로 제조하고,
    상기 제2 베젤 내에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80033111A 2008-04-10 2008-04-1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7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111A KR100927723B1 (ko) 2008-04-10 2008-04-1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2/320,652 US7961456B2 (en) 2008-04-10 2009-01-3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9154966A EP2109144B1 (en) 2008-04-10 2009-03-12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602009000271T DE602009000271D1 (de) 2008-04-10 2009-03-12 Organische-Leuchtdioden Anzeige und Methode zu Ihrer Herstell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111A KR100927723B1 (ko) 2008-04-10 2008-04-1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704A true KR20090107704A (ko) 2009-10-14
KR100927723B1 KR100927723B1 (ko) 2009-11-18

Family

ID=4046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111A KR100927723B1 (ko) 2008-04-10 2008-04-1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61456B2 (ko)
EP (1) EP2109144B1 (ko)
KR (1) KR100927723B1 (ko)
DE (1) DE60200900027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568A (ko) * 2010-11-25 2012-06-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928100B2 (en) 2011-06-24 2015-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in transfer torque cell for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KR101947165B1 (ko) 2012-10-16 2019-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및 회로 필름의 회전 장치
KR102061793B1 (ko) * 2013-06-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390118B (zh) * 2014-09-18 2019-01-2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可弯曲显示装置的背板和曲面电视
KR102297494B1 (ko) * 2015-01-28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90146218A1 (en) * 2016-05-10 2019-05-16 Nippon Seiki Co., Ltd. Head-up display device
EP3293606B1 (en) * 2016-09-09 2020-12-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989394B2 (en) 2018-01-09 2021-04-27 OLEDWorks LLC Thin OLED lighting module
CN111292618B (zh) * 2020-03-26 2022-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显示屏以及拼接屏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620B2 (ja) 1991-12-17 2000-07-12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4309699A (ja) 2003-04-04 2004-11-04 Nec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ホルダ
JP4468061B2 (ja) * 2004-04-30 2010-05-2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4196888B2 (ja) * 2004-06-25 2008-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60031510A (ko) * 2004-10-08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87310A (ko) * 2006-02-23 2007-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0722119B1 (ko) * 2006-09-20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0729084B1 (ko) * 2006-09-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9144B1 (en) 2010-10-13
DE602009000271D1 (de) 2010-11-25
US7961456B2 (en) 2011-06-14
EP2109144A1 (en) 2009-10-14
KR100927723B1 (ko) 2009-11-18
US20090257181A1 (en)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72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878057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652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795712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7920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5341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154201B2 (en) Display device
KR101841285B1 (ko) 평판표시장치 및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9180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8895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6954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2772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223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79994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KR2010001972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7967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50244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200209690A1 (en) Display device
KR1008895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51B1 (ko) 표시 장치
KR10188630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805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4933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