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412A - 요동 완구 - Google Patents

요동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412A
KR20090107412A KR1020090028428A KR20090028428A KR20090107412A KR 20090107412 A KR20090107412 A KR 20090107412A KR 1020090028428 A KR1020090028428 A KR 1020090028428A KR 20090028428 A KR20090028428 A KR 20090028428A KR 20090107412 A KR20090107412 A KR 20090107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pendulum
lower body
swing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가야와케
아쓰코 에노모토
도모히토 나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to KR102009002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7412A/ko
Publication of KR2009010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18Toy swinging chairs; Rocking-figure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동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요동 완구를 창 등의 벽면에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체(21)가 하체(2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완구 본체(2)를 포함하는 요동 완구(1)에서, 하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체에 고정된 진자(30)와, 진자에 설치된 제1 자석(31)과, 하체에 설치된 제2 자석(34)과, 하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완구 본체를 매다는 매달기 수단(3)을 포함하고, 상체의 정수리부에는 매달기 수단이 삽입 통과하고, 또한 진자의 요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21a)이 형성되고, 제1 자석과 제2 자석 중, 어느 한쪽의 자석이 전자석으로 구성되며, 전자석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통전하는 전원(41)과, 전자석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구동시켜서 자력 작용에 의해 진자를 요동시키는 구동 제어 수단(40)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요동 완구{SWINGING TOY}
본 발명은, 요동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창 등의 벽면에 매달 수 있는 요동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요동 완구가 알려져 있다. 요동 완구는, 예를 들면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 상에 탑재되는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소정 방향(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요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요동부는, 요동부에 장착된 진자(振子)의 영구 자석과, 베이스에 설치된 전자석 사이에 자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요동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99040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요동 완구는, 평면 상에 탑재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책상이나 바닥 등의 상면에만 놓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요동 완구를 창 등의 벽면에 설치할 수 없어서,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창 등의 벽면에도 장착할 수 있는 요동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체가 하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완구 본체를 포함하는 요동 완구에 있어서,
상기 하체에 지지되고, 상기 상체와 함께 요동하는 진자와,
상기 진자에 설치된 제1 자석과,
상기 하체에 설치된 제2 자석과,
상기 하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완구 본체를 매다는 매달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체의 정수리부에는, 상기 매달기 수단이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진자의 요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중, 어느 한쪽의 자석은 전자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통전(通電)하는 전원과,
상기 전자석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구동시켜서 자력 작용에 의해 상기 진자를 요동시키는 구동 제어 수단
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요동 완구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수단의 일단에는, 상기 하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 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요동 완구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수단의 타단에는, 벽면에 고정 가능한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요동 완구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태양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요동 완구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는 인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체를 헤드부로 하고, 상기 하체를 헤드부 외의 부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요동 완구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수단은, 뒤틀림 동작을 하지 않는 선재(線材)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 편은, 그 표면 측에서도 배면 측에서도 상기 하체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요동 완구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는,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 상에 기립(起立)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매달기 수단이 하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완구 본체를 창 등의 벽면에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전자석으로 소정의 타이밍에서 통전됨으로써, 전자석을 간헐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자석과 영구 자석 사이에서 자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진자가 요동함으로써 상체도 요동한다.
여기서, 상체에는, 진자의 요동 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매달기 수단이 상체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체만을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부품이 설치되어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하체에 매달기 수단을 연결함으로써, 하체의 자세가 안정된다. 이로써, 안정된 상태로 상체를 요동시킬 수 있다.
진자에는 상체와 제1 자석만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자의 요동에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고, 각 자석의 소형화, 및 수용 공간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착탈 편을 형성함으로써, 요동 완구로부터 완구 본체만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구 본체와 매달기 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납 시 및 운반 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고정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손을 뗀 상태에서 창 등의 벽면에 매달기 수단을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태양 전지를 전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으로 친환경적인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케이블이나 콘센트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설치할 때의 전원 케이블 등의 처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설치 가능한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요동하는 상체가 헤드부로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인형 모양의 요동 완구는 헤드부가 요동하는 동작을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는 사람에게 귀엽고, 마음이 가라앉는 느낌을 주므로 주위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착탈 편은 표면 측에서 하체와 연결할 수도 있고 배면 측에서 하체와 연결할 수도 있으므로, 착탈 편 중 어느 쪽 면에서 하체와 연결할 것인지에 따라 완구 본체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로써, 설치 환경에 따라 완구 본체의 자세를 바꿀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완구 본체는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 상에 기립 가능하므로, 매달기 수단으로부터 떼어내어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 상에 탑재할 수도 있다.
1. 요동 완구의 전체적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완구(1)는, 완구 본체(2)와, 매달기 수단으로서의 와이어(3)를 포함하고 있다. 완구 본체(2)에 와이어(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완구 본체(2)는 와이어(3)에 의해 창 등의 벽면에 매달릴 수 있다. 즉, 완구 본체(2)는, 와이어(3)에 의해 공중에 뜬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완구 본체
완구 본체(2)는 인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완구 본체(2)는, 테루테루보즈(날이 맑아지기를 바라며 처마끝에 매다는 일본식 종이 인형)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완구 본체(2)는, 테루테루보즈의 헤드부가 되는 상체(21)와, 테루테루보즈의 보디부가 되는 하체(22)를 포함하고 있다. 상체(21)와 하체(22)는 각각 독립된 별도의 부품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체(21)는, 중공(中空)의 구체(球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체(21)에는, 진자(30)의 상단이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진자(30)의 상단은, 3개로 분기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분기의 단부가 고리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진자(30)의 상단을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진자(30)의 상단은 진자(30)의 미소 진동을 억제하는 균형추로서의 기능을 한다. 진자(30)의 상단은, 균형추를 구성하는 부분의 좌우 및 중앙으로 나사 등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상체(21)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진자(30)가 요동하면, 상체(21)도 진자(30)와 함께 요동하고, 상체(21)는 하체(2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된다.
구체 모양의 상체(21)의 정수리부에는, 진자의 요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21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1a)은, 와이어(3)를 삽입 통과시키고, 또한 상체(21)가 요동했을 때 와이어(3)에 의해 요동이 규제받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진자(30)의 하단에는, 제1 자석으로서의 영구 자석(31)이 설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31)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N 극 또는 S 극 중 어느 한쪽 극이 정면을 향하도록 진자(30)에 설치되어 있다.
진자(30)의 상단과 하단의 중간 위치에는, 진자(30)의 요동축(32)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축(32)은, 진자(30)의 표면 측으로부터 배면 측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요동축(32)의 양 단부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축(32)의 양 단부는 하체(22)에 설치된 지지부(33)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33)는, 가는 철사에 의한 고리형 부재로 형성되고, 요동축(32)과 지지부(33)가 실질적으로 점(點)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진자(30)가 요동할 때의 마찰을 경감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체(22)는, 아래쪽을 향할수록 바깥 쪽으로 넓어지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보디부(23)와, 보디부(23)의 상하 방향의 중간 복부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돌출하도록 형성된 2개의 팔부(腕部)(24)를 포함하고 있다.
보디부(23)는,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 상에 탑재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디부(23)의 바닥부는, 보디부(23)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보디부(23)의 바닥부를 평면형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 상에 탑재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바닥부 중 적어도 3개소가 탑재되는 평면 상에 맞닿고, 중심이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는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완구 본체(2)는, 테루테루보즈 의 헤드부가 되는 상체(21)를 위로 하고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 상에 기립 가능하게 된다.
하체(22)의 내면 측에는, 통전에 의해 전자석(제2 자석)으로서 기능하는 코일(34)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34)은, 그 축심이 진자(30)의 요동 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진자(30)의 요동 면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코일(34)은, 이러한 축심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감겨져 있다. 즉, 코일(34)로의 통전에 의해 N 극 또는 S 극 중 어느 한쪽 극이 정면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34)로의 통전에 의해 진자(30)를 요동시킬 수 있다.
코일(34)은, 진자(30)의 중립 위치(직하 위치)에서의 영구 자석(31)으로부터 진자(30)의 요동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34)의 위치를 치우치도록 한 것은, 코일(34)로의 통전에 의해 진자(30)에 초기 요동력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하체(22)의 보디부(23)에서의 코일(34)의 위쪽에는, 코일(34)을 전자석으로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구동시키고, 코일(34)로부터 발생하는 자력 작용에 의해 영구 자석(31)을 접근 및 이격시켜서 진자(30)를 요동시키기 위한 통전 제어를 행하는 구동 제어 수단으로서의 플립플롭 회로(40)가 설치되어 있다. 플립플롭 회로(40)는, 인가하는 신호에 의해 2개의 상태가 교대로 변화되는 회로이다. 통전에 의해 전자석을 구성하는 코일(34)의 양단은, 이 플립플롭 회로(40)에 접속되고, 코일(34)은 플립플롭 회로(40)로부터의 전압 펄스의 인가에 의해 여자(勵磁)된다. 코일(34)의 양단에는, 플립플롭 회로(40)로부터 교대로 전압 펄스가 인가되고, 그 결과, 코일(34)에서의 영구 자석(31)에 대향하는 부분이 N 극 혹은 S 극이 된다. 이 극성의 전환에 의해, 영구 자석(31)이 붙고 혹은 떨어져서, 진자(30)를 요동시킬 수 있다.
플립플롭 회로(40)는 태양 전지(41)를 전원으로 하고 있다. 태양 전지(41)는, 광 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전력을 축전한다. 이 광 에너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부(23)의 배면 측에 형성된 윈도우부(23w)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된 태양 전지판(42)으로부터 수광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부(23)의 내 측에서의 플립플롭 회로(40)의 위쪽에는, 와이어(3)의 일단에 설치된 착탈 편(50)에 걸어 맞추어져서 착탈 편(50)을 유지하는 위치와, 착탈 편(50)의 유지를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착탈 조작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착탈 조작 부재(51)는, 그 길이 방향이 보디부(23)의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착탈 조작 부재(51)는,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부(52)를 포함하고 있다. 축부(52)는, 착탈 조작 부재(51)의 폭 방향의 양측 에지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보디부(23)에 형성된 2개의 베어링부(23a)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착탈 조작 부재(51)에서의 축부(52)보다 아래쪽의 설편(舌片)(53)에는, 진자(30)의 요동축(32)을 삽입 통과시키는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53a)은 지지부(33)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탈 조작 부재(51)의 설편(53)의 배면 측에는, 완구 본체(2)에 대한 착탈 편(50)의 착탈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55)이 설치되어 있다.
착탈 조작 부재(51)에서의 축부(52)보다 위쪽의 상부(54)의 표면 측에는, 착탈 편(50)에 형성된 구멍(50a)에 끼워지는 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탈 조작 부재(51)의 상부(54)의 배면 측이며, 돌기(56)의 배면 측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착탈 조작 부재(51)의 상부(54)를 배면 측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7)이 맞닿아 있다. 스프링(57)은, 보디부(23)의 내면 측에 형성된 오목부(23b)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7)이 자연길이 상태의 경우에는, 돌기(56)가 착탈 편(50)에 형성된 구멍(50a)에 끼워져서 착탈 편(50)을 유지한다. 이 때, 설편(53)의 조작 버튼(55)은 보디부(23)의 배면으로부터 외부에 돌출된 위치에 있고, 조작 버튼(55)을 보디부(23)의 내부를 향하여 밀어넣을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버튼(55)을 보디부(23)의 내부를 향하여 밀어넣으면, 착탈 조작 부재(51)는 축부(5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설편(53)이 완구 본체(2)의 정면 측을 향해 이동하고, 상부(54)가 완구 본체(2)의 배면 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돌기(56)가 착탈 편(50)의 구멍(50a)으로부터 퇴피하고, 착탈 편(50)은 하체(22)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작 버튼(55)을 눌렀을 때에만, 착탈 편(50)과 완구 본체(2)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착탈 조작 부재(51)의 정면 측[돌기(56)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는, 착탈 조작 부재(51)의 삽입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커버(58)(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58)는 나사 등에 의해 보디부(23)에 고정되어 있다.
3. 와이어
도 1,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3)는, 뒤틀림 동작을 하지 않는 선재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3)는 일단이 완구 본체(2)에 연결되고, 타단이 창 등의 벽면에 고정된다.
와이어(3)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철사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와이어(3)는 금속제로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와이어(3)의 일단에는, 하체(2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 편(50)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탈 편(50)은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배면까지 관통하고 착탈 조작 부재(51)의 돌기(56)가 끼워지는 구멍(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착탈 편(50)은, 판재에 구멍(50a)만 형성되어 있는 간단한 형상이므로, 표면 측에서도 배면 측에서도 돌기(56)를 끼워넣을 수 있다.
이로써, 착탈 편(50)의 어느 면으로부터 돌기(56)를 끼워넣는가에 따라 끼워넣어지는 완구 본체(2)의 방향을 180℃ 회전시킨 2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구 본체(2)의 얼굴을 실내 측을 향하도록 할 경우에는, 착탈 편(50)의 배면 측으로부터 구멍(50a)에 돌기(56)를 끼워넣으면 된다. 이와 반대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구 본체(2)의 얼굴을 실외 측을 향하도록 할 경우에는, 착탈 편(50)의 표면 측으로부터 구멍(50a)에 돌기(56)를 끼워넣으면 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3)의 타단에는, 창 등의 벽면에 고정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서의 흡착반(59)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착반(59)의 배면 측에는, 와이어(3)의 타단이 매립되어 고정된 고정 부품(60)의 구멍(60a)에 끼워넣어지는 장착부(59a)가 형성되어 있다. 흡착반(59)은, 장착부(59a)를 고정 부품(60)의 구멍(60a)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것만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고정 부품(60)으로부터 흡착반(59)를 떼어낼 때는, 끼워넣을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장착부(59a)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고정 수단으로서는, 흡착반(59) 외에도 벽면에 꽂을 수 있는 핀, 창에 붙일 수 있는 시일, 철이나 강철로 된 록커, 선반에 붙는 자석이라도 된다. 즉, 장착되는 평면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4. 요동 완구의 동작
태양 전지판(42)에서 광을 수광하면, 이 광 에너지는 전력으로 변환되고, 태양 전지(41)에 축전(蓄電)된다. 태양 전지(41)에 저장된 전력에 의해, 플립플롭 회로(40)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압 펄스를 코일(34)에 보낸다. 이 때, 코일(34)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전자석이 되는 코일(34)의 단부의 극성이 변화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전자석이 된 코일(34)이 영구 자석(31)에 붙거나 떨어짐으로써 양자 간에 작용하는 자력의 방향을 제어하여, 진자(30)를 요동시킨다. 진자(30)가 요동하면, 진자(30)에 고정되어 있는 상체(21)도 진자(30)와 함께 요동하여, 인형의 헤드부가 좌우로 요동하게 된다. 이 때, 하체(22)는 상체(21)보다 중량이 무거우므로, 하체(22)는 진자(30)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데 지나지 않기 때문에, 진자(30)가 요동해도 진자(30)와 함께 요동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체(21)가 요동함으로써, 와이어(3)와의 접촉이 문제가 되지만, 상체(21)에 진자(30)의 요동 방향을 따라 슬릿(2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3)와 상체(21)가 접촉하여 요동을 방해하지도 않는다.
또한, 하체(22)에는, 와이어(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완구 본체(2)는, 창 등의 벽면에 흡착반(59)을 개재하여 장착된 상태로 상체(21)만을 요동시킬 수 있다.
5. 그 외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진자(30)에 설치되는 자석을 전자석으로 하고, 보디부(23)에 설치되는 자석을 영구 자석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체(21)와 진자(30)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진자(30)를 상체(21)에 고정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상체(21)와 진자(30)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것을 하체(2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켜도 된다.
그 외에, 발명의 본질적 부분을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요동 완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 2는 요동 완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요동 완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요동 완구를 배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요동 완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착탈 편과 완구 본체의 착탈 기구를 나타낸 측면으로부터 본 모식도로서, (a)는 착탈 편을 완구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착탈 편을 완구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착탈 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완구 본체의 방향을 바꿀 때의 설명으로서, (a)는 완구 본체의 얼굴을 실내 측을 향하게 할 때의 측면도이며, (b)는 완구 본체의 얼굴을 실외 측을 향하게 할 때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흡착반과 고정 부품을 끼워 넣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요동 완구 2: 완구 본체
3: 와이어(매달기 수단) 21: 상체
21a: 슬릿 22: 하체
30: 진자 31: 영구 자석(제1 자석)
34: 코일(전자석, 제2 자석) 40: 플립플롭 회로(구동 제어 수단)
41: 태양 전지(전원) 50: 착탈 편
59: 흡착반(고정 수단)

Claims (7)

  1. 상체가 하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완구 본체를 포함하는 요동 완구에 있어서,
    상기 하체에 지지되고, 상기 상체와 함께 요동하는 진자(振子);
    상기 진자에 설치된 제1 자석;
    상기 하체에 설치된 제2 자석; 및
    상기 하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완구 본체를 매다는 매달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상체의 정수리부에는, 상기 매달기 수단이 삽입 통과하고, 또한 상기 진자의 요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중 어느 한쪽의 자석은 전자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통전(通電)하는 전원; 및
    상기 전자석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구동시켜서 자력 작용에 의해 상기 진자를 요동시키는 구동 제어 수단
    을 설치한, 요동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수단의 일단에는, 상기 하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 편 이 설치되어 있는, 요동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수단의 타단에는, 벽면에 고정 가능한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요동 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태양 전지인, 요동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는 인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를 헤드부로 하고, 상기 하체를 헤드부 외의 부위로 한, 요동 완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수단은 뒤틀림 동작을 하지 않는 선재(線材)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 편은, 그 표면 측에서도 배면 측에서도 상기 하체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요동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는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 상에 기립(起立) 가능한, 요동 완구.
KR1020090028428A 2008-04-08 2009-04-02 요동 완구 KR20090107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28A KR20090107412A (ko) 2008-04-08 2009-04-02 요동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0137 2008-04-08
KR1020090028428A KR20090107412A (ko) 2008-04-08 2009-04-02 요동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412A true KR20090107412A (ko) 2009-10-13

Family

ID=4153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428A KR20090107412A (ko) 2008-04-08 2009-04-02 요동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74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9016A (zh) * 2018-08-01 2018-11-16 深圳诺欧博智能科技有限公司 摇动控制系统及揺动机器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9016A (zh) * 2018-08-01 2018-11-16 深圳诺欧博智能科技有限公司 摇动控制系统及揺动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51279U1 (ru) Водная игрушка, такая как биомиметическая рыба
JP6311070B2 (ja) 擬似炎の電子発光装置
US10480735B2 (en) Magnetic levitation imitation flame device and imitation flame lamp
JP2008180755A (ja) 振子式表示装置
CN105080145A (zh) 具有摇摆本体的玩偶
KR20090107412A (ko) 요동 완구
JP2009247659A (ja) 揺動玩具
WO2017000196A1 (zh) 摆动玩具
JP4689557B2 (ja) 揺動人形玩具
US2781462A (en) Oscillating motor
JP2005193060A (ja) 揺動玩具
JP4928833B2 (ja) 共鳴振動モーター
US5370569A (en) Sound actuated, magnetic, oscillating toy figure
JP2007020853A (ja) 揺動玩具
JP2009165549A (ja) 揺動玩具
JP3231678U (ja) ペア人形
JP2009056191A (ja) 搖動人形玩具
CN219713260U (zh) 旋转装置
JPH0792924A (ja) 揺動意匠体の電磁駆動装置
JP2771770B2 (ja) 回転飾りの保持構造
KR100516449B1 (ko) 시계의 진자구동체를 이용한 동적심미감을 갖는 모형장식물 구조
JP3771405B2 (ja) 振り子機構
JP2005140543A (ja) 飾り振子駆動装置
KR200336450Y1 (ko) 시계의 진자구동체를 이용한 동적심미감을 갖는 모형장식물 구조
JP2012234055A (ja) 振子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