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984A -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984A
KR20090106984A KR1020090018974A KR20090018974A KR20090106984A KR 20090106984 A KR20090106984 A KR 20090106984A KR 1020090018974 A KR1020090018974 A KR 1020090018974A KR 20090018974 A KR20090018974 A KR 20090018974A KR 20090106984 A KR20090106984 A KR 20090106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uid compression
road
storage tank
compres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509B1 (ko
Inventor
강종수
Original Assignee
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수 filed Critical 강종수
Priority to KR102009001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50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03G7/08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recovering energy from moving road or rail vehicles, e.g. collecting vehicle vibrations in the vehicle tyres or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8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 pump or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으로 공기 또는 부동액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유체를 압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튜브(11)에 체크밸브(15)(16)가 구비된 흡입구(13)와 배기구(14)를 설치하고, 튜브(11) 상측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가압판(12)을 배치하여 차량이 통과할 때 튜브(11)를 가압되도록 한 유체압축수단(10)과,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의 배기구(14)와 연결되어 유체압축수단(10)으로부터 압축 공급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의 하단에 배관되며 중도에 압력밸브(31)가 구비된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의 말미에 결합되어 압축공기로 구동되도록 발전기의 축에 설치한 터빈(4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후조건에 관계없이 차량 통행만 있으면 지속적인 염가의 발전이 가능하며, 주로 도로의 과속방지턱이나 미끄럼 주의구간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승차감 저하 등의 염려 없이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펌핑 발전장치, 대체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유체압축수단, 저장탱크, 볼록렌 즈

Description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Pumping generator using load of passing vehicle}
본 발명은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으로 공기 또는 부동액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유체를 압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수력, 화력, 원자력과 같은 발전설비는 대량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수력의 경우 계절에 따라 수량 차이가 많아서 지속적인 전기 생산이 어렵고, 화력이나 원자력의 경우 수력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화력의 경우 화석연료를 지속적으로 연소해야 하며,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로 인해 환경공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원자력의 경우 생산비용 등에서 매우 유리하나 방사능 오염 염려에 따른 민원발생이 지속적으로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인해 근자에는 친환경적인 발전설비가 대안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태양열이나 풍력을 이용하는 것들이다.
태양열을 이용한 발전설비는 대량의 솔라 셀을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서, 공간 확보에 매우 어려움이 있고,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는 발전이 어려워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풍력의 경우 지속적으로 바람이 불어야 하는 입지조건이 부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안정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환경오염이 없는 친환경적인 구성이며, 날씨의 영향과도 무관하게 발전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발전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으로 공기 또는 부동액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유체를 압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이 이루어지게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폭 방향으로 유체압축수단을 설치하고, 유체압축수단에서 압축된 유체를 터빈에 공급되어 발전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또한 유체가 공기일 경우 압축공기가 저장탱크를 경유하여 지속적으로 터빈에 공급되면서 발전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빈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 내부에 가압수단을 장치하였으며, 또한 낮 시간 동안 저장탱크를 태양열로 가열하여 공기를 팽창시켜 공기의 압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기후조건에 관계없이 차량 통행만 있으면 지속적인 염가의 발전이 가능하며, 주로 도로의 과속방지턱이나 미끄럼 주의구간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승차감 저하 등의 염려 없이 시공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실시예와 같이 유체압축수단을 구성할 경우 도로 파손 없이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요장소에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튜브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흡입구와 배기구를 차량 진입측과 반대측에 각각 설치하고, 차량이 통과할 때 튜브를 가압되도록 한 유체압축수단과, 상기 유체압축수단의 배기구와 연결되어 유체압축수단으로부터 압축 공급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하단에 배관되며 중도에 압력밸브가 구비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말미에 결합되어 압축공기로 구동되도록 발전기의 축에 설치한 터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압축수단은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과속방지턱 대용으로 사용되도록 튜브 상측에 연질 소재인 합성고무로 구성되고 통기공이 형성되는 가압판을 배치하되, 상기 가압판의 내부에는 도로의 폭 방향으로 위치되게 수개의 누름돌기를 형성한 것 또는 도로에 폭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여 흡입구와 배기구를 갖는 튜브를 내장하고, 튜브의 상측으로 가압판을 설치하되, 상기 가압판은 철판 또는 합성고무를
Figure 112009013631827-PAT00001
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요홈에 삽입되어 이탈방지수단으로 고정하되, 가압력이 없는 경우 노면과 동일하거나 혹은 노면보다 5~10mm 높은 위치에 있다가 차량이 통과할 때 튜브를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탱크는 유체압축수단의 배기구와 연결되는 관체와, 발전기의 축에 설치되는 터빈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하단에 배관되며,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는 피스톤이 결합되고, 피스톤의 상측으로는 가압스프링이 설치하며, 저장탱크의 상단에는 피스톤의 상사점 보다 낮은 위치에 배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상단에는 지지체의 의해 지지되는 볼록렌즈가 저장탱크와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튜브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흡입구와 배기구를 차량 진입측과 반대측에 각각 설치하고, 차량이 통과할 때 튜브를 가압되도록 한 유체압축수단과, 상기 유체압축수단의 흡입구와 배기구를 연결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순환관을 통해서 가압 이송되는 부동액 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유체로 구동되도록 발전기의 축에 설치한 터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압축수단은 튜브의 하측에 도로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설치하고, 튜브의 상측에는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과속방지턱 대용으로 사용되도록 연질 소재인 합성고무로 구성된 가압판을 배치하되, 상기 고정판과 가압판에는 누름돌기를 서로 포개지는 파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는 복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되기 전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장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1)는 공기를 이용토록 한 것으로서,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체압축수단(10)과, 유체압축수단(10)에서 압축 공급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0)와, 저장탱크(20)에 설치되며 중도에 압력밸브(31)가 설치된 공급관(30)과, 공급관(30)의 말미에 배치되며 발전기(50)의 축에 설치되는 터빈(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은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과속방지턱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예로는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형상이고 도로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가 긴 튜브(11)와, 도로에 안치된 튜브(11)의 상부에 덮여지며 양단이 도로에 고정되며 통기공(12a)이 관통되어 있는 연질 재료로 구성한 가압판(12)을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며, 튜브(11)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3)를 차량의 진행방향 측에 형성하고, 흡입구(13)의 반대측에 저장탱크(20)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구(14)를 연결하되, 이들 흡입구(13)와 배기구(14)에는 체크밸브(15)(16)를 설치하여 공기가 흡입구(13)로 흡입되고 배기구(14)로 배기되도록 통제되게 한다.
상기 흡입구(13)쪽 체크밸브(15)는 튜브(11)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튜브(11)에서 흡입구(13)쪽으로 공기 흐름을 차단하며, 배기구(14)쪽 체크밸브(16)는 튜브(11)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배기구(14)에서 튜브(11) 내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튜브(11)는 고무 재질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생산성 등을 고려할 때 길이가 1~2m 정도가 적당하며,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링 형상의 형상기억합금(도시되지 않음)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12)은 타이어와 같은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표면에는 도로시설물 기준에 부합하도록 페인팅 처리한다.
상기 가압판(12)의 내부에는 도로의 폭 방향으로 위치되게 수개의 누름돌기(12b)를 형성한다. 이들 누름돌기(12b)는 차량 통과 시 튜브(11)를 단계적으로 가압하여 공기를 압축하므로 공기의 압축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튜브(11)에 마련된 흡입구(13)와 배기구(14)는 튜브(11)의 크기 등에 의해 그 수를 증가하여 설치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되기 전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4 및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폭 방향으로 요홈(2)을 형성하고, 이 요홈(2)에 체크밸브(15)(16)가 설치된 흡입구(13)와 배기구(14)를 갖는 튜브(11)를 내장하고, 튜브(11)의 상측으로 평판형의 가압판(17)을 설치한 것이다. 이런 구성은 노면에 직접 설치할 경우 승차감 등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주로 자동차 전용도로 등의 미끄럼방지구간 등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판(17)은 철판 또는 합성고무를
Figure 112009013631827-PAT00002
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요홈(2)에 삽입되게 구성하며, 이탈방지수단으로 가압판(17)이 도로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가압판(17)은 차량의 가압력이 없는 경우 노면과 동일하거나 혹은 노면보다 5~10mm 정도 높은 위치에 있다가, 차량이 통과할 때 튜브(11)를 가압하도록 튜브(11) 상에 안치되어 있으며, 신속한 복원을 위해 복원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추가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으로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압판(17)의 양측 단부를 감싸는 커버(18)를 노면에 고정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예로는 가압판(17)에 구멍을 관통하고 이 구멍에는 노면에 고정된 핀을 끼워서 가압판(17)이 핀을 따라서 승강하는 구성(도시되지 않음) 등 다양한 것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20)는 도로변에 노출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외형이 대략 원 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의 배기구(14)와 관체(21)로 연결되며, 또한 발전기의 축에 설치되는 터빈(4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30)이 배관된다.
상기 저장탱크(20) 내부에는 피스톤(22)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피스톤(22)의 상측으로는 가압스프링(23)에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22)에는 실린더인 저장탱크(20)의 내벽과 접하는 라이닝이 결합되어 수밀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피스톤(22)은 유체압축수단(10)으로부터 대량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향 이동하며, 압축공기의 공급이 없을 때에는 압축스프링(23)이 팽창하면서 피스톤(22)을 하향 이동시켜서 터빈(40)과 연결되어 있는 공급관(3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20)의 상단에는 피스톤(22)이 상사점 위치에 도달할 때 압축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관(24)을 형성하며, 저장탱크(20)의 상단에는 지지체(25)에 의해 지지되는 볼록렌즈(26)를 저장탱크(20)와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설치하여 낮 시간에 저장탱크(20)를 가열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체압축수단(10)을 도로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하고 저장탱크(20)와 관체(21) 연결하며, 발전기의 축에 설치되는 터빈(40)과 저장탱크(20)를 공급관(30)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이 통행하게 되면 차륜이 유체압축수단(10)의 가압판(12)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판(12)은 아래쪽에 있는 튜브(11)를 가압된 다.
상기와 같이 튜브(11)가 가압되면 흡입구(13) 쪽의 체크밸브(15)는 크로스(close), 배기구(14) 쪽의 체크밸브(16)는 오픈(open)되면서 튜브(11) 내의 공기를 배기구(14) 쪽으로 배출하게 되고, 차륜이 유체압축수단(10)의 가압판(12)을 통과하면 흡입구(13) 쪽의 체크밸브(15)는 오픈(open), 배기구(14) 쪽의 체크밸브(16)는 크로스(close)되면서 튜브(11) 내로 외부 공기가 채워진다.
상기와 같이 유체압축수단(10)의 가압에 의해 배기구(14)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저장탱크(20)로 공급된다.
저장탱크(20)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공급관(30)에 배관되어 있는 압력밸브(31)를 통해서 발전기의 축에 설치되는 터빈(40)으로 공급되어 터빈(40)을 구동하게 된다.
또한 공급관(30)으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초과하는 압축공기는 저장탱크(20) 내에 비축되는데, 이때 피스톤(22)은 비축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축스프링(23)을 압축하게 되고,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량이 줄어들 때에는 압축스프링(23)이 복원되면서 피스톤(22)을 하향 이동시켜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를 공급관(30)으로 공급하여 터빈(40)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20)의 상단에는 배기관(24)이 형성되므로 차량 통행 증가 등으로 인해서 저장탱크(20) 내부로 과도한 압축공기가 공급될 때 피스톤(22)이 상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압축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여 저장탱크(20)의 내부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저장탱크(20)를 낮 시간에 가열하는 볼록렌즈(26)가 저장탱크(20)와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낮 시간에 저장탱크(20)를 가열하여 내부의 공기압력을 상승시키게 되는 바, 유체압축수단(10)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감소할 경우 압력을 보상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로에 적용한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유체압축수단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a, 8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되기 전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1)는 밀폐공간 내의 부동액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유체를 강제 순환되게 한 것으로서,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체압축수단(10)과, 유체압축수단(10)에서 가압 공급되는 용수가 순환하는 순환관(19)과, 순환관(19)의 중도에 배치되며 발전기(50)의 축에 설치한 터빈(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은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과속방지턱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예로는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형상이고 도로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가 긴 튜브(11)와, 튜브(11)의 하부에 위치하며 도로에 가장자리고 고정되는 고정판(10a)과, 튜브(11)의 상부에 덮여지며 가장자리가 고정판(10a)에 고정되며 연질 재료로 구성한 가압판(12)을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며, 튜브(11)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측에 흡입구(13)를 그 반대측에 배기구(14)를 설치하고 순환관(19)으로 연결하여 내부에 채워져 있는 용수를 순환시키게 한다.
상기 흡입구(13)와 배기구(14)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측으로만 용수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각각 체크밸브(15)(16)를 설치하여 튜브(11) 내의 용수가 순환관(19)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튜브(11)는 1개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파손 등을 고려할 때 적어도 2개 이상 복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복수로 튜브(11)를 구성한 경우 튜브(11) 중 1개가 손상되더라도 교체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압축수단(10)의 고정판(10a)과 가압판(12)에는 누름돌기(10b,12b)를 형성하되, 상기 누름돌기(10b,1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포개지는 파형으로 형성하여 튜브(11)를 자연스럽게 가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튜브(11)에 채워지는 용수는 동절기 동파의 염려가 없는 곳에서는 물을 사용하면 되고, 동파 염려가 있는 곳에서는 부동액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튜브(11) 등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0은 고정판(10a)을 도로에 고정하는 앵커볼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본 발명은 도로에 적용할 경우 도로 주변의 가로등 점등에 필요한 전기 등을 염가 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이 많이 다니는 도로에 다수의 펌핑장치를 설치해서 운영할 경우 대용량 전력 생산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되기 전 상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된 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장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되기 전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된 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로에 적용한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유체압축수단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되기 전 상태도
도 8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압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압된 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펌핑 발전장치 10:유체압축수단
10a:고정판 11:튜브
12,17:가압판 12a:통기공
10b,12b:누름돌기 13:흡입구
14:배기구 15,16:체크밸브
18:커버 20:저장탱크
22:피스톤 23:가압스프링
24:배기관 25:지지체
26:볼록렌즈 30:공급관
31:압력밸브 40:터빈

Claims (8)

  1.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튜브(11)에 체크밸브(15)(16)가 구비된 흡입구(13)와 배기구(14)를 차량 진입측과 반대측에 각각 설치하고, 차량이 통과할 때 튜브(11)를 가압되도록 한 유체압축수단(10)과,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의 배기구(14)와 연결되어 유체압축수단(10)으로부터 압축 공급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의 하단에 배관되며 중도에 압력밸브(31)가 구비된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의 말미에 결합되어 압축공기로 구동되도록 발전기의 축에 설치한 터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은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과속방지턱 대용으로 사용되도록 튜브(11) 상측에 연질 소재인 합성고무로 구성되고 통기공(12a)이 형성되는 가압판(12)을 배치하되,
    상기 가압판(12)의 내부에는 도로의 폭 방향으로 위치되게 수개의 누름돌기(12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은 도로에 폭 방향으로 요홈(2)을 형성하여 흡입구(13)와 배기구(14)를 갖는 튜브(11)를 내장하고, 튜브(11)의 상측으로 가압판(17)을 설치하되,
    상기 가압판(17)은 철판 또는 합성고무를
    Figure 112009013631827-PAT00003
    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요홈(2)에 삽입되어 이탈방지수단으로 고정하되, 가압력이 없는 경우 노면과 동일하거나 혹은 노면보다 5~10mm 높은 위치에 있다가 차량이 통과할 때 튜브(11)를 가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가압판(17)의 양측 단부를 감싸는 커버(18)를 노면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20)는 유체압축수단(10)의 배기구(14)와 연결되는 관체(21)와, 발전기의 축에 설치되는 터빈(4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30)이 하단에 배관되며,
    상기 저장탱크(20) 내부에는 피스톤(22)이 결합되고, 피스톤(22)의 상측으로는 가압스프링(23)이 설치하며, 저장탱크(20)의 상단에는 피스톤(22)의 상사점 보 다 낮은 위치에 배기관(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20)의 상단에는 지지체(25)의 의해 지지되는 볼록렌즈(26)가 저장탱크(20)와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6.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튜브(11)에 체크밸브(15)(16)가 구비된 흡입구(13)와 배기구(14)를 차량 진입측과 반대측에 각각 설치하고, 차량이 통과할 때 튜브(11)를 가압되도록 한 유체압축수단(10)과,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의 흡입구(13)와 배기구(14)를 연결하는 순환관(19)과,
    상기 순환관(19)의 중도에 설치되어 순환관(19)을 통해서 가압 이송되는 부동액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유체로 구동되도록 발전기의 축에 설치한 터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압축수단(10)은 튜브(11)의 하측에 도로에 고정되는 고정판(10a)을 설치하고, 튜브(11)의 상측에는 도로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과속방지턱 대용으로 사용되도록 연질 소재인 합성고무로 구성된 가압판(12)을 배치하되,
    상기 고정판(10a)과 가압판(12)에는 누름돌기(10b,12b)를 형성하되,
    상기 누름돌기(10b,12b)는 서로 포개지는 파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8. 제 1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1)는 복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090018974A 2008-04-07 2009-03-05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074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74A KR101074509B1 (ko) 2008-04-07 2009-03-05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2306 2008-04-07
KR1020080032306 2008-04-07
KR1020090018974A KR101074509B1 (ko) 2008-04-07 2009-03-05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84A true KR20090106984A (ko) 2009-10-12
KR101074509B1 KR101074509B1 (ko) 2011-10-17

Family

ID=4153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74A KR101074509B1 (ko) 2008-04-07 2009-03-05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509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604B1 (ko) * 2011-01-19 2011-04-15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반사판 세정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
KR101038283B1 (ko) * 2010-12-03 2011-05-31 김주형 차량 발전 시스템
WO2012040154A2 (en) * 2010-09-22 2012-03-29 Gohmann John L Roadway arrangement for power generation
WO2012134060A2 (ko) * 2011-03-27 2012-10-04 Lee Sungwoo 발전기 구동을 위한 유압공급장치
WO2013006744A2 (en) * 2011-07-06 2013-01-10 Black Ralph Traffic powered renewable energy system
KR101256447B1 (ko) * 2011-04-28 2013-04-19 한국도로공사 원심발전장치 및 과속방지부를 이용한 원심발전장치
KR101258233B1 (ko) * 2011-04-28 2013-04-25 한국도로공사 과속방지부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34825B1 (ko) * 2012-06-29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하중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발전 시스템
KR20150143193A (ko) * 2014-06-13 2015-12-23 (주)피플앤워터 에너지 관리 장치
KR20150143194A (ko) * 2014-06-13 2015-12-23 (주)피플앤워터 에너지 관리 장치
KR20150143191A (ko) * 2014-06-13 2015-12-23 (주)피플앤워터 에너지 관리 장치
KR101670068B1 (ko) * 2015-11-25 2016-10-2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용 조경 울타리
KR20190026378A (ko) * 2017-09-05 2019-03-13 옥물결 파빙이 가능한 유동부재 및 그를 이용한 파빙 도로의 시공방법
CN110331677A (zh) * 2019-08-01 2019-10-15 河南理工大学 一种基于夜间使用的减速带及方法
KR102459928B1 (ko) * 2022-07-28 2022-10-27 (주)세영통신 도로 교통량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273B1 (ko) 2010-03-18 2012-10-0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전기 발생 장치
KR101573025B1 (ko) * 2013-03-27 2015-11-30 (주)피플앤워터 에너지 관리 장치
KR200490439Y1 (ko) 2018-09-28 2019-12-02 박찬도 매립형 발전장치.
KR20220055716A (ko) 2020-10-27 2022-05-04 김태준 도로 발전장치
KR102263991B1 (ko) 2020-11-02 2021-06-10 조우일 발전 장치
KR102326340B1 (ko) 2021-06-16 2021-11-15 이나연 통과 차량의 하중을 이용한 도로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731A (ja) * 2001-12-18 2003-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弾性チューブポンピングを利用した発電システム
JP2004068798A (ja) * 2002-08-02 2004-03-04 Takashi Chihara エネルギー発生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0154A2 (en) * 2010-09-22 2012-03-29 Gohmann John L Roadway arrangement for power generation
WO2012040154A3 (en) * 2010-09-22 2012-06-14 Gohmann John L Roadway arrangement for power generation
US8740497B2 (en) 2010-09-22 2014-06-03 John L. Gohmann Roadway arrangement for power generation
KR101038283B1 (ko) * 2010-12-03 2011-05-31 김주형 차량 발전 시스템
WO2012074320A2 (ko) * 2010-12-03 2012-06-07 (주)에스티씨 차량 발전 시스템
WO2012074320A3 (ko) * 2010-12-03 2012-10-04 (주)에스티씨 차량 발전 시스템
KR101029604B1 (ko) * 2011-01-19 2011-04-15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반사판 세정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
WO2012134060A2 (ko) * 2011-03-27 2012-10-04 Lee Sungwoo 발전기 구동을 위한 유압공급장치
WO2012134060A3 (ko) * 2011-03-27 2012-11-29 Lee Sungwoo 발전기 구동을 위한 유압공급장치
KR101256447B1 (ko) * 2011-04-28 2013-04-19 한국도로공사 원심발전장치 및 과속방지부를 이용한 원심발전장치
KR101258233B1 (ko) * 2011-04-28 2013-04-25 한국도로공사 과속방지부를 이용한 발전장치
WO2013006744A3 (en) * 2011-07-06 2013-03-21 Black Ralph Traffic powered renewable energy system
WO2013006744A2 (en) * 2011-07-06 2013-01-10 Black Ralph Traffic powered renewable energy system
KR101334825B1 (ko) * 2012-06-29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하중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발전 시스템
KR20150143193A (ko) * 2014-06-13 2015-12-23 (주)피플앤워터 에너지 관리 장치
KR20150143194A (ko) * 2014-06-13 2015-12-23 (주)피플앤워터 에너지 관리 장치
KR20150143191A (ko) * 2014-06-13 2015-12-23 (주)피플앤워터 에너지 관리 장치
KR101670068B1 (ko) * 2015-11-25 2016-10-2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용 조경 울타리
KR20190026378A (ko) * 2017-09-05 2019-03-13 옥물결 파빙이 가능한 유동부재 및 그를 이용한 파빙 도로의 시공방법
CN110331677A (zh) * 2019-08-01 2019-10-15 河南理工大学 一种基于夜间使用的减速带及方法
KR102459928B1 (ko) * 2022-07-28 2022-10-27 (주)세영통신 도로 교통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509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509B1 (ko) 통과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506836B1 (ko) 도로상의 에너지 전환 및 진동흡수장치
ES2643623T3 (es) Aparato generador eléctrico accionado por tráfico
WO2008153591A1 (en) Omar vectorial energy conversion system
US82326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storing clean energy
CN201354994Y (zh) 路灯节能电源装置
US8754539B2 (en) Traffic powered renewable energy system
KR101179107B1 (ko) 차량 하중을 이용한 공압발생장치 및 공압발전 시스템
CN205154521U (zh) 一种能发电的琴键式减速带
CN201460988U (zh) 涡轮发电机
ES2309509T3 (es) Dispositivo para la acumulacion de energia termica para la conversion subsiguiente en energia electrica.
CN203145093U (zh) 一种路面压力抽水蓄能装置
CN103775207A (zh) 一种稳定运行的绝热压缩空气蓄能发电方法及其系统
CN109026575A (zh) 道路发电系统
CN1963197A (zh) 道路减速带发电动力装置
CN105333035A (zh) 一种基于空气压缩的制动发电机构
KR20120071215A (ko) 도로 상 요철을 이용한 발전장치
CN206204742U (zh) 一种纯电动泡沫沥青洒布车
CN201713263U (zh) 移动多节式千斤顶
CN110966154A (zh) 一种减速带抽水装置
CN201016581Y (zh) 横流式冷却塔改造成的逆流式冷却塔
CN215057798U (zh) 一种沼气发电机组燃气进气集成装置
CN201110251Y (zh) 运动物体发电装置
CN203296079U (zh) 可以利用太阳能充电的报警井盖
CN211038941U (zh) 一种太阳能光热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