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941A -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941A
KR20090106941A KR1020080032359A KR20080032359A KR20090106941A KR 20090106941 A KR20090106941 A KR 20090106941A KR 1020080032359 A KR1020080032359 A KR 1020080032359A KR 20080032359 A KR20080032359 A KR 20080032359A KR 20090106941 A KR20090106941 A KR 20090106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unit
dispenser
button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821B1 (ko
Inventor
박주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821B1/ko
Priority to US12/399,092 priority patent/US8141382B2/en
Publication of KR2009010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과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실로부터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취출부;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취출부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취출버튼부; 상기 취출부와 상기 취출버튼부의 이동을 연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취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취출부를 투시하여 그 배면으로 취출되는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하는 취출량확인부;를 포함함으로써, 구동부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는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냉각실로부터 얼음을 취출하므로 디스펜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실의 부피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디스펜서의 미 사용시 구동부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가 도어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구비되며, 커버부에 의해 차폐되므로 외부로부터 먼지 등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디스펜서, 취출량확인부

Description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 외부에서 냉장고의 내부에서 제빙되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도록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를 작동유체로 하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식품이나 음료와 같은 저장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로 개발된 이래 오랫동안 생활필수품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냉장고에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인 기능 추가가 예상된다.
일 예로, 냉장고 내부에서 제조되는 얼음 등의 인출을 위해 매번 도어를 개방해야하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냉장고의 외부에서 그 내부에서 제조된 얼음 등의 인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출시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냉장고 도어 일부가 그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의 일 측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얼음 등을 인출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함몰부에 용기를 집어넣어 인출되는 얼음 등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에 의하면, 냉장고의 외부로 상기 함몰부 및 인출구가 노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외부로부터 상기 함몰부 또는 인출구가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에 의하면, 얼음 등의 인출을 위해 상기 함몰부의 내측 즉, 도어의 내측으로 용기를 집어넣어야 하므로, 상기 함몰부는 용기의 크기만큼 크게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스펜서가 형성되는 공간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이 과도하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 미사용시에도 상기 함몰부와 상기 인출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 구매시 가전제품의 외관을 하나의 인테리어로 여기는 최근 소비자의 추세에 비추어 외관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펜서의 미 사용시 도어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차폐되며, 디스펜서의 사용시 냉장고의 도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얼음을 인출하게 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과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실로부터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취출부;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취출부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취출버튼부; 상기 취출부와 상기 취출버튼부의 이동을 연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취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취출부를 투시하여 그 배면으로 취출되는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하는 취출량확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취출부는,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전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그 내부를 차폐하며 상기 취출량확인부가 구비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취출위치에서 얼음의 취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출량확인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투시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말단부 와 상기 취출버튼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출량확인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소정의 폭을 가지며 수평으로 형성된 투명창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창은, 투시되는 사물을 확대하여 보이게 하는 볼록렌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취출량확인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커버부의 중앙부에서 양 측부로 갈수록 그 구멍의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커버부의 두께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만큼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의하면,
첫째, 구동부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는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냉각실로부터 얼음을 취출하므로 디스펜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실의 부피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디스펜서의 미 사용시 구동부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가 도어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구비되며, 커버부에 의해 차폐되므로 외부로부터 먼지 등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디스펜서의 미 사용시 커버부가 도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며 그 내측이 차폐되어 냉장고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므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상기 취출량 확인부에 의해 취출동작시 취출되는 얼음 등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취출량의 확인을 위해 몸을 숙이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과다한 취출로 냉장고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I-I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저장물이 저장되는 냉각실(12)과 상기 냉각실(12)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실(12)은 냉장고(10)의 와관을 형성하는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각실(12)의 내면과 상기 본체(11)의 외면은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된다.
상기 단열재에 의해 상기 냉각실(12)의 내부는 상기 본체(11)의 외부와 단열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실(12)은 저장물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일 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된 일 면은 상기 본체(11)에 힌지결합된 도어(13)에 의해 개방 또는 차폐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13)의 내부에도 단열재가 삽입되게 되므로 상기 도어(13)를 통해 상기 냉각실(12)의 내부로 열전달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3)의 전면 한쪽에는 소비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도어손잡이(1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도어(13)의 개폐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실(12)의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사이클(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사이클의 구성 및 작용은 다수의 매체에 의해 공지되었는 바 여기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냉기공급덕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냉각실(12)로 공급되어 그 내부를 냉각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냉기공급덕트로 냉기의 공급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송풍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냉각실(12)은, 저장물을 얼리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12a)과 저장물은 얼린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12b)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2a)과 상기 냉동실(12b)은, 소비자가 사용 패턴 및 저장 물의 종류 또는 양에 맞추어 선택가능하도록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12a)이 상측에, 냉동실(12b)이 하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냉동실(12b)에 비해 냉장실(12a)의 사용 빈도가 많은 소비자에게 냉장실(12a)의 개폐 및 저장시 편리함을 안겨 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냉동실(12b)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3b)는 힌지결합이 아닌 서랍식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소비자가 냉동실(12b)에 저장된 저장물을 상측으로 인출하게 함으로써, 하측에 위치되는 냉동실(12b)로부터 저장물의 인출시 자세를 낮춰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다르게, 냉동실(12b)을 상측에, 냉장실(12a)을 하측에 형성하거나, 냉장실(12a)과 냉동실(12b)을 좌우측으로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도어(13)의 개방 없이도 외부에서 냉각실(12)에서 제조된 얼음 등을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100)가 구비된다.
도 1에서는 상기 디스펜서(100)가 냉장실도어(13a)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냉동실도어(13b)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냉각실(12)의 내부에는 상기 디스펜서(100)를 통해 인출되는 얼음 등의 제조를 위한 제빙장치(15)가 마련되며, 이들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빙장치(15)와 상기 디스펜서(100)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빙장치(15)로부터 제조된 얼음 등을 이송하는 이송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15)는, 상기 냉각실(12)의 내부 또는 상기 도어(13)의 배면 즉, 상기 냉각실(12)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15)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공지된 구성을 가진 제빙장치 중 어느 것으로 구비되어도 무난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13)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도어(13)의 전방으로 회전 돌출되어 냉각실(12)로부터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취출부(110),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취출부(110)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취출부(1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13)의 전면 내외측으로 돌출되는 취출버튼부(120), 상기 취출부와 상기 취출버튼부의 이동을 연동시키는 구동부(130), 그리고 상기 취출부(110)에 구비되며 상기 취출부(110)를 투시하여 그 배면으로 취출되는 얼음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하는 취출량확인부(16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도어(13)의 전면 한쪽에는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도어(13)의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는 전면 일측이 개방된 디스펜서 수납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면 일 측에는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 그리고 상기 구동부(130) 등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를 별도의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전면 일측이 개구된 부재로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설치하고,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 및 상기 구동부(130)를 고정 및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상측에는 그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이 송부(140)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40)의 내측에는 상기 이송부(140)를 통한 얼음 등의 이송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부(140)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1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141)는 일 측이 상기 이송부(140) 또는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되며 별도로 구비된 솔레노이드(142) 등과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110)는,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 이송된 얼음 등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가이드부(113)가 그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취출량확인부(160)는 상기 커버부(111)의 하측에 소정의 폭을 가지며 수평으로 형성되며, 얼음 등의 취출시 소비자는 이를 통해 용기에 담겨지는 얼음 등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취출부(110)는, 그 상측 양단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면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취출부(110)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도어(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취출위치로 이동되며,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로 수납되는 수납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의 말단과 연결되어 이송부(140)를 통해 이송된 얼음 등이 외부로 취출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와 상기 도어(1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수납위치에서 상기 취출부(110)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키게 된다.
또한, 수납위치에서 상기 커버부(111)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은, 위쪽으로 상기 취출부(110)의 상단부터 아래쪽으로는 상기 취출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취출버튼부(120)가 전방으로 수평이동 가능한 위치까지의 높이(h2)가 개구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40)가 위치되는 부분, 즉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상면에서 상기 취출부(110)의 상측까지(h1)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차폐되게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취출부(11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115)는 상기 취출부(110)의 상단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부(111)의 높이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반경을 늘리게 되어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의 말단이 돌출되는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얼음 등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각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과도하게 회전되어 취출동작시 외관미를 저해시킬 수 있는 염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취출위치에서 외관미의 손상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커버부(111)와 상기 도어(13)의 전면이 이루는 각(α)는 45도에서 60도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위치에서 상기 커버부(111)는 상기 도어 전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 상기 취출부(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되는 버튼프레임부(123)와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에 탄성지지되어 취출동작을 개시시키는 버튼부(1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취출부(110)의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용기를 이용해 상기 버튼부(121)를 누르면, 그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113)의 말단부와 상기 용기의 입구가 대향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130)는, 각각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gear)가 서로 맞물린 기어부(131)와 상기 기어부(1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33)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모터(133)의 회전으로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이동을 연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11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서 취출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110)는, 앞서 설명한 커버부(111)와 그 배면에 결합되어 취출되는 얼음 등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는 얼음 등의 취출량 확인을 위한 취출량확인부(16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취출부(110)는 디스펜서(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1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버튼부(118)는, 소비자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PCB(118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커버부(111)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PCB(118b)에 누름력을 전달하는 버튼수용부(118a) 및 상기 버튼PCB(118b)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PCB수용부(118c)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버튼부(118)는 상기 커버부(111)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배면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13)는 취출되는 얼음 등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배면과 결합에 의해 하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113a)와 상기 가이드(113a)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버튼부(118)와의 체결부(113c)가 구비된 가이드고정부(113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측면, 즉 커버부(111)의 배면 양단 또는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양 측면 또는 상기 가이드고정부(113b)의 측면에는 상기 취출부(110)를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재(116)의 일단 이 고정되며, 타 단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힌지결합부재(116)는, 상기 구동부(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취출부(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힌지결합부재(11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취출량확인부(16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II-II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상기 취출량확인부(160)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량확인부(160)는, 상기 커버부(111)의 하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으로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구멍 사이의 간격은 상기 구멍들이 마치 망과 같이 그것을 통해 상기 커버부(111)의 배면 쪽을 볼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커버부(111)의 두께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β)만큼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소정의 경사(β)는 상기 커버부(111)가 취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부(111)와 상기 도어(13)의 전면과 이루는 각(α)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부(111)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구멍을 통해 내부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구멍에 의한 상기 커버부(111)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커버부(111)의 중앙부에서 양 측부로 갈수록 그 구멍의 직경이 작아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취출량확인부(160)를 통해 취출량을 확인하는 부분은 대부분 중앙부이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구멍을 중앙부에서 양 측부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멍으로 인한 상기 커버부(111)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버튼부(120)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2에서 취출버튼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버튼프레임부(123)와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에 탄성지지되는 버튼부(121)를 포함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프레임이동안내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1)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 기 버튼부(121)의 제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버튼부(121)의 측면 후단에는 걸림단(121b)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단(121b)에 대응되게 버튼부걸림홈(12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121b)과 버튼부걸림홈(123a)은 그 위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함.)에 의해 측면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 또는 하면 어디에라도 설치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버튼부(121)의 측면 후단이 지나는 이동경로 상에는 상기 버튼부(121)의 이동에 의해 눌려져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부재(126)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부재(126)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 측면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위칭부재(126)는 상기 프레임이동안내부(12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이동안내부(125)에 의해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좌우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버튼부(121)와 상기 스위칭부재(126)의 접촉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프레임이동안내부(125)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하면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측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둘이 서로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이동방향으로 버튼안내돌기(123c)와 버튼안내홈(125a)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프레임부(123)는 내측에 상기 버튼부(121)가 삽입되어 탄성 지지되며, 외측의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130)에 결합되어 미끄럼운동하며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구동하는 미끄럼돌기(123b)가 형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버튼부(121)는, 상기 버튼부(121)의 상면에서 하면쪽으로 함몰 형성되며 분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잔빙받이부(121a)와 상기 잔빙받이부(121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몸체부(121c)를 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그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취출부(110)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113)로부터 비정상으로 취출되는 얼음 등을 상기 잔빙받이부(121a)로 안내하는 잔빙가이드부(127)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잔빙가이드부(127)는, 내측에 얼음 등이 이송될 수 있도록 개구부(127a)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7a)의 둘레는 그 쪽으로 떨어지는 얼음 등을 상기 개구부(127a)로 안내하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27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빙가이드부(127)의 개구부(127a)는, 상기 버튼부(121)가 눌려졌을 때 상기 잔빙받이부(121a)와 대응되도록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상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잔빙받이부(121a)에 잔빙이 많이 쌓인 경우 소비자는 상기 잔빙받이부(121a)를 탈거하여 그 내부의 잔빙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빙받이부(121a)의 전면, 즉 얼음 등을 수용하는 용기 등이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버튼부(121)를 누를 때 상기 버튼부(121) 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용기접촉부(121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121)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버튼부(121)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되는 버튼이동제한부(128)에 의해 최대 눌림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의해, 소비자가 얼음 등의 취출을 위해 상기 버튼부(121)를 누를 때, 상기 버튼부(121)가 최대로 눌렸음을 소비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121)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부(113)를 통해 취출되는 얼음 등이 용기에 담겨지게 되는데, 상기 버튼부(121)를 최대 눌림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면, 취출되는 얼음 등이 용기 밖으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부(128)는 상기 문제점을 방지하여 안정된 취출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버튼이동제한부(128)는,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힌지결합되는 힌지부(129), 상기 힌지부(129)로부터 수평면에 대해 상향되게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전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128a)와 제2연장부(128b) 그리고 상기 제2연장부(128b)의 말단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버튼부(121)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3연장부(128c)를 포함한다.
한편, 이와 대응되게 상기 버튼프레임가이드부(113)에는 상기 버튼이동제한부(128)가 설치되는 설치홈(125c)이 구비되며, 그 내측에 수평하게 결합힌지부(125b)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2에서 구동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구동부의 조립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gear)가 서로 맞물린 기어부(131)와 상기 기어부(1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33)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131)는, 상기 모터(133)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131a)와, 상기 구동기어(131a)와 치합되어 상기 취출부(110)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131b)와, 상기 구동기어(131a)와 치합되며 상기 취출버튼부(120)를 이동시키는 제2종동기어(131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131a)와 제1종동기어(131b) 및 제2종동기어(131c)는 그 회전면이 상기 커버부(111)와 직교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종동기어(131b)의 직경(D1)은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31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종동기어(131b)의 각속도가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각속도가 더 크게 되므로 상기 취출부(110)와 취출버튼부(120)의 돌출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돌출시 상기 취출버튼부(120)가 상기 커버부(111)에 의해 이동이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131a)의 직경(D3)은 상기 제1종동기어(131b) 및 제2종동기어(131c)의 직경(D1,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어(131a)는 모터(133)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소음이 덜한 부드러운 돌출을 위해서는 저속으로 돌출되는 것을 요하는데 상기 모터(133)를 회전속도가 저속인 것을 구비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상당한 부담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31a)의 직경을 작게 구비함으로써 회전속도비를 이용하여 상기 취출부(110) 및 취출버튼부(120)의 돌출속도를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131a), 상기 제2종동기어(131c), 모터(133)는 서로 형합되는 제1커버부(134a)와 제2커버부(134b)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131a)의 일부분이 상기 제1커버부(134a)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곳에 상기 제1종동기어(131b)가 치합되게 된다.
상기 제1종동기어(131b)는 힌지결합부(115)와 고정부(114)와 결합되어 상기 힌지결합부재(116)를 구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圓弧)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힌지결합부(115)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취출부(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14)와 결합된다.
상기 소정의 중심각은, 상기 커버부(111)가 이동하는 각(α)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115)와 상기 제1종동기어(131b)의 결합에 의해 이루 어지는 부채꼴 모양의 내부 공간은,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 돌출시 상기 커버부(111)의 상단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면부(101a) 하단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취출부(110)의 양 측부 중 상기 구동기어(131a)와 결합되지 않는 측부에 구비된 상기 제1종동기어(131b)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131b)와 맞물려 회전되는 아이들기어(135)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2종동기어(131c)는,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구동하는 미끄럼레버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레버부(132)는 그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슬롯(132a)이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슬롯(132a)에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미끄럼돌기(123b)가 끼워진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회전에 의해 상기 미끄럼레버부(132)가 상기 미끄럼돌기(123b)를 밀게 되며 상기 미끄럼돌기(123b)는 미끄럼슬롯(132a)을 미끄러지면서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과정을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수납위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취출위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13)의 내측으로 수납된 수납위치에서 커버부(111)에 의해 냉장고(10)의 외측에서 볼 때 완전히 차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와 상기 도어(13)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미끄럼레버부(132)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111)에 구비된 제어버튼부(118)를 통해 소비자의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모터(133)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31a)가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구동기어(131a)에 치합된 제1종동기어(131b) 및 제2종동기어(131c)는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부(111)와 가이드부(113)는 상기 힌지결합부(115)를 중심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버튼프레임부(123)는 그에 형성된 미끄럼돌기(123b)가 상기 미끄럼레버부(132)에 형성된 미끄럼슬롯(132a)을 타고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후, 소비자에 의해 상기 버튼부(121)가 눌려지면 상기 버튼부(121)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된 스위칭부재(126)가 상기 버튼부(121)에 의해 눌려지며 얼음 등의 취출신호가 발생된다.
이에 의해,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 얼음 등이 이송되고 상기 가이드부(113)를 통해 외부로 취출되게 된다.
이때, 소비자는 상기 취출량확인부(160)를 통해 상기 용기에 담겨지는 얼음 등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원하는 양이 채워졌을 때 상기 용기를 상기 버튼부(121)에서 뗌으로서 얼음 등의 취출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취출위치에서 수납위치로의 이동은 상술한 취출동작의 반대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커버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 이며,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 III-III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에 있어서, 디스펜서(200)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나, 상기 커버부(211)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량확인부(260)는, 수평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투명창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211)의 하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취출동작시 소비자는 상기 투명창을 통해 취출되는 얼음 등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창은 유리 등과 같이 투시되는 물체를 완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200)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갈색 계통의 어두운 색이 들어간 투명창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디스펜서(200)의 내부는 어두우므로 상기 어두운 색이 들어간 투명창을 통해서는 그 내부가 쉽게 눈에 들어오지 않게 되나,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용기가 위치하는 커버부(211)의 배면 쪽은 상기 디스펜서(200)의 내부에 비해 밝은 편이므로 상기 어두운 색이 들어간 투명창을 통해 취출되는 얼음 등의 양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투명창은, 투시되는 사물을 확대하여 보이게 하는 볼록렌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취출되는 얼음 등의 양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사상과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I-I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취출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II-II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상기 취출량확인부(160)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2에서 취출버튼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
도 8은 도 2에서 구동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
도 9는 도 8에서 구동부의 조립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수납위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취출위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커버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 III-III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Claims (13)

  1. 냉각실과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실로부터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취출부;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취출부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취출버튼부;
    상기 취출부와 상기 취출버튼부의 이동을 연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취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취출부를 투시하여 그 배면으로 취출되는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하는 취출량확인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한쪽 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납위치와 취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전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그 내부를 차폐하며 상기 취출량확인부가 구비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취출위치에서 얼음의 취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량확인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투시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말단부와 상기 취출버튼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량확인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소정의 폭을 가지며 수평으로 형성된 투명창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투시되는 사물을 확대하여 보이게 하는 볼록렌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량확인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커버부의 중앙부에서 양 측부로 갈수록 그 구멍의 직경이 작아지게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커버부의 두께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만큼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버튼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버튼프레임부; 및
    상기 버튼프레임부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취출부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취출버튼부를 이동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동기어는,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圓弧)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이 회전중심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취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동기어는,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취출버튼부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미끄럼돌기가 끼워지는 미끄럼슬롯이 형성된 미끄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080032359A 2008-04-07 2008-04-07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8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59A KR100981821B1 (ko) 2008-04-07 2008-04-07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12/399,092 US8141382B2 (en) 2008-04-07 2009-03-06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59A KR100981821B1 (ko) 2008-04-07 2008-04-07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41A true KR20090106941A (ko) 2009-10-12
KR100981821B1 KR100981821B1 (ko) 2010-09-13

Family

ID=4113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59A KR100981821B1 (ko) 2008-04-07 2008-04-07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41382B2 (ko)
KR (1) KR100981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3798A1 (de) * 2014-07-16 2016-01-2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Wasserspendereinheit die eine Aufnahmeeinheit zum Einsetzen eines Geschmacksmittel-Behälters aufweist
US20170119200A1 (en) * 2016-01-19 2017-05-04 Anthony David Bressi Automated beverage and fragrance synthesiz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297A (ko) * 2003-03-27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팬서
KR100504917B1 (ko) * 2003-04-01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팬서
US7340914B2 (en) * 2005-01-03 2008-03-11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water and ice dispenser having a retractable ledge
KR101405932B1 (ko) * 2007-07-06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기기
US8201715B2 (en) * 2008-04-07 2012-06-19 Lg Electronics Inc.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100951288B1 (ko) * 2008-04-07 201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41382B2 (en) 2012-03-27
US20090249815A1 (en) 2009-10-08
KR100981821B1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88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90106938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21578B1 (ko) 냉장고
KR101275568B1 (ko) 자동홈바
KR101513628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8443620B2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080064548A (ko) 냉장고 제빙장치
KR20100122230A (ko) 냉장고
US8881951B2 (en) Refrigerator
KR101761739B1 (ko)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20080046848A (ko)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50018962A (ko) 냉장고
US8596087B2 (en) Refrigerator
KR10098182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90043971A (ko) 제빙장치
JP4896224B2 (ja) 冷蔵庫用穀物保管装置
KR20090020024A (ko) 냉장고
KR100969796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5744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US20170211865A1 (en) Refrigerator
KR10095742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64052A (ko) 냉장고
WO2008020707A1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10097836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