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519A - 이명증의 치료 - Google Patents

이명증의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519A
KR20090106519A KR1020097014514A KR20097014514A KR20090106519A KR 20090106519 A KR20090106519 A KR 20090106519A KR 1020097014514 A KR1020097014514 A KR 1020097014514A KR 20097014514 A KR20097014514 A KR 20097014514A KR 20090106519 A KR20090106519 A KR 20090106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nitus
electrical
patient
repetition rate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안소니 윈클러
Original Assignee
피터 안소니 윈클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7900088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7900088A0/en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안소니 윈클러 filed Critical 피터 안소니 윈클러
Publication of KR2009010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5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5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 A61N1/3728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characterised by communication with experts in remote locations using a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이명증의 증상를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100Hz보다 적은 펄스 반복율(frequency)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이 이명증 환자가 사용하는 헤드폰 (9, 29) 또는 이어폰 (39)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 트랜스듀서에 인가된다. ㄱ구형파형들, 톱니파형들 및 삼각파형들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지속 시간이 3 분이고, 10 내지 15초의 고요한 휴지기로 분리되는, 구형파형, 삼각파형, 구형파형 및 구형파형의 시퀀스가 인가된다. 이와 같은 트랜스듀서들에 이와 같은 파형(들)을 인가하기 위한, 진료용 오실레이터 (1), 인터넷 분배 시스템 (20), 재생 장치 (30),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 장치들 (41 내지 43), 및 달팽이관 삽입물 (701)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명증의 치료{TINNITUS TREATMENT}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이명증의 치료, 그리고 특히 자각적(subjective) 이명증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이명증은 귀속에서의 소리의 울림 또는 이와 유사한 느낌(sensation)으로서 설명된다. 이것은 사람의 머리에서 부지불식간에(in an involuntary manner) 형태로 발생하는, 또는 그러한 것처럼 여겨지는 소리에 대한 의식적인 표출(conscious expression)이다. 이것은 종종 다른 청력 장애들과 연계되기도 하지만, 단독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이명증은 타각적 이명증과 자각적 이명증이라고 알려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타각적 이명증은 더 희귀한 형태이며 환자 이외의 다른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머리속 소음(head noises)들로 구성된다. 이 소리들은 청각계(auditory system) 외적인 것이며, 많은 경우 근육의 반복 수축 또는 내이(inner ear)의 구조 적 결함에 기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다 흔한 자각적 이명증에 대해서는 훨씬 덜 밝혀져 있다. 환자들이 듣는 소리들은 금속성으로 울리거나, 웅웅 거리거나(buzzing), 펑소리가 나거나, 박자가 없이 두드리는 소리들로 폭넓게 퍼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이명증의 원인은 아직은 불명확하다. 이것은 대단히 고통을 주는 상태이며 몇몇 환자들이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는 것을 가로막는다. 이러한 상태 때문에 겪는 고통을 줄여주기 위해 항우울제들(antidepressants)이 흔히 사용되지만 이러한 이명증을 멈추지는 못한다. 다양한 치료법들이 이명증을 경감시키거나 치료하기 위해 시도되어 왔으나 어느 것도 성공적이지 않거나 검증되지 않은 효과만을 나타내었다.
흔한 치료법으로는 상담을 받으면서 이명증 매스커들(maskers)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매스킹(masking)이란 다른 소리는 환자의 귀에 들리는 반면에 이명증은 지각되지 않는 현상이다. 그리하여, 매스킹음이 이명음을 대체한다. 매스킹음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는(즉, 많은 주파수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존재하는) 400Hz와 10,000Hz 사이의 통상적으로 혼합된 정현파들(sine waves)인 백색 소음(white noise)인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매스킹은 음악을 사용하여 시도되어 왔다.
이명음의 레벨 이상으로 일상 대화 소리를 키워주는 보청기들이 환자들의 청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이명음을 제거하지 못한다. 청취를 돕는 외에도, 이러한 보청기들은 환자의 귀에 백색 소음을 도입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약간의 매스킹을 제공한다.
이명증 재훈련 치료법은, 이명증에 대해 덜 고통스런 반응을 일으키도록 함에 있어서 긴 시간에 걸쳐 저음량 백색 소음 발생기들을 사용하는 또 다른 치료 방법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몇몇 시술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다른 치료법들로는, 은행잎(Gingko Biloba)과 같은 약초(herbal medications)의 처방과; 침술; 최면술; 전기적 자극 및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의 사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치료법들 중 어느 것도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현재까지, 중기 또는 장기적 치료 관점에서 이명증에 대한 성공적인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매스킹 신호가 멈춘 후에도 이명증이 없거나 잦아드는 짧은 시간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명증 환자들에게서 이미 관찰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이명증이 없어지거나 잦아드는 것을 잔류억제효과(residual inhibition)라고 부른다.
잔류억제효과는 기껏해야 몇 초만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이 너무 짧게 지속되기 때문에, 치료적으로 유용하다는 것이 종래에는 무시되어 왔다. 현재의 매스킹 치료법에서는 잔류억제효과가 상당히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달팽이관 삽입물(Cochlear Implants, CI)이 몇몇 환자들에 있어서 이명증을 줄여준다고 알려졌다. 달팽이관 삽입물의 전원이 켜 있어서 이것이 매스킹을 이루는 동안에 이명증이 감소한다. 달팽이관 삽입물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잔류억제효과가 정규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몇몇 환자들에게는 달팽이관 삽입물이 이식된 후에 처음으로 이명증이 생겼다. 달팽이관 삽입물을 사용하는 것은 이명증에 대해 권장되는 치료법이 아니다.
정상적인 청력을 가졌으나 이명증의 증상에 의해 유도된 심각한 자살 성향을 가진 한 환자의 한쪽 귀에 어느 현장 종사자(Zeng Fan-Gang)가 달팽이관 삽입물을 이식한 바 있다고 보고되었다. 달팽이관 삽입물은 그 환자의 이식된 귀의 정상적인 청력을 손상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달팽이관 삽입물은 매스킹을 제공하도록 사용되었다. 저주파 변조된 정현파들이 달팽이관 삽입물에 인가되었다. 초기에는 그 환자의 증상이 약간 완화되었으나 그 환자는 잔류억제효과를 경험하지 못했고 이후로는 이명증의 재발(rebound)로 고통받았다. 예상대로 한쪽 귀의 청력이 소실되었지만 시간이 흘러도 그 환자의 증상이 개선되지는 않았다.
잔류억제효과는 완전하거나, 부분적이거나 또는 재발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완전한 잔류억제효과에서는, 매스킹음의 중단 후에 이명증이 완전히 사라진다. 부분적 잔류억제효과에서는, 그 강도는 감소되나, 매스킹음의 중단 후에도 이명증이 여전히 남아 있다. 재발성 잔류억제효과에서는, 매스킹음의 중단 후에 이명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이명증이 점진적으로 재발하면, 처음에는 완전했던 잔류억제효과가 이후로는 부분적 잔류억제효과로 되고 마는 것도 흔한 일이다.
실제로는, 잔류억제효과가 현재의 이명증 매스킹 치료법의 일부로서 이용되거나 추구되고 있지 않다. 매스킹 치료법의 창시자인 잭 버논(Jack Vernon)은, 그의 저서 "이명증의 진단/치료(Tinnitus diagnosis/treatment, Abraham Shulman publisher)" 62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종종, 이명증 환자들은 '왜 하나의 소리를 다른 소리로 바꿉니까?'라며 말하며 매스킹의 논리를 이해할 수 없다고 우리에게 이야기합니다. 그런 경우에, 우리가 매스킹을 시연해 보이면, 어떻게 그것만으로도 고통이 덜어질 수 있는 지를 즉시 이해하기도 합니다. 첫째, 소음 대역(a band of noise)이 높은 음역의 날카로운 음조보다는 심미적으로 더 받아들일 만합니다. 둘째, 이명음보다는 외부 소리가 더 쉽게 무시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들은 잔류억제효과를 나타내줌으로써 과도하게 감탄합니다. 몇몇 환자들에게는, 그들이 이명증을 갖게 된 이래로 이명음을 듣지 않게 된 첫 경험인 것입니다. 그것의 일시성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잔류억제효과가 영원히 지속되길 여전히 기대합니다. 매스킹 자체를 치료라고 볼 때 매스킹이 성공하는 것이지, 잔류억제효과가 매스킹의 목표는 아니라고 우리는 설명합니다. 이러한 모든 설명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환자가 임상 실험에서 잔류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매스킹을 권유하지 않는다는 많은 의료인들을 보아 왔습니다. 또한 우리는 단순히 잔류억제효과를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매스킹의 사용을 계속하지 않으려는 환자들을 보아 왔습니다. 이러한 모든 경우들에 있어서, 부적절한 정보 및 기대감이 시사되어 있었습니다."(강조되어 있음)라고 언급한다.
발명자는 그의 개인 병원에서 이비인후과의사(otologist)로서 30년 이상 동안 이명증 환자들을 치료해왔습니다.
발명의 기원
본 발명은, 잔류억제효과에 의해 순간적으로 주어지는 것보다 더 연장된 치료를 이명증 환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이한 접근방법은, 만일 잔류억제효과의 지속기간이 몇 초나 몇 분에서 몇 시간 또는 며칠로 연장될 수 있다면, 그것은 잠재적인 치료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더 연장된 잔류억제효과가 장기간 이명증 소멸, 그리하여 "치료"에 이를 수 있다는 발명자의 통찰력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하나의 웹사이트와, 상기 웹사이트와 연관된 하나의 지급 인수 시설(payment acceptance facility)과, 그리고 상기 웹사이트와 연관된 하나의 음향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 음향 치료용 인터넷 기반 시스템이 개시되는데, 이명증 환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대금 지급 조치를 하고, 환자의 한쪽 귀에 사용하는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 트랜스듀서(acoustic transducer)에 상기 음향 신호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신호는 100Hz보다 적은 펄스 반복율(pulse repetition rate)을 가지는 하나의 비정현적(non-sinusoidal) 펄스 전기 파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i)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 트랜스듀서를 이명증 환자의 적어도 한쪽 귀에 대는 단계와, 그리고
(ii) 100Hz보다 적은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향 신호를 상기 헤드폰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의 치료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하면, 100Hz보다 적은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실레이터 수단과,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 트랜스듀서와 연결하기에 적합한 하나의 출력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 치료용 전기 발생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하면, 100Hz보다 적은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이 저장되는 하나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 수단과,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 트랜스듀서와 연결하기에 적합한 하나의 출력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 치료용 전기적 재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의하면, 100Hz보다 적은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이 저장되는 하나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호환성 전기적 재생 장치에서 동작될 때 상기 파형을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 트랜스듀서에 적합한 형태로 재생하는 이명증 치료용 저장 오디오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이식형 전극에 가해진 100 Hz보다 적은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을 수신하거나 발생시키도록 프로그램된 하나의 프로세서 유닛과, 그로부터 전압을 받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된 하나의 이식형 전극(implantable electrod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달팽이관 삽입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자는, 100Hz보다 적은 펄스 반복율(또는, 넓게는 파형의 반복 시간의 역수인 "주파수")의 구형파들과 같은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들이 많은 지원자들에게서 현저하게 더 긴 잔류억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그 후에, 서로 다른(differing) 비정현적 펄스 파형들의 시퀀스가 훨씬 더 효과적이어서, 완전한 잔류억제효과를 24 시간까지 일으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퀀스는 이명증이 다시 나타나기 전에 재인가될(re-applied) 수 있으며, 적어도 몇몇 환자들에게는 잔류억제효과의 시간이 며칠까지 연장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시 말하지만, 이명증의 증상들이 다시 나타나기 전에 이 치료법을 재사용하는 것을 버논(Veron)과 같은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피하고 있다.
나아가, 구형파, 삼각파, 톱니파들과 같은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들은 매스킹 치료법들에서 사용된 바 없다. 예를 들어, 버논은 보청기에 의해 증폭된 저주파수 소리들이 잔류억제효과의 발생을 막는 것 같다라고 까지 말하고 있다.
매스킹 신호의 강도(intensity)는 조나단 하젤(Jonathan Hazell)의 저서인 "이명증(Tinnitus, 출판사: Churchill Livingstone)"의 83 페이지에 논의되어 있다. 하젤 박사는 재훈련 치료법으로 알려지고, 현재 각광받는 치료법의 창시자로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대개의 경우, (이명증을 여전히 효과적으로 커버하는 한도 내에서) 매스킹음의 강도를 더 낮출 수록, 이명음에 대한 대체음으로서 더 기꺼이 받아들여집니다. 매스킹이란, 그 어떤 형태이든지, 내부의 음을 외부 음으로 대체하는 것일 뿐이라는 것을 항상 명심하십시요." 그리고, 같은 페이지의 뒷 부분에서는 "CRI(완전한 잔류억제효과)나 PRI (부분적 잔류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환자들 대부분은 1분 미만 동안만 그럴 뿐이란 것을 통계가 또한 보여줍니다."
저주파 비정현적 펄스 파형들[및 일련의(sequential) 서로 다른 파형들의 시너지 효과]이 잔류억제효과를 만들어내는 매커니즘(들)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상승작용 발견이야말로 종래 알려진 이명증의 매커니즘들에 관한 생리학 및 학설과의 현저한 차이점이다. 이와 같은 상승작용은, 하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명증 생리학을 연구하기 위한 유용한 연구 수단이 될 것이다. 상승작용은 약제들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공인된 생물학적 반응(biological response)이다. 그러한 치료용 음향신호들이 달팽이관/청각 신경 인터페이스(나선 신경절)에서 신호에 응답하여 방출되는 신경성장인자 유사물질(neurotrophin like substances)에 의해 조정되는(mediated) 생화학적 레벨로 작용하다는 것이 발명자의 가정(hypothesis)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존하는 다른 치료법들에 비해 현저한 이점을 주는 방식으로 이명증 환자들을 그들의 고통으로부터 얼마간 벗어나도록 해준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들을 하기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의료용으로 특히 유용한 전기 발생기 장치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 블록도이고,
도 2는 시간축이 절두(truncated)된, 도 1의 헤드폰들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 들의 시간함수 그래프이고,
도 3은 치료법의 바람직한 시퀀스(sequence)의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이명증 증상들의 치료에 적합한, 이명증 환자들에게 음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인터넷 기반 시스템 개요도이고,
도 5는 워크맨(WALKMAN), 디스크맨(DISCMAN), 또는 아이팟(I-POD)[모두 등록된 상표임]과 같은 재생 장치의 개요도이고
도 6은 음향 신호들을 저장하는데 유용한 다양한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 매체들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달팽이관 삽입물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8은 X 구형파의 상단 확대도이고, 그리고
도 9는 Z 구형파의 상단 확대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임상 평가(clinical evaluation)에 유용한 신호 발생기 (1)는 구형파 오실레이터 (2), 톱니파 오실레이터 (3), 및 삼각파 오실레이터 (4)의 형태로 된 세 개의 오실레이터들을 가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각 오실레이터들 (2 내지 4)에는 펄스 반복율(frequency)이 조정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기울어진 화살표가 도시되어 있다. 구형파 오실레이터 (2)에 대해서는, 또한 마크 대 스페이스비(mark:space ratio)가 조정가능하다.
각 발생기들의 출력부는 셀렉터 스위치 (7)를 통해 증폭기 (8)에 연결되며, 증폭기의 출력부는 한 쌍의 헤드폰들 (9)에 연결되어 있다.
이제 도 2를 살펴보면, 헤드폰들 (9)에 인가되는 바람직한 전압이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시간 T1에 개시되고 시간 T2에 종료되는 제1 기간 동안 구형파가 인가된다. 그 다음에, 시간 T2 과 T3 사이에 이어지는 제1 휴지 기간이 있으며 삼각파형은 시간 T3에서 인가되어 시간 T4에서 멈춘다. 그 다음에, 시간 T5에서 중단되는 제2 휴지 기간이 더 있으며 시간 T5에서 시간 T6이 될 때까지 제2 구형파가 인가된다. 그 다음에, 시간 T7에서 중단되는 제3 휴지 기간이 더 있으며 시간 T7에서 시간 T8 가 될 때까지 제3 구형파가 인가되고, 이 상태에서 헤드폰들로의 신호가 중단된다.
상술한 간격들(intervals)의 바람직한 값들 및 그들의 범위들이 아래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간격 바람직한 값 범위
제1 기간 T2 - T1 3 분 1 내지 20 분
제1 휴지 기간 T3 - T2 10 내지 15 초 0 내지 5 분
제2 기간 T4 - T3 3 분 1 내지 20 분
제2 휴지 기간 T5 - T4 10 내지 15 초 0 내지 5 분
제3 기간 T6 - T5 3 분 1 내지 20 분
제3 휴지 기간 T7 - T6 10 내지 15 초 0 내지 5 분
제4 기간 T8 - T7 3 분 1 내지 20 분
이제 도 3을 살펴보면, 이명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실행되는 여러 단계들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파선으로 표시된 박스들의 단계들은 선택적인 단계들이며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의 경우 포함될 필요가 없다. 제1 단계는, 통상 똑바로 앉은 상태에 있는 이명증 환자의 귀에 헤드폰들 (9)을 대는 단계 (301)이다.
필요하다면, 단계 (30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명증 환자의 머리는 전도될(inverted) 수 있다. 이명증 환자를 침대와 같은 수평면에 엎드려 눕게 하되 머리가 침대의 밖으로 나오도록 함으로써 가장 쉽게 수행될 수 있는데, 그리하여 머리가 전도될 수 있도록 목을 편안히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연속 단계들(303 내지 309)에서, 도 2에 나타낸 전압 파형이 헤드폰들 (9)에 인가된다. 그 후에, 만일 단계 (302)가 수행되었다면, 치료받는 환자의 머리를 올릴 수 있도록 단계 (310)가 수행된다. 그 다음에,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단계 (311)에서 헤드폰들을 제거한다. 머리가 전도되었던 경우라면, 단계 (3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받는 환자를 약 5 분 내지 약 60 분의 범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20 분인 적어도 제4 기간 동안 직립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를 들어, 치료한 환자가 그들의 신발끈을 묶기 위해 몸을 숙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 박스(decision box) (31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만일 이명증의 증상들이 완화되었다면, 그리고 판단 박스 (3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만일 이명증이 돌아오지 않으면, 단계 (31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더 이상의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이명증의 증상들이 완화되지 않거나 돌아오는 경우에 있어서는, (예컨대, 약 1 시간 내지 수 일 또는 심지어는 수 주 간의) 적절한 시간 간격을 두고 추가적인 치료를 행해야 하며 단계들 (301 및 이하)이 다시 행해진다.
머리를 낮추고 엎드린 자세를 취하게 함으로써 신호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뉴로트로핀 이론이나 상술한 가설들과는 일치되지 않는 것이다. 머리를 낮추는 자세가,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의 압력 증가, 및/또는 달팽이관 혈류 변경, 및/또는 첨단 와우부(cochlear apical turn) 내의 미립자 물질에 대한 중력 효과에 의한 뉴로트로핀 방출을 증강시킬 수 있다.
현대의 기술은 음향 신호들이 다양하고 상이한 형태로 인간의 귀에 인가되는 것을 가능케 해준다. 도 4는 적합한 치료 신호를 분배하는 인터넷 기반 시스템 (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가 운영하는 컴퓨터 (21)에 실질적으로 일반적인 특성의 웹사이트가 로딩되는데, 이 웹사이트에는
(i) 이명증 환자가 따르게 될 다양한 지시들(instructions),
(ii) 예를 들어,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와 같은 일반적인 특성의 수단에 의해 이명증 환자로부터 지급을 인수할 수 있는 종래의 지급 인수 메커니즘, 및
(iii) 가장 중요하게 그리고 본 출원의 개시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유형의 저장된 전기적 파형이 위치한다.
컴퓨터 전화통신, 오디오 및 비디오 클립들의 다운로딩 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헤드폰들 (29)이 구비된, 이명증 환자가 작동하는 컴퓨터 (22)는 인터넷 (24)에 의해 컴퓨터 (21)내에 보관된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명증 환자는, 적절한 웹사이트에 로그온한 후에, 신용카드 지불을 승인하고, 헤드폰들 (29)을 귀에 끼고, 도 2에 나타낸 또는 이와 유사한 음향 파형을 인터넷 (24)을 통해 수신한다. 이는, 이명증 환자에 대한 효과가 광범위하게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호출음, 노래, 음악 한편 등을 결제하고 다운로딩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이명증 환자들을 치료하는 다른 방법이 도 5에 나타나 있는데, 한 쌍의 귀마개 (39)를 가진 재생 장치 (3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생 장치들 (30)은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워크맨(WALKMAN), 디스크맨(DISCMAN) 및 아이팟(I-POD)과 같은 상표로 판매된다.
도 6은, 도 5의 재생 장치 (3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41), 컴팩트 디스크 (42) 또는 고형체 상태 데이터 저장 메모리 장치 (43)의 형태로 된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 장치들을 보여준다.
전자 공학 분야의 기술자들이라면, 도 1의 오실레이터들 (2, 3 및 4)에 의해 발생되는 비-정현적 펄스 파형들은 고조파들(harmonic frequencies)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 결과, 모든 오디오 장치들이 이명증 환자의 귀에 음향 에너지를 적절히 전달할 수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이것은 대역폭이 작거나 부적절한 주파수 반응(frequency response)때문일 수 있거나, 몇몇 경우들에서는, 아날로그-디지털 또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데이터 압축 등 때문일 수도 있다. 적합하게 이를 수행하기에는 몇몇 장치(들)이 부적합한 것의 정확한 이유는 상대적으로 중요치 않다, 왜냐하면 특정한 장치가 만족스럽게 작동되는지 아닌지를 알아보기 위해 테스팅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만족스럽게 작동되지 못하는 이러한 장치들은 더 고려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I-POD 장치들과 함께 판매되는 AKG 55 헤드폰들 및 귀마개들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안다.
도 2에 나타낸 전압의 바람직한 크기는, 환자에게 최소 매스킹 레벨을 제공하는 음향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트랜스듀서에 의해 요구되는 것이다.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몇몇 환자들에 있어서, 이러한 출력은 약 8OdB에 근접한다. 손상된 청력을 가진 환자들에 있어서, 한층 높은 레벨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최소 매스킹 레벨이 달성되는 음향 출력은 이명증 환자의 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강도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지각되는 음량 레벨은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사람들의 일상적인 대화나 그들이 듣는 음악의 레벨보다 훨씬 높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인 시끄러운 스피커들은 이명증 환자들의 치료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한 쌍의 마주보는 서브-우퍼 스피커들이 매우 편리한 장치인 것은 아니다.) 대신에, 헤드폰들이나 이어폰들이 일반적으로는 훨씬 더 편리하다. 나아가, 일반적인 귀가 아닌 다른 수단, 예를 들어 귀 뒷쪽에 있는 두골의 뼈와 같은 수단에 의해 환자의 머리 내부에 도달하는 소리에 의해 치료적 효과가 달성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로, 헤드폰들이 선호된다. 바람직한 헤드폰들은 특히 독일의 SENNHEISER에 의해 제조되는 것들과 모델명 HD256 Linear이다.
본 발명의 치료법은 병원에서 정기적인 예약하에 행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음향 신호가 (도 5 및 도 6에 관하여 논의된 바와 같은) 장치에 입력되거나 레코딩될 수 있어서, 이명증 환자가 이를 휴대하여 필요할 때, 또는 시술자들에 의해 지시 받은 대로 이명증을 치료하기 위해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인가된 신호의 음량 또는 강도 및 기타 파라미터들을 선택할 수 있는 조절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음향 신호는 도 4와 관련하여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음향 신호는 귀 뒤에 부착되는 보청기의 일부로서, 또는 귀 속의 삽입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음 청력은 상대적으로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나 고음 난청인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달팽이관의 기저회전부 내로 이식된 짧은 전극만을 포함하는 혼성(hybrid) 달팽이관 삽입물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달팽이관 삽입물은 정규적인 청각 장치 외에도 자동 이명증 억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달팽이관 삽입물은 다음의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원하는 음향 에너지를 전달시킬 수 있다. 제1 방식에서는, 삽입물과 연관된 마이크가 음향 에너지를 수신하고 이것을 제1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달팽이관 삽입물 내의 프로세서 프로토콜이 제1 전기적 신호를, 달팽이관에 실제로 인가될 제2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제2 방식에서는, 삽입된 프로세서 내의 소프트웨어가 원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7에는, 예를 들어, 마이크 및 충전 수단 또는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피부 (703) 밖에 있는 외부 장치 (702)와 함께 이와 같은 달팽이관 삽입물 (701)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피부 (703) 내부에는 프로세서 유닛 (704)과 전극 (705)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또한 잔청(residual hearing)이 없는 귀 속의 종래의 달팽이관 삽입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 또는 전기적 형태의 치료는, 증상들이 한쪽 귀에만 또는 양쪽 모두에 나타나는 경우에, 동측성(같은 쪽) 또는 대측성(다른 족) 귀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 시술자는 시퀀스 내의 각 신호의 파형 유형 및 펄스 반복율은 물론이고, 다수 신호들의 시퀀스를 추가로 선택해야 한다. 실제로는, 시퀀스가 먼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차례의 시도 끝에, 예를 들어, 30 Hz 주위에서 0.5 내지 1.0Hz 정도의 작은 주파수간 차이를 가지며 상이한 모양인 파형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시퀀스 및 최초 파형의 선택으로 인해 어느 정도로는 시퀀스 내의 다른 신호들에 내한 변수(variables)가 제한된다. 순차적 전달에 있어서, 앞의 신호들에 이어서 곧(합리적인 수준에서) 바로 이후의 신호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10 내지 15 초의 지연이 지원자 #6에 대해 사용되었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처음의 6 건의 분석은, 이명 증상들로부터의 단지 순간적인 고통경감이상의 것을 얻도록 실제 이명 환자들에게 어떻게 실질적이고도 저렴한 도움을 주었는지를 보여준다.
사례 연구 지원자(Case Study Volunteer) #1
첫번째 사례 연구는 우측 귀에 끊임없는 이명증(constant unremitting tinnitus)을 나타내는 67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녀는 그녀의 나이에 보기 드문 정상적인 청력을 가졌다. 이명증은 때로는 맥동적(pulsatile)이고 때로는 연속적이었지만 항상 존재하였다. 경동맥 초음파 검사(Carotid Doppler)는 경동맥 내에 반점(plaque)을 보였으나 정상적인 흐름을 보였으며 뇌의 자기 공명 영상 (MRI) 스캔은 정상이었다.
최초 검사에서 그녀는 우측 귀에 60헤르쯔(Hz) 톱니파(sawtooth wave)를 이용한 최초의 시험 후에 7시간의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를 가졌다. 그런 다음 그녀는 매주 각 방문마다 10분 동안 양쪽 귀에 이 신호로 치료를 받았다. 치료받을 때마다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의 기간이 더 길어졌다.
더 나아가 2달 후 그녀는 72시간의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를 알려주었으며 하루동안 그녀는 더 이상 그녀의 이명증을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2주 후 이명증이 있었지만 그녀는 그 주일 내내 이명증이 없었다고 말했다. 일주일 후 그녀가 치료를 위해 도착했을 때 더 이상 이명증이 없었다.
그녀는 만약 이명증이 재발한다면 돌아올 것을 권고받았으나 어떠한 치료를 위해서도 돌아오지 않았다. 따라서 그녀는 "완치된" 것으로 보인다.
사례 연구 지원자 #2
한 74세 남자가 9년 동안 존재한 그의 좌측 귀 내의 끊임없는 이명증을 호소했다. 그의 청력도(audiogram)는 노인성 난청(presbycusis)과 일치하는 하나의 조그만 양측 고음 감각 난청(a small bilateral high tone sensory loss)을 보였다. 청력 난청은 좌측 귀에서 더 심하였다. 뇌의 CT 스캔은 정상이었다.
최초 검사에서, 그는 좌측 귀에 가해진 44 헤르쯔(Hz) 구형파 신호(square wave signal)의 3분간 노출로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를 달성했다.
그에게 매주의 치료를 위해 돌아오도록 조치했으나, 그는 그의 이명증이 재발하지않고 치료에 매우 만족한다고 전화로 말했다. 그는 이명증이 재발하면 다시 오라고 권고받았다. 두 달 후 그는 전화를 해서는 이명증이 없다고 재차 보고했다. 그는 그 이후로 연락이 없고 따라서 "완치된" 것으로 보인다.
사례 연구 지원자 #3
한 29세 남자가 시드니 공항에서 활주로 위 제트 엔진 뒤에서 보행 후 좌측 이명증 증상을 나타내었다. 그의 청력은 정상이었다. 이명증은 그의 작업 능력을 방해하고 있었다.
제트 엔진 뒤를 걸어간 3주 후에도 초기에 기대한 것처럼 이명증이 진정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그의 일을 방해하고 있었다. 좌측 귀에 3분간 27 헤르쯔(Hz) 구형파를 가한 후 그는 50%의 부분적 잔류 억제 효과를 보였다.
3분간의 20 헤르쯔(Hz) 구형파로 자극을 주어서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를 달성하였다.
이 후로 이명증은 재발하지 않았다.
사례 연구 지원자 #4
한 44세 여자가 6개월 동안 있었던 우측 귀 속의 끊임없는 이명증을 호소하였다. 그녀는 영어를 말하지 못하는 유럽 이주민이었다. 그녀의 남편이 그녀를 위해 통역하였다.
그녀는 Serc 또는 Rivotril (둘 다 등록 상표임)를 이용한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그녀 뇌의 MRI/MRA 스캔은 정상이었다. 그녀의 청력도는 정상 범위 내에 있었다.
최초 약물 치료 2달 후, 그녀는 우측 귀를 27 헤르쯔(Hz) 구형파로 치료받았다. 이것이 지속적인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를 낳았다.
사례 연구 지원자 #5
한 62세 남자가 양측 이명증(bilateral tinnitus)을 보였는데 그것은 본 발명자가 본 가장 나쁜 사례들 중 하나였다. 그는 당뇨병 환자였고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수술을 두 번 이나 받았다. 그의 좌측 귀의 귀울림 소리가 너무 커서 비행기 후미에 앉아 있을 때 제트 엔진의 소음에도 불구하고 귀울림 소리를 분명하게 들을 수 있었다. 그는 심리적으로 잘 순응하고 이명증에 대처하지만 그것을 좋아하진 않는다.
이명증은 부단하고 끊임이 없으며 몇년동안 존재하였지만 최근에는 더 커지게 되었다.
그의 청력도는 모든 주파수들에서 30-40 데시벨(dB)의 양측 감각 난청을 보였다. 그는 MRI 뇌 스캔을 포함하여 전문의의 신경 검사가 정상이었다. 그는 이전에 그의 이명증에 대해 본 발명자가 아닌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은 바 있으나 그 결과는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그는 전체 주파수/ 펄스 반복율 스펙트럼(the whole frequency / pulse repetition rate spectrum)에 걸쳐 다양한 신호들을 가지고 발명자의 테스트를 받았다. 그 테스트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했다. 그의 양 귀에 60 헤르쯔(Hz) 및 80 헤르쯔(Hz) 구형파로 자극을 한 결과 우측 귀에서의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 및 좌측 귀에서의 50%의 부분적인 잔류 억제 효과를 얻었다. 더 효과적인 반응은 3분 동안 27헤르쯔(Hz)의 자극에서 얻어졌다. 지원자가 매우 만족한 나머지 치료 혹은 사후 점검을 위해 다시 오지 않았기 때문에 이명증이 재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사례 연구 지원자 #6
한 42세 남자 의료종사자가 30년 동안 끊임없이 겪은 양측 이명증을 가졌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불면증이 야기되었다. 그는 정상적인 청력 및 정상적인 뇌의 MRI/MRA 스캔을 보였다.
6개월의 기간에 걸쳐 그는 매주 검사를 받았으며 헤드폰에 의해 양쪽 귀에 가해진 다양한 신호들로 치료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다른 신호들을 연속적으로 가한 결과 상승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각각 3분씩의 지속시간을 갖는 3가지 다른 신호들(X, Y & Z)을 신호들 사이에 10-15초의 갭을 가지고 XYXZ 순으로 사용한 결과 그 지원자는 24시간의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를 경험하였다. 하나의 신호에 노출될 때마다 동일한 반응을 얻었다.
또한, 이명증이 재발되기 전에 신호를 가했을 때, 추가적인 24시간의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가 달성되었다. 매일 신호에 노출시킨 결과 5일의 이명증 부재가 달성되었다. 그 지원자는 현재 그의 이명증을 없애기 위해 정기적으로 이러한 신호 패턴을 사용하고 있다.
이 지원자와의 시험결과, 신호들을 따로따로 사용하면 이러한 레벨의 잔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위의 신호 시퀀스로부터 하나의 신호를 제거하는 것은 오랜 기간의 잔류 억제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다. 예컨대, 각 3분씩 네 번의 기간(총 12분)에 가해진 신호 (X)는 단지 60%의 잔류 억제 효과를 낳고; 각 3분씩 네 번의 기간(총 12분)에 가해진 신호 (Y)는 단지 40%의 잔류 억제 효과를 낳으며; 그리고 각 3분씩 네 번의 기간(총 12분)에 가해진 신호 (Z)는 단지 60%의 잔류 억제 효과를 또한 낳는다(지원자에 의해 보고된 것임).
따라서, 신호 성분의 어느 하나와 비교해서 신호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레벨의 억제 효과를 얻기 때문에, 다른 신호들 사이에 상승작용이 발생하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한 신호들은:
X 디지탈 합성기에 의해 만들어진 27.5헤르쯔(Hz) 구형파.
Y 동일한 디지탈 합성기에 의해 만들어진 28헤르쯔(Hz) 삼각파.
Z 다른 디지탈 소리 생성기에 의해 만들어진 28헤르쯔(Hz) 구형파.
이다.
세 개의 상기 신호들은 헤드폰들이 연결되어 있는 콘솔 패널(a console panel)로 동작하는 미국의 DigiDesign 회사 제품인 DIGI002에 연결되어 있는 맥킨토시 컴퓨터와 연계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만들어진다. 맥킨토시 컴퓨터는 프로툴스(PROTOOLS)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며 그 내부 신호 발생기가 Z 파형을 직접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맥킨토시 컴퓨터는 서브트랙터(SUBTRACTOR) 시스템 설계 하위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REASON으로 알려진 프로그램들의 플러그-인 슈트(a plug-in suite)를 탑재하고 있다.
위에 언급된 X 파형은 이 하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미들 A 아래 4 옥타브의 음악 톤을 선택하여 만들어진다. 이것은 27.5 헤르쯔의 펄스 반복율을 나타낸다. Y 파형을 생성하기 위해 X 파형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를 "100분의 2"(2 cents) 또는 2% 만큼 증가시켰다. 27.5의 1.02배는 28.05와 같기 때문에, 28 헤르쯔의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Y 파형이 생성된다.
X 및 Z 구형 파형들의 최상 부분들이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X 파형은 그 상부가 평면 부분 또는 수평 부분인 것이 이상적인데 비해 약간의 구부러짐(droop)을 보인다. 그런 구부러짐들은 캐래시터 전압의 완만한 지수적 감소의 결과로서 써킷 오실레이터(circuit oscillators)에서 발생되는 파형들에서 잘 알려져 있다. Z 파형도 또한 예상할 수 있는 것처럼 평면 또는 수평의 상부를 가지지 않았으나, 그 대신 정현 파동을 보이며, 그 지속시간은 온/오프(the on/off) 구형파의 온 시간(on-time)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artefact)는 구형파가 위에 언급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방식에 기인하는 것 같다.
또한, 이 지원자가 그의 머리를 반대로 하여 치료받을 때, 잔류 억제 효과가 상당히 연장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 지원자가 최초로 완전한 잔류 억제 효과를 경험한 이후 머리를 직립으로하여 앉은 상태에서 치료받았을 때, 길어지고 현저한 부분 잔류 억제 효과가 발생하였다. 억제 효과의 전체 지속시간은 한 번의 12분 노출 후 5일이었다. 이 반응은 반복성이 있었다.
지원자 #6과의 성공적인 결과들에 이어, 다른 여하한 치료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 끊임없는 장기간의 이명증을 가지고 발명자에게 온 다른 19 명의 지원자에 대하여 실험적 연구(pilot study)가 수행되었다. 19명의 지원자 중 10 명이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반응을 보였다. 치료 효과가 있는 반응은 50% 또는 그 이상의 잔류 억제 효과(RI) 및 최소 3시간 또는 더 길게 지속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60% 의 RI는 지원자의 이명증이 그것의 원래 세기의 40%로 감소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
지원자들은 6.1 에서 6.19의 번호가 부여되었다. 모든 지원자들은 신호당 3분씩의 XYXZ의 순으로 - 총 12분간 음향에 노출되었다. 신호는 MML(최소 마스킹 레벨)로 양쪽 귀에 헤드폰으로 가해졌다. 머리는 전도(inversion)되지 않았다.
6.1 영어를 잘 못하고 양측 이명증을 가진 한 47세 중국 여성은 30분 동안 50%의 RI를 경험하였다. 치료의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지 않았다. 그녀는 정상적인 청력을 가지고 있다.
6.2 이 31세 남성은 밤에 더 커서 수면에 방해를 받는 이명증을 가졌다. 그는 12시간 동안 좌측 귀에서 100% RI(즉 이명증이 없음) 및 12시간 동안 우측 귀에서 50%의 RI를 경험했다. 그의 반응은 방해 없는 수면을 할 정도로 충분하였다. 그의 청력도는 정상 청력을 보인다.
6.3 이 49세 여성은 만성 중이염 때문에 우측 귀에서 심한 청력 난청 및 좌측 귀에서 50 데시벨의 청력 난청을 가졌다. 그녀는 12시간 동안 100% RI를 달성했으나 6시간을 지속하는 반동(rebound) RI를 경험했으며 그 후 이명증이 통상의 수준으로 돌아왔다.
6.4 이 59세 중국 지원자는 영어를 매우 못했다. 그는 양측 고음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양측 이명증을 가졌다. 이 지원자는 언어 문제로 인해 검사에 매우 어려움이 있었다. 그는 60% RI를 보였으나 사후 점검을 위한 접촉을 할 수 없었다. 반응이 없는 환자로 생각된다.
6.5 고음 감각신경성 난청을 조금 가지며 이전 외과수술로 유돌강(a mastoid cavity)을 가진 한 78세 남성. 이명증은 우측 귀에 있었으며 6년 동안 앓고 있었다. 그는 4시간 동안 100% RI를 경험했고 그 후 추가로 8시간 동안 50% 가 되었다. 치료효과가 있는 반응으로 생각된다.
6.6 고음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44세 남성. 그의 이명증은 신호에 의해 가려졌지만(masked) RI를 경험하지는 못했다.
6.7 양측 40 데시벨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지 55세 여성. 이명증은 쉽게 가려졌으나 RI를 경험하지 못했다.
6.8 8년간 지속된 양측성 이명증 및 정상 청력도를 가진 58세 여성. 그녀는 8시간 지속된 80% RI를 경험했다. 그녀의 이명증은 그녀가 떠들썩한 칵테일 파티의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 재발했다.
6.9 이 지원자는 63세 농부이다. 그의 이명증은 너무 심해서 자살을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어떠한 정신적 질환도 없었다. 그는 소음 노출 및 노인성 난청때문에 양측성 고음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졌다. 그의 최초 반응은 7시간 동안 80% RI 였었다. 이러한 좋은 반응 때문에 그는 매일 4시간 동안 치료를 받았다. 4일째 되는 날 그는 100% RI(이명증 없음) 및 그의 이명증의 경감으로 눈물을 흘리게 되었다.
6.10 노인성 난청으로 양측 고음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66세 남성. 그는 1년 동안 매달 병원에서 이명증 경감 치료(TRT)를 받았으며 백색 소음 매스커를 착용하였으나 백색 소음 발생기에서 RI는 없었다. 그는 XYXZ로 12시간 동안 우측 귀에서 100% RI 및 12시간 동안 좌측 귀에서 60% RI를 경험했다. 두번째 신호인가에 의해 그는 24시간 동안 우측 귀에서 70% RI 및 24시간 동안 좌측 귀에서 30% RI를 보였다.
6.11 공장 소음 및 노인성 난청으로 인해 다소 심한 양측성 고음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61세 남성. 그는 양쪽에 보청기를 달고 있으며 양호한 효과 없이 XYXZ 신호의 전조(forerunner)인 신호들로 테스트를 받았다. 그는 XYXZ 신호로 우측 귀에 4시간 동안 60% RI 및 좌측 귀에 4시간 동안 70% RI를 경험했다.
6.12 3 킬로헤르쯔 및 4 킬로헤르쯔에서만 20-40데시벨의 약간의 감각신경성 난청 및 다른 주파수대에서 정상이며 양측성 이명증을 가진 61세 남자. 그는 양쪽 귀에서 80% RI를 경험하였으나 단지 1시간 지속되었다. RI의 짧은 지속기간으로 인해 치료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지 않으나 계속되는 신호 노출에 반응할 수 있었다.
6.13 끊임없는 양측성 이명증으로 수면을 방해받는 45세 남성. 그의 청력도는 모든 주파수대에서 50데시벨의 감각신경성 난청 및 좌측 고음 감각신경성 난청을 보인다. 그는 4시간 동안 양쪽 귀에서 70% RI를 경험했다.
6.14 소음 노출 및 양측성 이명증으로 인해 다소 심각한 고음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49세 남성. 그의 얘기는 일관성이 없었다. 그는 처음에 100% RI를 경험했다고 말하였으나 다음날 발명자와의 통화 때는 단지 1시간 동안 50% RI를 경험했다고 말했다. 따라서, 이 지원자는 치료 효과가 있는 반응을 보였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6.15 알지못하는 원인의 좌측 30데시벨 감각신경성 난청 및 좌측 이명증을 가진 47세 여성. 우측 귀는 정상이었다. 그녀는 7시간 지속하는 50% RI를 경험했다.
6.16 소음으로 인해 단지 3 킬로헤르쯔 및 4 킬로헤르쯔에서 20-40 데시벨의 고음 난청(high tone loss)을 가진 42세 남성. 그는 어떠한 RI도 경험하지 못했다.
6.17 부상으로 인해 3 킬로헤르쯔 및 4 킬로헤르쯔에서 좌측 귀 내에 50데시벨의 난청을 가진 47세 남성. 우측 귀는 정상이었다. 그는 60% RI를 경험했으나 사후 점검을 위한 연락이 닿지 않았다.
6.18 좌측 이명증 및 정상적인 청력도를 가진 59세 남성. 그는 RI를 경험하지 못했다.
6.19 양쪽 귀 내에 6 킬로헤르쯔에서 청력 30데시벨의 급격한 하락을 가지지만 다른 주파수대에서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35세 여성 직업 음악가. 그녀는 양측에서 쉿쉿하는(hissing) 이명증을 19년 동안 앓고 있었다. 그녀는 24시간 지속하는 100% RI를 경험했다. 이것은 그녀의 성인 삶에서 처음으로 그녀의 이명증이 멈추었고 그녀는 이명증을 그녀의 의지로 없앨 수 있다는 기대로 매우 고무되었다.
위의 예들은 많은 환자에 있어 이명증의 성공적인 완화 또는 치료를 보여준다. 또한, 청력 기능에 관한 현재의 지식 및 이론의 관점에서 치료의 효능을 예측할 수도 또는 설명할 수도 없지만, 치료받은 이명증 환자에 의해 경험된 경감은 의미심장하다.
달성된 상기 결과들에 대한 생리학적 기초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상술한 비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으로 달성된 결과들과 종래 단순한 음들 및/또는 백색 소음( 이들 모두 정현적임 )을 사용한 다른 것들에 의해 달성되는 결과들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생리학적 기초가 실제로 이명증을 야기하고 있는 환자의 인체의 그러한 부분에 간헐적인 자극 또는 간헐적인 에너지를 가한데 기인한다는 것이 가능하다.
요약하면, 이명증 음향치료를 위한 인터넷 기반 시스템,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웹사이트, 웹사이트에 연계된 지급 인수 시설, 및 웹사이트에 연계된 음향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이명증 환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인수 지급을 제공하고, 상기 환자들의 적어도 하나의 귀에 연결되는 헤드폰 또는 동종의 음향 트랜스듀서로 음향 신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음향 신호는 100헤르쯔 이하의 펄스 반복율을 가진 비 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명증 치료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
(iii) 이명증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귀에 헤드폰 또는 동종의 음향 트랜스듀서를 착용하는 단계, 그리고 (iv) 헤드폰에 음향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음향 신호는 100헤르쯔 이하의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 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을 포함하여 구성됨).
더 나아가, 100 헤르쯔 이하의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 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오실레이터 수단, 및 헤드폰 또는 동종 음향 트랜스듀서와 연결하기에 적합한 하나의 출력 연결부(connectio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 치료를 위한 전기 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다.
100 헤르쯔 이하의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 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이 저장되는 하나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 수단 및 헤드폰 또는 동종 음향 트랜스듀서와 연결하기에 적합한 하나의 출력 연결부(connectio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 치료를 위한 전기적 재생 장치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
100 헤르쯔 이하의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 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이 저장되는 하나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 수단 및 헤드폰 또는 동종 음향 트랜스듀서와 연결하기에 적합한 하나의 출력 연결부(connectio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의 치료를 위한 저장 오디오 제품이 유사하게 개시되어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전압을 받을 수 있는 이식 가능한 전극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이식 가능한 전극에 인가되고, 100 헤르쯔 이하의 펄스 반복율을 가지는 비 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을 받거나 또는 발생시키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음)을 포함하는 달팽이관 삽입물이 개시되어있다.
상기 펄스 전기 파형은 구형파들, 삼각파들, 및 톱니파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펄스 전기 파형이 각각 미리 계산된 지속기간을 가진 세개의 파들의 시퀀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퀀스는 제1 구형파, 다음으로 삼각파가 따르고, 제2 구형파가 다음으로 따르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구형파 및 제2 구형파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속기간들은 각각 약 1분 내지 약 20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퀀스의 파들은 각각 상응하는 휴지 기간에 의해 시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지 기간들은 각각 약 0분 내지 약 5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환자들의 경우, 이명증 환자는 비 정현적 펄스 전기 파형을 상기 환자들의 최소한 하나의 귀에 연결된 헤드폰 또는 동종의 음향 트랜스듀서에 인가하는 동안 머리가 실질적으로 전도되는(inverted)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펄스 반복율은 약 20헤르쯔 및 약 40헤르쯔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향 신호로부터 나온 음향 출력은 매스킹 효과가 이명증 환자에게 처음 발생된 레벨까지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는 본 발명의 단지 몇몇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으며, 의료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의 "포함하여 구성되는"(및 그것의 문법적인 변화들) 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는" 또는 "가지는" 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며 "으로만 구성되는" 이라는 배타적인 의미로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Claims (16)

  1.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상기 웹사이트와 연관된 지급인수시설(payment acceptance facility), 그리고 상기 웹사이트와 연관된 음향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명증 환자(sufferer of tinnitus)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대금 지급조치를 하고, 상기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귀에 사용하는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트랜스듀서(accoustic transducer)에 상기 음향 신호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신호가 100Hz보다 적은 펄스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전기파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기반의 이명증음향치료시스템.
  2. (ⅰ)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트랜스듀서를 이명증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귀에 대는 단계와; 그리고
    (ⅱ) 상기 헤드폰에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향신호가 100Hz보다 적은 펄스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
    전기파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치료방법.
  3. 100Hz보다 크지 않은 펄스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전기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실레이터 수단과, 그리고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트랜스듀서와 연결하기에 적합한 출력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명증치료용 전기발생기.
  4. 100Hz보다 적은 펄스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전기파형이 저장되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수단과, 그리고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트랜스듀서와 연결하기에 적합한 출력연결부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이명증치료용 전기적 재생 장치.
  5. 100Hz보다 적은 펄스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전기파형이 저장되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호환성 전기적 재생장치에서 동작될 때 상기 파형을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트랜스듀서에 적합한 형태로 재생하는, 이명증치료용 저장오디오제품.
  6. 하나의 프로세서유닛과 전압을 받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된 이식형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이식형 전극에 가해진, 100Hz보다 적은 펄스반복율을 가지는 비정현적 펄스전기파형을 수신하거나 발생시키도록 프로그램된, 달팽이관 삽입물.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펄스전기파형이 구형파, 삼각파 및 톱니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명.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전기파형이 미리 정해진 지속기간을 각각 가지는 3개의 상기 파형의 시퀀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명.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가 제1 구형파, 그 다음의 삼각파, 그리고 그 다음의 제2 구형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명.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형파가 서로 다른, 발명.
  11. 제8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속기간들이 각각 약 1분에서 약 20분에 이르는 범위내에 있는, 발명.
  12. 제8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파형들이 각각 상응하는 휴지기간에 의해 시간적으로 분리되는, 발명.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기간이 각각 약 0분에서 약 5분에 이르는 범위내에 있는, 발명.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명증환자가, 그의 적어도 하나의 귀에 착용한 헤드폰 또는 그와 유사한 음향트랜스듀서에 상기 비정현적 펄스전기파형을 인가하는 동안, 그의 머리를 실질적으로 전도되게(inverted) 하는, 발명.
  15.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펄스반복율이 약 20Hz와 약 40Hz의 사이에 있는 발명.
  16. 제1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매스킹효과가 이명증환자에게서 처음 발생된 레벨까지 상기 음향신호로부터 나온 음향출력이 증가되는, 발명.
KR1020097014514A 2007-01-10 2007-12-19 이명증의 치료 KR20090106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7900088A AU2007900088A0 (en) 2007-01-10 Method and Device for Tinnitis Treatment
AU2007900088 2007-01-10
PCT/AU2007/001960 WO2008083429A1 (en) 2007-01-10 2007-12-19 Tinnitus trea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519A true KR20090106519A (ko) 2009-10-09

Family

ID=3960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514A KR20090106519A (ko) 2007-01-10 2007-12-19 이명증의 치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579796B2 (ko)
EP (1) EP2106253B1 (ko)
JP (1) JP2010515491A (ko)
KR (1) KR20090106519A (ko)
AU (1) AU2007343585B2 (ko)
CA (1) CA2675020C (ko)
DK (1) DK2106253T3 (ko)
MY (1) MY150957A (ko)
NZ (1) NZ578836A (ko)
WO (1) WO20080834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868A (ko) * 2018-03-06 2019-09-18 송하정 청각장애 치료 기능을 갖는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92140B2 (en) * 2009-09-11 2013-07-11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Low pulse rate cochlear implant stimulation in conjunction with a separate representation of fundamental frequencies and voiced/unvoiced distinctions
WO2012168543A1 (en) * 2011-06-10 2012-12-13 Oy Tinnoff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treatment of tinnitus
WO2013123063A1 (en) 2012-02-17 2013-08-22 Wanca Frank M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dynamic neural stimulation
CN103239237B (zh) * 2013-04-27 2015-06-24 江苏贝泰福医疗科技有限公司 耳鸣诊断测试装置
EP3320696A1 (en) 2015-07-09 2018-05-16 Widex A/S System and method for feature management in a hearing aid
US10398897B2 (en) * 2016-11-14 2019-09-03 Otolith Sound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US11284205B2 (en) 2016-11-14 2022-03-22 Otolith Sound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US20180133102A1 (en) * 2016-11-14 2018-05-17 Otolith Sound, Inc.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Symptoms Of Maladies Of The Vestibular System
US10821027B2 (en) 2017-02-08 2020-11-03 Intermountain Intellectual Asset Management, Llc Devices for filtering sound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5877U1 (ko) 1988-12-22 1989-04-27 Junker, Franz, 7505 Ettlingen, De
GB2235349B (en) * 1989-08-16 1993-09-22 British Aerospace Sound profile generator
US6377693B1 (en) * 1994-06-23 2002-04-23 Hearing Innovations Incorporated Tinnitus masking using ultrasonic signals
US5788656A (en) 1997-02-28 1998-08-04 Mino; Alfonso Di Electronic stimulation system for treating tinnitus disorders
US6017302A (en) 1997-10-31 2000-01-25 Loos; Hendricus G. Subliminal acoustic manipulation of nervous systems
US20010051776A1 (en) * 1998-10-14 2001-12-13 Lenhardt Martin L. Tinnitus masker/suppressor
AUPP927599A0 (en) * 1999-03-17 1999-04-15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Tinnitus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WO2000069512A1 (en) * 1999-05-14 2000-11-23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Hybrid implantable cochlear stimulator hearing aid system
AUPR879201A0 (en) 2001-11-09 2001-12-06 Cochlear Limited Subthreshold stimulation of a cochlea
US20040225178A1 (en) * 2002-05-21 2004-11-11 Kriewall Timothy J.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symptoms of disease and conditions of the ear
AT413077B (de) * 2003-08-29 2005-11-15 Othegraven Achim Von Therapeutisches behandlungsgerä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868A (ko) * 2018-03-06 2019-09-18 송하정 청각장애 치료 기능을 갖는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6253A4 (en) 2011-08-24
EP2106253A1 (en) 2009-10-07
AU2007343585A1 (en) 2008-07-17
MY150957A (en) 2014-03-31
NZ578836A (en) 2012-08-31
EP2106253B1 (en) 2016-05-18
CA2675020C (en) 2017-05-09
DK2106253T3 (en) 2016-08-29
US20100042024A1 (en) 2010-02-18
CA2675020A1 (en) 2008-07-17
US8579796B2 (en) 2013-11-12
JP2010515491A (ja) 2010-05-13
WO2008083429A1 (en) 2008-07-17
AU2007343585B2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5020C (en) Tinnitus treatment
JP5675365B2 (ja) 耳鳴を抑制する装置および方法
Zeng et al. Abnormal pitch perception produced by cochlear implant stimulation
JP2019193795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感覚刺激を発生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10137111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of auditory system disorders
TW200528072A (en) Tinnitus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US200902706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innitus treatment
Chang et al. Tinnitus suppression by electric stimulation of the auditory nerve
US9597231B2 (en) Tinnitus treatment
WO200902904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anosmia and nerve injury
JP2004522507A (ja) 耳鳴りで苦しむ人のための聴覚信号発生装置のプログラ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発生装置
Zeng et al. Tinnitus treatment using noninvasive and minimally invasive electric stimulation: experimental design and feasibility
JP2016518151A (ja) 耳鳴りを抑制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ames et al. Contralateral masking in cochlear implant users with residual hearing in the non-implanted ear
Cobo et al. Customised enriched acoustic environment for sound therapy of tinnitus
AU201720233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of Auditory System Disorders
Miyoshi et al. Increased Parasympathetic Nerve Tone in Tinnitus Patients Following Electrical Promontory Stimu-lation
AU201520022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ression of tinnitus
Sockalingam et al. Effectiveness of Frequency-Matched Masking and Residual Inhibition in Tinnitus Therapy
ITMI20110901A1 (it) Generazione di segnali acustici per il trattamento di un soggetto con acufene e/o iperacu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