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237A - 유량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237A
KR20090106237A KR1020080031805A KR20080031805A KR20090106237A KR 20090106237 A KR20090106237 A KR 20090106237A KR 1020080031805 A KR1020080031805 A KR 1020080031805A KR 20080031805 A KR20080031805 A KR 20080031805A KR 20090106237 A KR20090106237 A KR 20090106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magnet
water
flow rat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훈
변만호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6237A/ko
Publication of KR2009010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러의 회전축에 링형태의 자석이 구비되어 있으며, 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출력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량 감지 장치에 있어서,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축과 날개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에는 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를 경계로 하여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 설정된 샘플링 주기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출력펄스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는,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물의 유량 분석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수기, 이온교환수지, 임펠러, 자석, 홀센서

Description

유량 감지 장치 {APPARATUS OF SENSING A FULX}
본 발명은 유량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석을 이용하여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으로 유입되는 유량의 측정 또는 연수기와 같이 물을 공급받아 이용하는 제품 등에서의 유량 측정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유량 감지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유량 감지 장치가 적용되는 제품의 일예인 연수기는, 석회염, 칼슘, 마그네슘, 철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수(수돗물)를, Na+형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경도(硬度) 성분인 Ca2 +와 Mg2 +을 수지중의 Na+와 교환시킴으로써, 단물인 연수(soft water)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수는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피부를 세척할 때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물속에 포함된 금속이온과 비누의 지방산이 결합하여 금속성 이물질을 만들게 되 고, 이러한 금속성 이물질이 피부에 접촉하여 알레르기와 같은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거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돗물을 Na+형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경도(硬度) 성분인 Ca2 +와 Mg2 +을 수지중의 Na+와 교환하여 단물인 연수(soft water)로 만드는 연수기가 개발되어 주로 세정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연수기는 경수에 함유된 칼슘이온(Ca2+ )과 마그네슘이온(Mg2+)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부드럽게 하는 원리를 갖는데, 이를 위해 나트륨이온이 함유된 특수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연수통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물에 용해될 경우에 나트륨이온을 생성하는 소금 등의 이온교환수지 재생물질이 들어있는 재생통을 포함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해야 하는 경험적인 시기에 맞춰 소금물이 담겨진 분리된 재생통을 이용해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켰는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점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서 재생통의 소금물을 연수통에 유입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량 감지가 가능한 임펠러(impeller, 날개차)가 장착된 유량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기를 알려주는 연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량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임펠러와 감지부의 구성 및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종래의 연수기에는 원수를 공급되는 원수공급장치와 연수통 사이에 유량 감지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유량 감지 장치에는 유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임펠러(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연수기의 제어부는 임펠러와 연동하는 감지부(20)로부터 임펠러의 회전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임펠러의 회전량을 산출한 후, 산출된 회전량을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 정보를 연수기의 출력부 등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유량 감지 장치에 장착되는 임펠러(10)의 마주보는 두 날개(11, 12)의 끝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의 자석(13, 14)이 장착되어 있으며, 유량 감지 장치 중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자석에 의해 반응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감지부(2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연수기는 일반적으로 욕실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내습과 방수의 문제 등으로 인해 가정용 인가 전원인 AC전원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건전지와 같은 DC 전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건전지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모든 전원을 방전시키고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연수기의 건전지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건전지의 수명 연장을 위하여 저전력을 소모하는 연수기의 설계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량 감지 장치는, 자석에 의한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감지부(20)에서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홀 효과를 이용한 홀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감지부(20)에 예를 들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ℓ/분을 기준으로 하여, 2ms 간격의 샘플 주기로 전류를 인가시킨 상태에서, 임펠러의 자석의 자기장이 감지부에 감지되면, 감지부에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파형이 발생되며, 이러한 출력파형은 제어부로 전송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량 감지 장치에 장착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날개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자석이 감지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순간이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는 짧은 샘플 주기(예를 들어, 2ms)로 전류 또는 전압인 전원(제어신호)을 발생시켜야 하며, 그에 따라 건전지의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유량 감지 장치가, 저전력을 소모하는 연수기의 설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임펠러의 자석이 상기 감지부와 맞닿아 자기장이 감지부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 동안, 감지부에서 전원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어신호의 발생 주기는 임펠러의 최대 속도에 맞추어 단축되어야 한다. 따라서, 임펠러의 최대 속도에 맞추어 짧은 주기로 감지부에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많은 양의 전력이 감지부에서 소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유량 감지 장치가 적용된 연수기에서는, 도 1의 (a)에서 출력펄스가 없는 영역(A) 즉, 자석(13, 14)의 자기장이 감지부(2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시간대에 감지부에 (b)와 같은 전원(제어신호)이 인가되면, 감지부가 자석의 N극 또는 S극을 구분하지 못하여, 제어부에서의 판단이 불가능한 데이터가 발생된다 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임펠러가 정지시에도 감지부에서 출력파형이 발생되어, 제어부가 유량이 항상 흐른다고 감지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러의 회전축에 링형태의 자석이 구비되어 있으며, 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출력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량 감지 장치에 있어서,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축과 날개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에는 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를 경계로 하여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 설정된 샘플링 주기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출력펄스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는,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물의 유량 분석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량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러의 회전축에 링형태의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출력파형을 감지하는 감지부에 보다 긴 주기를 갖는 전원(제어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량 감지 장치를 장착한 제품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가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계량기, 연수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수기에 적용되는 유량 감지 장치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유량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임펠러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는 물이 흐르는 관에 연결되어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10),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160),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축과 날개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에는 링형태의 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임펠러(130),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를 고정배치시킬 수 있는 임펠러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120),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 하우징(150) 및 상기 상부 하우징 중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140)를 포함한다.
유입관(110)은 유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이 유량 감지 장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관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유출관(160)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에 의해 밀봉된 내부를 통과한 후 배출되는 관으로서, 유입관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숫자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20)은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구비하고 있으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물은 임펠러를 회전시킨 후 유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하우징에는, 임펠러가 삽입되는 임펠러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임펠러홈 중 임펠러의 회전축이 맞닿는 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축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홈의 내부측면에는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과 연결되어 있는 유입홀 및 유출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관을 통해 하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물은 유입홀을 통해 임펠러홈으로 유입되어 임펠러를 회전시킨 후, 유출홀 및 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임펠러(130)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임펠러의 세부 구성은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축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축(131),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물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날개(132) 및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 중 상기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단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자석(133) 및 상기 자석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 중 상기 자석의 상단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기(134)를 포함한다. 자석의 반원부분은 N극, 나머지 반원부분은 S극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50)은 하부 하우징의 상단을 커버하여 밀봉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에 의해 밀봉된 내부로 유입된 물은 유출관을 통해서만 유출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홀효과를 이용한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홀(hall) 센서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센서로서, 홀센서에는 자기장이 있고, 없음에 따라 온(on)/오프(off) 동작만 수행하는 것도 있으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홀센서로는 한쪽에 전류 또는 전압인 전원(제어신호)(이어, 간단히 '제어신호'라 함)을 걸어주면 다른 한쪽은 제어신호와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는 출력펄스가 나오는 홀센서가 이용된다.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압이 조절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하부 하우징(120)에 유압조절부(1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하부 하우징(120) 및 상부 하우징(150)이 독립된 구성요소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 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은 하나로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의 하우징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감지부와 자석의 기능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임펠러와 감지부의 구성 및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감지부(140)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홀센서는 반도체의 홀효과를 이용한 센서로서, 홀소자를 관통하는 자속 밀도에 비례하는 출력전압이 얻어지는 센서이며, 홀소자로는 InAs, GaAs, InAs등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출력전압은 자석의 N극과 S극에 따라 역극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홀센서가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센서와 증폭용 앰프(amp)가 일체화되어있는 홀IC가 이용될 수도 있다. 즉, 홀IC에 제어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고 자석을 가까이 대보면 출력펄스가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감지부(140)가 상기한 바와 같은 홀IC로 구성된 경우, 펄스 형태의 제어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감지부에 공급된 후,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자석(133)으로부터 서로 다른 극성의 자기장이 감지부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서로 다른 극성의 출력펄스(출력전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로부터 상기와 같은 출력펄스(출력전압)을 인가받은 제어부가 상기 서로 다른 극성의 출력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임펠러의 회전수 및 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으 며, 이를 통해 임펠러를 통과한 유량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가 적용되는 원수기에는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장치와 연수통 사이에 유량 감지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유량 감지 장치에는 유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임펠러(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연수기의 제어부는 임펠러와 연동하는 감지부(140)로부터 임펠러의 회전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임펠러의 회전량을 산출한 후, 산출된 회전량을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기 정보를 연수기의 출력부 등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펠러(130)의 회전축(131) 상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태의 자석(133)이 장착되어 있으며, 유량 감지 장치 중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자석에 의해 반응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감지부(14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홀 효과를 이용한 집적회로(IC)(홀 IC)로 구성되어 있는 감지부(140)에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ℓ/분을 기준으로 하여, 20ms 이하의 간격의 샘플 주기로 제어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시킨 상태에서, 임펠러의 자석의 자기장이 감지부에 감지되면, 감지부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펄스가 발생되며, 이러한 출력펄스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에 장착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의 회전축 상단에 링형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자석이 감지부에 연속적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는 긴 샘플 주기(예를 들어, 20ms)로 전류를 발생시키더라도 N극 또는 S극 각각을 커버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연수기에 탑재되는 건전지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임펠러의 자석(133)이 상기 감지부(140)와 맞닿아 자기장이 감지부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 동안, 감지부에서 제어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발생되어야 정상적인 펄스가 발생되어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석(133)은 상기한 바와 같이 N극과 S극이 연결되어 있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감지부에 임펠러의 최대 속도에서의 반주기에 해당되는 주기 동안에만 제어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인가되면, 감지부는 정상적으로 출력펄스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감지부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입력 주기는 임펠러의 최대 속도에서의 반주기보다 작으면 된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의 모든 구간은 자기장에 반응하여 정부형태로 출력되는 것으로서, 자기장 이외의 요소에 의해 반응되는 구간이 없기 때문에, 제어부에서의 판단이 불가능한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가 구비된 연수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수기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연수기로서, 연수통, 출력부, 제어부, 건전지 및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는 원수유입장치와 연수통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연수통과 연수배출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원수유입장치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면, 원수는 연수통에서 연수로 변환된 후 연수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제어부는 기 설정된 샘플링 주기(약 20ms)로, 건전지를 통해 제어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유량 감지 장치의 감지부로 인가하게 된다.
한편, 유량 감지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임펠러(130)는, 원수 또는 연수에 의해 회전되며, 이때, 임펠러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의 N극과 S극의 회전에 의해, 감지부(140)로부터 출력펄스가 발생된다.
감지부로부터 발생된 출력펄스는 제어부로 전송되며, 제어부는 전송된 출력펄스를 분석하여 임펠러의 회전속도, 회전량, 유량 및 이온교환수지 재생 시기 등의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와 같은 정보들의 산출 방법은 일반적인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 것임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마지막으로, 감지부(140)는 산출된 이온교환수지 재생 시기 등의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이온교환수지 재생 시기 등을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적절한 시기에 재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량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임펠러와 감지부의 구성 및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유량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임펠러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임펠러와 감지부의 구성 및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유입관 120 : 하부 하우징
130 : 임펠러 140 : 감지부
150 : 상부 하우징 160 : 유출관

Claims (6)

  1. 유량 감지 장치에 있어서,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축과 날개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에는 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를 경계로 하여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 설정된 샘플링 주기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출력펄스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는,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물의 유량 분석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축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형태의 반원은 S극, 나머지 반원은 N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감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물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날개; 및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 중 상기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단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자석을 포함하는 유량 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자석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 중 상기 자석의 상단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기를 더 포함하는 유량 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홀(Hall) 효과를 이용한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감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샘플링 주기는,
    상기 임펠러의 최대 속도에서의 반주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감지 장치.
KR1020080031805A 2008-04-04 2008-04-04 유량 감지 장치 KR20090106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805A KR20090106237A (ko) 2008-04-04 2008-04-04 유량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805A KR20090106237A (ko) 2008-04-04 2008-04-04 유량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237A true KR20090106237A (ko) 2009-10-08

Family

ID=4153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805A KR20090106237A (ko) 2008-04-04 2008-04-04 유량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62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6497A (zh) * 2019-05-21 2019-07-12 东莞市爱华实业有限公司 一种智能流量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6497A (zh) * 2019-05-21 2019-07-12 东莞市爱华实业有限公司 一种智能流量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76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low rate of meter
KR20140026380A (ko) 전류측정식 센서 시스템
JP2010533588A (ja) 取り外し可能な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ろ過システム
CN107430015B (zh) 具有减小的电流消耗的磁感应通过流量测量装置
KR101923954B1 (ko) 소비전력이 절감된 배터리형 초음파식 수도미터
KR20090106237A (ko) 유량 감지 장치
KR20100025289A (ko) 비자성 회전체의 회전 감지기 및 이를 적용한 유량 측정장치
WO2021159602A1 (zh) 自动出溶液美容仪
JP2000343081A (ja) 便器殺菌装置
KR100562770B1 (ko) 연수기용 통합 감압밸브
JP2009198429A (ja) 流量計測装置
JP2007000740A (ja) 殺菌洗浄装置
KR20080005123U (ko) 유량센서
JP5106290B2 (ja) 流量計測装置
JP2001141694A (ja) 残留塩素濃度測定装置
KR100996144B1 (ko) 필터 수명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1582359B1 (ko) 유량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감지방법
JP4041793B2 (ja) 残留塩素測定装置
KR20200022224A (ko) 유체의 부존재를 감지하는 장치
KR101591096B1 (ko) 유량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감지방법
KR20050010449A (ko) 전력을 적게 소모하는 유량 감지 시스템
JP2002250711A (ja) 残留塩素計及びこの残留塩素計を用いた液体殺菌装置
CN204228213U (zh) 一种微型高频率低功耗可逆式磁传感器
JP2007071558A (ja) ガス遮断装置
JP2000009675A (ja) 水質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