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123U - 유량센서 - Google Patents

유량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123U
KR20080005123U KR2020070007112U KR20070007112U KR20080005123U KR 20080005123 U KR20080005123 U KR 20080005123U KR 2020070007112 U KR2020070007112 U KR 2020070007112U KR 20070007112 U KR20070007112 U KR 20070007112U KR 20080005123 U KR20080005123 U KR 200800051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impeller
lower body
flow sen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카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카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카메디
Priority to KR2020070007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123U/ko
Publication of KR20080005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1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출수구가 대향하게 관통되는 공간의 중심에 중심축공이 구비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중심축공에 고정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상단에 구름마찰되도록 임펠러의 축공에 강제로 압입시키는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를 축공에 수용하여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설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내장된 자석의 극성변화에 따라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내장하면서 하부몸체를 폐쇄시키는 상부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유량센서는, 하부몸체의 중심축공에 고정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중심축 상단에 임펠러의 축공에 압입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름마찰되도록 하여 마찰면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시간 사용한 이후에도 정확한 순간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유량적산의 정확성이 확보되며, 필터의 교환시기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알려 줌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유량센서,

Description

유량센서{flow sensor}
도 1은 일반적인 유량센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량센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유량센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량센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량센서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부몸체 140: 중심축공
200: 중심축 300: 마찰부재
400: 임펠러 410: 축공
420: 자석 500: 센서
600: 상부몸체
본 고안은, 유량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의 축공에 마찰부재를 압입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케이스의 마찰을 방지함으로 케이스의 마모로 인한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유량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연수기, 전해수기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는 사용한 물의 량을 측정하고, 이 량을 적산하여 필터의 교환시기를 표시해주는 유량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유량센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입구(11a)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에 의해 지지구(12)의 축공(12a)에 장착되는 축(13a)과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13)가 회전함과 동시에 임펠러(13)의 상단부에 장착된 자석(14)의 회전수를 센서(15)에서 카운터하면서 물의 이동량을 측정하고, 이 량을 적산하여 필터의 교환시기를 표시하며, 상기 임펠러(13)를 통과한 물은 케이스(11)의 출구(11b)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유량센서는, 임펠러의 회전시, 스테인레스 재질의 임펠러 축과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구 축공이 마찰함과 동시에 축공의 마모로 인해 축공의 표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마찰력이 증가하면서 임펠러의 회전수가 불규칙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필터의 교환시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며, 센서의 불규칙한 측정오차로 인해 오염된 필터를 계속 사용하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중심축과 마찰부재가 구름마찰되도록하여 마찰부재를 수용한 임펠러가 원활하게 회전할 뿐만 아니라 마찰면의 변형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랜시간 사용한 이후에도 항상 정확한 순간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유량적산의 정확성이 확보되며, 필터의 교환시기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알려줌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량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출수구가 대향하게 관통되는 공간의 중심에 중심축공이 구비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중심축공에 고정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상단에 구름마찰되도록 임펠러의 축공에 강제로 압입시키는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를 축공에 수용하여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설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내장된 자석의 극성변화에 따라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내장하면서 하부몸체를 폐쇄시키는 상부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량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유량센서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입.출수구(110)(120)가 대향하게 관통되는 공간(130)의 중심에 중심축공(140)이 구비된 하부몸체(100)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심축공(140)에 고정되는 중심축(200)이 구성되며, 상기 중심축(200)의 상단에 구름마찰되도록 임펠러(400)의 축공(410)에 강제로 압입시키는 마찰부재(300)가 구성되고, 상기 마찰부재(300)를 축공(410)에 수용하여 중심축(200)에 회전가능하게 축설하는 임펠러(400)가 구성되며, 상기 임펠러(400)의 상부에 내장된 자석(420)의 극성변화에 따라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500)가 구성되고, 상기 센서(500)를 내장하면서 하부몸체(100)를 폐쇄시키는 상부몸체(6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심축(200)은, 상기 하부몸체(100)의 중심축공(140)에 인서트 방식 또는 강제삽입방식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마찰부재(300)는 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심축(200)과 마찰부재(300)는 녹이 슬지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수구(110)(120)가 대향하게 관통되면서 공간(130)의 중심에 중심축공(140)이 구비되도록 하부몸체(100)를 압출성형하고, 상기 중심축공(140)에 중심축(200)을 고정시키는데, 상기 중심축(200)을 중심축공(140)에 인서트 방식 또는 강제압입방식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볼 형상의 마찰부재(300)를 자석(420)이 내장된 임펠러(400)의 축공(410)에 강제로 압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400)의 축공(410)을 중심축(200)에 축설하는데, 상기 마찰부재(300)의 하단부가 중심축(400)의 상단에 구름마찰되도록 축설됨과 동시에 축공(410)의 내주면은 중심축(200)의 외주면과 면접촉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중심축(200)에 임펠러(400)가 축설되면, 임펠러(400)의 상부에 내장된 자석(42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500)를 상부몸체(600)에 내장한 후, 상기 상부몸체(600)로 하부몸체(100)를 폐쇄시키면서 용접으로 결합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중심축(200)과 마찰부재(300)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결합된 본 고안을 수처리장치인 정수기, 연수기, 전해수기 등의 배관라인에 장착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라인을 따라 일정 수압을 가지는 물이 하부몸체(100)의 입수구(110)로 유입되어 임펠러(4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임펠러(400)의 축공(410)에 압입된 마찰부재(300)가 중심축(200)의 상단에 구름마찰되어 있으므로 임펠러(4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임펠러(400)의 축공(410) 내주면이 중심축(200)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지 않아 임펠러(4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400)에 내장된 자석(420)의 회전수를 센서(500)에서 측정함과 동시에 자석(420)의 회전수로서 유수량을 측정하고, 상기 임펠러(420)를 통과한 물은 출수구(120)로 배출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측정된 유수량을 적산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이 되면 표시부(미도시)상에 경보음 및 표시램프 등으로 필터의 교환시기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필터의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의 교환시기 안내에 따라 필터를 교환하면, 센서(500)를 리셋하여 초기상태로 환원시킨 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몸체의 중심축공에 고정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중심축 상단에 임펠러의 축공에 압입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름마찰되도록 하여 마찰면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시간 사용한 이후에도 항상 정확한 순간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유량적산의 정확성이 확보되며, 필터의 교환시기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알려줌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입.출수구가 대향하게 관통되는 공간의 중심에 중심축공이 구비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중심축공에 고정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상단에 구름마찰되도록 임펠러의 축공에 강제로 압입시키는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를 축공에 수용하여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설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내장된 자석의 극성변화에 따라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내장하면서 하부몸체를 폐쇄시키는 상부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중심축은,
    상기 하부몸체의 중심축공에 인서트 방식 또는 강제삽입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과 마찰부재는 녹이 슬지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KR2020070007112U 2007-04-30 2007-04-30 유량센서 KR200800051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12U KR20080005123U (ko) 2007-04-30 2007-04-30 유량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12U KR20080005123U (ko) 2007-04-30 2007-04-30 유량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23U true KR20080005123U (ko) 2008-11-04

Family

ID=4150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112U KR20080005123U (ko) 2007-04-30 2007-04-30 유량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12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79B1 (ko) * 2011-05-23 2013-03-19 김진근 기포제거기능을 갖는 유량센서
CN103161737A (zh) * 2012-06-15 2013-06-19 余昌海 一种流量检测控制器及采用该控制器的自控水泵
KR101305538B1 (ko) * 2011-02-05 2013-09-09 강성모 유량 및 물성 측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538B1 (ko) * 2011-02-05 2013-09-09 강성모 유량 및 물성 측정 시스템
KR101245179B1 (ko) * 2011-05-23 2013-03-19 김진근 기포제거기능을 갖는 유량센서
CN103161737A (zh) * 2012-06-15 2013-06-19 余昌海 一种流量检测控制器及采用该控制器的自控水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1153B2 (en) Peristaltic injector pump leak monitor
US58766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liquid flow through an enclosed stream
KR101790326B1 (ko) 전자식 수도계량기
KR20080005123U (ko) 유량센서
KR101560265B1 (ko) 비자성체가 적용된 전자식 수도미터
JP4226881B2 (ja) 流量計付吐水装置、流量計付切替コック、流量計付フレキ吐水管、浄活水器用流量計、アンダーシンク型浄活水器用流量計付水栓及び流量計ユニット
KR200443454Y1 (ko) 오염방지부재를 갖는 유량계
ITCR20080008A1 (it) Contatore volumetrico per macchine da caffe&#39;
KR100306214B1 (ko) 유량 측정장치
WO2008031168A1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KR100751706B1 (ko) 유량조절밸브
US7819023B2 (en) Valve with inherent enhanced turbulent flow metering device and flow regulation
ATE484187T1 (de) Ausgabevorrichtung zur teilung eines flüssigkeitshauptstroms in mehrere teilströme
KR101469829B1 (ko) 역류방지 및 소음감쇄 기능을 가진 수도계량기
CN107044872B (zh) 微小液体流量计
JP2007178245A (ja) 浄水器
KR200173841Y1 (ko) 유량 측정장치
KR101306624B1 (ko)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KR100570479B1 (ko) 압력조절밸브를 구비한 수도계량기
CN201210063Y (zh) 流量检测阀
KR101245179B1 (ko) 기포제거기능을 갖는 유량센서
JP6421370B2 (ja) 流量計及びポンプ装置
CA2479403C (en) Method of reducing deleterious effects of turbine flow meter wear, and a turbine flow meter assembly
TWI388959B (zh) Flow control device
KR200166513Y1 (ko) 유량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