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186A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186A
KR20090106186A KR1020080031741A KR20080031741A KR20090106186A KR 20090106186 A KR20090106186 A KR 20090106186A KR 1020080031741 A KR1020080031741 A KR 1020080031741A KR 20080031741 A KR20080031741 A KR 20080031741A KR 20090106186 A KR20090106186 A KR 20090106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annular magnetic
torque sensor
magnetic
st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963B1 (ko
Inventor
장문규
안상민
이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96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N극과 S극이 번갈아 배열된 환형 마그네틱; 상기 환형 마그네틱에 대하여 회전 변위를 갖을 수 있도록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환형 마그네틱에 대하여 회전 변위를 갖을 경우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서로 다른 극에 의해 각각 자화되는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의 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자화된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에 의해 각각 자화되는 제1컬렉터 및 제2컬렉터; 및 자화에 의해 상기 제1컬렉터 및 제2컬렉터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의 자속 변화량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홀(hall)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측면에 의해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를 제공한다.
환형 마그네틱, 스테이터, 컬렉터, 홀 소자, 입력축, 출력축, 스티어링 휠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Torque senso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스티어링 장치의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발생하는 회전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휠을 회전시켜 바퀴를 조향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를 이용하여 바퀴를 조향시킬 경우, 일반적으로 바퀴와 노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스티어링휠과 바퀴 사이의 회전비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스티어링 장치에는 이를 측정하여 보상하기 위해 토크센서가 구비되는데, 이 토크센서는 스티어링휠과 바퀴의 회전각도 편차를 측정하여 그 정보를 타 동력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타 동력수단은 전달받은 편차 정보를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토크센서는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업계에서 토크센서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중 미국특허 제7,028,545호에 개시된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토크센서가 장착된 스티어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장착된 토크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토크센서(4)는 입력축(3)에 연결되는 제1자성구조체(5)와, 토션바(2)에 의해 상기 입력축과 결합하는 출력축(1)에 연결되는 제2자성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자성구조체(5)는 상기 입력축(3)이 삽입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 환형부재(10)와, 상기 환형부재(10)의 외주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마그네트(9)를 포함한다.
상기 제2자성구조체는 제1스테이터(6) 및 제2스테이터(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스테이터(6, 7)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이(tooth)(11, 12)가 각각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컬렉터(13, 1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자성구조체(5) 및 제2자성구조체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개의 이(11, 12)들이 서로 맞물리게 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11, 12)들은 상기 환형부재(10)의 외주면과 마주하게 되며, 상기 컬렉터(13, 14) 사이에는 상기 컬렉터(13, 14)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감지한 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홀 프로브(hall probe)(15)가 삽입되는 에어 갭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기장 세기의 변화는 제2자성구조체에 대한 상기 제1자성구조체(5)의 회전변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컬렉터(13, 14)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회전변 위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컬렉터(13, 14) 사이에 형성되었던 자기장의 세기와의 차이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토크센서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터(6, 7)의 형상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상기 스테이터(6, 7)의 제조가 난해하고, 상기 토크센서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비해 그 형상 및 구조가 더욱 간단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토크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N극과 S극이 번갈아 배열된 환형 마그네틱; 상기 환형 마그네틱에 대하여 회전 변위를 갖을 수 있도록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환형 마그네틱에 대하여 회전 변위를 갖을 경우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서로 다른 극에 의해 각각 자화되는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의 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자화된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에 의해 각각 자화되는 제1컬렉터 및 제2컬렉터; 및 자화에 의해 상기 제1컬렉터 및 제2컬렉터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의 자속 변화량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홀(hall)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측면에 의해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스테이터에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중심축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제1이(tooth)가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제2스테이터에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중심축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제2이(tooth)가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타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되며, 상기 제1이와 제2이는 서로 번갈아가며 나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의 형상 및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상기 스테이터의 제조가 매우 용이하고 토크센서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종래에 비해 매우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이 완료된 토크센서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더욱 얇기 때문에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는 환형 마그네틱(110)과, 제1스테이터(120)와, 제2스테이터(130)와, 제1컬렉터(140)와, 제2컬렉터(150)와, 홀(hall) 소자(160)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은 중공이 형성된 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에는 N극과 S극이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열된다.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중공에는 스티어링휠(미도시)과 연결되는 입력축(미도시) 또는 바퀴측(미도시)에 연결되는 출력축(미도시)이 결합된다.
상기 제1스테이터(120)는 자화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환형 마그네 틱(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1스테이터(120)에는 복수개의 제1이(tooth)(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이(122)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중심축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제1스테이터(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나열된다. 여기서, 환형 마그네틱(110)의 측면이란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연결된 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2스테이터(130)는 자화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1스테이터(120)가 위치하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2스테이터(130)에는 복수개의 제2이(tooth)(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이(132)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중심축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제2스테이터(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나열된다.
상기 제1스테이터(120) 및 제2스테이터(130)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이 연결된 축과 상이한 축에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스테이터(120, 130)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이 입력축에 연결된 경우에는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이 출력축에 연결된 경우에는 입력축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터(120)와 제2스테이터(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122) 와 제2이(132)가 번갈아 가면서 상기 제1 및 제2스테이터(120, 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다.
상기 제1컬렉터(140)는 자화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테이터(12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테이터(120, 130)가 연결된 축과 동일한 축에 연결된다. 상기 제1컬렉터(140)에는 돌출부(142)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142)는 후술하는 제2컬렉터(150)의 돌출부(152)와 함께 상기 홀 소자(16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컬렉터(150)는 자화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스테이터(13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테이터(120, 130)가 연결된 축과 동일한 축에 연결된다. 상기 제2컬렉터(150)에는 돌출부(152)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152)는 상기 돌출부(142)와 함께 상기 홀 소자(16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홀(hall) 소자(160)는 상기 돌출부(142)와 돌출부(15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142)와 돌출부(152) 사이의 간격에 형성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초기상태, 즉 상기 제1 및 제2스테이터(120, 130)에 대한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회전변위가 없는 상태에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N극과 S극의 경계선이 상기 제1 및 제2이(122, 132)의 중심에 각각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및 제2스테이터(120, 130)에 대한 상기 환형 마그네틱(110)의 회전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이(122)는 N극의 일측면과 마주하게 되고, 상기 제2이(132)는 S극의 타측 면과 마주하게 된다.
상기 제1이(122)가 N극의 일측면과 마주하게 되면, 상기 제1스테이터(120)가 상기 N극의 일측면에 의해 자화되고, 상기 제1컬렉터(140)는 상기 제1스테이터(120)에 의해 자화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돌출부(142)가 N극으로 자화된다. 한편, 상기 제2이(132)가 S극의 타측면과 마주하게 되면, 제2스테이터(130)가 상기 S극의 타측면에 의해 자화되고, 상기 제2컬렉터(150)는 상기 제2스테이터(130)에 의해 자화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돌출부(152)가 S극으로 자화된다.
이와 같이 자화된 돌출부(142) 및 돌출부(152)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42) 및 돌출부(1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자기장의 세기와 상이하고, 이와 같은 자기장 세기의 변화량을 상기 홀 소자(160)가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타 동력수단으로 전송되고, 상기 타 동력수단은 스티어링휠과 바퀴 사이의 상이한 회전비를 보상하기 위해 바퀴를 회전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토크센서가 장착된 스티어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장착된 토크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2)

  1. N극과 S극이 번갈아 배열된 환형 마그네틱;
    상기 환형 마그네틱에 대하여 회전 변위를 갖을 수 있도록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환형 마그네틱에 대하여 회전 변위를 갖을 경우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서로 다른 극에 의해 각각 자화되는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의 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자화된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에 의해 각각 자화되는 제1컬렉터 및 제2컬렉터; 및
    자화에 의해 상기 제1컬렉터 및 제2컬렉터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의 자속 변화량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홀(hall)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테이터 및 제2스테이터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측면에 의해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터에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중심축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제1이(tooth)가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제2스테이터에는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중심축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제2이(tooth)가 상기 환형 마그네틱의 타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되며,
    상기 제1이와 제2이는 서로 번갈아가며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KR1020080031741A 2008-04-04 2008-04-04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KR10098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41A KR100983963B1 (ko) 2008-04-04 2008-04-04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41A KR100983963B1 (ko) 2008-04-04 2008-04-04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186A true KR20090106186A (ko) 2009-10-08
KR100983963B1 KR100983963B1 (ko) 2010-09-27

Family

ID=4153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741A KR100983963B1 (ko) 2008-04-04 2008-04-04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9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594B1 (ko) * 2010-07-27 2013-0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KR20130136765A (ko) * 2012-06-05 2013-1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
KR20160027367A (ko) * 2014-08-29 2016-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센서모듈
WO2020040563A1 (ko) * 2018-08-23 2020-0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WO2020040562A1 (ko) * 2018-08-23 2020-0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WO2020235958A1 (ko) * 2019-05-22 2020-1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804B1 (ko) 2011-04-15 2018-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KR101949432B1 (ko) * 2014-09-05 2019-02-1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US10094722B2 (en) 2014-09-05 2018-10-09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Torque sensor device
KR101882550B1 (ko) * 2014-09-05 2018-07-2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20220059615A (ko) 2020-11-03 2022-05-10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토크를 부가하는 텐셔닝 일체형 부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361A (ja) * 2004-05-11 2005-11-17 Favess Co Ltd トルク検出装置
KR101033156B1 (ko) * 2005-06-14 2011-05-1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토크센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594B1 (ko) * 2010-07-27 2013-0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KR20130136765A (ko) * 2012-06-05 2013-1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
KR20160027367A (ko) * 2014-08-29 2016-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센서모듈
WO2020040563A1 (ko) * 2018-08-23 2020-0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WO2020040562A1 (ko) * 2018-08-23 2020-0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CN112601943A (zh) * 2018-08-23 2021-04-02 Lg伊诺特有限公司 感测装置
CN112601944A (zh) * 2018-08-23 2021-04-02 Lg伊诺特有限公司 感测装置
US11719587B2 (en) 2018-08-23 2023-08-08 Lg Innotek Co., Ltd. Sensing device
WO2020235958A1 (ko) * 2019-05-22 2020-1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963B1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963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JP3913657B2 (ja) トルクセンサ
US7028545B2 (en) Position sensor, designed in particular for detecting a steering column torsion
KR100915264B1 (ko) 토크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0470045Y1 (ko)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JP2004020527A (ja) トルクセンサ
US8943879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steering torque and steering angle and steering system having the same
JP6034045B2 (ja) トルクセンサー
JP2007240496A (ja) トルクセンサ
KR20110115077A (ko) 직동 회전 엑츄에이터
US8960712B2 (en) Wheel for wheelchair and wheelchair
TW201319536A (zh) 扭矩檢測裝置及具備該扭矩檢測裝置之自行車
JP2009265099A (ja) 2つの多極磁石を備えた、角度位置を検出するシステム
WO2018024126A1 (zh) 非接触式扭矩传感器
JP2741388B2 (ja) 相対変位検出装置
JP4906253B2 (ja) トルク検出装置
JP2013205032A5 (ko)
KR20100092243A (ko) 토크센서
KR101741963B1 (ko) 토크 센서 및 이를 갖는 스티어링 시스템
JP4591682B2 (ja) 磁気式エンコーダ付き永久磁石同期モータ
KR101680898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KR100802513B1 (ko) 토크 측정장치
KR20120058814A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KR20120004032A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KR20120027937A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