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848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848A
KR20090105848A KR1020090028011A KR20090028011A KR20090105848A KR 20090105848 A KR20090105848 A KR 20090105848A KR 1020090028011 A KR1020090028011 A KR 1020090028011A KR 20090028011 A KR20090028011 A KR 20090028011A KR 20090105848 A KR20090105848 A KR 20090105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lange
opening
attachment hol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루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to KR102009002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5848A/ko
Publication of KR2009010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2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radially resilient or with a snap-action member, e.g. elastic tooth, pawl with spring, resilient coil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한 번의 조작으로 대상 부재들을 체결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구멍을 가지는 복수의 부재를 체결하는 클립(1)으로서, 일측단에 플랜지부(5)를 구비한 몸통부(4), 몸통부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6), 및 몸통부에서 개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규제벽(7)을 가지는 암부재(2)와, 몸통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는 축부(8) 및 축부에 고정되어 개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조부(9)를 가지는 수부재(3)와, 수부재를 플랜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11)를 가지고, 개구가, 탄지부재에 의해 탄지된 돌조부를 규제벽의 외측인 규제위치로 유도하는 제 1 경사면부(65)와, 돌조부가 탄지부재에 의한 탄지력에 저항해서 플랜지부측으로 압압된 경우에 돌조부를 규제위치에서 이탈시키도록 유도하는 제 2 경사면부(66)를 가지도록 했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구멍을 구비한 2 이상의 부재를 체결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내장부재를 차체 패널에 체결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내장부재를 차체 패널 등에 체결하기 위해서, 암부재 및 수부재로 구성되는 투피스형의 부품 부착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클립에는, 부착부재 및 피 부착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부착부재 및 피 부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걸어맞춰져서 가(假) 고정되는 암부재와, 암부재가 부착부재 및 피 부착부재에 걸어맞춰진 후에 암부재에 삽입되고, 부착부재 및 피 부착부재와 암부재의 걸어맞춰진 상태를 고정하는 수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161890호
하지만, 종래의 클립은 체결공정에 있어서, 암부재에 의해 부착부재 및 피 부착부재를 가 고정한 후에, 수부재에 의해 암부재의 걸어맞춰진 상태를 고정하는 2단계의 조작(작업)공정이 필요하며, 작업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암부재와 수부재의 2개의 부재를 별개로 준비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한 번의 조작으로 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클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힘을 강고하게 발생시켜서 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제 1 부착구멍(101)을 가지는 부착부재(100)와, 제 2 부착구멍(201)을 가지는 적어도 1개의 피 부착부재(200)를 체결하는 클립(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구멍 및 상기 제 2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몸통부(4)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단에 형성된 플랜지부(5)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개구(6)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규제벽(7)을 가지는 암부재(2)와, 상기 몸통부 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는 축부(8)와, 상기 축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개구에서 외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개구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걸림과 아 울러,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끼워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의 돌조부(9)를 가지는 수부재(3)를 가지고, 상기 돌조부는, 초기상태에는 상기 규제벽의 외측의 규제위치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규제벽에 의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으로의 경도(傾倒)가 규제되고, 상기 클립이 상기 제 1 부착구멍 및 상기 제 2 부착구멍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규제위치에서 이탈해서 상기 몸통부의 내측으로 경도되고, 상기 클립의 상기 제 1 부착구멍 및 상기 제 2 부착구멍으로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상기 규제위치로 이동해서 내측으로의 경도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부착구멍(101)을 가지는 부착부재(100)와, 제 2 부착구멍(201)을 가지는 적어도 1개의 피 부착부재(200)를 체결하는 클립(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구멍 및 상기 제 2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몸통부(4)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단에 형성된 플랜지부(5)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개구(6)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규제벽(7)을 가지는 암부재(2)와, 상기 몸통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는 축부(8)와, 상기 축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개구에서 외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개구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끼워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의 돌조부(9)를 가지는 수부재(3)와, 상기 수부재를 상기 플랜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탄지하는 탄지부재(11)를 가지고, 상기 개구는, 상기 플랜지부측을 향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어지고, 상기 탄지부재에 의해 탄 지된 상기 돌조부를 상기 규제벽의 외측인 규제위치로 유도하는 제 1 경사면부(65)와,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경사면부와 대체로 평행하게 경사지어지고, 상기 돌조부가 상기 탄지부재에 의한 탄지력에 저항해서 상기 플랜지부측으로 압압된 경우에 상기 돌조부를 상기 규제위치에서 이탈시키도록 유도하는 제 2 경사면부(6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재는, 상기 수부재의 상기 축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42)를 압압하는 판스프링형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플랜지부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어맞춤부(84)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이 플랜지부의 외측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도달하기 위한 구멍(5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어맞춤부는 플랜지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도달하는, 예를 들어 마이너스드라이버의 선단과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5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플랜지부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어맞춤부(84)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이 플랜지부의 외측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도달하기 위한 구멍(5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어맞춤부는 플랜지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도달하는, 예를 들어 마이너스드라이버의 선단과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6 발명은 제 2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 경사면부 및 상기 제 2 경사면부의 사이에 상기 몸통부의 축선방 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2개의 상대되는 측면(61·6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은 제 2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벽은, 상기 돌조부가 상기 규제벽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가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은 제 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벽은, 상기 돌조부가 상기 규제벽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가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의하면, 일체로 조립된 암부재와 수부재로 구성되는 클립이 얻어진다. 이 클립의 돌조부는, 통상 상태에서는 규제벽에 의해 몸통부의 내측으로의 경도가 제한되고, 몸통부에서의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탄지부재에 의한 탄지력에 저항해서 돌조부가 플랜지측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돌조부가 규제위치에서 이탈되고, 몸통부의 내측으로 경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돌조부가 플랜지부측으로 압압되는 경우인, 부착부재 및 피 부착부재의 제 1 부착구멍 및 제 2 부착구멍에 클립을 삽입하는 경우에 돌조부가 몸통부 내로 인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클립의 구멍에 대한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돌조부가 다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클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돌조부의 규제위치에서의 이탈 및 규제위치로의 복귀는 자동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클립을 제 1 및 제 2 부착구멍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체결조작이 용이 하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탄지부재를 수부재와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부품 점수의 삭감 및 구조의 간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4 발명 및 제 5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드라이버 등의 지그에 의해 수부재를 암부재에 대해서 강제적으로 상대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체결상태에 있어서 수부재를 암부재에 대해서 강제적으로 상대 회전시켜서 돌조부를 규제위치에서 이탈시키고, 돌조부가 몸통부의 내측으로 경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서, 클립을 빼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클립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클립을 제 1 및 제 2 부착구멍에 삽입할 때의 돌조부의 이동이 매끄럽게 되고, 돌조부의 이동이 확실하게 행해지게 됨과 아울러, 클립을 삽입할 때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7 발명 및 제 8 발명에 의하면, 클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클립(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내장부재를 차체 패널에 체결하기 위한 것)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암부재 및 수부재로 분리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화살표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1)은 암부재(2) 및 수부재(3)에 의해 구성되고, 수부재(3)는 암부재(2)의 내부에 수용 지지되어 있다. 암부재(2) 및 수부재(3)는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별개로 형성된다.
암부재(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몸통부(4)와, 몸통부(4)의 일측단에 형성된 플랜지부(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4)는 그 측면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개구(6)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개구(6)는 몸통부(4)의 축선(A)에 대해서 서로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6)는, 축선(A)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축선(A)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서로 마주보는 하부측 측면(61) 및 상부측 측면(62)과, 하부측 측면(61)의 하단부에서 몸통부(4)의 원주방향으로 상부측 측면(62)에 연이어 형성된 저면(63)과, 상부측 측면(62)의 상단부에서 몸통부(4)의 원주방향으로 하부측 측면(61)에 연이어 형성된 상면(64)과, 몸통부(4)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어짐과 아울러 저면(63)의 단부에서 상부측 측면(62)의 하단에 연이어 형성된 제 1 경사면부(65)와, 몸통부(4)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제 1 경사면부(65)와 대체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어짐과 아울러 하부측 측면(61)의 상단에서 상면(64)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제 2 경사면부(66)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져 있다.
도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6)의 하부측 측면(61)에는 하부측 측면(61)에서 돌출되어 축선(A)방향으로 연이어지는 규제벽(7)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벽(7)의 외면(71)은 축선(A)을 중심으로 한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벽(7)의 외면(71)의 하단은 저면(63)과 연결되고, 상단은 제 2 경사면부(66)와 연 결되어 있다.
플랜지부(5)는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몸통부(4)측과 다른 측으로 팽출 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5)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5)의 중앙부에는 몸통부(4)의 원통형상의 내측과 연이어 통하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재(3)는, 축부(8)와, 암부재(2)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랜지부(5)측을 향하는 축부(8)의 상면(81)에서 수부재(3)의 축선(B)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돌출된 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82)와, 각 다리부(82)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조부(9)와, 축부(8)의 상면(81)과 상반되는 면에서 축선(B)방향으로 돌출된 목부(10)와, 목부(10)의 선단에 형성된 판스프링부재(11)를 가진다.
축부(8)는 몸통부(4)의 내주면(41)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측면(83)을 가지고 있다. 또, 축부(8)의 상면(81)에는 2개의 다리부(82)가 돌출되는 부분의 사이에 걸어맞춤홈(84)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홈(84)은 예를 들어, 마이너스드라이버 등의 선단에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9)는 쐐기형상의 형상을 이루며, 배면(91), 하면(92), 상면(93), 슬라이드면(94), 걸어맞춤면(95) 및 2개의 측면(9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면(91)은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축선(B)방향으로 연이어져 있고, 규제벽(7)의 외면(71)과 일치하도록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면(92) 및 상면(93)은 축선(B)의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짐과 아울러 축선(B)의 원주방향으로 연이어져 있 다. 하면(92) 및 상면(93)의 폭은 몸통부(4)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면(94) 및 걸어맞춤면(95)은 배면(91)과 각각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면(92) 및 상면(93)에서 연장되고, 서로 교차하는 부근에 돌출단(97)을 형성한다. 슬라이드면(94)과 배면(91)이 이루는 각도는 걸어맞춤면(95)과 배면(91)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돌조부(9)는, 규제벽(7)의 외면(71)의 외측에 배면(91)이 위치할 수 있도록, 배면(91)의 하부에 있어서 배면(91)의 중심에서 축선(B)의 원주방향에 치우친 부분에 의해 다리부(82)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다. 다리부(82)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82)가 축부(8)와의 결합부를 고정단으로 한 축선(B)의 지름방향으로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요동)에 의해, 돌조부(9)가 축선(B)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한다.
판스프링부재(11)는 목부(10)의 선단에서 축부(8)측으로, 또한 축선(B)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슬릿(12)이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부재(11)의 단부(13)는 원형을 이루고, 암부재(2)의 몸통부(4)의 단부(42)와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부재(11)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암부재(2)와 수부재(3)의 결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수부재(3)의 양 돌조부(9)를 축선(B)측으로 압압해서, 양 다리부(82)를 내측으로 경도시켜서 양 돌조부(9)의 배면(91)이 서로 접촉하도록 한다. 이어서, 이 상태에서 수부재(3)의 축선(B)과 암부재(2)의 축선(A)을 일치시켜서, 수부재(3)를 돌조부(9)측에서부 터, 암부재(2)의 몸통부(4)에 삽입한다(도 2 참조). 양 돌조부(9)는 다리부(82)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부재(3)의 몸통부(4)에 대한 삽입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 양 돌조부(9)가 몸통부(4)의 각 개구(6)에서 축선(A)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수부재(3)의 판스프링부재(11)는 그 단부(13)가 몸통부(4)의 단부(42)에 맞닿아서 탄성 변형되어 있고, 수부재(3)를 몸통부(4)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몸통부(4)에 대한 수부재(3)의 삽입을 완료하고, 수부재(3)의 삽입방향으로의 압압을 멈추면, 판스프링부재(11)의 탄지력에 의해 수부재(3)가 축선(A)방향에 있어서 몸통부(4)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돌조부(9)의 하면(92)이 개구(6) 둘레가장자리의 제 1 경사면부(65)에 맞닿고, 제 1 경사면부(65) 위를 슬라이드해서 저면(63)에 도달한다. 그 사이, 수부재(3)와 몸통부(4)는 축선(A)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축선(A)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 상대 회전한다. 하면(92)이 저면(63)에 도달하면, 수부재(3)가 몸통부(4)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또한 수부재(3)와 몸통부(4)의 상대 회전이 정지된다. 이 상태를 클립(1)의 초기상태로 한다(도 1 참조). 초기상태에서는 돌조부(9)의 배면(91)이 규제벽(7)의 외면(71)과 맞닿아 있어서, 돌조부(9)의 축선(A)의 지름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1)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 도 8의 (a)는 클립에 의한 체결 시의 각 단계에서의 클립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 도 8의 (b)는 클립에 의한 체결 시의 각 단계에서의 클립의 상태를 나 타내는 종단면도, 도 4 ~ 도 8의 (c)는 클립에 의한 체결 시의 각 단계에서의 클립의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4 ~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부재(3)의 위치를 고정해서 도시하고 있다. 실제 삽입 시에는, 수부재(3) 및 암부재(2)가 각각 부착부재(100) 및 피 부착부재(200)에 대해서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1)에 의해, 제 1 부착구멍(101)을 가지는 부착부재(100)와, 제 2 부착구멍(201)을 가지는 피 부착부재(200)를 체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착구멍(101)과 제 2 부착구멍(201)의 각각의 중심을 일치시켜서 부착부재(100)와 피 부착부재(200)를 배치한다. 그리고, 피 부착부재(200)측에서 클립(1)의 플랜지부(5)를 압압하면서, 몸통부(4)측을 제 2 부착구멍(201) 및 제 1 부착구멍(101)에 삽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착구멍(101)이 제 2 부착구멍(201)에 비해 반지름이 작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양 부착구멍의 반지름은 동일해도 좋고, 또 제 2 부착구멍(201)이 제 1 부착구멍(101)에 비해 작아도 좋다.
클립(1)은, 돌조부(9)의 슬라이드면(94)이 제 1 부착구멍(101)에 맞닿을 때까지 돌조부(9)의 하면(92)과 개구(6)의 저면(63)이 맞닿고, 또한 돌조부(9)의 배면(91)이 규제벽(7)의 외면(71)에 맞닿은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의 슬라이드면(94)이 제 1 부착구멍(101)에 맞닿은 상태에서 클립(1)이 더 삽입되면, 돌조부(9)의 슬라이드면(94)이 제 1 부착구멍(101)에 의해 몸통부(4)의 내측, 또한 플랜지부(5)측으로 압압된다. 돌조부(9)의 배면(91)은 규제벽(7)의 외면(71)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돌조부(9)가 몸통부(4)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가 판스프링부재(11)에 의한 탄지력에 저항해서 플랜지부(5)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의 상면(93)이 개구(6)의 제 2 경사면부(66)에 접촉하기 때문에, 돌조부(9)가 이동방향이 규제되어 제 2 경사면부(66) 위를 슬라이드한다. 이것에 의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재(3)와 암부재(2)가 축선(A)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 회전하고, 배면(91)과 규제벽(7)의 외면(71)이 대면하는 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돌조부(9)가 이동한다. 또, 돌조부(9)의 플랜지부(5)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해서, 판스프링부재(11)의 변형량이 증가한다(도 5(a) 참조).
클립(1)의 삽입이 더 진행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의 상면(93)이 개구(6)의 상면(64)에 도달한다. 이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의 배면(91)과 규제벽(7)의 외면(71)이 대면하지 않게 되어, 돌조부(9)가 몸통부(4)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가 몸통부(4)의 내측으로 이동해서, 돌조부(9)의 돌출단(97)이 제 1 부착구멍(101)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플랜지부(5)는 피 부착부재(200)에 압압되어 탄성 변형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을 제 1 및 제 2 부착구멍(101·201)에 완전히 압입한 상태에서는, 돌조부(9)의 돌출단(97)이 제 1 부착구멍(101)을 통과해서, 돌조부(9)의 걸어맞춤면(95)이 제 1 부착구멍(101)에서 몸통부(4)의 내측, 또한 플랜지부(5)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돌조부(9)를 플랜지부(5)측으로 압압하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돌조부(9)가 판스프링부재(11)의 탄성력을 받아서 축선(A)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5)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의 하면(92)이 제 1 경사면부(65)와 접촉하고, 돌조부(9)가 이동방향이 규제되어 제 1 경사면부(65) 위를 슬라이드한다. 이것에 의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재(3)와 암부재(2)가 축선(A)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해서, 돌조부(9)가 규제벽(7)의 외면(71)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돌조부(9)가 클립(1)의 초기상태에 있어서의 위치로 돌아오면 수부재(3)와 암부재(2)의 상대 이동이 종료된다.
클립(1)을 제 1 및 제 2 부착구멍(101·201)에 완전히 압입한 상태에서 삽입 조작을 멈춰서, 클립(1)의 플랜지부(5)측에서의 압압을 정지하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5)의 탄성력에 의해 암부재(2)가 클립(1)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해서, 부착부재(100) 및 피 부착부재(200)가 플랜지부(5) 및 돌조부(9)의 걸어맞춤면(95)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때,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의 배면(91)이 규제벽(7)의 외면(71)과 맞닿아서 돌조부(9)가 몸통부(4)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부(9)의 하면(92)이 개구(6)의 저면(63)에 맞닿아서 돌조부(9)의 플랜지부(5)측과 상반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돌조부(9)가 클립(1)을 빼내는 방향으로의 힘에 저항해서 몸통부(4)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부착부재(100) 및 피 부착부재(200)의 체결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클립(1)을 부착부재(100) 및 피 부착부재(200)에서 빼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플랜지부(5)의 관통구멍(51)을 통해서 마이너스드라이버의 선단을 수부재(3)의 걸어맞춤홈(84)에 걸어맞추고, 마이너스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초기상태에 있는 클립(1)의 수부재(3)와 암부재(2)를 축선(A)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돌조부(9)의 배면(91)과 규제벽(7)의 외면(71)이 대면하지 않도록 해서, 돌조부(9)가 몸통부(4)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클립(1)에 빼내는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면, 돌조부(9)의 걸어맞춤면(95)이 제 1 부착구멍(101)에 의해 몸통부(4)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받고, 돌조부(9)가 몸통부(4)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돌조부(9)가 제 1 부착구멍(101) 및 제 2 부착구멍(201)을 통과한다. 클립(1)을 빼낸 후, 마이너스드라이버와 걸어맞춤홈(84)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판스프링부재(11)의 탄지력에 의해 돌조부(9)의 하면(92)이 제 1 경사면부(65) 위를 슬라이드해서, 클립(1)이 초기상태로 돌아온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클립(1)은, 체결대상이 되는 부재의 구멍에 클립(1)을 압압하는 한 번의 조작에 의해, 클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힘을 강고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립(1)은 사용 전 상태에 있어서 1개의 구성체로서 준비되기 때문에, 복수의 부재를 별개로 준비하고 체결 시에 조립해서 사용하는 다른 클립에 비해 작업성이 좋다. 또, 본 발명의 클립(1)은 드라이버 등의 지그에 의해 외부에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체결상태를 해제해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6)에 저면(63) 및 상면(64)을 형성하지 않고, 제 1 경사면부(65) 및 제 2 경사면부(66)를 연이어 형성해서 상부측 측면(62)과 하부측 측면(61)의 사이를 연결해도 좋다. 또, 판스프링부재(11) 대신에,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을 몸통부(4)의 내부에 설치해서 플랜지부(5)와 수부재(3)를 이간하도록 탄지해도 좋다. 같은 형태로, 플랜지부(5)를 판형상부재로 하고, 플랜지부(5)의 몸통부(4)측을 향하는 면에 탄성을 가지는 패킹부재나 실(seal)부재 등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개구(6)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그 외 다른 제어장치의 구성은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암부재 및 수부재로 분리해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측면도(a), 종단면도(b) 및 횡단면도(c)에 있어서, 클립에 의한 체결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측면도(a), 종단면도(b) 및 횡단면도(c)에 있어서, 클립에 의한 체결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측면도(a), 종단면도(b) 및 횡단면도(c)에 있어서, 클립에 의한 체결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측면도(a), 종단면도(b) 및 횡단면도(c)에 있어서, 클립에 의한 체결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측면도(a), 종단면도(b) 및 횡단면도(c)에 있어서, 클립에 의한 체결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클립 2 - 암부재
3 - 수부재 4 - 몸통부
5 - 플랜지부 6 - 개구
7 - 규제벽 8 - 축부
9 - 돌조부 11 - 판스프링부재
65 - 제 1 경사면부 66 - 제 2 경사면부
82 - 다리부 84 - 걸어맞춤홈
100 - 부착부재 200 - 피 부착부재

Claims (8)

  1. 제 1 부착구멍을 가지는 부착부재와, 제 2 부착구멍을 가지는 적어도 1개의 피 부착부재를 체결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구멍 및 상기 제 2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개구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규제벽을 가지는 암부재와,
    상기 몸통부 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개구에서 외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개구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끼워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의 돌조부를 가지는 수부재를 가지고,
    상기 돌조부는, 초기상태에는 상기 규제벽의 외측의 규제위치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규제벽에 의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으로의 경도(傾倒)가 규제되고, 상기 클립이 상기 제 1 부착구멍 및 상기 제 2 부착구멍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규제위치에서 이탈해서 상기 몸통부의 내측으로 경도되고, 상기 클립의 상기 제 1 부착구멍 및 상기 제 2 부착구멍으로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상기 규제위치로 이동해서 내측으로의 경도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 1 부착구멍을 가지는 부착부재와, 제 2 부착구멍을 가지는 적어도 1개의 피 부착부재를 체결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구멍 및 상기 제 2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개구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규제벽을 가지는 암부재와,
    상기 몸통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개구에서 외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개구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끼워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의 돌조부를 가지는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를 상기 플랜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를 가지고,
    상기 개구는, 상기 플랜지부측을 향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어지고, 상기 탄지부재에 의해 탄지된 상기 돌조부를 상기 규제벽의 외측인 규제위치로 유도하는 제 1 경사면부와,
    상기 제 1 경사면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경사면부와 대체로 평행하게 경사지어지고, 상기 돌조부가 상기 탄지부재에 의한 탄지력에 저항해서 상기 플랜지부측으로 압압된 경우에 상기 돌조부를 상기 규제위치에서 이탈시키도록 유도하는 제 2 경사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재는, 상기 수부재의 상기 축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를 압압하는 판스프링형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플랜지부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이 플랜지부의 외측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도달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플랜지부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이 플랜지부의 외측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도달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 경사면부 및 상기 제 2 경사면부의 사이에 상기 몸통부의 축선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2개의 상대되는 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규제벽은, 상기 돌조부가 상기 규제벽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가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규제벽은, 상기 돌조부가 상기 규제벽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가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090028011A 2008-04-01 2009-04-01 클립 KR20090105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11A KR20090105848A (ko) 2008-04-01 2009-04-01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4627 2008-04-01
KR1020090028011A KR20090105848A (ko) 2008-04-01 2009-04-01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848A true KR20090105848A (ko) 2009-10-07

Family

ID=4153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011A KR20090105848A (ko) 2008-04-01 2009-04-01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58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660A (zh) * 2022-01-27 2022-04-01 深圳市鲲橙科技有限公司 便拆卡扣连接结构以及便拆卡扣连接装置
US20220373007A1 (en) * 2019-10-18 2022-11-24 SFS Group International AG Anchor poi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3007A1 (en) * 2019-10-18 2022-11-24 SFS Group International AG Anchor point
CN114263660A (zh) * 2022-01-27 2022-04-01 深圳市鲲橙科技有限公司 便拆卡扣连接结构以及便拆卡扣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2818B2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KR102216342B1 (ko) 완전 삽입형 보증 캡 분리 도구가 있는 유체 커넥터
US6514023B2 (en) Removable and reusable fastener
US8591160B2 (en) Clip
US5906464A (en) Quick-clamping nut for a fastener assembly
US20060000064A1 (en) Fastener for fixing a panel to a support and provided with a head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US5669108A (en) Fastening unit for quick fastening of iron fittings, and iron fittings with such fastening unit
KR20100122856A (ko) 체결구
US6955514B2 (en) Connector with male part for final fixing
KR20010109100A (ko) 클립
WO2015064525A1 (ja) 止め具
JP2016166650A (ja) 留め具及び締結構造
JP5370202B2 (ja) 蓋体及び蓋体構造
KR20090105848A (ko) 클립
JP2592358B2 (ja) 管継手
US20090260201A1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element
KR100245776B1 (ko) 세경 파이프 접속용 연결구
CN111033062B (zh) 卡夹
JP2006300127A (ja) 止め具
JP459272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CN113431826B (zh) 车辆的地板地毯安装用卡夹
JP2009250249A (ja) クリップ
WO2021117588A1 (ja) 留め具及び留め具を用いた部材取付構造
JP2021071149A (ja) 留め具
JP6203772B2 (ja) スクリューホール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