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332A - 노후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노후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332A
KR20090104332A KR1020080029711A KR20080029711A KR20090104332A KR 20090104332 A KR20090104332 A KR 20090104332A KR 1020080029711 A KR1020080029711 A KR 1020080029711A KR 20080029711 A KR20080029711 A KR 20080029711A KR 20090104332 A KR20090104332 A KR 20090104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d
fuse
old pipe
coupl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섭
Original Assignee
신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섭 filed Critical 신창섭
Priority to KR102008002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332A/ko
Publication of KR2009010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신관으로 교체하기 위해 노후관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후관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압입된 상기 신관 단부에 압입방향으로 걸리도록 장탈착 가능한 몸체와, 상기 노후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후관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걸림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수단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노후관을 인발하는 인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기존의 노후관을 파쇄하지 않고 인발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파쇄장비가 불필요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신관의 교체작업이 기간이 대폭 단축된다.
Figure P1020080029711
노후관, 신관, 매설, 몸체, 인발수단, 걸림수단, 고정수단

Description

노후관 제거장치{Apparatu for removing old pipe}
본 발명은 노후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old pipe)을 교체하기 위해 새로 매설하고자 하는 신관 내부에 노후관이 포함되도록 신관을 압입, 매설한 후 노후관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관(pipe)을 매설하는 다양한 공법이 알려져 있고 실제 현장에서 이용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갱도를 파고 지중의 측면에서 관을 압입하여 매설하는 공법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4272호 '그라우팅용 노즐이 구비된 강관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 압입공법'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강관 압입장치는, 지중에 압입되고 원주면에 내부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선도강관과, 상기 선도강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밀착 설치되며 상기 선도강관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관통공과 연이어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외부의 실링재가 유입되는 유입강관과, 전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 성되고 하면에 상기 관통공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입구가 상기 선도강관의 관통공에 대응되게 상기 선도강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외표면에 상기 유로와 연결된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강관으로 유입된 실링재가 배출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공법으로 새로운 강관을 압입, 매설할 경우 기존에 매설되어 있는 노후관을 먼저 제거해야 할 경우가 허다하다.
종래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신관으로 교체할 때 교체구간 전체를 일정한 깊이로 판 다음 신관으로 교체하고 흙을 덮어 매설했기 때문에 교통혼잡, 공사지연, 소음발생, 비용과다 등의 문제가 심각했다.
또 노후관이 매설된 곳에 하천 또는 지상 건물이 위치하면 물막이 공사를 선행하거나 관로를 우회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 때문에 최근 노후관이 매설된 땅을 개착하지 않고 노후관의 외측으로 추진관을 추진시켜 압입한 후 내부의 노후관을 파쇄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시공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은 내부의 노후관을 직접 파쇄해야 하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상기 파쇄장비는 큰 동력이 요구되는 고용량이어서 시공비용이 크게 증가할 뿐 아니라 시공시간이 지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노후관을 파쇄하지 않고 용이하게 인발하여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신관으로 교체하기 위해 노후관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후관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압입된 상기 신관 단부에 압입방향으로 걸리도록 장탈착 가능한 몸체와, 상기 노후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후관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걸림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수단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노후관을 인발하는 인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신관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와, 상기 신관의 상측을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각 베이스 내측에 상기 신관이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는 상기 신관의 직경에 따라 상기 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절 스크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수단은 일단에 뾰족한 철심이 형성된 걸림부재 한 쌍이 'V'자 형으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걸림부재 일단에 각각 유압실린더가 결합되어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가 벌어지면서 상기 철심이 상기 노후관 내주면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신관 내에서 이송가능 하도록 이송대차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발수단은 상기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 내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단부에 결합되어 전후로 왕복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권취되고 상기 노후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수단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롤러에 권취되도록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신관으로 교체하기 위해 상기 노후관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후관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압입된 상기 신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와, 일단은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신관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의 진행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노후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후관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걸림수단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노후관을 인발하는 인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몸체 일측과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신관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에 결합되며 상기 패드를 상기 신관 내주면으로 가압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수단은 일단에 뾰족한 철심이 형성된 걸림부재 한 쌍이 'V'자 형으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걸림부재 일단에 각각 유압실린더가 결합되어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가 벌어지면 상기 철심이 상기 노후관 내주면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발수단은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리와, 일단이 상기 걸림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에 권취되면서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기존의 노후관을 파쇄하지 않고 인발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파쇄장비가 불필요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신관의 교체작업이 기간이 대폭 단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노후관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후관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신관으로 교체하기 위해 먼저 일정한 갱도를 판 다음 상기 노후관보다 직경이 더 큰 신관을 상기 노후 관이 내부에 포함되도록 지중에 압입하여 매설하고 매설되지 아니한 신관의 단부에 본 발명을 장착하여 작동한다.
상기 신관의 압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그라우팅용 노즐이 구비된 강관 압입장치를 이용하여 압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말해둔다.
본 발명은 크게 몸체(100), 걸림수단(200), 인발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몸체(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몸체(100)는 다시 베이스(110)와, 지지프레임(120)과, 스토퍼(130)로 구성되는데 상기 베이스(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신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신관의 상측을 감싸도록 'ㄷ'자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양단은 상기 각 베이스(110)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10) 상에서 일정간격을 가지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110)에 상기 지지프레임(120)이 결합되면 터널과 같이 수용공간이 생기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그 수용공간 내에 상기 신관이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신관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그런데 삽입된 상기 신관이 진행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스토퍼(stopper, 130)가 상기 베이스(110)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110)에 세로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신관의 하반부가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0) 상부 중앙에는 조절스크류(140)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신관의 상부를 눌러 주는데, 이것은 상기 신관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절스크류(140)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100)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은 걸림수단(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걸림수단(200)은 걸림부재(210)와, 유압실린더(22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210)는 길다란 직선의 부재 형상을 가지고 2개가 구비되며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집게와 같이 'V'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210)의 타단부에는 뾰족한 철심(2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외측, 다시 말해 상기 노후관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210)의 타단부 사이, 즉 벌어진 부분에 유압실린더(2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220)는 공지된 일반적인 것으로 유압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품이다.
상기 유압실린더(220)가 인장되면 상기 걸림부재(210)가 벌어지게 되며 상기 철심(212)이 상기 노후관의 내주면에 박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210)와 유압실린더(220)로 구성된 걸림수단(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달린 이송대차(2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걸림수단(200)이 상기 이송대차(230) 상에 고정되어 상기 신관 내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다음은 인발수단(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인발수단(300)은 구동실린더(310)와, 피스톤(320)과, 롤러(330)와, 와이어(340)와, 모터(35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실린더(3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이며 내부에 유체가 구비되는데, 상기 베이스(110)에 각각 결합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실린더(310) 내에는 상기 피스톤(320)이 삽입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으로 왕복 운동하는데 상기 피스톤(320)은 상기 신관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동실린더(310)와 피스톤(320)은 공지된 유압실린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롤러(33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330) 양단에 롤러축(33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롤러축(332)에는 각각 상기 피스톤(320)이 베어링에 의해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기 롤러(330)는 상기 피스톤(320)의 왕복운동에 의해 전후진이 가능하며 자체로 회전도 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롤러(330)에는 와이어(340)가 권취된다. 상기 와이어(340)는 일부가 상기 롤러(330)에 감기고 나머지는 상기 걸림수단(200)에 결합되는데, 상기 걸림부재(210)가 힌지 결합하는 부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롤러(330)의 일측에는 모터(350)가 구비되어 상기 롤러축(332)에 연동되어 상기 롤러(330)를 회전시킨다.
참고로 상기 모터(350)는 상기 베이스(110) 일측에 구비된 레일(352) 상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330)가 전후진 함에 따라 상기 레일(352)을 따라 함께 움직인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후관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a)는 상기 몸체(100)를 상기 신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데, 작업자는 먼저 상기 몸체(100)를 들어 상기 신관의 상측에서 내려 안착시키고 상기 스토퍼(130)에 상기 신관의 단부가 맞닿아 걸리도록 밀어준다.
이렇게 하고 상기 조절스크류(140)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100)의 적절한 상하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신관이 상기 스토퍼(130)에 잘 밀착되어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200)을 상기 이송대차(230)에 실어 이송한 후 상기 노후관 내주면에 상기 걸림부재(210)를 삽입하고 상기 유압실린더(220)를 구동하여 상기 철심(212)이 상기 노후관 내주면에 박히도록 가압한다.
이때 상기 모터(350)를 작동하여 상기 롤러(330)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340)가 팽팽하도록 한다.
도 3(b)는 상기 노후관을 인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작업자가 상기 구동실린더(310)를 작동하면 상기 피스톤(320)이 밀려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롤러(330)가 상기 피스톤(320)과 함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 며 동시에 상기 롤러(330)에 연결된 모터(350)도 상기 레일(352)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롤러(330)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340)가 풀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340)에 연결된 걸림수단(200)이 같은 방향으로 끌려 오게 되며 동시에 상기 걸림수단(200)에 걸려있는 상기 노후관이 인발되어 일정거리만큼 빠져나온다.
참고로 상기 롤러(3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공지된 구조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c)는 상기 롤러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320)이 다시 처음으로 복귀되면 상기 롤러(330)도 상기 피스톤(320)과 함게 상기 신관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모터(350)도 상기 레일(352)을 따라 복귀된다.
이때 상기 모터(350)가 복귀되는 동안 상기 모터(350)가 작동하여 상기 롤러(3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와이어(340)는 감기게 되며 전체적으로 (a)상태와 같은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수회 반복되면 상기 노후관은 기존에 설치된 곳에서 완전히 인발되어 제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는 신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사용하기 용이하고 하나 이하에서 설명한 다른 일 실시 예는 신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후관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른 실시 예의 발명은 크게 몸체(100), 고정수단(400), 걸림수단(200), 인발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신관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보통 바퀴가 구비되고 수레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몸체(100)는 'ㄴ'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와 상기 신관 내주면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100)가 일 방향, 특히 상기 신관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지지부재(410)와, 패드(4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410)는 링크부재 형상을 가지면서 다수개, 바람직한 것은 2개가 각각 상기 몸체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야 하고 각각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10)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신관 내주면에 접촉하는 패드(420)가 힌지 결합되는데, 상기 패드(420)는 상기 신관 내주면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표면은 마찰을 크게 발생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되거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관 양 내주면에 부착된 상기 패드(420) 사이에는 상기 패드를 가압하여 상기 신관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220)가 구비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20)가 구동되어 상기 패드(420)가 상기 신관에 밀착되면 상기 몸체(100)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의해 힘을 받아 일 방향, 즉 상기 신관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수단(200)은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발수단(300)에 대해 설명하자면, 상기 몸체(100) 상에 구동실린더(310)가 길이방향으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구동실린더(310)에는 피스톤(320)이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320) 단부에는 풀리(360) 2개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 풀리(360)에는 와이어(340)가 감기는데, 상기 와이어(340)의 일단은 상기 걸림수단(200)에 결합되고, 결합된 상기 와이어(340)의 타단은 연장되어 상기 풀리(360)에 감긴 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몸체(100) 일측, 다시 말해 상기 풀리(360)의 반대편에 고정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작업자는 상기 몸체(100)를 이동하여 상기 신관의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패드(420)가 상기 신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220)를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200)을 이동하여 상기 노후관 내에 삽입한 후 상기 유압실린더(220)를 작동하여 상기 걸림부재(210)의 철심(212)이 상기 노후관 내주면 에 박히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실린더(310)를 작동하면 상기 피스톤(320)이 밀려나오고 동시에 상기 풀리(360)가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340)에 고정된 상기 걸림수단(200)이 당겨지고 이로 인해 상기 노후관이 인발된다.
여기서 도르래의 원리에 의해 상기 피스톤(320) 이동거리의 2배 거리만큼 상기 노후관이 인발된다.
만일 상기 노후관이 전부 인발되지 않는다면 다시 상기 피스톤(320)을 복귀시키고 상기 걸림수단(200)을 해제한 다음 상기 몸체(100)를 후퇴시킨 후 앞의 과정을 반복하면 상기 노후관이 완전히 인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신관을 삽입하고 기존의 노후관을 용이하게 인발하여 제거하는 장치를 기술적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노후관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후관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후관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후관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베이스
120 : 지지프레임 130 : 스토퍼
140 : 조절스크류 200 : 걸림수단
210 : 걸림부재 212 : 철심
220 : 유압실린더 230 : 이송대차
300 : 인발수단 310 : 구동실린더
320 : 피스톤 330 : 롤러
332 : 롤러축 340 : 와이어
350 : 모터 352 : 레일
360 : 풀리 400 : 고정수단
410 : 지지부재 420 : 패드
430 : 유압실린더

Claims (10)

  1.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신관으로 교체하기 위해 노후관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후관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압입된 상기 신관 단부에 압입방향으로 걸리도록 장탈착 가능한 몸체(100);
    상기 노후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후관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걸림수단(200);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걸림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수단(200)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노후관을 인발하는 인발수단(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신관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110)와, 상기 신관의 상측을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110)와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각 베이스(110) 내측에 상기 신관이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 스토퍼(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20) 상부에는 상기 신관의 직경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절 스크류(1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200)은,
    일단에 뾰족한 철심(212)이 형성된 걸림부재(210) 한 쌍이 'V'자 형으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걸림부재(210) 일단에 각각 유압실린더(220)가 결합되어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유압실린더(2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210)가 벌어지면서 상기 철심(212)이 상기 노후관 내주면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200)이 상기 신관 내에서 이송가능 하도록 이송대차(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수단(300)은,
    상기 몸체(100)에 결합, 고정되는 구동실린더(310)와, 상기 구동실린더(310) 내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20)과, 상기 피스톤(320) 단부에 결합되어 전후 로 왕복하는 롤러(330)와, 상기 롤러(330)에 권취되고 상기 노후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수단(200)에 연결되는 와이어(340)와, 상기 와이어(340)가 상기 롤러(330)에 권취되도록 상기 롤러(330)를 회전시키는 모터(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7.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신관으로 교체하기 위해 상기 노후관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후관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압입된 상기 신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100);
    일단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신관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으로의 진행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0);
    상기 노후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후관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걸림수단(200);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걸림수단(200)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노후관을 인발하는 인발수단(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일단이 상기 몸체(100) 일측과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410)와, 상 기 지지부재(41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신관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드(420)와, 상기 패드(420)에 결합되며 상기 패드(420)를 상기 신관 내주면으로 가압하는 유압실린더(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200)은,
    일단에 뾰족한 철심(212)이 형성된 걸림부재(210) 한 쌍이 'V'자 형으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걸림부재(210) 일단에 각각 유압실린더(220)가 결합되어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유압실린더(2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210)가 벌어지면 상기 철심(212)이 상기 노후관 내주면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수단(300)은,
    상기 몸체(100)에 고정되는 구동실린더(310)와, 상기 구동실린더(310)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20)과, 상기 피스톤(320)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리(360)와, 일단이 상기 걸림수단(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360)에 권취되면서 상기 몸체(100)에 고정되는 와이어(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제거장치.
KR1020080029711A 2008-03-31 2008-03-31 노후관 제거장치 KR20090104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711A KR20090104332A (ko) 2008-03-31 2008-03-31 노후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711A KR20090104332A (ko) 2008-03-31 2008-03-31 노후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32A true KR20090104332A (ko) 2009-10-06

Family

ID=4153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711A KR20090104332A (ko) 2008-03-31 2008-03-31 노후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43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156B1 (ko) 2019-10-17 2020-05-22 윤택규 노후관 개축 세미쉴드 추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개축 시공공법
KR102202845B1 (ko) * 2020-06-05 2021-01-14 주식회사 특수건설 폴리에틸렌 파이프 인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완전구조보강 폴리에틸렌 파이프-삽입밀착(pe-cfl) 갱생방법
KR102240908B1 (ko) 2020-02-18 2021-04-14 윤택규 복합천공 추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추진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156B1 (ko) 2019-10-17 2020-05-22 윤택규 노후관 개축 세미쉴드 추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개축 시공공법
KR102240908B1 (ko) 2020-02-18 2021-04-14 윤택규 복합천공 추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추진공법
KR102202845B1 (ko) * 2020-06-05 2021-01-14 주식회사 특수건설 폴리에틸렌 파이프 인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완전구조보강 폴리에틸렌 파이프-삽입밀착(pe-cfl) 갱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52536A5 (ko)
CN107217910A (zh) 供电线路电杆栽杆装置及其栽杆方法
US20180083427A1 (en) Conveyance member removal method and device
ES2387851T3 (es) Dispositivo de presión para tubería con elementos de transporte sinfín para su uso durante un proceso de perforación direccional horizontal
KR20090104332A (ko) 노후관 제거장치
JP3153868U (ja) 杭抜き装置
US20030059260A1 (en) Vertical pull apparatus
KR101309774B1 (ko) 지중관로의 굴착방법
KR100927263B1 (ko)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CN104278677B (zh) 一种用于防渗墙槽段浇筑过程中固定导管的装置及方法
KR102178354B1 (ko) 파일 인발장치
CN106646802B (zh) 滚轮式穿线机的使用方法
US4067200A (e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ducts in holes produced by soil piercing tool
CN2883490Y (zh) 井点拔管装置
KR101776916B1 (ko) 케이싱 수평 추진형 지중 전선로 시공방법
AU2015365623B2 (en) Conveyance member removal method and device
KR102287131B1 (ko) 맨홀에서 사용 가능한 노후관의 비 굴착 교체용 신관 견인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노후관의 비 굴착 교체방법
JP3815731B2 (ja) 推進トンネルの撤去・埋め戻し工法
RU2731259C2 (ru) Гидропривод для бестраншейной замены и прокладки подзем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варианты)
KR102054579B1 (ko) 지중관의 비개착 교체기
KR200283509Y1 (ko) 관로공사용 지향성 곡선굴착기
KR100938934B1 (ko) 관부재 압입장치
EP0444217A1 (en) Method for trenchless replacement of a pipeline
JP7343240B2 (ja) 作業台車
KR100963307B1 (ko)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