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919A - 연결 쉘 - Google Patents

연결 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919A
KR20090103919A KR1020097014854A KR20097014854A KR20090103919A KR 20090103919 A KR20090103919 A KR 20090103919A KR 1020097014854 A KR1020097014854 A KR 1020097014854A KR 20097014854 A KR20097014854 A KR 20097014854A KR 20090103919 A KR20090103919 A KR 2009010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user interface
function
pow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045B1 (ko
Inventor
그레고리 에이치. 팍스
에릭 마이클 게이들
앤드류 존 풀러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10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06F15/80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comprising an array of processing units with common control, e.g.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proces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는 수행되어야 하는 요청된 기능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력 특성을 갖는 프로세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선택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가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인스턴스화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인스턴스화로의 전환은 사용자가 변경이 행해진 것을 알아채지 못할 정도로 매끄러울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쉘{LINKED SHELL}
휴대용 전자 컴퓨팅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많은 기능들이 이들 장치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 기능을 수행하는 데는 전력을 필요로 한다. 전력은 통상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에너지가 고갈되는 배터리 등의 휴대용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장치를 계속 사용하기 전에 배터리가 재충전되거나 교체될 필요가 있다. 배터리의 수명은 대체로 장치의 사용 정도 및/또는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에 의존한다. 어떤 기능들은 다른 기능들보다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어느 기능들이 주어진 빈도수로 수행되느냐에 따라, 배터리가 아주 빈번히 재충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배터리가 빈번히 재충전 또는 교체되어야만 하는 경우, 장치의 사용자는 좌절하게 될 수 있다. 배터리를 과도하게 빈번히 재충전할 필요가 없도록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장치 또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장치의 기능들에 관한 정보가 종종 사용자를 위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렇지만,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려고 시도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가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룩앤필을 유지하면서 휴대용 장치에서 전력이 절감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컴퓨팅 서브시스템이 처리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hybrid computing device)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의 선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명령의 선택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및 이 컴퓨팅 장치의 복수의 프로세서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주변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2는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이하에서는 읽는 사람에게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요가 아니며, 본 발명의 주요/중요 구성요소들을 확인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이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몇몇 개념들을 나중에 제공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문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데 있다.
일례에서,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 내의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는 전력 소비 레벨과 연관된 임의의 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스위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전력 레벨 또는 요청된 기능의 전력 특성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프로세서들 간에 스위칭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의 스위칭을 사용자가 거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의 대응하는 스위칭도 역시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컴퓨팅 장치는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선택은 요청된 기능의 전력 특성 또는 전력 레벨에 의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는 또한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는 선택된 프로세서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것은 사용자가 변경이 일어났음을 알아채지 못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부수 특징들 중 다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성되거나 이용될 수 있는 유일한 형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 설명은 이 실시예의 기능들 및 이 실시예를 구성하고 동작시키는 단계들의 시퀀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들 및 시퀀스들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시스템들은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제공된 것이다. 당업자라면 잘 알 것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각종의 서로 다른 유형의 컴퓨팅 시스템들에서의 응용에 적합하다.
도 1은 컴퓨팅 서브시스템들이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적당한 컴퓨팅 시스템 환경(100) 또는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 환경(100)은 적당한 컴퓨팅 환경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용도 또는 기능성의 범위에 관해 어떤 제한을 암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컴퓨팅 환경(100)이 예시적인 운영 환경(10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조합과 관련하여 어떤 의존성 또는 요구사항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본 발명은 많은 기타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팅 시스템 환경 또는 구성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데 적합할 수 있는 잘 알려진 컴퓨팅 시스템, 환경 및/또는 구성의 예로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톱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셋톱 박스, 프로그램가능한 가전제품,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상기 시스템들이나 장치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기타 등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태스크가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저장 장치를 비롯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 둘다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은 컴퓨터(102) 형태의 범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102)의 컴포넌트들은 처리 장치(104), 시스템 메모리(106), 및 시스템 메모리를 비롯한 각종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04)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8)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버스(108)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주변 장치 버스 및 각종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는 로컬 버스를 비롯한 몇몇 유형의 버스 구조들 중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아키텍처는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MCA(micro channel architecture) 버스, EISA(Enhanced ISA) 버스,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로컬 버스, 그리고 메자닌 버스(mezzanine bus)로도 알려진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102)는 통상적으로 각종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102)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 둘다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102)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매체들의 모든 조합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영역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시스템 메모리(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2)와 같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형태의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02) 내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정보 전송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14)은 통상적으로 ROM(110)에 저장되어 있다. RAM(112)은 통상적으로 처리 장치(104)가 즉시 액세스 할 수 있고 및/또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예로서, 도 1은 운영 체제(13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4), 기타 프로그램 모듈(136) 및 프로그램 데이터(138)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102)는 또한 기타 이동식/비이동식,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단지 예로서, 도 1은 비이동식·비휘발성 자기 매체에 기록을 하거나 그로부터 판독을 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6), 이동식·비휘발성 자기 디스크(120)에 기록을 하거나 그로부터 판독을 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8), 및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이동식·비휘발성 광 디스크(124)에 기록을 하거나 그로부터 판독을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2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이동식/비이동식,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로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플래시 메모리 카드, DVD,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고상(solid state) RAM, 고상 ROM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6)는 통상적으로 인터페이스(126)와 같은 비이동식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08)에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8)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22)는 통상적으로 인터페이스(128 또는 130)와 같은 이동식 메모리 인터페이스에 의해 시스템 버스(108)에 접속된다.
위에서 설명되고 도 1에 도시된 드라이브들 및 이들과 관련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102)에 대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1에서,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6)는 운영 체제(13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4), 기타 프로그램 모듈(136), 및 프로그램 데이터(138)를 저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이들 컴포넌트가 부가의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타 프로그램 모듈, 및 프로그램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그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의 다른 사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키보드(140), 및 통상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또는 터치 패드라고 하는 포인팅 장치(142)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명령 및 정보를 컴퓨터(146)에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안테나, 스캐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는 종종 시스템 버스에 결합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4)를 통해 처리 장치(104)에 접속되지만, 병렬 포트, 게임 포트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다른 인터페이스 및 버스 구조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 모니터(158) 또는 기타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비디오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08)에 접속된다. 모니터(158) 외에, 컴퓨터는 스피커(도시 생략) 및 프린터(도시 생략) 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출력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도시 생략)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컴퓨터(102)는 원격 컴퓨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접속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라우터, 네트워크 PC,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컴퓨터(102)와 관련하여 상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논리적 접속으로는 근거리 통신망(LAN)(148) 및 원거리 통신망(WAN)(150)이 있지만, 기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 인트라넷, 및 인터넷에서 일반적인 것이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0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52)를 통해 LAN(148)에 접속된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02)는 통상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WAN(150)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모뎀(154) 또는 기타 수단을 포함한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일 수 있는 모뎀(154)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4) 또는 기타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시스템 버스(108)에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02) 또는 그의 일부분과 관련하여 기술된 프로그램 모듈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원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메모리 장치에 존재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네트워크 접속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례에서,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장치가 제공된다. 다수의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성능 또는 전력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고, 임의의 대응하는 유형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에서, 컴퓨팅 장치 내의 제1 프로세서는 연관된 제1 전력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컴퓨팅 장치 내의 제2 프로세서는 연관된 제2 전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전력 특성은 대응하는 프로세서의 임의의 전력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특성은 대응하는 프로세서가 소비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예에서, 저전력 프로세서는 그 저전력 프로세서가 어떤 미리 정해진 양의 최대 전력 소비 레벨을 갖는다는 것을 알려주는 전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수행될 기능이 어떤 미리 정해진 양보다 더 큰 전력 레벨을 요구하는 경우(즉, 대응하는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을 초과하는 경우), 대응하는 프로세서는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이 수행될 원하는 기능의 대응하는 전력 특성과 비교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선택은 전력 특성의 매칭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내의 제1 프로세서는 임의의 수의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는 저전력 프로세서일 수 있다. 주변 장치(들)는 저전력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임의의 수의 저용량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저용량 기능들은 미리 정해진 양보다 적은 양의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저전력 특성). 또한, 어떤 고용량 또는 고성능 기능들은 저전력 프로세서의 능력을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러한 고용량 기능들은 저전력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지 못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고용량 기능이 요청되고 저전력 프로세서가 주변 장치(들)를 제어하고 있을 때, 이 장치는 주변 장치들의 제어를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다른 프로세서는 요청된 고용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고용량 또는 고성능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성능 프로세서는 요청된 고용량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요청된 고용량 기능이 완료된 후에, 다른 기능이 요청될 수 있다. 각종의 방법들에 의해 임의의 요청이 장치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임의의 주변 장치에 의해 수행될 기능에 대한 요청을 주변 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그 요청 및 그 요청된 기능의 유형에 응답하여,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변 장치(들)를 제어하기 위해 대응하는 프로세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기능이 고용량 또는 고성능의 기능인 경우,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대응하는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고성능 프로세서가 선택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요청된 기능이 저용량 또는 저성능의 기능인 경우,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저전력 프로세서가 선택 및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프로세서가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때, 고성능 프로세서가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는 것과 비교하여 더 적은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도 2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의 선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200)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2개의 프로세서, 즉 저전력 프로세서(201) 및 고성능 프로세서(202)를 나타내고 있지만, 임의의 수의 프로세서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예에서, 저전력 프로세서(201) 및 고성능 프로세서(202)는 스위치(208)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208)의 상태에 기초하여, 저전력 프로세서(201) 또는 고성능 프로세서(202) 중 어느 하나가 임의의 수의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서(201, 202)는 주변 장치 드라이버(203)를 통해 임의의 주변 장치(예를 들어, 주변 장치 A(204), 주변 장치 B(205), 주변 장치 C(206), 주변 장치 n(207))를 제어할 수 있다. 고성능 기능이 요청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력이 미리 정해진 문턱값보다 클 때,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변 장치들(204-207)을 제어하기 위해 고성능 프로세서(202)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위치(208)는 고성능 프로세서(202)가 주변 장치 드라이버(203)를 통해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저전력 기능이 요청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력이 미리 정해진 문턱값보다 작을 때, 주변 장치들(204-207)을 제어하기 위해 저전력 프로세서(201)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위치(208)는 대안의 위치로 스위칭하여, 저전력 프로세서(201)가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주변 장치들(204-207)을 제어하기 위해 주변 장치 드라이버(203)를 통해 주변 장치들(204-207)을 제어한다. 또한, 저전력 프로세서(201)가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때 더 적은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또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일례에서, 주변 장치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임의의 수의 대응하는 운영 체제와 함께 임의의 수의 프로세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 전원 요소(308)는 임의의 수의 프로세서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 k개의 프로세서(프로세서 n(301), 프로세서 n+1(302), 프로세서 n+k(303))가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는 대응하는 운영 체제(OS)를 갖는다. 전원 요소(308)는 원하는 또는 요청된 기능에 기초하여 다수의 프로세서들 중에서 프로세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프로세서(301-303)는 서로 다른 전력 레벨로 동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로세서(301)는 제1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작은 전력 정격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저전력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302)는 제1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는 크지만 제2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는 작은 전력 정격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중간-범위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제2의 미리 정해진 레벨은 제1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더 높다. 또한, 프로세서(303)는 제2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큰 전력 정격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고용량 또는 고성능 프로세서일 수 있다. 3개의 프로세서들이 기술되어 있지만, 임의의 전력 정격을 갖는 임의의 수의 프로세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원 요소(308)는 요청된 기능의 전력 정격에 기초하여 프로세서(301, 302 또는 303)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기능이 높은 전력 정격(예를 들어, 제2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큰 전력 정격)을 갖는 경우, 전원 요소(308)는 주변 장치(이 예에서, 즉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도록 프로세서(303)(즉, 고성능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요청된 기능이 낮은 전력 정격을 갖는 경우(예를 들어, 제1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저전력 프로세서가 선택되고, 주변 장치(즉,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도록 전원 요소(308)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예에서, 저전력 프로세서는 고성능 또는 고용량 프로세서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저전력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01))의 사용은 고용량 또는 고성능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03))의 사용에 비해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간-범위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02))의 사용은 저전력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01))를 동작시키는 데 사용되는 전력과 고전력 또는 고용량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03))를 동작시키는 데 사용되는 전력의 중간인 양의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원하는 기능의 전력 정격에 기초하여 주변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선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저전력 프로세서가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변 장치(들)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 저전력 프로세서가 선택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즉, 저전력 프로세서가, 예를 들어, 전력 제한으로 인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고전력 프로세서가 선택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프로세서는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변 장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를 포함한다. 선택된 프로세서는 비디오 드라이버(305) 및 비디오 칩셋(306)을 통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를 제어한다. 일례에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를 제어하는 선택된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저전력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를 제어하기 위해 저전력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01))가 선택되는 경우, 저전력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고용량 기능이 요청될 때, (비디오 드라이버(305) 및/또는 비디오 칩셋(306)을 통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를 제어하기 위해 고용량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03)) 등의 다른 프로세서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용량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한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인스턴스화에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2 인스턴스화에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주변 장치들(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 등)의 제어가 제1 프로세서에서 제2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때,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역시 그에 따라 제1 인스턴스화에서 제2 인스턴스화로 스위칭된다. 그에 부가하여, 제1 인스턴스화에서 제2 인스턴스화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인스턴스화에서 제2 인스턴스화로의 변경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307) 상에서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저전력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거나 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인스턴스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고전력 또는 고성능 기능에 대한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주변 장치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고용량 또는 고성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제어가 고성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고성능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제2 인스턴스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예에서도 역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인스턴스화는 제1 인스턴스화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거의 유사하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인스턴스화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인스턴스화와 다를 수 있지만, 제1 인스턴스화와 동일한 유형 또는 동일한 부류일 수 있다.
또다른 예에서, 제어가 한 프로세서에서 다른 프로세서로 스위칭되거나 이전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인스턴스화로부터 제2 인스턴스화로 매끄럽게 전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이 전환이 매끄러우며, 그에 따라 그 전환의 어떤 거슬리는 효과도 존재하지 않거나 거의 인지가능하지 않다. 일례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인스턴스화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인스턴스화로의 변경 또는 스위칭이 단일의 프레임 또는 제한된 수의 프레임(예를 들어, 2개의 프레임, 3개의 프레임, 4개의 프레임, 5개의 프레임, 10개의 프레임, 11개 이상의 프레임, 기타) 상에서 달성될 수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이메일 메시지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이메일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메일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수 있고 메시지의 수신자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필드(401)에 메시지의 수신자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분(402)에 메시지의 본문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한다. 또한, 이 예에서,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은 컴퓨팅 장치로부터의 일정량의 컴퓨팅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량은 미리 정해진 전력량보다 적다. 따라서, 이 예에서, 메시지의 작성 동안에 주변 장치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을 제어하거나 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저전력 프로세서가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응하는 부분에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는 일을 완료하였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이메일 메시지의 본문에 대한 텍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응하는 부분(502)에 입력하였다. 사용자는 또한 이메일 메시지를 의도된 수신자에게로 전송하고자 한다. 이 예에서, 이 작업을 완수하기 위해, 사용자는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부분을 선택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커서(501)를 보내기(Send) 버튼(503) 상에 위치시키고 보내기 버튼(503)을 선택한다. 보내기 버튼(503)을 선택하면 이메일 메시지가 의도된 수신자에게로 전송된다.
이 예에서, 이메일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양보다 큰 레벨의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문턱값보다 작은 전력의 소모가 저전력 기능으로 간주되는 반면 미리 정해진 문턱값보다 큰 전력의 소모가 고전력 기능으로 간주되는 미리 정해진 문턱값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소모되는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레벨보다 크다면,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는 주변 장치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고성능 프로세서로 스위칭할 수 있다. 고성능 프로세서는 이 예에서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지만 그에 부가하여 저전력 프로세서와 비교하여 작업을 완수하는 데 더 많은 양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소모되는 전력량이 저전력 프로세서의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저전력 프로세서가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사용자가 보내기 버튼(503)을 선택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는 요청된 기능(즉, 이메일 메시지를 의도된 수신자로 전송하는 것)의 전력 레벨이 미리 정해진 문턱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하고, 이 판정에 응답하여, 주변 장치들의 제어를 고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 제어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가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장치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개별적인 적어도 2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기능 및/또는 전력 소모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저전력 기능이 요청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저전력 프로세서가 선택될 수 있다. 고전력 기능이 요청될 때(예를 들어, 이메일 메시지를 보내거나 전송할 때), 제어가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고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한다.
도 6은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명령의 선택 이후에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는 고전력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고(예를 들어,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스위칭될 수 있고), 고전력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 또는 제어되는 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며, 그에 따라 제어의 스위칭이 행해졌음을 알려주기 위한 시각적 표시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에 기초하여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고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되었음을 모르고 있을 수 있다.
일례에서, 이메일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주변 장치들의 제어가 다시 저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프로세서에 의해 더 적은 전력이 소모될 수 있으며, 저전력 프로세서에 의한 제어로 스위칭되어 되돌아가면 고전력 프로세서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과 비교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가 저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되어 되돌아가면, 도 6은 저전력 프로세서에 의한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저전력 기능 요청이 시스템에 수신될 때까지 고전력 프로세서에 의한 제어가 계속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6에 나타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고전력 프로세서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는 어느 프로세서가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고 있는냐에 기초하여 서로 다를 수 있다. 어느 프로세서가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고 있느냐의 판정은, 차례로, 요청된 기능의 유형(예를 들어, 요청된 기능의 전력 레벨 또는 요청된 기능의 유형)에 기초할 수 있다.
고전력 프로세서가 도 6에 나타낸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예에서, 사용자는 새로운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는 명령(601)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선택한 이메일 메시지 수신자로 보낼 새로운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새로 만들기(New)" 버튼(602)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는 고전력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명령을 입력한다. 이 명령에 응답하여,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고전력 프로세서로부터 저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2개인 경우에, 제어가 고전력 프로세서로부터 저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3개 이상인 경우, 제어가 한 프로세서로부터 더 낮은 전력의 임의의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제어가 제1 (고전력) 프로세서로부터 그 다음으로 낮은 전력의 프로세서로 스위칭된다. 다른 예에서, 제어가 한 프로세서로부터 제1 프로세서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더 낮은 전력의 프로세서로 스위칭되며, 이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요청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더 낮은 전력의 프로세서가 없으며, 따라서,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 요청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전력의 프로세서이다. 그에 부가하여, 프로세서 제어의 스위칭 전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동일한 유형이거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온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 제어의 스위칭 동안에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전환이 매끄러우며, 따라서 사용자가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의 스위칭을 시각적으로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다.
도 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동안에,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는 이메일 메시지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이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고전력 프로세서로부터 저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가 고전력 프로세서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저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된다.
도 8은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2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저전력 프로세서(801) 및 고성능 프로세서(802)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는 스위치(805)를 통해 디스플레이(80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로세서는 대응하는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GPU)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예에서, 저전력 프로세서는 대응하는 저전력 GPU(803)를 가지며, 고성능 프로세서(802)는 대응하는 고전력 GPU(804)를 갖는다.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대응하는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806)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또는 저용량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저전력 프로세서(801)는, 디스플레이(806)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806) 상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LP GPU(803)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기능에 대한 새로운 요청이 수신되고 이 요청된 다른 기능이 고전력 또는 고용량 기능인 경우, 스위치(805)는 디스플레이(806)의 제어가 고성능 프로세서(802)에 의해 대응하는 HP GPU(804)를 통해 제공되도록 토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성능 프로세서(802)는 요청된 작업을 완수하는 데 저전력 프로세서(801)보다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저전력 프로세서(801)는 저전력 프로세서(801)의 전력 제한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요청된 고전력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스위치(805)는 고성능 프로세서(802)가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806) 등의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해 토글할 수 있다.
또다른 예에서, 저전력 프로세서(801)를 통해 디스플레이(806)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고성능 프로세서(802)를 통해 디스플레이(806)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거의 유사할 수 있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유형이거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주변 장치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806))의 제어가 프로세서들 중 한 프로세서로부터 프로세서들 중 다른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때,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한 인스턴스화로부터 다른 인스턴스화로 스위칭될 수 있다. 그렇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 2개의 인스턴스화 간의 전환이 매끄럽고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알아채지 못할 수 있다.
도 9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및 이 컴퓨팅 장치의 복수의 프로세서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주변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저전력 프로세서(901)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903)를 통해 디스플레이(904)를 제어하거나 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저전력 프로세서(901)는 또한 디스플레이(904) 상에 디스플레이될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저전력 기능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전력 기능에 대한 요청이 수신될 때, 제어가 저전력 프로세서(901)로부터 고성능 프로세서(902)로 스위칭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예에서, 고성능 프로세서(902)는 주변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904))와 직접 통신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고성능 프로세서(902)는 저전력 프로세서(901)와 통신하여 저전력 프로세서(901)를 제어하고, 이 저전력 프로세서(901)가, 차례로, 주변 장치(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904))를 제어하거나 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프로세서(901)는 고성능 프로세서(902)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904)와 통신하여 디스플레이(904)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프로세서(901) 및 디스플레이(904)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내의 서브시스템(905)을 형성할 수 있고, 고성능 프로세서(902)는 이 서브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성능 프로세서(902)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903)를 통해 디스플레이(904)를 제어하기 위해 서브시스템(905)의 저전력 프로세서(901)를 제어하거나 그와 통신을 한다.
이 경우에, 고성능 프로세서(902)는 디스플레이(904)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성능 프로세서(902)는 저전력 프로세서(901)에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는 명령을 보낼 수 있다. 저전력 프로세서(901)는 또한 고성능 프로세서(902)로부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903)를 통해 디스플레이(904)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요청된 기능이 저전력 기능인 경우, 저전력 프로세서(901)는 디스플레이(904)를 제어하거나 그에 전원을 공급하고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성능 프로세서(902)는 전원이 꺼지거나, 다른 대안으로서, 슬립 모드(sleep mode) 등의 보다 낮은 전력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도 10은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1000)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 및 고성능 프로세서(100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0에 2개의 프로세서가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프로세서들이 임의의 구성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가 임의의 지정된 전력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저전력 프로세서(1001)는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임의의 수의 주변 장치들(예를 들어, 주변 장치 A(1009), 주변 장치 B(1010), 주변 장치 C(1011), 주변 장치 n(1012))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주변 장치들은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들은 디스크 드라이브, GPS 유닛, 3G 무선 카드, DVD 드라이브, WiFi 카드, 오디오 싯템,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주변 장치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은 일례들에 불과하다. 그에 부가하여, 저전력 프로세서는 LP GPU(1007)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접속될 수 있고, 또한 수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저전력 프로세서(1001)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를 위해 디스플레이(10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기능은 저전력 프로세서(1001)에 의해 제어되는 주변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이 요청된 기능은 저전력 프로세서(1001)가 제어할 수 있는 저전력 기능일 수 있다. 저전력 프로세서(1001)는 또한 디스플레이(1003)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LP GPU(1007)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주변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03)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변 장치(들)는 요청된 또는 원하는 기능을 지정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1000)는 또한 고성능 프로세서(100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성능 프로세서(1002)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와 별개의 개체일 수 있으며, 저전력 프로세서(1001)를 통해 주변 장치들(1009-1012)을 제어하거나 이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성능 프로세서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와 통신을 한다. 또한, 이 예에서, 고성능 프로세서는 주변 장치들(1009-1012)과 직접 통신하지 않는다. 오히려, 고성능 프로세서(1002)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와 통신을 하고 및/또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를 제어하며, 저전력 프로세서(1001)는, 차례로 주변 장치들(1009-1012)과 통신을 하고 및/또는 주변 장치들(1009-1012)을 제어한다. 따라서, 저전력 프로세서(1001)와 주변 장치들(1009-1012) 간의 통신은, 이 예에서, 고성능 프로세서(1002)를 대신하여 수행된다.
또한, 고성능 프로세서(1002)는 디스플레이(1003)를 제어하거나 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성능 프로세서(1002)는 고전력 그래픽 처리 유닛(HP GPU)(1006)을 통해 디스플레이(1003)를 구동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005)는 어느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1003)와 통신하는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프로세서(1001)가 디스플레이(1003)를 제어할 때, 스위치(1005)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와 디스플레이(1003) 간의 통신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성능 프로세서(1002)는 디스플레이(1003)와 통신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고성능 프로세서(1002)가 디스플레이(1003)를 제어하는 경우, 스위치(1005)는 고성능 프로세서(1002)와 디스플레이(1003) 간의 통신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전력 프로세서(1001)는 디스플레이(1003)와 통신하지 않는다.
어느 프로세서(저전력 프로세서(1001) 또는 고성능 프로세서(1002))가 디스플레이 또는 주변 장치들(1009-1012)과 통신하는지는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양을 초과하는 일정 레벨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수행될 기능을 요청하는 경우, 저전력 프로세서(1001)가 미리 정해진 전력량을 초과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저전력 프로세서는 요청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또는 주변 장치들(1009-1012)의 제어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로부터 고성능 프로세서(1002)로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03)의 제어가 저전력 프로세서(1001)와 고성능 프로세서(1002) 간에 스위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용량 또는 고전력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고성능 프로세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변 장치들(1009-1012)을 제어하기 위해 저전력 프로세서(10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전력 프로세서(1001) 및 주변 장치들(1009-1012)은 고성능 프로세서(1002)에 의해 제어되는 서브시스템을 형성한다. 또한,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1003)는 서브시스템(즉, 저전력 프로세서(1001), 주변 장치 드라이버(1008) 및 주변 장치들(1009-1012))과 별개인 HP GPU(1006)를 통해 고성능 프로세서(10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전력 기능이 (예를 들어, 주변 장치들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고성능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고성능 프로세서(10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3)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행되는 고전력 기능에 대응한다.
게다가, 이 예에서, 저전력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저전력 기능인 새로운 기능이 요청되는 경우, 주변 장치 드라이버(1008)를 통한 주변 장치들(1009-1012)의 제어는 저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성능 프로세서(1002)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성능 프로세서(1002)는 전원이 꺼지거나 슬립 모드(sleep mode)에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스위치(1005)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가 (LP GPU(1007)를 통해) 디스플레이(1003)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저전력 프로세서(1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3)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수행되는 저전력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10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고성능 프로세서(1002)로부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로부터 저전력 프로세서(1001)로부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인스턴스화로 스위칭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서로 다른 인스턴스화들 간의 전환은 변경이 행해졌다는 시각적 표시가 거의 없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슬리는 효과 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의 매끄러운 전환을 경험할 수 있다.
일례에서, 고성능 프로세서(1002)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저전력 프로세서(1001)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거의 유사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프로세서들 중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의 전환을 제어할 때 변경이 행해졌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들 중 한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들 중 다른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의 전환 전후에 디스플레이(1003)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이 행해졌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 예에서,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입력이 수신된다(단계 1101). 이 명령은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 접속된 주변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원하는 기능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양보다 적은 전력 레벨을 사용하는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는 서로 다른 전력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또한, 이 서로 다른 프로세서들은 각자의 전력 레벨 각각에 비례할 수 있는 어떤 기능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요청된 기능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 접속된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고 및/또는 이들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프로세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 선택된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상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110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임의의 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이 요청된 기능은 미리 정해진 양보다 작은 전력 레벨을 사용하는 저전력 기능이다. 기능의 유형 및 대응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저전력 프로세서가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요청된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한다.
단계(1103)에서,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에 제2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이 제2 입력은 제1 기능과 다를 수 있는 제2 기능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능은 또한 제1 기능과 비교하여 다른 전력 레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이 제1 전력 레벨(즉,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작은 전력 레벨)을 필요로 하고 제2 기능이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큰 전력 레벨 등의 높은 전력 레벨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이전에 선택된 프로세서(즉, 제1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 프로세서)는 제2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프로세서(이 예에서, 즉 저전력 프로세서)가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선택된 경우, 제2 기능(즉, 고전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의 제어가 다른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단계1104).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 제어를 스위칭하는 것은 요청된 기능의 유형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프로세서가 저전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고전력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저전력 프로세서는 저전력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고전력 기능이 수행될 수 없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판정은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고전력 프로세서로의 제어의 스위칭을 트리거할 수 있다(단계 1104). 다른 대안으로서,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 수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수동 스위칭이 제공될 수 있다.
주변 장치들의 제어가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도 역시 스위칭될 수 있고, 그 다른 프로세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인스턴스화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프로세서가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고 수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스턴스화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며 또한 고전력 기능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는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고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일례에서, 새로운 요청된 기능으로 인해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 제어의 스위칭이 있게 될 때 스위칭이 상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 스위칭되도록 스위칭이 제공된다. 다른 예에서, 제2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인스턴스화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직접 통신하고 있다. 또한, 제2 프로세서는 다른 주변 장치들과 직접 통신하지 않는다. 오히려, 제1 프로세서는 고전력 프로세서를 대신하여 다른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고 이들과 통신을 하며, 따라서 고전력 프로세서는 저전력 프로세서를 통해서만 다른 주변 장치들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제1 프로세서 및 다른 주변 장치들은 모두가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서브시스템을 형성하며, 제2 프로세서는 다른 주변 장치들과 직접 통신하지 않거나 이들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프로세서로부터 다른 프로세서로 제어를 변경하면 그 결과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가 변경된다. 이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인스턴스화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인스턴스화로의 전환은 사용자가 변경이 일어났음을 알아채지 못하도록 매끄럽다. 예를 들어, 한 프로세서 서브시스템 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인스턴스화의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룩앤필은 유지하면서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상호작용 모델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스위칭이 일어날 수 있다(단계 1105). 따라서, 이 예에서, 프로세서 제어의 스위칭이 일어났다는 시각적 표시가 거의 없을 수 있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1201)에서, 기능에 대한 명령이,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다. 기능의 전력 레벨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다. 미리 정해진 양보다 작은 전력 레벨을 사용하는 기능은 저전력 기능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는 반면, 미리 정해진 양보다 큰 전력 레벨을 사용하는 기능은 고전력 기능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단계 1202). 요청된 기능이 저전력 기능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단계(1202)의 "예" 분기), 현재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있는 프로세서가 판정된다. 장치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 또는 그 프로세서들의 임의의 조합이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고 있을 수 있다. 서로 다른 프로세서들이 서로 다른 전력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한 프로세서가 다른 프로세서보다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는 프로세서는 그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의 범위가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프로세서와 비교하여 더 제한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가 미리 정해진 양보다 작은 최대 전력량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그 프로세서는 저전력 프로세서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미리 정해진 양보다 큰 최대 전력량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그 프로세서는 고전력 프로세서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프로세서들이 임의의 서로 다른 전력 사용 레벨(예를 들어, 중간 레벨)에 있을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서로 다른 전력 사용 레벨은 서로 다른 정격을 할당받을 수 있다.
이 예에서, 요청된 기능이 저전력 기능이고(단계(1202)의 "예" 분기)이고 저전력 프로세서가 활성인 경우(단계(1204)의 "예" 분기), 저전력 프로세서는 요청된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1208). 다른 대안으로서, 저전력 프로세서가 활성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고전력 프로세서가 활성일 수 있는 경우)(단계(1204)의 "아니오" 분기),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의 제어가 저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단계 1206). 저전력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1208).
요청된 기능이 고전력 기능이고 따라서 고전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 사용이 미리 정해진 양보다 큰 경우(단계(1202)의 "아니오" 분기), 어느 프로세서가 현재 활성인지에 관하여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1203). 고전력 프로세서가 현재 활성이고 따라서 고전력 프로세서 요청된 고전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단계(1203)의 "예" 분기), 고전력 프로세서는 요청된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1207). 다른 대안으로서, 고전력 프로세서가 현재 활성이 아니고 저전력 프로세서가 활성인 경우(단계(1203)의 "아니오" 분기), 현재 활성인 저전력 프로세서는 요청된 고전력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의 제어가 저전력 프로세서로부터 요청된 고전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고전력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단계 1205). 고전력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1207).
또한, 3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서로 다른 전력 레벨에서 사용되는 경우, 더 낮은 전력의 프로세서가 전력을 절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지의 판정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프로세서가 사용되며, 제1 프로세서가 제1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작은 저전력 레벨에서 동작하고, 제2 프로세서가 제1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는 크지만 제2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는 작은 중간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며, 제3 프로세서가 제2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큰 고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는 경우, 저전력 기능이 요청될 때 제3 (고전력) 프로세서가 현재 활성일 수 있다. 저전력 기능은 제1의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작은 양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프로세서 둘다가 요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최저 전력 레벨을 갖는 프로세서가 제1 프로세서인 것으로 추가적인 판정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그 기능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도록 주변 장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제2 프로세서가 아닌) 제1 프로세서가 선택될 수 있다.
한 프로세서가 현재 활성일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가 활성일(즉,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때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 간에 스위칭이 일어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역시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1 프로세서로부터 제2 프로세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제2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으로 스위칭이 행해질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1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역시 제2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으로 스위칭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스위칭이 일어났음을 알아채지 못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위칭이 매끄러운 전환으로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은 제1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거의 동일한 장소에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거의 유사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제2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에서, 설계 및 전환 자체가 거슬리지 않도록 양측에서 방해가 되지 않는 시각적 경험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단일의 프레임 또는 적은 수의 프레임들(예를 들어, 2개의 프레임, 3개의 프레임, 4개의 프레임, 5개의 프레임, 기타)에 걸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들 간의 스위칭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이 행해졌음을 사용자는 모르는 채로, 저성능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은 실행을 고성능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으로 넘겨줄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모달리티 결여의 인지 및 개선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된다. 다른 예에서, 전기 전력 소모의 감소를 위해 저성능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이 사용되지만, 사용자는 암시적으로 그 저성능 프로세서 서브시스템 상에 없는(그렇지만 고성능 프로세서 서브시스템의 능력 내에 있는) 능력의 이용가능성을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를 호출한다. 프로세서 서브시스템들 간에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화들 간의 대응하는 스위칭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측면들이 많은 형태들 및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보다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이상의 설명에서 광범위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의도되고 있으며, 어떤 경우들에서, 본 발명의 어떤 특징들이 그에 대응하는 다른 특징들을 사용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첨부된 청구항들이 광의로 또한 본 발명의 범위와 부합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Claims (20)

  1.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로서,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제1 프로세서 - 상기 제1 모드는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큰 레벨로 전력을 소모함 -,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제2 프로세서 - 상기 제2 모드는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작은 레벨로 전력을 소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로는 동작할 수 없음 -,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응하는 제1 프로세서 또는 제2 프로세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함 -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프로세서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접속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거의 유사한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을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관된 전력 레벨을 갖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능의 상기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태를 변경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의 상기 전력 레벨이 상기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클 때,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에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에 있고 상기 기능의 상기 전력 레벨이 상기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상기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작은,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관된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거의 인지되지 않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거의 유사한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는 것인, 하이브리드 컴퓨팅 장치.
  16.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제1 기능의 수행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전력 레벨과 연관되어 있음 -,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프로세서들 중 제1 프로세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기능의 수행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전력 레벨과 연관되어 있음 -,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들 중 제2 프로세서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스위칭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프로세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력 레벨을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에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레벨이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2 프로세서로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력 레벨을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에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전력 레벨을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에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력 레벨을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에 매칭시키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키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력 레벨을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보다는 크고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전력 특성보다는 작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5개 미만의 프레임에 걸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097014854A 2007-01-26 2007-12-31 연결 쉘 KR101311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27,860 2007-01-26
US11/627,860 US8384700B2 (en) 2007-01-26 2007-01-26 Linked shell
PCT/US2007/089228 WO2008091479A1 (en) 2007-01-26 2007-12-31 Linked sh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919A true KR20090103919A (ko) 2009-10-01
KR101311045B1 KR101311045B1 (ko) 2013-09-24

Family

ID=3964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854A KR101311045B1 (ko) 2007-01-26 2007-12-31 연결 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384700B2 (ko)
EP (1) EP2106579B1 (ko)
JP (1) JP5336390B2 (ko)
KR (1) KR101311045B1 (ko)
CN (1) CN101595443B (ko)
BR (1) BRPI0720699A8 (ko)
RU (1) RU2463641C2 (ko)
WO (1) WO2008091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4700B2 (en) 2007-01-26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Linked shell
US7925900B2 (en) 2007-01-26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I/O co-processor coupled hybrid computing device
US8984309B2 (en) 2008-11-21 2015-03-17 Intel Corporation Reducing network latency during low power operation
US8446398B2 (en) * 2009-06-16 2013-05-21 Intel Corporation Power conservation for mobile device displays
US9092069B2 (en) 2009-06-16 2015-07-28 Intel Corporation Customizable and predictive dictionary
US8776177B2 (en) 2009-06-16 2014-07-08 Intel Corporation Dynamic content preference and behavior sharing between computing devices
US8543857B2 (en) * 2009-09-26 2013-09-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operation of multi-core processors
JP2011141707A (ja) * 2010-01-07 2011-07-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96432A4 (en) * 2010-07-21 2016-06-1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ACCESSING A LOCAL STORAGE DEVICE USING AN AUXILIARY PROCESSOR
WO2012067774A1 (en) * 2010-11-18 2012-05-24 Thomson Licensing Bluetooth sharing for multiple processors
EP2458501A1 (en) * 2010-11-30 2012-05-30 France Telecom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748587B1 (ko) * 2011-12-16 2017-06-19 인텔 코포레이션 외부 디스플레이-데이터 입력/출력 포트를 통해 그래픽 처리를 확장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024337B2 (ja) * 2012-01-10 2016-11-16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2105986B3 (de) * 2012-07-04 2013-03-14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Comput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Computersystems
US9377843B2 (en) * 2013-05-07 2016-06-28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urrent consumption by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17897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센서 출력을 처리하는 사용자 기기 및 방법
CN104423268B (zh) * 2013-09-05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014712B2 (en) * 2014-07-17 2018-07-03 Asco Power Technologies, L.P.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management control
US11874716B2 (en) 2015-08-05 2024-01-16 Suunto Oy Embedded computing device management
US11144107B2 (en) 2015-12-01 2021-10-12 Amer Sports Digital Servic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thematic maps
US11210299B2 (en) 2015-12-01 2021-12-28 Amer Sports Digital Servic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thematic maps
US11215457B2 (en) 2015-12-01 2022-01-04 Amer Sports Digital Services Oy Thematic map based route optimization
US11137820B2 (en) 2015-12-01 2021-10-05 Amer Sports Digital Servic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thematic maps
US11284807B2 (en) 2015-12-21 2022-03-29 Amer Sports Digital Services Oy Engaging exercising devices with a mobile device
FI127926B (en) 2015-12-21 2019-05-31 Suunto Oy Sensor-based context management
DE102016015065A1 (de) 2015-12-21 2017-06-22 Suunto Oy Aktivitätsintensitätspegel-Bestimmungsfeld
US11541280B2 (en) 2015-12-21 2023-01-03 Suunto Oy Apparatus and exercising device
US11838990B2 (en) 2015-12-21 2023-12-05 Suunto Oy Communicating sensor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587484B2 (en) 2015-12-21 2023-02-21 Suunto Oy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JP6642169B2 (ja) * 2016-03-23 2020-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7009171A1 (de) 2016-10-17 2018-04-19 Amer Sports Digital Services Oy Eingebettete rechenvorrichtung
US11703938B2 (en) 2016-10-17 2023-07-18 Suunto Oy Embedded computing device
JP2019056996A (ja) * 2017-09-20 2019-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1144788B2 (en) * 2018-12-04 2021-10-12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w-power perception architecture
CN112860428A (zh) 2019-11-28 2021-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能效的显示处理方法及设备
CN113227917A (zh) * 2019-12-05 2021-08-06 Mzta科技中心有限公司 模块化plc自动配置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6828B1 (en) * 1997-09-12 2006-02-07 Hitachi, Ltd. Multi-OS configuration method
CZ148199A3 (cs) * 1998-05-08 1999-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užití technologie dotazů v databázích pro přihlašování k účasti na zprávách v systémech pro zpracování zpráv
US6718415B1 (en) * 1999-05-14 2004-04-06 Acqis Technology,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including console housing multiple computer modules having independent processing units, mass storage devices, and graphics controllers
US6301609B1 (en) * 1999-07-07 2001-10-09 Lucent Technologies Inc. Assignable associate priorities for user-definable instant messaging buddy groups
US6631474B1 (en) * 1999-12-31 2003-10-07 Intel Corporation System to coordinate switching between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nd to coordinate cache coherency between first and second processors during switching
US6735663B2 (en) * 2000-12-18 2004-05-11 Dell Products L.P. Combination personal data assistant and personal computing device
JP2002215597A (ja) * 2001-01-15 2002-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プロセッサ装置
US20030153354A1 (en) * 2001-03-16 2003-08-14 Cupps Bryan T. Novel personal electronics device with keypad application
US7210022B2 (en) 2001-05-15 2007-04-24 Cloudshield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processor to co-processors using a shared memory a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KR100500231B1 (ko) 2001-10-18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Tv카드가 장착된 컴퓨터시스템
US7424623B2 (en) 2002-03-28 2008-09-09 O2 Micro International Limited Personal computer integrated with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2003323417A (ja) 2002-04-30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085758B2 (en) * 2002-08-22 2006-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base enabled messaging facility
US7590712B2 (en) * 2002-09-10 2009-09-15 Ge Fanuc Automation North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and control of an automation control module
US6950823B2 (en) * 2002-12-23 2005-09-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parent edge-of-network data cache
CN1757027A (zh) * 2003-01-13 2006-04-05 德尔卡技术公司 新式的个人电子装置
US7240228B2 (en) * 2003-05-05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andby auxiliary processing of information for a computing device
US7158969B2 (en) * 2003-06-12 2007-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terative data analysis process via query result augmentation and result data feedback
US7272732B2 (en) * 2003-06-30 2007-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t least one computer system
US20050066209A1 (en) * 2003-09-18 2005-03-24 Kee Martin J.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 and low power processors operable in a low power mode
US20050132239A1 (en) * 2003-12-16 2005-06-16 Athas William C. Almost-symmetric multiprocessor that supports high-performance and energy-efficient execution
US7921368B2 (en) * 2004-01-22 2011-04-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nsing and communicating updated status information for remote users accessible through an instant messaging system
KR100566263B1 (ko) * 2004-03-26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쥴 내용에 따라 메신저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메신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5318503A (ja) * 2004-03-29 2005-11-10 Hitachi Ltd プレゼンスサーバ、セッション制御サーバ、パケット中継システム、サーバ、及びシステム
US20070094444A1 (en) * 2004-06-10 2007-04-26 Sehat Sutardja System with high power and low power processors and thread transfer
US8411093B2 (en) * 2004-06-25 2013-04-02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and alone graphics independent of computer system form factor
US20060047782A1 (en) * 2004-06-29 2006-03-02 Nokia Corporation Presence service
US20060033744A1 (en) 2004-08-13 2006-02-16 Motorola,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screen updates in low-power mode
US20060064473A1 (en) * 2004-09-21 2006-03-23 Utstarcom, Inc.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inter-domain presence services
US7721118B1 (en) * 2004-09-27 2010-05-18 Nvidia Corporation Optimizing power and performance for multi-processor graphics processing
US20060080130A1 (en) * 2004-10-08 2006-04-13 Samit Choksi Method that uses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to provide real-time proactive post-sales and pre-sales service over SIP/SIMPLE/XMPP networks
DE102004052576A1 (de) * 2004-10-29 2006-05-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Paralleler Verarbeitungsmechanismus für Multiprozessorsysteme
US7536567B2 (en) * 2004-12-10 2009-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IOS-based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or power management
US20060294401A1 (en) * 2005-06-24 2006-12-28 Dell Products L.P. Power management of multiple processors
US7801912B2 (en) * 2005-12-29 2010-09-21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archable data service
US8384700B2 (en) 2007-01-26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Linked shell
US7805425B2 (en) 2006-04-28 2010-09-28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 database lookup operations
US7925900B2 (en) 2007-01-26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I/O co-processor coupled hybrid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63641C2 (ru) 2012-10-10
KR101311045B1 (ko) 2013-09-24
WO2008091479A1 (en) 2008-07-31
BRPI0720699A8 (pt) 2017-01-17
EP2106579A1 (en) 2009-10-07
RU2009128687A (ru) 2011-01-27
JP2010517166A (ja) 2010-05-20
US9013464B2 (en) 2015-04-21
CN101595443B (zh) 2012-05-30
CN101595443A (zh) 2009-12-02
BRPI0720699A2 (pt) 2014-02-18
US8384700B2 (en) 2013-02-26
EP2106579B1 (en) 2016-01-06
JP5336390B2 (ja) 2013-11-06
US20080182630A1 (en) 2008-07-31
US20130151874A1 (en) 2013-06-13
EP2106579A4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045B1 (ko) 연결 쉘
US7925900B2 (en) I/O co-processor coupled hybrid computing device
US7660914B2 (en) Auxiliary display system architecture
US66248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e image processing
US8868945B2 (en) Device having multiple graphics subsystems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software and methods
US7825635B2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changing battery charging mode according to user's selection
US10234919B2 (en) Accessory-based power distribution
US8615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sources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90985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sources and threshsold events of a multicore portable computing device
WO2015074577A1 (zh) 降低电子设备功耗的方法及电子设备
TW201413440A (zh) 電源模式切換管理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JP6070321B2 (ja) 携帯情報端末、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8751840B2 (en) Computer providing motion picture mode and method of setting up system-mode while playing motion pictures
EP36461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uffer sizing in a computing device
WO2015145709A1 (ja) 計算機、計算機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