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771A - 물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 처리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771A
KR20090103771A KR1020090025422A KR20090025422A KR20090103771A KR 20090103771 A KR20090103771 A KR 20090103771A KR 1020090025422 A KR1020090025422 A KR 1020090025422A KR 20090025422 A KR20090025422 A KR 20090025422A KR 20090103771 A KR20090103771 A KR 2009010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dex
cod
ppm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Priority to KR102009002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3771A/ko
Publication of KR2009010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8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OD량 등이 많아도 보다 확실하게 처리를 할 수 있는 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오염평가지표의 지수가 약 0이 된 최종처리수(1)에 의해 원수(2)를 "피산화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 농도"로 희석하는 귀환유로(3)와, "피산화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 농도"로 희석된 희석 원수(4)에 관하여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하여서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으로 하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5)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물 처리 시스템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높은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량)을 갖는 피처리수에 유용한 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조용수, 폐가스 스크러버 처리수, 재이용할 배수 등의 합병 처리수, 수용성 절삭 용제, 수용성 연마 용제, 수용성 소성 유제, 냉각제 등을 용해한 금속가공처리용수, 금속도장 또는 표면 처리 세정 린스 용수, 방적 직포 경사 호부 공정 처리용수, 부직포공정 처리용수, 유화중합·펄 중합 등 수매반응용수, 펄프 공장, 제지공장의 공정 처리수, 온천수, 약탕 물, 수영장 물이나 의료, 식품가공, 공장·가정·공공 시설 등에서 사람이나 동물, 시설 환경에 사용되는 용수 등의 처리에 관한 제안이 있었다(특허문헌1, 일본공개공보 제2003-251355호).
이 정화 살균수의 생성방법은, 차아염소산소다와 식염 및 브롬나트륨이 혼합된 알칼리성의 전해질 수용액을 무격막의 전해장치에서 전기 분해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 따르면 생성된 정화 살균수는 알칼리성으로 종래에 없는 정화 살균 효과를 올릴 수 있으며, 또 알칼리 쪽이기 때문에 금속 제품의 부식이나 녹발생이 없으며 인체에 대해서도 상해를 주는 일이 없는 정화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특유의 이점을 갖는 것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피처리수의 COD량이 많은 경우의 처리는 좀처럼 곤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COD량 등이 많아도 보다 확실하게 처리를 할 수 있는 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1)본 발명의 물 처리 시스템은, 오염평가지표의 지수가 약 0이 된 최종처리수에 의해 원수를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 농도"로 희석하는 귀환유로와,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로 희석된 희석 원수에 관하여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하여서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으로 하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염평가지표로서는 피처리수의 용도나 수질에 따라서 COD를 이용하거나 BOD를 이용하거나 TOC 기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염평가지표로서 화학적 산소 필요량(COD량)을 이용한 경우, 이 물 처리 시스템은 화학적 산소 필요량(COD량)이 약 0ppm이 된 최종처리수에 의해 원수를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COD 량을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 농도"로 희석하는 귀환유로와,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COD의 양을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로 희석된 희석 원수에 관하여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하여서 그 COD량을 약 0ppm으로 하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의 방법으로서 차아염소산이나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주입하여서 수행하는 방법이나 전기 분해에 의해 수행하는 방법(양극 산화, 식염 등의 전해질 공존하의 전기분해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 등에 따른 산화)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최종처리수(오염평가지표의 지수가 대략 0)로서 귀환유로로 보내는 희석수 이외의 피처리수는 음료수나 순수, 공업용수 등으로서 재이용해도 좋으며, 초순수로 재생하여도 좋고, 하수도나 하천 등으로 방류하여도 좋다.
상기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 농도"는 피처리수가 산화되기 쉬운 점 등 고유의 조건(수질)의 의해 다르지만, 구체적으로는 피산화 물질을 저감(산화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량(산화제 등)을 상당히 과잉 공급하여도 오염평가지표의 지수가 약 0까지 저감되지 않는 농도(예를 들면 피처리수의 COD량이 1000ppm이상의 고농도)로서, 상기 산소량의 과잉 공급분이 잔류염소로서 상당량 잔존할 수 있는 농도는 아니고 비교적 저농도(상기 COD량으로 10ppm이하)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소정농도"는 실제의 처리에 앞서 예비 테스트를 시행함에 따라 파악할 수 있다.
이 물 처리 시스템은, 오염평가지표의 지수가 약 0이 된 최종처리수에 의해 원수를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 농도"로 희석하는 귀환유로를 구비하고 있어서 새로운 청정 수돗물을 일부러 대량으로 주입할 필요가 없고, "자기처리수(自己處理水)"인 최종 처리수를 희석수로서 이용하여도 상기 최종처리수의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는 약 0이 되어 있으므로 처리 개시후 상기 오염평가지표의 지수가 경시적으로 누적·증대되어 파탄되는 상황은 발생하기 어렵고, "자기처리수"를 희석수로서 유효하게 이용하여서 새로운 청정의 수돗물을 과도하게 주입하지 않아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 농도"로 희석된 희석 원수에 관하여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하여서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으로 하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를 구비하고 있어서, 피처리수의 오염 정도나 산화되기 쉬운 점 등 고유 상황에 따른 "희석 배율"로 설정함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처리수로서 공장계 배수, 음식점계 배수, 일반가정계 배수, PCB 기타 오염 토양계 배수, 도장공장 이외의 VOC 가스를 스크러버(scrubber, 배기 가스 세정 장치)에 의해 수중 치환한 배수, 수영장 물, 목욕탕 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어떤 정화를 해야할 필요가 있는 물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버리는 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장계 배수 등과 같이 정화하여서 재이용하는 것이나 수영장 물이나 목욕탕 물과 같이 정화하면서 순환 이용하는 것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피처리수 중의 오염 성분으로서 통상의 유기성분(포름알데히드 등)이나 벤젠, 톨루엔, 다이옥신류, PCB 등의 난분해성 유기화합물, 인체의 피부 표면 등에서 용출된 오염 성분, 또한 암모니아성 질소 기타 무기성분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격막 전류 인가조에는 식염과 같은 염화물이나 차아염소산을 공존시켜서 전기 분해 할 수 있다. 상기 오염평가지표로서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나 TOC 등을 예시할 수 있다.
(2)상기 희석 원수의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COD로 한다)의 지수를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를, COD 약10ppm이하로 설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약 10ppm이하라는 낮은 COD량의 처리에 대응하여서 산화제량(차아염소산량이나 전기 분해시의 전류량)을 적게 하여도 처리후의 COD량이 약 0ppm이 되도록 처리를 할 수 있으면서 처리수 중에 잔존하는 잔류 염소 농도를 낮은 것(예를 들면 10ppm이하)으로 할 수 있다.
(3)상기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하였을 때의 잔류염소 농도는 10ppm이하가 되도록 해도 좋다. 상기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의 조건 설정은 차아염소산소다나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들 약제의 첨가량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분해의 경우는 전극간에 통전되는 전류량이나 처리 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처리후의 잔류염소 농도가 10ppm이하가 되므로, 그 후공정에서 RO막으로 여과하는 하는 경우에도(이렇게 하면 초순수로 재생된다), 상기 RO막이 잔류염소에 적셔지기 어려워서 막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잔류염소 농도를 10ppm이하로 하기 위하여 니켈 촉매나 활성탄 등을 병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오염평가지표를 COD로 한 경우, 피처리수의 COD량이 많다고 하는 것은 그 물의 오염 성분을 산화 분해하기 위한 필요 산소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오염 성분의 산화 분해를 예를 들면 전기 분해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피처리수에 전해질(예를 들면, 식염이나 브롬화나트륨 등)을 첨가하여서 전도도를 높여서 전류가 흐르기 쉽도록 하여 양극과 음극의 전극 사이에 직류 전류를 흐르게 함에 따라 피처리수 중에 차아염소산(이나 차아브롬산)을 발생시킨다. 상기 차아염소산 등은 피처리수 중의 오염 성분에 대한 산화제로서 작용한다.
(4)상기 피처리수는 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 또는/및 비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를 함유하도록 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염 성분이 소수성 유기성분으로서 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경우라도 수중에 상용시켜서 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양친매성 용매로서 프로톤성의 것과 비프로톤성의 것을 함께 상용시키도록 하면, 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IPA등)는 소수성 유기성분(벤젠 등) 쪽에 소수기가 배위하고, 물 쪽에 프로톤성의 친수기(수산기 등)가 배위하게 되며, 비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DMSO등)는 소수성 유기성분(벤젠 등) 쪽에 소수기가 배위하고 물 쪽에 비프로톤성의 친수기(카르보닐산소 등)가 배위하게 되며, 물 쪽에 배위하는 친수기는 프로톤성이거나 비프로톤성 어느 쪽에만 치우치는 일은 없으므로 상호간의 친화성이 증대하게 되며, 소수성 유기 성분과 물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과 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IPA등)만으로(비프로톤성은 배합하지 않는다) 소수성 유기성분(벤젠 등)을 상용시키려고 하면 어느 정도 양의 용매가 필요하게 되며, 물과 비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DMSO 등)만으로(프로톤성은 배합하지 않는다) 소수성 유기성분(벤젠 등)을 상용시키려고 하면 어느 정도 양의 용매가 요구되었지만, 양친매성 용매로서 프로톤성의 것과 비프로톤성의 것을 함께 상용시킴에 따라 이들 용매의 양이 단독의 경우보다도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도 소수성 유기 성분을 상용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 양친매성 용매는 소수성 유기성분을 수중에 도입한다고 하는 적극적인 의의 이외에 정화되어야 할 유기성분으로서의 소극적인 일면을 가지고 있어서, 그 양을 작게 할 수 있으면 최종적인 정화도(예를 들면 COD량 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분자간력 등에 의해 회합되어 있던 소수성 유기성분(벤젠 등) 상호간에 양친매성 용매(IPA, DMSO등)와 물이 개재하여 상용시킨 상태에서 처리(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등의 산화제의 부여나 전기분해)하게 되어, 회합되어 있던 소수성 유기성분의 분자 상호간은 분리·이반되어 원래의 집합이 세분화되어 있게 되며, 소수성 유기성분의 분자는 산화작용을 주위로부터 직접 받아서 분자내의 결합이 분단되어 가게 된다. 양친매성 용매는 처리시에 물과 소수성 유기성분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조제로서 작용하고, 소수성 유기 성분은 산화작용을 유효하게 미칠 수 있게 한다.
상기 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로서 IPA(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메탄올, MEA(모노에탄올아민), 비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로서 DMSO(디메틸설폭시드), DMAc(디메틸아세트아민)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 프로톤성과 비프로톤성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양친매성 용매로서 프로톤성의 것과 비프로톤성의 것을 함께 상용시키도록 하면, 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IPA등)는 소수성 유기성분(벤젠 등) 쪽에 소수기가 배위하고 물 쪽에 프로톤성의 친수기(수산기 등)가 배위하게 되며, 비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DMSO등)는 소수성 유기성분(벤젠 등) 쪽에 소수기가 배위하고 물 쪽에 비프로톤성의 친수기(카르보닐산소 등)가 배위하게 되며, 물 쪽에 배위하는 친수기는 프로톤성이거나 비프로톤성 어느 쪽으로만 치우치는 것은 아니어서 상호간의 친화성이 증대하게 되며 소수성 유기 성분과 물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유기성분으로서,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틸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는 다이옥신류, PCB 등의 난분해성 유기 화합물, 인체 피부 표면 등에서 용출된 오염 성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오염된 토양을 물과 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와 비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로 세정하고, 이 세정수를 상기와 같이 하여서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피처리수의 COD량 등의 오염 정도나 산화되기 쉬움 등 고유 상황에 따른 희석 배율로 설정함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서 COD량 등이 많아도 보다 확실하게 처리를 할 수 있는 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물 처리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시스템·흐름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최종처리수
2; 원수
3; 귀환유로
4; 희석원수
5;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물 처리 시스템은 오염평가지표의 지수가 약 0이 된 최종처리수(1)에 의해 원수(2)를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로 희석하는 귀환유로(3)와,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로 희석된 희석 원수(4)에 관하여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하여서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으로 하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5)를 구비한다.
상기 오염평가지표로서 피처리수의 용도나 수질에 따라서 COD(오염 성분을 화학적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산소량)를 이용하거나 BOD를 이용하거나 TOC 기타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실시형태에서는 화학적 산소 필요량(COD량)을 이용하였다.
즉 이 물 처리 시스템은 화학적 산소 필요량(COD량)이 약 0ppm이 된 최종처리수(1)에 의해 원수(2)(반도체 제조 공장의 유기배수이며 COD는 780ppm이었다)를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COD량을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로 희석하는 귀환유로(3)와,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COD량을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 로 희석된 희석 원수(4)에 관하여 피산화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하여서 그 COD량을 약 0ppm으로 하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5)를 구비한다.
상기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의 방법으로서, 전기분해에 의해 수행하는 방법을 채용하였지만, 기타 차아염소산이나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주입하여서 수행하는 방법이나 전기분해와 산화제의 주입을 병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전기 분해에 의한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에서는, 우선 원수조의 원수(2)(COD780ppm)가 펌프(P1)을 통해서 귀환유로(3)(COD 약 0pmm의 최종처리수(1))와 합류하여서,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COD량을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후술)" 의 희석 원수(4)로 하여서 전해기구(8)로 보내어진다. 상기 전해기구(8)에는 펌프(P6)에 의해 식염수(9)를 공급한다. 이 전해기구(8)는 양극과 음극(미도시) 사이에 전해통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피처리수 중의 피산화 물질은 먼저 양극에서 일차적으로 직접 산화되고(양극 산화), 또 식염의 공존하(식염 농도 0.18%)에서의 전기 분해에 의해 생성된 산화제인 차아염소산에 의해 2차적으로 산화된다. 전해기구(8)를 통과한 피처리수는 반응조1(10)로 보내어져 일정시간 이 반응조 내에서 체류시켜져서 차아염소산에 의한 산화 반응이 진행시켜지게 된다.
이어서 반응조1(10)에서 반응조2(11)로 보내어져, 전해기구(8)에서 생성된 여분(과잉)의 잔류염소(전해기구(8)의 직후에서 잔염 160ppm이었다)를 저감시킨다.
즉 이 반응조에는 상기 반응조1(10)에서 잔존한 여분의 잔류염소를 저감하기 위하여 환원제(12)(중아황산소다)가 펌프(P7)에 의해 주입된다. 이어서 펌프(P2)로 다음 용기(13)로 보내서 활성탄에 의해 한층 더 잔류염소를 저감시키고, 처리수 수조(14)에서 다시 일정 시간 체류시켜서 잔류염소의 저감 반응을 진행시키고, 최종적인 잔류염소 농도는 0.02ppm이었다. 이 원수(2)(유기배수)는 산화되면 분해되어서 이산화탄소나 질소가스가 생성되므로 이들 불활성 가스를 처리수 수조(14)에서 대기로 개방한다.
그 후, 처리수 수조(14)에서 펌프(P3)로 송출하고, 최종처리수(1)(오염평가지표의 지수 COD가 약 0ppm)로서 귀환유로(3)로 보내는 희석수(6) 이외의 피처리수(7)는 하수도나 하천 등으로 방류하도록 하였다. 또한 음료수나 순수, 공업용수 등으로서 재이용하여도 좋고, RO막으로 여과하여서 초순수로 재생하여도 좋다.
상기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를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는", 피처리수가 산화되기 쉬운 고유의 조건(수질)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피처리수의 수질을 감안한 "소정농도"는, 피산화 수질을 저감(산화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산소량을 상당히 과잉으로 공급(전기분해 의 정도로 조절)하여도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가 약 0ppm까지 저감되지 않는 농도(예를 들면 COD량이 1000ppm 이상의 고농도)이며 또한 산소량의 과잉 공급분이 잔류염소로서 상당량(예를 들면 잔류염소 농도가 수백ppm) 잔존하는 농도는 아니고, COD량이 수 십ppm 이하의 비교적으로 저농도인 편이 바람직한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환원하면, 피처리수에 따른 희석 원수(4)의 소정농도의 COD량이 지나치게 고농도인 경우에는 산화제(차아염소산 등)가 과잉으로 공존하여도 처리후의 COD량은 약 0ppm까지 저하되지 않으면서 잔류염소가 상당한 농도로 잔존하게 되며, 이 경우 원수(2)의 희석 배율의 설정을 높임으로써 "소정농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희석 원수의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를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로서 10ppm이하의 낮은 COD량까지로 원수(2)(COD 780ppm)를 희석하여서 처리를 하면, 이 낮은 COD량의 희석 원수(4)의 처리에 대응하여서 전해 전류량을 적게 하여도 처리후의 COD량이 약 0ppm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면서 처리수 중에 잔존하는 잔류염소 농도도 낮게(약 10ppm이하) 할 수 있다.
또한 처리후에 잔존하는 잔류염소는 반응활성(산화력)을 갖기 때문에, 가능한 저농도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를 약 10ppm까지 저감했을 때의 잔류염소 농도가 10ppm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의 조건 설정은 「희석 원수(4)의 COD량(ppm)」과 「전기 분해시의 전극간에 통전되는 전류량(A)이나 처리시간」으로 조정(전류를 많이 흘리면 잔류염소 농도가 높아진다)하면서, 전해후의 환원제(12)(중아황산소다)나 활성탄의 양·체류시간으로 잔류염소 농도를 최종적으로 10ppm이하로 저감하였다. 잔류염소의 저감은 상기 활성탄 이외에 니켈 촉매 등을 이용하여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희석 원수(4)의 "소정농도"나 처리 조건은 실제 처리에 앞서 비커·사이즈의 예비 테스트를 수행함에 따라 파악할 수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류 밀도가 3A/d㎡, 처리량이 220cc/분의 전기 분해 조건으로서, 희석 원수(4)의 COD의 "소정농도"를 7.8ppm으로 설정하였다. 즉 원수의 COD의 780ppm에 대하여 100배 희석을 하도록 한다.
이어서 이 실시형태의 물 처리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이 물 처리 시스템은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가 약 0ppm이 된 최종 처리수(1)에 의해 원수(2)(COD 780ppm)를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를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COD 7.8ppm)"로 희석하는 귀환 유로(3)를 구비하므로, 새로운 청정 수돗물을 일부러 대량으로 주입하는 일 없이 "자기처리수(自己處理水)"인 최종처리수(1)를 희석수로 이용하여도 상기 최종처리수(1)의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는 약 0ppm이 됨에 따라, 처리를 개시한 후 상기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가 경시적으로 누적·증대되어서 처리가 파탄되어 가는 상황은 발생되기 어렵고, "자기처리수"를 희석수로서 유효하게 이용하여서 새로운 청정 수돗물을 과도하게 주입하지 않아도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원수의 COD량(780ppm)이 많아도 보다 확실하게 처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처리 개시 당초에 원수(2)(COD 780ppm)를 소정농도(COD 7.8ppm)까지 희석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량(水量)이 있으면, 처리 개시후의 희석은 자기처리수인 최종처리수(1)(귀환유로3)로 충분하게 된다. 또한 처리 개시 당초에는 시스템 전체를 COD량이 약 0ppm의 물로 채워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를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COD 7.8ppm)"로 희석된 희석 원수(4)에 관하여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하여서 그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를 약 0ppm으로 하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5)를 구비하기 때문에, 피처리수의 오염 정도나 산화되기 쉬운 점 등의 고유 상황에 따른 "희석 배율"로 설정함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오염평가지표(COD)의 지수를 약 0ppm까지 저감했을 때의 잔류염소 농도는 10ppm이하가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하천 방류하지 않고, 그 후공정에서 RO막(미도시)으로 여과하는 경우에도(이렇게 하면 초순수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RO막이 잔류염소에 적셔지기 어렵기 때문에 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피처리수의 오염 정도나 산화되기 쉬운 점 등의 고유 상황에 따른 희석 배율로 설정함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원수의 COD량 등이 많아도 보다 확실하게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여러 가지의 물 처리 시스템의 용도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오염평가지표의 지수가 약 0이 된 최종처리수(1)에 의해 원수(2)를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 농도"로 희석하는 귀환유로(3)와,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로 희석된 희석 원수(4)에 관하여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하여서 그 오염평가지표의 지수를 약 0으로 하는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 유로(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시스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 원수(4)의 "피산화 물질 저감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그 오염평가지표(COD로 한다)의 지수를 약 0ppm까지 저감 가능한 소정농도"를, COD 약 10ppm이하로 설정한 물 처리 시스템.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는 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 또는/ 및 비프로톤성의 양친매성 용매를 함유하도록 한 물 처리 시스템.
KR1020090025422A 2008-03-27 2009-03-25 물 처리 시스템 KR20090103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422A KR20090103771A (ko) 2008-03-27 2009-03-25 물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3850 2008-03-27
KR1020090025422A KR20090103771A (ko) 2008-03-27 2009-03-25 물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771A true KR20090103771A (ko) 2009-10-01

Family

ID=4153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422A KR20090103771A (ko) 2008-03-27 2009-03-25 물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377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693A (ja) * 1996-08-12 1998-02-24 Ebara Corp 難分解性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H10118663A (ja) * 1996-10-18 1998-05-12 New Bio Sangyo Kk 畜産排水の処理方法
JP2003251355A (ja) * 2001-12-28 2003-09-09 Omega:Kk 用水等の浄化殺菌方法と其の装置
JP2004089991A (ja) * 2002-07-12 2004-03-25 Kansai Paint Co Ltd 塗装廃水の処理方法
KR20060062864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디오이에스 전기분해/부상을 이용한 인공 및 자연 수계에서의조류제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693A (ja) * 1996-08-12 1998-02-24 Ebara Corp 難分解性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H10118663A (ja) * 1996-10-18 1998-05-12 New Bio Sangyo Kk 畜産排水の処理方法
JP2003251355A (ja) * 2001-12-28 2003-09-09 Omega:Kk 用水等の浄化殺菌方法と其の装置
JP2004089991A (ja) * 2002-07-12 2004-03-25 Kansai Paint Co Ltd 塗装廃水の処理方法
KR20060062864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디오이에스 전기분해/부상을 이용한 인공 및 자연 수계에서의조류제거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4815B2 (ja) 膜を洗浄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化学物質
EP1090880A1 (en) Electrolytic ozone generating method, system and ozone water producing system
KR101476864B1 (ko) 유기물 제거 방법 및 장치
JP2009255069A (ja) 水処理システム
JP4865651B2 (ja) 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070829B1 (ko) 물 처리 시스템
JP2005218983A (ja) 電解酸化を利用した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20097974A (ko) 복합전해방식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방법 및 장치
JP2011011167A (ja) 排水処理方法
KR101064932B1 (ko) 물 처리 방법 및 기구
KR101070828B1 (ko) 물 처리 방법 및 기구
JP5545841B2 (ja) 排水の処理機構
KR20090103771A (ko) 물 처리 시스템
JP2005152688A (ja) 膜分離方法
KR20110018836A (ko) 배수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JP2005103391A (ja) 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5594774B2 (ja) ガス溶解機構
JP2006231177A (ja) 内分泌撹乱化学物質分解方法及び装置
JP4049711B2 (ja) 炭酸エチレンなど含有排水処理方法
US202400926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wastewater treatment by membrane filtration and electrochemical oxidation
JP2000263049A (ja) 畜舎排水の浄化処理法及びその装置
JP2008200667A (ja) 水の脱臭、脱色、殺菌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0149069A (ja) 排水処理方法
WO2020012786A1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JP2008188488A (ja) 廃水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