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401A -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401A
KR20090103401A KR1020080028986A KR20080028986A KR20090103401A KR 20090103401 A KR20090103401 A KR 20090103401A KR 1020080028986 A KR1020080028986 A KR 1020080028986A KR 20080028986 A KR20080028986 A KR 20080028986A KR 20090103401 A KR20090103401 A KR 20090103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pling
housing
vertical
vertic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510B1 (ko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51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대터미널(T)이 삽입되는 관통공(25)이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관통공(25)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대터미널(T)과 밀착되는 결합편(40)과, 와이어와의 결합을 위한 바렐(6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편(40)은 상기 몸체(21)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는 상대터미널(T)의 외면과 대응되는 결합공간(4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형 터미널(20)에 한 쌍의 결합편(40)이 구비되고 두 결합편(40) 사이에는 상대터미널(T)의 외면과 대응되는 결합공간(45)이 형성되므로 수직형 터미널(20)과 상대터미널(T) 사이가 보다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어, 두 터미널(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A vertical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is}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전류가 흐르는 상대터미널과 연결되는 수직형터미널과 수직형터미널이 삽입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는 보통 상대커넥터와 결합됨으로써 두 커넥터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는 대전류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터미널은 수직형터미널로 구성된다. 즉,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대터미널과 결합되는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수직형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수직형터미널(1)(이하 "터미널"이라 한다)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2)에는 관통공(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은 상대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바닥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2)에는 고정편(4)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4)은 상기 몸체(2)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1)이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여 터미널(1)이 하우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편(4)의 상면에는 고정돌기(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터미널(1)이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2)에는 바렐(7)이 구비된다. 상기 바렐(7)은 상기 고정편(4)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2)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와이어바렐(7a)과 인슐레이션바렐(7b)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7a)은 와이어(미도시)의 심선부분을 감싸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7b)은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1)에는 상대터미널이 결합된다. 상기 상대터미널은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터미널(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터미널(1)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대터미널은 상기 관통공(3)을 통해 상기 터미널(1)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터미널(1)의 몸체(2)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1)에는 상대터미널로부터 대전류가 전달되므로 상대터미널과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1)과 원통형상의 상대터미널은 상기 터미널(1)의 관통공(3)의 가장자리에서만 서로 접하게 되므로 두 터미널(1) 사이에 선접촉이 이루어져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상대터미널이 상기 터미널(1)의 관통공(3)을 통해 충분히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편(4)의 내면과도 접할 수 있지만, 원통형상의 상대터미널과 상기 고정편(4)의 사이에서도 선접촉이 이루어질 뿐이고, 둘 사이가 접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편(4)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어 연결이 불완전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은 상기 고정돌기(4')가 상기 하우징의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돌기(4')와 고정홈의 삽입은 비교적 그 결합력이 작아 상기 터미널(1)에 연결된 와이어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터미널(1)이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4')의 돌출된 정도를 크게 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상기 터미널(1)을 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삽입력이 커져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4)이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고정편(4)의 고정돌기(4')가 하우징의 고정홈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므로 터미널(1)이 하우징에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형터미널과 이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대터미널 사이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형터미널이 탄성변형을 통해 하우징에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원형으로 복원되어 하우징의 일측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그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는 상대터미널의 외면과 대응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결합공간이 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결합공간이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은 서로 마주보는 선단이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결합편의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결합편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체결편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체결편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걸림부의 사이에는 두 걸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변형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결합편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선단이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편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안착공간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공간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삽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안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 및 관통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대터미널과 연결되며 상기 상대터미널의 외면을 감싸는 결합편이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수직형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형 터미널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그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는 상대터미널의 외면이 밀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형 터미널에는 그 사이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체결편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형 터미널은 체결편의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져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체결편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걸림부의 사이에는 두 걸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변형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직형 터미널을 향한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형 터미널에 한 쌍의 결합편이 구비되고 두 결합편 사이에는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간은 상대터미널의 외면에 대응되는 다각형상 또는 원형상의 횡단을 가지므로 수직형 터미널과 상대터미널 사이가 보다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어, 두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수직형 터미널에 한 쌍의 체결편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하우징에 구비된 걸림돌기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체결편의 탄성변형을 통해 수직형 터미널이 하우징에 걸어지므로 수직형 터미널의 삽입력이 작아지고, 이와 동시에 원형으로 복원된 체결편의 일단이 하우징의 걸림돌기에 걸어지므로 수직형 터미널이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도 2의 Ⅰ-Ⅰ' 선에 따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직형 터미널의 구성을 도 2의 Ⅱ-Ⅱ' 선에 따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에 상대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이 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몸체부
12: 안착공간 15: 걸림돌기
20: 수직형 터미널 21: 몸체
25: 관통공 30: 체결편
32: 걸림부 40: 결합편
45: 결합공간 50: 고정편
60: 바렐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이 도 2의 Ⅰ-Ⅰ' 선에 따라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직형 터미널의 구성이 도 2의 Ⅱ-Ⅱ' 선에 따라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에 상대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수직형터미널(20)을 구비한 커넥터는 하우징(10)과 수직형 터미널(20)(이하 '터미널'이라 한다)로 구성되는데 먼저 하우징(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1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1)는 합성수지재질과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안착공간(1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12)에는 터미널(20)이 삽입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0)에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은 상대터미널(T)이 삽입되는 입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관통공(25)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는 단차면(13)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차면(13)에는 걸림돌기(1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5)는 상기 안착공간(12)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체결편(30) 일측을 걸어 터미널(20)이 안착공간(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차면(13)은 상기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과 터미널(2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5)는 터미널(20)이 삽입되는 안착공간(12)의 입구를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15)의 일단(15a)으로부터 상기 안착공간(12)의 입구를 향한 타단(15b)으로 갈수록 상기 걸림돌기(15)의 폭이 작아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5)의 횡단면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터미널(20)이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20)은 상대터미널(T)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20)은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20)의 골격은 몸체(2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21)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몸체(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공(2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5)은 상대터미널(T)이 삽입되기 위한 일종의 입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몸체(21)에는 체결편(30)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30)은 상기 몸체(21)의 양측으로부터 몸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 내면에 밀착되어 터미널(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편(30)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2)는 상기 체결편(30)의 선단이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두 걸림부(32)의 사이에는 소정 거리의 유격(G1)이 형성된다. 이는 터미널(20)이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편(30)의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유격(G1) 사이로 사이 하우징(10)의 걸림돌기(15)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걸림돌기(15)에 상기 터미널(20)의 걸림부(32)가 걸어져 터미널(20)이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21)에는 결합편(40)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40)은 상기 몸체(21)의 양측으로부터 몸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편(30)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편(40)은 그 기저부(42)가 몸체(21)와 연결되는 외팔보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두 결합편(40)의 사이에는 유격(G2)이 형성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편(40)은 상대터미널(T)과 실질적으로 접하여 상대터미널(T)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한 쌍의 결합편(40)은 상기 몸체(21)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사이에는 결합공간(45)이 형성되어 상대터미널(T)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결합편(40)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결합공간(45)이 다격형상 또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공간(45)이 대략 육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20)과 상대터미널(T)은 적어도 6개의 지점에서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두 결합편(40) 사이의 유격(G2)은 상기 몸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결합편(4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공간(45)의 폭이 상대터미널(T)의 삽입방향을 따라 점점 좁아지도록 하여 상대터미널(T)과 상기 터미널(2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21)에는 고정편(5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50)은 상기 체결편(30)과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21)의 양측으로부터 몸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50)은 상기 터미널(20)이 하우징(10)에 결하뵈면 상기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의 내면에 지지되어, 터미널(20)이 하우징(10)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21)에는 바렐(60)이 구비된다. 상기 바렐(60)은 상기 몸체(21)의 양측으로부터 몸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와이어와 터미널(20)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바렐(60)은 와이어의 심선부분을 감싸는 와이어바렐(60a)과,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 고정하는 인슐레이션바렐(60b)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터미널이 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우선 터미널(20)을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에 삽입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20)을 파지하고 그 선단이 상기 안착공간(12)의 입구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터미널(20)을 안착공간(12)의 내부로 밀어넣는다.
상기 터미널(20)이 상기 안착공간(12)에 계속하여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20)의 체결편(30)이 상기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5)에 접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체결편(30) 사이의 유격(G1) 사이로 상기 걸림돌기(15)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편(30)은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상기 두 체결편(3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특히, 상기 걸림돌기(15)는 그 일단(15b)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이러한 체결편(30)의 변형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체결편(3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터미널(20)을 계속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체결편(30)의 유격(G1) 사이로 상기 걸림돌기(15)가 완전히 통과하게 되고, 상기 체결편(30)은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돌기(15)의 타단(15b)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20)이 상기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체결편(30)이 상기 걸림돌기(15)에 걸어져 상기 터미널(20)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편(50)은 상기 안착공간(12)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터미널(20)과 상기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과 상기 터미널(20)의 관통공(25)이 연통되도록 상기 터미널(20)이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를 상대터미널(T)이 구비된 상대물과 결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이 상기 원통형상의 상대터미널(T)을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터미널(20)이 하우징(10)에 결합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와 상대물을 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대터미널(T)이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안착공간(12) 내부로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터미널(20)의 관통공(25)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20)의 결합편(40)은 그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결합편(4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상대터미널(T)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결합편(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터미널(20)과 상대터미널(T)은 견고하게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결합편(40)은 서로 협력하여 그 사이에 결합공간(45)을 형성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상대터미널(T)은 상기 결합공간(45)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간(45)은 대략 육각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므로, 상기 상대터미널(T)의 외주면과 적어도 6개 지점에서 서로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대터미널(T)과 터미널(20)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편(4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공간(45)은 반드시 육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대터미널(T)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이 되도록 사각형상이나 원형상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30)과 고정편(50)은 상기 터미널(20)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터미널(20)에는 결합편(40)과 바렐(60)만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관통공(25)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걸어지거나 또는 결합편(40)이 일측이 하우징(10) 내부에 걸어져 고정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그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는 상대터미널의 외면과 대응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형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결합공간이 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결합공간이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은 서로 마주보는 선단이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결합편의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결합편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체결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편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걸림부의 사이에는 두 걸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유격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결합편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선단이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
  8.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안착공간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공간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삽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안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 및 관통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대터미널과 연결되며 상기 상대터미널의 외면을 감싸는 결합편이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수직형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형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터미널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그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는 상대터미널의 외면과 대응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결합편과,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형 터미널에는 그 사이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체결편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형 터미널은 체결편의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져 하우징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편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걸림부의 사이에는 두 걸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유격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직형 터미널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KR1020080028986A 2008-03-28 2008-03-28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097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986A KR100976510B1 (ko) 2008-03-28 2008-03-28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986A KR100976510B1 (ko) 2008-03-28 2008-03-28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01A true KR20090103401A (ko) 2009-10-01
KR100976510B1 KR100976510B1 (ko) 2010-08-17

Family

ID=4153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986A KR100976510B1 (ko) 2008-03-28 2008-03-28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08A (ko) * 2017-06-23 2019-01-03 몰렉스 엘엘씨 전력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56B1 (ko) 2006-05-02 2007-11-28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20080013562A (ko) * 2006-08-09 2008-02-13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백라이트 커넥터
KR100814934B1 (ko) 2006-09-01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랜스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용 하우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08A (ko) * 2017-06-23 2019-01-03 몰렉스 엘엘씨 전력 커넥터
KR20190045138A (ko) * 2017-06-23 2019-05-02 몰렉스 엘엘씨 전력 커넥터
KR20190122185A (ko) * 2017-06-23 2019-10-29 몰렉스 엘엘씨 전력 커넥터
US10644443B2 (en) 2017-06-23 2020-05-05 Molex, Llc Power connector
US10965058B2 (en) 2017-06-23 2021-03-30 Molex, Llc Power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510B1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US9287643B2 (en) Electric connector
US10290966B2 (en) Joint connector
US754077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40036035A (ko) 조인트 커넥터
KR100825244B1 (ko)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 및 분리를 안내해주는 기능이 있는쉘을 가진 커넥터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100976509B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90044365A (ko) 커넥터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66410Y1 (ko) 커넥터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KR200466960Y1 (ko) 커넥터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KR200467965Y1 (ko) 커넥터
KR101452456B1 (ko) 커넥터
KR20090004119U (ko) 커넥터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120072066A (ko) 커넥터조립체
KR200473183Y1 (ko)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