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377A -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377A
KR20090103377A KR1020080028943A KR20080028943A KR20090103377A KR 20090103377 A KR20090103377 A KR 20090103377A KR 1020080028943 A KR1020080028943 A KR 1020080028943A KR 20080028943 A KR20080028943 A KR 20080028943A KR 20090103377 A KR20090103377 A KR 2009010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oor
opening
door
clos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917B1 (ko
Inventor
유경남
김진섭
정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프텍
Priority to KR102008002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91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이동되어 개폐되게 캐리어에 장착된 개폐문의 일측 전장에 걸쳐 기립되어 개폐문의 상단에서 구비된 랙과; 상기 랙의 승하강운동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랙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니언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케이스의 상단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작된 피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동 스프로킷과;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력을 피동 스프로킷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 및 피동 스프로킷에 맞물려 있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이동편; 상기 이동편과 마주하는 안전문의 면의 상단 모서리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편에 의해 이동편의 일측 수평방향 운동에서만 걸음될 수 있는 걸림편; 및 상기 안전문의 상단의 일부분에 구비된 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안전문의 상단부와 동일한 수평레벨을 가지고서 건축물에 마련된 도르래에 의해 그 중간부가 지지되고, 그리고 안전문 일측 하단에 배치된 무게추에 타단이 고정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n a industrial elevator}
본 발명의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산업용 승강기의 캐리어가 정지하고자 하는 층에 정지하였을 때, 캐리어의 출입구측에 설치된 개폐문이 열림에 연동하여 승강장의 안전문도 함께 열리도록 하는 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승강기는 건설현장의 구축물의 구비된 승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캐리어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업자 및 자재를 운반하는데 사용되어 지는 것으로서, 각 층에서 사람 또는 화물의 출입을 위하여 캐리어에는 개폐문이 설치되어 있고, 승강장에는 안전문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업용 승강기는 다층적으로 건설되는 건축물의 구축시 건축물의 천장높이에 맞게 임시적으로 구축물에 설치된다.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문은 일반적으로 탑승자의 의해 수동으로 개방되는데, 이는 별도의 규제 없이 자유로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캐리어가 승강장으로 도착하는 것과 무관하게 안전문이 탑승자에 의해 개방되기 때문에, 종래의 승강기는 탑승자들이 추락사고 등의 안전 위험에 노출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승강기(1)가 평면도로서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승강기는 건축물(2)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수직 가이드부(3), 상기 수직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도시되지 않은 승강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수직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캐리어(4), 상기 캐리어(4)의 출구에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폐되게 구비된 개폐문(5), 그리고 상기 건축물(2)에 마련된 승강장에 수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안전문(6)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승강기는, 캐리어(4)의 개폐문(5)이 상기 캐리어(4)로부터 일측 수평방향으로 돌출 개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캐리어(4)가 차지하는 공간보다 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서 구축물에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승강장에 마련된 안전문이 캐리어에 구비된 개폐물의 개폐운동에 연동하여 안전문과 개폐문이 함께 개폐되는 구조를 산업용 승강기에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의 캐리어의 개폐문에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미닫이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정면에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개폐문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갖춘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하로 이동되어 개폐되게 캐리어에 장착된 개폐문의 일측 전장에 걸쳐 기립되어 개폐문의 상단에서 구비된 랙과; 상기 랙의 승하강운동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랙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니언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케이스의 상단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작된 피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동 스프로킷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력을 상기 피동 스프로킷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 및 피동 스프로킷에 맞물려 있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이동편; 상기 이동편과 마주하고 있는 안전문의 면의 상단 모서리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편에 의해 상기 이동편의 일측 수평방향 운동에서만 걸음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걸림편; 및 상기 안전문의 상단의 일부분에 구비된 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안전문의 상단부와 동일한 수평레벨을 가지고서 건축물에 마련된 도르래에 의해 그 중간부가 지지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안전문 일측 하단에 배치된 무게추에 타단이 고정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에 따르면, 캐리어가 승강장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문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에 따르면, 승강기에 마련된 개폐문의 개방을 위한 공간이 절약될 수 있어서, 이 공간의 활용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산업용 승강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캐리어 4a : 케이스
5 : 개폐문 6 : 안전문
6a : 고정구 10 : 문틀
11 : 돌출핀 12 : 훅부재
12a : 걸림편 12b : 스톱편
14 : 무게추 15 : 와이어
16 : 도르래 20 : 랙
21 : 구동축 21a : 피동축
22 : 피니언 23 : 구동 스프로킷
23a : 피동 스프로킷 24 : 체인
25 : 이동편 25a : 돌출부
26 : 롤러 27 : 레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따른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가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가 부호 100으로 지시되어 있다.
캐리어(4)는 종래와 같이 정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케이스(4a)와 그 케이스(4a)의 정면에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개폐문(5)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개폐되게 캐리어(4)에 장착된 개폐문(5)의 일측 전장에 걸쳐 기립되어 개폐문(5)의 상단에서 돌출되게 구비된 랙(20)과; 상기 랙(20)의 승하강운동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랙(20)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4a)의 상단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축(21)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니언(22)과; 상기 구동축(2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피니언(2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23)과; 상기 케이스(4a) 상단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작된 피동축(21a)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동 스프로킷(23a)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23)의 구동력을 상기 피동 스프로킷(23a)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 및 피동 스프로킷(23, 23a)에 맞물려 있는 체인(24)과; 상기 체인(24)의 아래 부분 일부분에 상단이 고정적으로 장착된 이동편(2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100)는, 상기 이동편(25)과 마주하고 있는 안전문(6)의 면의 상단 모서리에 도시되지 않은 탄성스프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선단이 개폐문(5)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1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은 도 1에서 볼 때 상기 회전축(12)을 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고 도면에 도시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구성이 복잡하게 도시되게 되어,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 및 도시가 생략된다.
상기 회전축(12)의 선단에는 상기 이동편(25)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25a)에 의해 상기 이동편(25)의 일측 수평방향 운동에서만 걸음될 수 있게 ㄱ 자형 걸림편(12a)의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2)의 선단에는 상기 이동편(25)의 개방방향 이동에 의해서만 안전문(6)이 개방되게 하기 위해, 건축물에 마련된 돌출핀(11)에 걸음될 수 있을 정도로 안전문(6)의 닫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단이 하향 절곡된 훅부재(12c)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2)의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걸림편(12a)이 상기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예를 들면 10도 내지 80도 정도만 상기 훅부재(12c)의 해제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12)의 중심축선에서 안전문(6)의 닫힘방향으로 그리고 안전문의 상단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중심축선을 가진 스톱편(12b)이 상기 회전축(12)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문(5)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문(6)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100)는, 상기 안전문(6)의 상단의 일부분에 구비된 고정구(6a)에 일단이 고정되고, 안전문(6)의 상단부와 동일한 수평레벨을 가지고서 건축물에 마련된 도르래(16)에 의해 그 중간부가 지지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안전문(6) 일측 하단에 배치된 무게추(14)에 타단이 고정된 와이어(15)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도르래(16)에 의해 상기 무게추(14)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상기 안전문(6)은 캐리어(4)의 개폐문(5) 개방에 의해 연동적으로 개방되는데, 상기 안전문(6)은 문틀(10) 내로 출몰가능하게 상기 문틀(1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편(25)은 안정적으로 떨림 없이 체인(24)의 이동에 따르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4a)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은 가이드 레일(27)에 롤러(26)를 개재하여 활강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업용 승강기의 문 개방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캐리어(4)가 건축물의 어느 한 층에 도착하여 개폐문(5)이 구동수단에 의해 개방되면, 상기 개폐문(5)은 수직상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에 의해 상기 개폐문(5)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구비된 랙(2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랙(20)의 수직상향운동에 의해 상기 랙(5)에 맞물린 피니언(22)이 시계방향(도 1에 볼 때)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구동축(21), 구동 스프로킷(23), 및 체인(24)가 연동하여 구동되어, 결국 이동편(25)이 안전문(6)의 개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편(25)이 안전문(6)의 개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전문(6)에 구비된 걸림편(12a)을 이동편(25)의 돌출부(25a)가 가압하게 되어 걸림편(12a)이 일정 각도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걸림편(12a)의 기단과 고정적으로 결합된 회전축(12c)에 고정적으로 기단이 외접된 훅부재(12c)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상기 훅부재(12c)가 상기 돌출핀(11)으로부터 걸음해제되게 된다.
상기 훅부재(12c)가 걸음 해제됨에 따라, 상기 이동편(25)의 이동력에 의해 안전문(6)은 개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편(25)의 이동량만큼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문(6)의 이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15)가 건축물에 마련된 도르래(16)의 안내를 받아 개방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와이어(15)의 타단에 고정된 무게추(14)도 안전문(6)의 일측에서 와이어(15)의 현수상태에서 상승하게 된다.
그 다음, 탑승자가 캐리어(4)에 탑승을 마쳤거나, 상기 캐리어(4)에서 건축물의 어느 한 층에 내린 후에 개폐문(5)을 닫으면, 상기 개폐문(5)은 수직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에 의해 상기 개폐문(5)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구비된 랙(2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랙(20)의 수직하향운동에 의해 상기 랙(20)에 맞물린 피니언(22)이 반시계방향(도 1에 볼 때)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구동축(21), 구동 스프로킷(23), 및 체인(24)가 연동하여 구동되어, 결국 이동편(25)이 안전문(6)의 닫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편(25)이 안전문(6)의 닫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전문(6)에 구비된 걸림편(12a)에 대한 이동편(25)의 가압력이 해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전문(6)은 무게추(14)의 자중힘을 받게 되어 닫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12)이 도시되지 않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구되어 결국 상기 회전축(12)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훅부재(12c)가 건축물에 마련된 돌출핀(11)에 걸음되어 안전문이 확실하게 닫힘된다.
즉, 훅부재(12c)는 개폐문의 개폐시 자동으로 해제/잠금되게 되어 캐리어(4)에 탑승한 탑승자가 임의적으로 안전문(6)을 케이스(4a) 내에서 개방할 수 없게 만들 뿐만 아니라 건축물 밖에 있는 탑승대기자도 안전문(6)을 개방할 수 없게 만든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정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정면에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개폐문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갖춘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하로 이동되어 개폐되게 캐리어에 장착된 개폐문의 일측 전장에 걸쳐 기립되어 개폐문의 상단에서 구비된 랙과;
    상기 랙의 승하강운동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랙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니언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케이스의 상단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피동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동 스프로킷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력을 상기 피동 스프로킷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 및 피동 스프로킷에 맞물려 있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과 마주하고 있는 안전문의 면의 상단 모서리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편에 의해 상기 이동편의 일측 수평방향 운동에서만 걸음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걸림편; 및
    상기 안전문의 상단의 일부분에 구비된 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안전문의 상단부와 동일한 수평레벨을 가지고서 건축물에 마련된 도르래에 의해 그 중간부가 지지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안전문 일측 하단에 배치된 무게추에 타단이 고정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과 마주하고 있는 안전문의 면의 상단 모서리에 탄성스프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선단이 개폐문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의 선단에 상기 걸림편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는 건축물에 마련된 돌출핀에 걸음될 수 있을 정도로 안전문의 닫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단이 하향 절곡된 훅부재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걸림편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상기 훅부재의 해제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선에서 안전문의 닫힘방향으로 그리고 안전문의 상단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중심축선을 가진 스톱편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문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문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은 안정적으로 떨림 없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르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은 가이드 레일에 롤러를 개재하여 활강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KR1020080028943A 2008-03-28 2008-03-28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KR10096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943A KR100965917B1 (ko) 2008-03-28 2008-03-28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943A KR100965917B1 (ko) 2008-03-28 2008-03-28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377A true KR20090103377A (ko) 2009-10-01
KR100965917B1 KR100965917B1 (ko) 2010-06-24

Family

ID=4153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943A KR100965917B1 (ko) 2008-03-28 2008-03-28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9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787A (zh) * 2019-01-08 2019-04-05 合智熔炼装备(上海)有限公司 一种真空精密铸造炉用提升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217676A (zh) * 2019-06-05 2019-09-10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施工电梯自动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6715B (ko) 1972-09-25 1974-05-06 Linden Alimak Ab
JP2536878Y2 (ja) * 1991-04-11 1997-05-28 良忠 越原 工事用エレベータの搬器扉の開閉装置
JPH09249370A (ja) * 1996-03-13 1997-09-22 Home Elevator Kk エアバッグエレベータのかご戸と乗り場戸の開閉連動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787A (zh) * 2019-01-08 2019-04-05 合智熔炼装备(上海)有限公司 一种真空精密铸造炉用提升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573787B (zh) * 2019-01-08 2024-05-24 合智熔炼装备(上海)有限公司 一种真空精密铸造炉用提升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217676A (zh) * 2019-06-05 2019-09-10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施工电梯自动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917B1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16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CN104210922B (zh) 垂直升降跨路电梯
CN103935873A (zh) 一种用于电梯的带轿门锁的同步门刀装置
EP2143682A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10385600B2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KR20090103377A (ko)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KR20120014757A (ko) 산업용 승강기의 출입 안전장치
CN203833441U (zh) 一种用于电梯的带轿门锁的同步门刀装置
CN109071179B (zh) 电梯装置
JP2012106586A (ja) ゲート装置
JPH034473B2 (ko)
JP2012180155A (ja)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EP3467248A1 (en) A glass panel arrangement and a guide track for supporting a glass panel
US490328A (en) Safety device for platform-elevators
KR200472877Y1 (ko) 엘리베이터의 하부구동형 도어개폐장치
KR20200129513A (ko) 인터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KR20200098059A (ko)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JP6258129B2 (ja) 小荷物用昇降装置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CN220578666U (zh) 施工电梯轿厢结构
KR100892918B1 (ko) 건축용 리프트의 승강차 발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