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726A -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및 단어를 훈련하는 학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및 단어를 훈련하는 학습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726A
KR20090102726A KR1020090085177A KR20090085177A KR20090102726A KR 20090102726 A KR20090102726 A KR 20090102726A KR 1020090085177 A KR1020090085177 A KR 1020090085177A KR 20090085177 A KR20090085177 A KR 20090085177A KR 20090102726 A KR20090102726 A KR 2009010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sentence
image
languag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근
Original Assignee
최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근 filed Critical 최종근
Priority to KR102009008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2726A/ko
Publication of KR2009010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7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학습에 관한 것으로서, 언어마다 존재하는 문장의 구조적 체계와 단어 배열을 통한 문장 구성방법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이론적 체계에 담고, 소리와 영상을 편집하고 담을 수 있는 IT 기술과의 접목으로 외국어의 문장 구성 능력을 훈련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문장의 소리와 문자, 문장에 대응되는 움직이는 영상, 움직이는 영상에 대응되는 정지된 이미지들의 모음, 정지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단어의 소리들을 구성성분으로 하며, 정지된 이미지들을 배열하는 훈련을 통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뇌 속에 자연스럽게 내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다음 세 가지의 조합이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소리와 영상을 편집하고 담아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지금의 IT 기술, 두 번째는 단어와 문장에 대한 기존의 언어학자들과는 다른 뇌 속 모델링, 그리고 이 둘을 접목시켜 외국어학습에서 문장구성능력을 모국어처럼 빠르게 뇌 속에 내면화시키려는 본 발명의 아이디어가 그 세 가지 조합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및 단어를 훈련하는 학습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images to exercise making a foreign language sentence by using multimedia}
본 발명은 외국어학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 출원자가 제안하는 인지과학의 뇌 속 언어 모델링과 21세기의 IT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뇌 속 언어 모델링을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보다 과학적으로 모델링하였고, 이 모델링을 바탕으로 소리와 영상을 자유롭게 편집하고 담아 볼 수 있는 지금의 IT 기술을 접목하여, 이미지와 소리를 통하여 모국어의 문장을 체득하듯이 자연스럽게 외국어의 문장 구성방법을 뇌 속에 체화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이미지를 통하여 단어를 소리로 뇌 속에 체화시키는 방법도 포함한다.
<종래 기술 배경>
외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훈련과 습득에 관한 오늘날의 IT기술(소리와 영상을 편집하여 담아 가지고 다닐 수 있고, 인터넷과 무선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수준의 현재 기술)을 활용한 종래의 기술로 '특허 등록 번호 제 10-0888267 언어의 문자이미지와 음성을 매칭시키는 언어학습방법 및 학습장치'가 있다. 이것은 인지과학적 언어 모델링을 오늘날의 IT 기술과 접목하였지만 외국어의 소리와 문자를 매칭시켜 외국어의 단어와 문장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 외국어의 글자를 아직 모르는 아이들에게 이 방법은 외국어 학습을 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인지과학적 언어모델링을 기반으로 IT 기술과 접목한 외국어학습에서 오직 단어학습에 대한 것으로는 '출원번호 10-2009-0029287 소리에 의한 외국어단어 속성암기를 위한 소리구성방법'이 있다. 이것은 글자 없이 소리만으로 구성된 속성단어학습에 관한 출원이다. 이 방법으로 글자를 모르든 알든 관계없이 소리만으로 단어를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확장하면 문장까지도 가능하지만 문장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뇌 속에 체화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글자를 모르면 외국어의 문장을 만드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모국어를 배울 때에는 글자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단어 소리와 단어 소리의 배열로 문장을 구성하여 말을 하고 말을 듣는 훈련이 뇌 속에 체화된다. 즉, 인간은 소리로 먼저 말을 듣고 한다는 말이다. 소리에 관한 이것은 인간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생물이 진화해 올 때 시각과 청각을 뇌 속에 체화시켜왔다. 따라서 외국어를 학습할 때 문자이전에 소리로 단어와 문장을 습득하여 체화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소리로 단어를 습득하며 뇌 속에 단어의 소리를 체화시키는 방법은 고안('출원번호 10-2009-0029287 소리에 의한 외국어단어 속성암기를 위한 소리구성방법')되었지만 아직까지 외국어의 글자를 모르는 상태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체화시킬 학습방법이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것을 위하여 고안되었다. 외국어의 글자를 알든 모르든 관계없이 외국어의 단어배열 규칙을 체득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훈련시키는 학습방법과 장치에 대한 고안인 것이다.
<본 발명 고안의 이론적 배경>
(1) 뇌 속 단어 모델과 단어와 문장의 새로운 정의
<뇌 속 단어 모델과 문장>
뇌 속에 단어가 기억될 때 감각으로 받아들여 지는 이미지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그 이미지들를 범주화하여 개념화 하여 저장하고, 그 개념에 소리를 붙여 저장하면 하나의 단어가 완성되어 기억된다. 문자를 습득하기 전까지는 이렇게 '소리-이미지-개념'으로 된 단어들을 축적해 가면서 이들의 배열을 통하여 문장으로 된 말을 주고 받게 된다. 이 때 하나의 단어는 '소리-이미지-개념'의 네트웍을 형성한다. 단어에서의 이미지는 정지된 사진과 같다. 예를 들어 보자. 벚꽃, 해바라기 꽃. 진달래 꽃, 등 여러 종류의 꽃을 시각으로 감각하고 이것들의 각각의 이미지들을 저장한 후 이것들을 동일 카테고리에 범주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아 ! 이것들이 어떤 공통성을 갖고 있구나, 하나의 카테고리에 모을 수 있겠구나.'하고 느낄 수 있다. 이것을 범주화(categorization)라 한다. 이 공통적인 느낌에 '꽃'이라는 이름을 붙이면 하나의 단어가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에 문자를 배우고 나면 뇌 속 단어 모델은 '소리-이미지-개념-문자'의 네트웍동체를 이루게 된다.
소리-문자는 인간들의 언어의 종류마다 다르지만 이미지-개념은 언어를 초월하여 모든 인간들의 공통의 것이다. 영어를 사용하는 민족이나 한국어를 사용하는 민족이나 중국어를 사용하는 민족이나 이미지-개념은 공통의 것이다는 말이다. 다만 소리-글자가 영어, 중국어, 한국어 모두 각각 다를 뿐이다. 이미지-개념이 공통으로 범주화되어 같기 때문에 우리는 외국어를 배워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그것이 다르다면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단어의 이미지는 정지된 사진이고, 문장은 정지된 사진의 배열을 빠르게 돌려 보는 움직이는 사진이다. 이 사진들은 모두 양파와 같이 겹겹의 층을 가지고 있다. 즉 1차적 감각으로 느껴지는 이미지들과 그것에서 범주화되는 것들이 가장 바같층에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나무,꽃,나비' 등과 같은 것들과 '간다,뛴다, 날아간다, 푸르다, 붉다, 하얗다 '등과 같은 1차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것들이 그것이다. 1차적 감각의 이미지들이 여러장 모여 보다 깊은 개념을 범주화하면 2차적, 3차적, 양파 껍질과 같이 층을 갖게 된다. '사랑한다','추상한다' 등은 고차적 개념에 해당되어 1차적인 시각 이미지 한 두장으로 느껴질 수 없다.
인간이 태어나서 모국어를 습득할 때의 순서는 1차적 단어와 1차적 문장에서 부터 시작된다. 모국어라 하여도 단어는 일생동안 습득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문장은 단어만큼 일생동안 습득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1차적 문장으로 단어들의 배열을 뇌 속에 체화하는 과정만 거치면 충분하다. 1차적 문장이란 시각적 이미지들의 움직임만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미지 배열을 말한다. 예를 들면. '나는 먹는다', 나는 빵을 먹는다', '말이 들판에서 뛰어간다' '비행기가 하늘 높이 날아간다' 등과 같은 것이다. 문장은 단어만큼 양파껍질의 층이 깊고 많지 않다는 것이다. 1차적 문장에 고차적 단어의 재배치일 뿐이다. 유아시절의 1차적 단어는 소리를 뇌 속에 체화하는 과정이고, 유아시절의 1차적 감각의 문장은 단어의 배열을 뇌 속에 체화하는 과정이다. 단어는 계속 습득하여 고차적 단어까지 지속적으로 배우지만 문장은 유아시절에 체화된 단어 배열방식을 평생 사용하게 된다. 문자를 배운 뒤에 보다 세련된 단어배열 방법을 나름대로 습득하여 사람마다 말 하는 방식과 글쓰는 방식이 아주 조금씩 다를 수 있다. 흔히 말씨와 문체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근본과 근간은 유아시절 뇌 속에 체화된 1차적 문장의 단어배열 방식을 평생 사용하는 것이다.
유아시절 모국어를 습득할 때 모국어의 단어배열 방식은 이미지의 배열에서 체화된 것이다. 즉, 이미지를 기반으로 단어의 소리를 배열하여 문장을 만드는 법을 뇌 속에 체화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국어의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학습시킬 때 모국어 체득과정과 동일하게 '이미지 기반 - 이미지 배열- 단어 배열 - 문장구성'의 방법을 고안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단어란>
①‘단어란 감각과 운동의 대뇌 처리 속도에 동기화될 수 있는 클럭 속도분량의 소리 음절수로 된 하나의 이미지에서 다수의 이미지에 이르기까지 범주화된 개념을 담은 한 장의 그림카드이다.’
②‘ 단어란 소리로 된 이미지와 개념을 담은 한 장의 그림카드이다.’
③‘ 단어란 소리로 된 한 장의 그림카드이다.’
①,②,③은 단어의 정의를 점차로 축약하여 ‘그림카드’라고 하였다. 모든 단어가 이미지의 내면화 된 개념이므로 근원은 이미지인 것이다.
<문장이란>
①‘문장이란 단어의 연결된 배열로 시공속의 물질과 의식의 변화와 흐름을 범주화하여 묘사할 수 있는 단어들의 체계적 배열 모음이다.’
②‘문장이란 물질과 의식의 변화와 흐름을 묘사할 수 있는 단어들의 체계적 배열 모음이다.’
③‘문장이란 단어들의 체계적 배열 모음이다.’
여기에서도 ①,②,③은 문장의 정의를 점차로 축약하여 '단어들의 체계적인 배열 모음'이라 하였다. 단어에 소리 그림카드를 대치하면 '문장이란 소리 그림카드들의 체계적 배열이다.’가 된다. 우리는 말을 문장으로 하기 때문에 말을 한다는 것은 소리 그림카드들을 연속적으로 꺼내는 것이 된다. 당신이 마음속에서 그림카드를 말하고자 하는 순서에 맞게 차례대로 꺼내면 상대방은 그 그림카드를 차례대로 보고 당신의 마음을 읽게 된다. 이것이 소리로 이루어 지면 말을 주고 받는 것이요, 글로 이루어 지면 글을 읽고 쓰는 것이 된다.
영어나 외국어를 습득하는 것은 단 두 가지로 귀결된다. 첫 째, 소리의 그림카드를 많이 갖는 것이다. 둘 째, 그림카드를 꺼내어 배열하는 원칙을 습득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가 전부이다.
본 발명은 이 두 가지 가운데 두번째, 그림카드, 즉 사진을 배열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훈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문장의 배열 순서
단어는 상태를 표현하는 정지된 사진이요, 문장은 변화를 표현하는 움직이는 사진이다. 움직이는 사진은 정지된 사진의 배열에서 나온다. 마치 1초에 24프레임이 흘러가는 영화와 같이...
하나의 움직이는 모습(변화의 모습)을 담은 하나의 문장은 여러 개의 단어로 이루어 진다. 문장은 움직이는 변화의 현상이고, 문장을 이루는 단어는 정지된 사진이다. 이 사진들을 다시 카테고리를 나누어 범주화하면 세 개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변화의 주체, 변화하는 모습, 주체의 변화를 보다 자세하게 그리기 위하여 필요한 구체적 대상이다. 대상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나타남으로써 문장의 최종적 울타리 경계가 형성된다. 최종적 울타리 경계까지 다 그려진 문장은 자유도가 거의 없다. 다른 의미로 확장하거나 변화시킬 여지가 없다는 말이다. 예를 들면 ‘나는 간다’라는 문장은 주체와 변화만 있다. 대상이 아직 없기 때문에 울타리 경계가 완전하지 않아 확장과 변화의 여지가 있다. 자유도가 조금 있다는 말이다. ‘나는 학교로 간다.’고 하면 구체적 대상이 나왔다. 울타리 경계가 조금 쳐진 것이다. 자유도가 줄어들었다. ‘나는 학교로 공부하러 아침 일찍 간다.’고 하면 울타리 경계가 거의 다 쳐져서 변화와 확장의 여지가 거의 없다. 자유도가 거의 없다. 이렇듯 하나의 문장에서 {대상}은 문장의 울타리 경계를 쳐서 문장이 다른 의미로 변화하는 여지를 없애게 된다.
따라서 문장은 주체, 변화, 대상을 원소집합으로 하는 집합이고, {주체}가 있고, 그 {변화}가 있고, 문장의 울타리 경계를 확실히 만드는 {대상}이 있게 된다. 하나의 문장에 대하여 울타리를 치면 절대적 거리는 {주체}->{변화}->{대상}->울타리 경계가 된다.
문장 = {주체},{변화},{대상}
문장이 있으면 언제나 그 문장을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사람이 있다. 이 사람을 움직이는 영상을 관람한다고 하여 관람자라 부르자. {주체},{변화},{대상}의 정지된 사진들을 볼 때 관람자의 보는 순서가 문장의 사진 배열을 결정한다. 아무렇게나 사진을 배열해 놓고 ‘죠트로프(zootrope)’를 돌리면 움직이는 모습이 뒤죽박죽이 되어 알 수 없게 된다. 언어마다 문장의 집합 속에 있는 사진(단어)들은 그 순서가 있다. 문장으로 되기 전 처음에는 사진(단어)들은 그냥 아무렇게나 집합속에 존재할 뿐이었지만 사진(단어)을 꺼내어 펼쳐놓을 때 언어마다 자기들의 순서에 맞게 사진(단어)을 배열해 놓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을 빠르게 돌려 움직임을 보는 것이다.
{주체},{변화},{대상}을 배열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6가지가 있을 수 있다.
1.{주체}-->{변화}-->{대상}
2.{주체}-->{대상}-->{변화}
3.{변화}-->{주체}-->{대상}
4.{변화}-->{대상}-->{주체}
5.{대상}-->{주체}-->{변화}
6.{대상}-->{변화}-->{주체}
전 세계의 모든 언어의 문장은 이 6가지 경우의 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영어는 1번에 해당 되고, 한국어, 일본어는 2번에 해당된다. 영어에서도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등 문장의 종류에 따라 보는 순서를 달리 하지만 6가지 안에 모두 수렴한다. 여기에서는 영어의 서술문만을 예를 들어 논하기로 한다.
<영어 사용자들의 단어사진 배열 방법>
영어의 사용자들은 {주체}->{변화}->{대상}의 순서로 움직이는 현상을 본다. 영어사용자들은 주체로부터 문장의 울타리 경계 쪽으로 시선을 내부에서 바깥으로 넓혀가며 살펴보는 순서를 취한다. {주체}->{변화}->{대상}의 순서로 정지된 사진을 배열해 놓고 빠르게 돌려 움직이는 모습을 본다.
{주체}, {변화}, {대상}은 각각의 단어 원소들을 여러 개 가질 수 있다. {주체}를 보다 상세하게 묘사하기 위하여 {주체}={ a1, b1, c1...}와 같이 여러 장의 사진을 가질 수 있고, {변화}를 보다 상세하게 묘사하기 위하여 {변화}={a2, b2, c2...}와 같이 여러 장의 사진을 가질 수 있고, {대상}을 보다 상세하게 묘사하기 위하여 {대상}={a3, b3, c3...}와 같이 여러 장의 사진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사진들의 배열도 {변화의 주체}->{변화하는 모습}->{대상}으로 진행하면서 집합을 만나면 그 안에서 보이는 순서 대로 배열한다.
영어 문장을 예로 들어 보자.
(a) 영어문장 : {주체}->{변화}->{대상}
(b) {주체}={ a1, b1, c1...}, {변화}={a2, b2, c2...}, {대상}={a3, b3, c3...}
{주체} {변화} {대상}
He sings very well.
He is a teacher.
He gives a book to me.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My hobby is collecting stamps.
He takes off his coat.
He takes a look at the picture.
결론으로 요약하면, 영어사용자들의 자연현상을 보는 방법과 본 장면들을 배열하는 순서는 이렇다. 눈에 가장 가깝게 보이는 곳에서 먼 곳으로 나아가면서 본다. 그리고 이 순서대로 단어를 배열한다.
<한국어 사용자들의 단어사진 배열 방법>
<한국어의 배열 순서 - 한국어의 특징>
한국어는 영어와 거의 완벽하게 대칭을 이루는 관찰 순서를 갖고 있다. 한국어 사용자들은 {주체}->{대상}->{변화}의 순서로 현상을 본다. 이것은 주체라는 내부 핵에서 시작하여 현상의 가장 바깥의 울타리 경계를 먼저 보고 중심으로 다시 들어오면서 관찰하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으로 정지된 사진을 배열하여 놓고 빠르게 보면 대상 전체가 우선적으로 조망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현상을 일어나는 순서와 차례를 지켜 관찰하는 논리보다는 일시에 전체를 직관으로 보는 성향이 생길 수 있다.
한국어 문장을 예로 들어 보자.
(1) 한국어 문장 : {주체}->{대상}->{변화}
(2) {주체}={ a1, b1, c1...}, {대상}={a2, b2, c2...}, {변화}={a3, b3, c3...}
{주체} {대상} {변화}
그는 매우 잘 노래한다.
그는 선생님 이다.
그는 나에게 책을 준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내 취미는 우표를 수집하는 것 이다.
그는 코트를 벗는다.
그는 그림을 본다.
결론으로 요약하면, 한국어 사용자들의 현상을 보는 방법과 본 장면들을 배열하는 순서는 이렇다. 눈에서 가장 멀리 보이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 들어 오면서 본다. {주체}-->{대상}-->{변화}의 순서가 그것이다. 이 순서대로 단어들을 배열하여 문장을 만든다.
결국 문장은 n 개의 정지된 사진을 배열하여 빠르게 돌려 보는 짧은 애니메이션 이다. n 개의 프레임은 다시 부분집합으로 {주체}, {변화}, {대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장구성 훈련은 이들 {주체}, {변화}, {대상}의 원소 사진들을 배열하는 훈련이다. 본 발명은 문장의 단어들의 소리와 문자, 문장에 대응되는 움직이는 영상, 움직이는 영상에 대응되는 정지된 이미지들의 모음, 정지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단어의 소리들을 구성성분으로 하며, 정지된 이미지들을 배열하는 훈련을 통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뇌 속에 자연스럽게 내면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모국어를 습득할 때의 과정과 똑같은 이미지와 소리로 문장의 규칙을 체득하는 것으로 기존의 문법으로 문장을 학습하는 것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즉, 움직이는 이미지와 그것을 구성하는 정지된 이미지 프레임을 기반으로 단어배열을 훈련하여 언어의 문장구성방법을 체화시키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지금까지 외국어 학습의 어떤 학습방법에서도 외국어의 글자를 모르면 외국어의 문장을 만드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영어의 알파벳과 단어 스펠을 읽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에게는 영어의 문장을 가르치고 학습시킬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글자를 아직 모르는 상태일지라도 소리로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뇌 속에 체화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오늘날의 IT 기술이 필요하고, 인지과학적 방법으로 모델링된 뇌 속 언어 모델이 필요하다. 둘 중 하나만 없어도 이 과제는 해결될 수 없다. 이 두 개가 결합될 때 본 발명의 아이디어와 과제는 해결이 된다.
모국어를 습득하는 과정과 가장 근사한 과정으로 외국어를 습득하도록 고안된 학습방법이다.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이미지와 소리를 통하여 뇌 속에 체화되도록 학습하므로 빠른 시간에 외국어의 문장구조를 체득할 수 있다. 영어를 배운다면 영어식으로 생각하는 훈련이 빠르게 이루어 진다는 말이다. 문법으로 짜여진 문장의 형식을 따져가면서 문장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현상을 보면 그냥 영어식으로 말의 순서가 떠오르는 것이다. 그리고 그대로 소리가 나오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서에 훈련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는 데 언어를 학습하는 것은 사고학습이 아니라 운동학습이기 때문이다. 수학과 과학을 공부하는 것과 같은 사고학습이 아니라 축구, 배구를 하는 것과 같은 운동학습이기 때문이다. 본 출원서에서는 여기에 관한 뇌 과학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소뇌의 운동 정보 폐회로 주파수가 10Hz이고 이것의 정보가 대뇌의 M1 운동영역까지 도달하여 척수로를 타고 몸의 근육운동을 일으키는 과정과 1초에 10음절 이상을 발성하지 못하는 생물학적 발성속도 제한의 상관관계속에서 인간의 언어가 뇌 속에서 진화하여 왔다는 것이 본 발명 고안자의 언어 운동이론의 근간이다. 이것의 과학적 모델에 의해 언어활동은 운동활동이고 언어학습은 운동학습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아뭏든 본 발명의 고안과 언어학습의 운동적 개념은 상관관계가 있지만 미약하므로 이 정도로만 언급하기로 하자.
문법으로 된 문장의 형식을 생각하면서 문장을 만드는 것은 사고학습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처럼 빠르게 이미지를 선택하여 말을 만들어 가는 것은 운동학습에 해당된다. 외국어의 소리와 이미지를 이용한 운동학습으로 문장으로 말을 하고 말을 듣는 학습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치 블럭 개념도'이다. 오늘날 IT 기기들의 기본 블럭에 해당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실행화면 예시도'이다. 유무선으로 일어나는 IT 기기들, 인터넷과 컴퓨터, 모바일, PMP, ..모두를 열거하지는 않았지만 이 모두의 화면에서 학습자가 학습하게 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서와 같은 종이로 된 인쇄물에서 보여주기 어려운 동영상이나 이미지나 소리단어대신 '글자단어를 이용하여 영어문장의 학습실행화면 예시도'이다. 단어에 대응되는 정지된 이미지나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대치시키면 도2의 학습실행화면이 된다.
도 4는 '이미지를 이용한 단어학습실행화면 예시도'이다. 이미지는 만국 공통의 언어이므로 범주화시킬 수 있는 이미지들의 모음으로 해당언어의 소리단어와 글자단어를 학습할 수 있다.
<1단계> 관계 DB의 준비
수 많은 단어와 문장에서 움직이는 이미지만으로 의미를 이해하고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1차적 감각의 단어와 그것들로 이루어진 1차적 문장을 다수 선정한다. 선정된 문장 각각에 대응하는 1차적 문장을 표현하는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든다. 각각에 대응하는 1차적 문장을 표현하는 언어의 소리를 만든다. 각각에 대응하는 1차적 문장을 표현하는 언어의 문자를 만든다.
(a) 문장의 문자를 단어의 집합으로 만든다.--> {문자 문장}={문자단어1, 문자단어2, 문자단어3...}
(b) 문장의 소리를 단어의 집합으로 만든다.--> {소리 문장}={소리단어1, 소리단어2, 소리단어3,..}
(c) 문장의 움직이는 이미지를 단어에 대응되는 정지된 이미지단어 집합으로 만든다.-->{이미지 문장}={{이미지단어1},{이미지단어2},{이미지단어3},...} 집합 {이미지 문장}은 집합 {이미지 단어1}, 집합{이미지 단어2}, 집합{이미지 단어3}을 원소로 갖는다. 단어1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한 장일 수도 있고 여러 장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d) 앞에 (a),(b),(c)는 문장학습을 위한 준비이다. 이미지로 단어를 학습하기 위하여 {소리단어1, 문자단어1, {이미지 단어1}} ~ {소리단어m, 문자단어m, {이미지 단어m}}의 관계 DB를 준비할 수 있다. 하나의 소리단어와 문자단어에 여러개의 이미지가 범주화되어 존재할 수 있다. 실제로 언어에서 단 하나의 이미지는 어떤 범주화도 시킬 수 없고, 개념을 가진 단어로 승화되지 못한다. 개념으로 승화된 모든 단어는 하나의 소리와 문자에 여러 개의 이미지가 대응되어야 한다. 그래야 범주화가 가능하기때문이다. 단어를 위한 DB를 준비할 때 저차에서 고차적 감각의 단어를 표현하기 위하여 {이미지단어}가 정지된 사진에서 애니메이션까지 확장될 수도 있다.
<2단계> 문장에서 이미지와 소리와 글자의 조합
{소리 문장}과 {문자 문장}과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인 {이미지 문장}은 1:1로 각각 대응된다. 그리고 그 원소들인 소리단어1과 문자단어1과 {이미지 단어1}은 또한 1:1로 각각 대응된다. 나머지 원소 2,3,4,..도 마찬가지로 각각 대응한다.
컨텐츠의 구성은 (a), (b), (c)로 이루어 지며 발명의 구현은 (a),(b),(c)의 조합 훈련으로 이루어 진다. 즉, 순서에 관계없이는 (a)-(b),(a)-(c),(b)-(c), (a)-(b)-(c) 4개의 조합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은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므로 (a)-(c),(b)-(c), (a)-(b)-(c)의 세 경우의 조합을 사용하게 된다.
<3단계> 구현되는 장치의 블럭개념
상기 1단계는 디스플레이장치, 오디오장치, 프로세서, 저장매체, 키조작이나 터치패드를 이용한 신호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상기 1단계의 {문자 문장}, {소리 문장}, {이미지 문장}와 그 원소들은 저장매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단계의 {이미지 문장}은 하나이지만 {문자 문장}, {소리 문장}과 그 원소들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필요한 언어들로 여러 개를 준비할 수 있다.
다수의 1차적 문장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이 때 모국어의 소리를 이용할 수도 있고 문자를 이용할 수도 있고 모국어의 소리, 문자가 아닌 순전히 이미지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된 {이미지 문장}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움직여 보이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미지 문장}={{이미지 단어1},{이미지 단어2},{이미지 단어3},..}의 {이미지 문장}의 원소 집합을 순서 없이 뿌려 놓는 단계, 이 때 이미지들의 형태는 2D, 및 3D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여러개의 언어 중 영어면 영어, 중국어면 중국어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이 때 언어의 선택은 모든 단계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선택된 언어로 {이미지 문장}에 대응하는 {소리 문장}의 소리를 출력되는 단계, {이미지 문장}의 애니메이션을 보고 문장의 개념적 의미를 이해하고 대응되는 흩뿌려 져 있는 {이미지 문장}의 원소 집합 {이미지 단어1}, {이미지 단어2}, {이미지 단어 3},..를 터치하여 선택된 언어의 문장 구성 규칙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와 동시에 {소리 문장}의 대응되는 소리단어들이 개별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통합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는 단계, 그리고 배열된 학습결과의 평가를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동시에 알려주는 단계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훈련을 위한 학습장치에 대한 블럭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는 휴대형 학습기 및 게임기와 같은 독립된 프로세서를 가진 단말기를 나타낸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10), 터치패널(11), 학습 컨텐츠 저장부 DB(12), 키 입력부(13), 스피커(14), 제어부(15)를 구비한다. 그러나 오늘날 IT 기술에서 상기의 기본 구조를 가진 장치들은 인터넷과 컴퓨터, 모바일 등 일일이 열거하지 않아도 그 종류는 많다. 이들 모두는 상기 기본구조 H/W에 컨텐츠가 목적에 맞게 구현되도록 프로그램된 S/W와의 만남으로 이루어 지므로 본 출원에서 장치의 종류마다 설명하지 않고 도 1과 같은 전형적인 예로 방법의 구현을 설명한다.
<4단계> 학습실행화면에 의한 문장의 학습방법
학습 컨텐츠 저장부(12)는 {이미지 문장}, {소리 문장}, {글자 문장}이 집합개념과 그 원소들의 개념으로 파일형태를 갖고 데이타베이스 형태로 연계되어 구축되어 있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및 기타 외국어에 대해 언어별로 DB화 되어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는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DB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와 터치패드 또는 키입력의 신호입력장치들 상호간의 신호를 주고 받으며 도 2, 도 3에서 일어나는 학습과정이 진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현되는 학습실행화면의 전형적인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동영상 재생부(16), 스피커(17),{이미지 단어} 원소집합 합 나열부(18), 언어/문장 종류(19), {이미지 단어}원소집합의 문장순서 배열 부(20), 모국어 문장 글자 표시부(21), 외국어 문장 글자 표시부(22), 정확도 평가부(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학습자가 선택한 언어의 {이미지 문장}을 동영상 재생부(16)에 보내 동영상으로 재생시킨다. 이 때 동영상은 플래시 형태일 수도 있고 다른 애니메이션 형태일 수도 있다. 학습자는 동영상만으로 문장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모국어 문장 글자 표시부(21)를 선택하여 모국어로 문장의 의미를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단어} 원소집합 나열부(18)에 무작위로 나열된 {이미지 단어1},{이미지단어2},{이미지 단어3}..에서 동영상에서 이해한 외국어의 문장을 외국어의 문장 배열 순서에 맞게 터치패드나 키입력으로 차례로 선택한다. 선택된 순서로 {이미지 단어}들은 {이미지 단어}원소집합의 문장 순서 배열부(20)에 차례대로 배열된다. 이 때 선택 배열과 동시에 외국어의 대응되는 소리가 스피커(17)를 통해 발성되도록 한다. 이 때 외국어 문장 글자 표시부(22)에 외국어 글자도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모든 배열이 끝나면 배열 순서대로 소리를 연속적으로 발성되게 하고 원래의 문장 전체의 단어배열과 일치하면 맞은 것으로 한다. 일치하지 않으면 틀린 것으로 정확도 평가부(23)에서 평가해 준다. 틀리면 맞을 때 까지 다시하게 하여 문장 구성방법을 훈련시키는 과정이다. 이 때 스피커에서도 함께 맞고 틀림의 평가를 소리로 표현해 줄 수 있다. 이 일련의 과정이 이미지와 소리의 순서를 뇌에 체화시키는 학습과정이 된다.
언어/문장의 종류(19)의 선택은 본 발명의 배경 이론인 언어 모델링의 영역을 집합으로 구별해 놓는 곳이다. 전 세계의 모든 언어는 {주체},{변화},{대상}의 순서조합인 6개 조합 안에 포함된다. 이 3개 집합의 순서 배열일 뿐이다. 따라서 일본어를 학습한다고 선택하면 화면에서 그 순서를 {주체}-->{대상}-->{변화}로 바꾸어 고정시켜 놓고 배열 훈련을 하게 된다. 영어를 학습한다고 선택하면 화면에서 그 순서를 {주체}-->{변화}-->{대상}으로 바꾸어 고정시켜 놓고 연습하게 된다. 이것은 운동을 할 때 동일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반사적으로 그 동작을 취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뇌의 신경세포의 축색과 시냅스를 일정 방향으로 성장시켜 언제나 오랜 사고 없이 반사적 운동으로 혀와 발성기관이 {주체}-->{변화}-->{대상}의 순서대로 작동하게 하는 훈련효과를 가져온다. 영어 중에서도 의문문을 학습한다고 선택하면 그 순서를 {변화}-->{주체}-->{대상}으로 바꾸어 놓고 훈련하고, 감탄문을 학습한다고 선택하면 {대상}-->{주체}-->{변화}로 바꾸어 준다.
도 3은 영어 문장 학습훈련의 예에서 이미지 대신 글자 단어를 대치하여 학습하는 실행화면 예이다. 글자를 이미 습득한 사람이 이미지로 모두 표현할 수 없는 2차,3차,4차의 고차적 문장을 훈련할 때에는 이 방법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동영상으로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고 글자단어를 영어식 사고방법으로 배열하는 것은 모국어를 중간에 개입시키지 않고 이미지와 소리와 글자를 모두 영어로만 생각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5단계> 학습실행화면에 의한 단어의 학습방법
학습 컨텐츠 저장부(12)는 {소리 단어1, 소리단어2, .. ,소리단어 m}, {글자 단어1, 글자단어2,.., 글자단어m}, {{이미지 단어1},{이미지 단어2},..,{이미지 단어m}} 가 집합과 원소의 개념으로 파일형태를 갖고 데이타베이스 형태로 연계되어 구축되어 있다. 관계형 DB는 {소리단어1, 글자단어1, {이미지 단어1}}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및 기타 외국어에 대해 언어별로 DB화 되어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단어의 관계형 DB [{소리단어},{글자단어},{{이미지단어}}]를 이용하여 단어를 학습하는 실행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소리단어}와 {글자단어}를 매칭하는 형태의 학습방법은 기존 특허 '등록 번호 제 10-0888267 언어의 문자이미지와 음성을 매칭시키는 언어학습방법 및 학습장치'에 고안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이미지단어}},{소리단어}], [{{이미지단어}},{글자단어}]의 매칭에 의한 학습방법을 새롭게 고안하여 언어의 종류(영어,스페인어,중국어..등)를 초월한 {이미지}의 범주화를 활용하여 뇌 속 단어모델의 근본을 이용한다.
도 4 에서 5번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보자. 이미지들을 범주화하여 개념으로 승화시킨후 소리를 붙여 소리단어가 되고, 글자를 붙여 글자단어가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미지는 만국의 공통의 언어가 된다.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를 영어로 선택하였다고 하자. 도 4의 5번은 꽃들의 이미지들을 나열하였다. 범주화된 개념은 '꽃'이다. 각각의 이미지를 터치할 때마다 (25)의 스피커에서 소리로 'flower'가 발음된다. 다섯개의 이미지를 각각 한 번씩 터치하면 각 5번의 'flower'이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뇌 속에서 이미지와 소리를 직접 연결 네트웍시켜주는 학습이 된다. 모국어의 네트웍동체를 중간단계로 이용하지 않고, 직접 외국어의 소리와 이미지를 연결하므로 1차적 감각의 단어를 학습하는 것은 모국어 습득과정과 가장 근사하게 된다. 학습효율이 높게된다. 글자단어는 아래에 (28) 외국어글자단어 표시부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가 범주화되지 않을 때 모국어의 도움을 받기위해 아래(27)에 모국어 단어 글자표시부에 모국어의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생생한 이미지의 기억을 위하여 동영상의 재생이 필요하면 (24)동영상 재생부를 이용하여 단어의 동영상 이미지를 재생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 모든 산업의 대상은 눈에 보이는 생산물을 대상으로 하여 왔다. 많은 발명들이 눈에 보이는 대상을 대상으로 하여 그 구조와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하여 왔다. 컴퓨터와 IT 기술이 출현한 20세기 후반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S/W도 산업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그것들이 H/W와 결합하여 산업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간의 뇌와 학습, 학습방법등은 산업의 대상이 안되고 있다. 우리는 매일같이 학습하려고 노력한다. 모두들 잘 학습하여 우수한 사람이 되고 싶어한다. 그러면서도 학습에 관한 산업적 시도는 아직 없다. 학습에 관한 시장(Market)은 있어도 학습에 관한 산업은 없다. 산업이란 공급자가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하여 수요자들에게 보다 나은 선택의 기회를 줄 때 어울리는 단어이다. 매일 같은 제품을 포장만 달리하여 수요자의 착시를 통한 제품판매는 산업이라 할 수 없다. 재래식 시장일 뿐이다. 이런 점에서 외국어 학습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이고 범국가적인 산업적 시도가 없다는 것이다. 개인들이 경험을 바탕으로 한 두 개씩 발명한 학습 기기등이 시장에 있을 뿐이다. 그것들 중 아직 혁명적으로 학습 형태를 바꿀만한 것은 없다. 일단 응용언어학자들의 언어교육에 대한 실용적 이론이 없다.
그 점에 비추어 보면 본 발명은 뇌와 언어와의 상관관계를 근본적으로 연구하고, 언어의 새로운 뇌 속 모델링을 제시한 뒤 IT 기술과 접목한 새로운 학습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외국어 학습, 그 중에서도 영어학습에 관한 것부터 학습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발명으로 판단한다. 10년 걸려도 말 못하고 듣지 못하는 영어학습을 3년이면 말하고 듣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원어민 교사도 필요하지 않고, IT 기술과 접목된 새로운 영어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뿐이다. 영어선생님은 사고학습을 시키는 수학, 과학선생님과 다르다. 영어선생님은 운동학습을 시키는 체육선생님과 같다. 잘 짜여진 프로그램으로 운동선수들을 조련하는 체육선생님이 되어야 한다. 자신이 스스로 모든 시범을 보여줄 필요가 없다.
아뭏든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을 기점으로 수학, 과학, 경제학 등 모든 학습을 뇌와 연관시켜 효율을 극대화하려는 시도의 시작으로 고안된 것이다. 뇌와 학습을 21세기의 새로운 산업으로 만들고 싶은 멈출 수 없는 욕망으로 인하여 나온 발명이다. 외국어학습, 영어학습의 비용을 줄이고 학습의 효율을 높이기를 희망한다.

Claims (8)

  1. 문장학습을 위하여,
    수학에서 집합의 개념과 표시방법을 이용한 관계형 DB 형태로
    {글자 문장}={글자문장1, 글자문장2, ...., 글자문장n}
    {소리 문장}={소리문장1, 소리문장2, ...., 소리문장n}
    {동영상문장}={{이미지문장1},{이미지문장2},..,{이미지문장n}}
    글자문장m = {글자단어1, 글자단어2, ..., 글자단어k}
    소리문장m = {소리단어1, 소리단어2,..., 소리단어k}
    {이미지문장m}={{이미지단어1},{이미지단어2},..{이미지단어k}}
    {언어} = {언어1, 언어2, 언어3, .., 언어 p}의 각 언어별로 소리와 글자를 준비하며,
    프로세서, 디스플레이장치, 오디오 출력장치, 키 입력장치 또는 터치패널, 및 저장매체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통해 처리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의미를 가진 1개 ~ n개의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동영상을 1개 ~ n개로 문장의미와 대응하여 분리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동영상문장={이미지문장}),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모국어와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1개 ~ n개의 동영상문장 중 선택된 동영상문장을 대응되는 글자 또는 소리 문장이 포함하는 단어의 수와 같은 복수개의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으로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이미지 문장}={{이미지단어1},{이미지단어2},..{이미지단어 k}}, 및
    상기 복수개의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에서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문장의 단어 배열 순서와 일치하도록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을 단어배열 순서에 맞게 선택 나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에서 선택되는 원소집합과 대응되는 단어의 소리가 오디오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에서 선택되는 원소집합과 대응되는 단어의 글자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선택된 동영상과 대응되는 문장을 모국어 글자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선택된 동영상과 대응되는 문장을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 소리단어들의 바른 배열의 연결된 발성으로 오디오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물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은 복수개의 글자단어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물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을 선택 나열하는 방법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의 집합을 {주체}, {변화}, {대상}의 3개 부분집합으로 구분하고, 모든 언어는 이 3개의 부분집합의 조합 배열의 경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물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2D, 및 3D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물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1개 ~ n개의 동영상, 각 동영상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 각 언어별로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과 대응되는 소리 음성폰트정보, 글자 폰트 정보를 구비하는 저장매체 ;
    상기 동영상과 정지된 이미지 원소집합과 이것에 대응되는 글자폰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는 터치패널 ;
    상기 음성폰트를 재생하는 스피커;
    상기 터치패널과 호환적인 키입력부를 포함하며, 전체 프로그램과 시그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학습자는 터치패널을 통하여 재생되는 동영상의 의미를 학습하고자하는 언어의 문장 단어배열 순서에 맞게 정지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나열하며, 제어부에서 정지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소리단어를 스피커로 출력시키고 정확도 평가를 통한 과정으로 외국어의 문장 학습을 훈련하는 학습장치.
  6. 이미지를 이용한 단어학습을 위하여,
    프로세서, 디스플레이장치, 오디오 출력장치, 키 입력장치 또는 터치패널, 및 저장매체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통해 처리되며,
    청구항 1에서 준비된 관계형 DB에서 각 국의 언어별로
    ({{이미지단어}},{소리단어},{글자단어})의 순서쌍을 도4와 같은 일 예시화면에 나타낼 수 있도록 준비되는 것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범주화 할 수 있는 {이미지단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내어 각 이미지단어를 터치함에 순서쌍에 있는 대응되는 소리단어가 오디오출력장치에서 발성되게 하는 학습방법과 선택적으로 순서쌍에 있는 대응되는 글자단어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학습물제공방법 또는 학습장치
  7. 청구항 6에서 {이미지단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내어 각 이미지단어를 터치함에 순서쌍에 있는 대응되는 소리단어가 오디오출력장치에서 발성되게 하는 학습방법에 추가하여 순서쌍에 있는 대응되는 글자단어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학습물제공방법
  8. 청구항 6에서 {{이미지단어}}로 단어를 표현할 수 있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며, 보다 고차적 감각의 단어와 생생한 범주화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단어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학습물 제공방법
KR1020090085177A 2009-09-10 2009-09-10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및 단어를 훈련하는 학습 방법 및 장치 KR20090102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177A KR20090102726A (ko) 2009-09-10 2009-09-10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및 단어를 훈련하는 학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177A KR20090102726A (ko) 2009-09-10 2009-09-10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및 단어를 훈련하는 학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726A true KR20090102726A (ko) 2009-09-30

Family

ID=4136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177A KR20090102726A (ko) 2009-09-10 2009-09-10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및 단어를 훈련하는 학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272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42B1 (ko) * 2011-07-28 2013-06-24 홍성호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3619A (ko) * 2014-04-25 2015-11-04 최파비아 영어 훈련교재 및 기록매체
WO2015170945A1 (ko) * 2014-05-09 2015-11-12 고광철 영어 어순 지도를 이용한 영어 학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94350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220020573A (ko) * 2020-08-12 2022-02-21 박경철 다른 언어간 문장 구조 분석을 기초로 도형화된 문장으로 변환하는 언어 학습 방법
KR102599317B1 (ko) * 2022-06-24 2023-11-07 여숙영 다차원 영어학습을 위한 멀티폴딩형 영어학습교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42B1 (ko) * 2011-07-28 2013-06-24 홍성호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3619A (ko) * 2014-04-25 2015-11-04 최파비아 영어 훈련교재 및 기록매체
WO2015170945A1 (ko) * 2014-05-09 2015-11-12 고광철 영어 어순 지도를 이용한 영어 학습방법 및 그 시스템
US10262554B2 (en) 2014-05-09 2019-04-16 Kwang Chul KOH Method of learning English using teaching English word order map and system for learning English using the same
KR20200094350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220020573A (ko) * 2020-08-12 2022-02-21 박경철 다른 언어간 문장 구조 분석을 기초로 도형화된 문장으로 변환하는 언어 학습 방법
KR102599317B1 (ko) * 2022-06-24 2023-11-07 여숙영 다차원 영어학습을 위한 멀티폴딩형 영어학습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Facilitating communicative ability of EFL learners via high-immersion virtual reality
Cerezo et al. A holographic mobile-based application for practicing pronunciation of basic English vocabulary for Spanish speaking children
Wildova et al. Early childhood pre-reading literacy development
Fletcher-Watson A targeted review of computer-assisted learning for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wards a consistent methodology
Patel et al. English language teaching
Unsworth New literacies and the English curriculum
Yaseen et al. Movie Effects on EFL Learners at Iraqi School in Kuala Lumpur.
Hulusic et al. “LeFCA”: Learning framework for children with autism
US8142195B2 (en) Chinese character learning system
Fine et al. A new look at performance
KR20090102726A (ko)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외국어 문장 구성방법 및 단어를 훈련하는 학습 방법 및 장치
KR20180060747A (ko) 퍼즐을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CN105321386A (zh) 英语易学方法
Róg Intercultural education at a pre-school level in the context of Polish kindergarten curriculum changes
Ronke Wozu all das Theater?: drama and theater as a method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Rasinski et al. Poetry as a core reading text for younger and struggling readers
Ronke Wozu all das Theater?
McCuaig Visual Literacy and Reading Motivatio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Illustrations and Images on an Individual’s Engagement with Text
Octaberlina Multiple intelligences in basic school learning
YAHIA Integrating Audio-visual Aids and Technology into Teaching Culture in the Literature Class: the Case of 2nd Year LMD Level at Ouargla University
Safriyanti An English listening material development of listening materials produ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Sharp Macbeth in the higher education English language classroom
Woods et al. Integrating Movement in the Language Arts
West Dynamic Visuospatial Support for Mandarin Tone Learning in a Language-Driven Game
Zuckerman Communication and Gener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