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182A -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182A
KR20090102182A KR1020080027468A KR20080027468A KR20090102182A KR 20090102182 A KR20090102182 A KR 20090102182A KR 1020080027468 A KR1020080027468 A KR 1020080027468A KR 20080027468 A KR20080027468 A KR 20080027468A KR 20090102182 A KR20090102182 A KR 20090102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block
jack
downward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일
박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박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박윤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2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2182A/ko
Publication of KR2009010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이나 도로를 연속압출공법에 의해 시공하기 위해 거더를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장치는, 하부 구조물의 상면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경사면(121)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승강블록(120); 하면에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에 대응한 하향미끄럼면(131)이 형성되고, 상기 하향미끄럼면(131)을 통해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에 안착되는 상부미끄럼블록(130);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하부승강블록(120)과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압상용 잭장치(140); 및 가동단 및 고정단이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의 측면과 상기 기둥부(112)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진출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진출용 잭장치(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상기 압상용 잭장치(140)를 신장시켜 상기 하부승강블록(120) 및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10)가 들어 올려지고, 상기 진출용 잭장치(150)를 신장시켜 상부미끄럼블록(130)을 하부승강블록(120) 상에서 전방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거더(10) 상승시 압상용 잭장치(140)의 힘이 온전히 거더(10)를 밀어 올리는 데에만 쓰이도록 함으로써, 잭장치의 용량을 쓸데없이 증가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고, 거더(10)의 전진 및 안착시에는 하부승강블록(120)과 상부미끄럼블록(130)이 전방 및 하향 미끄럼면에 의해 밀착되는 구조에 의해 거더(10)의 무게가 상부미끄럼블록(130)을 밀어 내리는데 사용되도록 하여 거더(10)를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Launching apparatus for moving girders forwardly for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본 발명은 교량이나 도로를 연속압출공법에 의해 시공하기 위해 거더를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압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더를 들어올리면서 앞으로 미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거더를 먼저 연직 상방으로 들어 올린 후에 거더의 무게에 의한 도움을 받으면서 앞으로 이동시키는 원리를 도입하여 힘의 낭비 없이 거더를 한층 쉽게 압출할 수 있으며 거더의 하중으로 인한 미끄럼 면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압출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교대(2) 후방의 육상부나 교량 후방의 거더(girder) 가설 높이에 제작장(4)을 설치한 후, 제작장(4)에서 콘크리트 박스 거더 또는 강상자형(鋼箱子形) 박스 거더와 같은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이루는 거더(10)를 세그먼트로 제작하여 뒤쪽에 계속하여 잇대어 가면서 교축방향으로 즉, 교각(6) 또는 가교각(6a) 쪽으로 차례로 압출하여(밀어내어) 시공하는 가설 공법이다.
이러한 연속압출공법으로 거더를 밀어내기 위한 압출 방식 중에는, 각 교각(또는/및 가교각)과 교대의 상면에 압출장치를 설치하여 거더를 일시에 밀어 올려(압상) 앞쪽으로 이동시킨(전진) 후 내려놓는 방식이 있다.
도 2에는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종래의 압출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교각(6) 또는/및 가교각(이하, 이 둘을 모두 교각(6)으로 통칭한다)과 교대(2)의 상부에 하부고정블록(50)을 설치하고, 하부고정블록(50)의 상부 경사면에 상부미끄럼블록(60)을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상부미끄럼블록(60)을 전진 후퇴시키기 위한 진출용 잭장치(70)와 거더(10)를 들어올리기 위한 압상용(押上用) 잭장치(80)를 구비한 형태이다.
이러한 종래의 압출장치는, 진출용 잭장치(70)를 신장시켜 상부미끄럼블록(60)을 전진방향으로 밀면 상부미끄럼블록(60)이 하부고정블록(50)의 경사면을 거슬러 올라감에 따라 거더(10)를 점진적으로 상승 및 전진시키고, 상승하면서 전진한 거더(10)를 압상용 잭장치(80)으로 받친다. 이어서, 진출용 잭장치(70)를 후퇴시키고 압상용 잭장치(80)을 하강시켜서 거더(10)를 교각(6) 상면에 올려놓는다. 이와 같은 압출 사이클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교량 또는 도로의 전 길이에 걸쳐 거더(10)가 가설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출 방식은, 잭장치에 의해 거더를 들어 올림과 동시에 전진시키는 방식으로서, 그 이전의 기술 즉, 교각과 교대에 테프론(TEFLON)으로 이루어진 미끄럼판(slide pad)을 설치하여 거더를 순전히 미끄럼에만 의존하여 압출하던 전통적인 압출 방식에 비해, 마찰에 의해 교각이 전도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좀 더 안정적으로 압출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압출 방식이다.
종래의 압출 방식이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하부고정블록(50)과 상부미끄럼블록(60)이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결합되어 거더(10)를 '들어올리면서 앞으로 밀기 위해' 지나치게 힘이 많이 들고 미끄럼 동작도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다. 예컨대, 압상용 잭장치(80)은 이미 들어 올려진 거더(10)를 받쳐서 내리기만 할 뿐, 거더(10)를 밀어 올리면서 앞으로 미는 역할은 모두 진출용 잭장치(70)와 상부미끄럼블록(60)에 의해 수행한다. 그러나 진출용 잭장치(70)을 통해 거더(10)를 들어 올리는 데에는 경사면에 의해 할당되는 미미한 수준의 수직분력(垂直分力)만이 쓰이기 때문에, 진출용 잭장치(70)의 힘의 낭비가 심하고, 그로 인해 대용량의 잭장치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압출장치가 지나치게 비대해지게 된다.
또한, 거더(10)의 무게를 극복하기 위한 힘의 대부분이 경사면에 수평 방향의 힘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부미끄럼블록(60)에 의해 하부고정블록(50)의 경사면에 부착된 미끄럼판(테프론 판)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가설중인 거더(10) 뿐만 아니라 상부미끄럼블록(60)과 진출용 잭장치(70)까지 모두 해체하여 미끄럼판을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시공비용이 상승하고 시공기간이 지연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더를 밀어 올리면서 진출시키는 종래의 방식을 배제하고, 거더를 먼저 연직상방으로 들어올리고, 들어 올린 후에는 거더의 무게에 의한 도움을 받으면서 앞으로 이동시켜 내려놓는 원리의 압출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힘의 낭비 없이 거더를 한층 더 쉽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거더의 하중으로 인해 미끄럼 면이 파손되는 현상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시공을 가능케 하고 시공비용과 기간을 감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는, 하부 구조물의 기둥부에 얹힌 거더를 교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장치로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면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승강블록; 하면에 상기 하부승강블록의 하향경사면에 대응한 하향미끄럼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향미끄럼면을 통해 상기 하부승강블록의 하향경사면에 안착되는 상부미끄럼블록; 상기 하부승강블록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하부승강블록과 상부미끄럼블록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압상용 잭장치; 및 가동단 및 고정단이 상기 상부미끄럼블록의 측면과 상기 기둥부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진출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상기 상부미끄럼블록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진출용 잭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상용 잭장치를 신장시켜 상기 하부승강블록 및 상부미끄럼블록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가 들어 올려지고, 상기 진출용 잭장치를 신장시켜 상부미끄럼블록을 하부승강블록 상에서 전방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는, 하부 구조물의 기둥부에 얹힌 거더를 교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장치로서, 고정단이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진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피벗 결합되고, 가동단은 상기 거더를 받치기 위해 거더의 저면을 향하는 상태로 기립하여 설치되는 압상용 잭장치; 및 가동단 및 고정단이 상기 압상용 잭장치의 측면과 상기 기둥부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진출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상기 압상용 잭장치를 진출방향으로 각운동시키는 틸팅용 잭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상용 잭장치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해 거더가 들어 올려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틸팅용 잭장치를 신장시켜 상기 압상용 잭장치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는, 하부 구조물의 기둥부에 얹힌 거더를 교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장치로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면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승강블록; 하면에 상기 하부승강블록의 하향경사면에 대응한 하향미끄럼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향미끄럼면을 통해 상기 하부승강블록의 하향경사면에 안착되며, 위로부터 거더의 무게가 작용하면 거더의 무게에 의해 상기 하향경사면을 미끄러져 내려오는 상부미끄럼블록; 및 상기 하부승강블록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하여 하부승강블록과 상부미끄럼블록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압상용 잭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상용 잭장치를 신장시켜 상기 하부승강블록 및 상부미끄럼블록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거더의 무게와 하향경사면의 기울기에 의해 상부미끄럼블록이 하부승강블록의 하향경사면 위에서 전방으로 스스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에 의하면, 거더를 압상용 잭장치를 사용하여 먼저 연직상방으로 들어 올린 후에, 거더의 자중의 도움을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또는 거더의 자중의 작용과 미끄럼면의 하향 경사 각도에 의해 자동으로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상용 잭장치의 힘은 오로지 거더를 들어 올리는 데에만 사용되므로, 상부미끄럼블록을 거더의 무게를 감당하면서 또한 경사면을 거슬러서 밀어 올려야 했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거더를 들어 올리는데 한층 힘이 덜 들고 힘의 손실도 거의 없다.
특히, 거더를 들어 올린 이후에는, 거더의 무게의 도움을 받아 자연스럽고 쉽게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거더를 한층 더 쉽고 적은 힘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에 의해, 압출 장치의 시설 규모를 극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비용과 기간이 대폭적으로 감축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압출공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동기식 압출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서에 따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서에 따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서에 따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교각 10: 거더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압출장치
110: 하부 구조물 112: 기둥부
120: 하부승강블록 121: 하향경사면
122: 미끄럼판 130: 상부미끄럼블록
131: 하향미끄럼면 140: 압상용 잭장치
141: 고정단 142: 가동단
150: 진출용 잭장치 151: 고정단
152: 가동단 153, 154: 고정블록
155, 156: 힌지축 200: 압상용 잭장치
211: 고정단 212: 가동단
220: 지지대 221: 힌지축
230: 받침구 231: 힌지축
250: 틸팅용 잭장치 251: 고정단
252: 가동단 260: 지지대
261: 힌지축 270: 지지대
271: 힌지축 320: 하부승강블록
321: 하향경사면 322: 미끄럼판
330: 상부미끄럼블록 331: 하향미끄럼면
332: 미끄럼판 340: 압상용 잭장치
341: 고정단 342: 가동단
400: 완충구 500: 구름부재
510: 지지장치 600: 복귀장치
610: 고정단 620: 가동단
700: 롤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진출방향'이라 함은, 거더를 움직이는 방향으로서 교축방향(교량이나 도로의 길이방향)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그리고 '전방', '앞', '전진'이라 함은 거더가 나아가는 방향(압출되는 방향)과 나아가는 동작을 의미하고, '후방', '뒤', '후퇴'라 함은 그의 반대 방향 및 그 방향으로의 동작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첨부 도면 도 3,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a)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3에는 전체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내지 도 4c에는 압출 동작 과정이 순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100a)는, 교각 등과 같은 교량의 하부 구조물(110)의 전, 후 기둥부(112) 사이에 설치되어 기둥부(112) 위에 얹힌 거더(10)를 교축방향(진출방향)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구조물(110)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승강블록(120), 하부승강블록(120)의 상면에 전방하향의 미끄럼면으로 안착되는 상부미끄럼블록(130), 그리고 압상용 잭장치(140)와 진출용 잭장치(1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압상용 잭장치(140)로 하부승강블록(120)과 상부미끄럼블록(130)을 함께 상승시켜 거더(10)를 먼저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진출용 잭장치(150)로 상부미끄럼블록(130)을 밀어 '전방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거더(10)를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기둥부(112) 위에 다시 얹혀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거더(10) 상승시 압상용 잭장치(140)의 힘이 온전히 거더(10)를 밀어 올리는 데에만 쓰이도록 함으로써, 잭장치의 용량을 쓸데없이 증가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고, 거더(10)의 전진 및 안착시에는 하부승강블록(120)과 상부미끄럼블록(130)이 전방 및 하향 미끄럼면에 의해 밀착되는 구조에 의해 거더(10)의 무게가 상부미끄럼블록(130)을 밀어 내리는데 사용되도록 하여 거더(10)를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둥부(112) 상면에는, 거더(10)가 교량이나 도로의 종단구배 등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공지의 브레이킹 새들(braking saddle)(11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더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본 발명의 압출장치(100a)의 구성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승강블록(120)은, 하부 구조물(110)의 상면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의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경사면(121)이 형성된다.
상부미끄럼블록(130)은, 그의 하면에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에 대응한 하향미끄럼면(131)이 형성되어, 상기 하향미끄럼면(131)이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에 안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압상용 잭장치(140)는,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또는 공압 등, 다양한 구동원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및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것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하부승강블록(120)과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상승 및 하강시켜 거더(10)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놓는다. 압상용 잭장치(140)의 고정단(141)은 하부 구조물(110)에 정착되고 가동단(142)은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단에 볼트나 앵커 등에 의해 일체화 결합된다.
진출용 잭장치(150)는, 그의 가동단(152) 및 고정단(151)이 각각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과 상기 기둥부(112)의 마주보는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전진 및 후퇴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출용 잭장치(150)의 고정단(151) 및 가동단(152)에는 고정블록(153)(154)이 힌지축(155)(156)에 의해 피벗 결합되어 상부미끄럼블록(130)의 상승, 하강 및 미끄럼 이동에 순응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승강블록(120)에 대한 상부미끄럼블록(130)의 미끄럼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다른 한편으로는 요구되는 특정한 미끄럼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과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의 하향미끄럼면(131)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또는 양쪽 모두의 면에 미끄럼판(122)(1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판(122)(132)은, 주로 미끄럼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하부승강블록(120)과 상부미끄럼블록(130)의 미끄럼면, 즉 하향경사면(121)과 하향미끄럼면(13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손상 시에는 미끄럼판(122)(132)만을 교체하면 되도록 한다. 이러한 미끄럼판(122)(132)은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프론(TEFLO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100a)는, 종래에 상향 경사면을 거슬러 상부미끄럼블록을 힘들게 밀어 올리면서 동시에 이동시켜야 했던 압출 방식과는 달리, 거더(10)를 들어 올리는 동작(및 역할)과 거더(10)를 전진시키는 동작(및 역할)을 구분하여 수행하고, 거더(10)의 무게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고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출장치로서, 그의 바람직한 동작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미끄럼블록(130)이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의 최고점(最高點) 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압상용 잭장치(140)에 유압을 공급하여 그의 가동단(142)을 위로 신장시키면, 하부승강블록(120)과 상부미끄럼블록(130)이 함께 상승하여 거더(10)를 받쳐서 들어 올리게 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출용 잭장치(150)를 신장시키면, 상부미끄럼블록(130)이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을 따라 전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감에 따라 거더(10)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의 이동 과정의 말미에서는 거더(10)가 기둥부(112) 상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미끄럼블록(130)의 이동량이나 하향경사면(121) 및 하향미끄럼면(131)의 경사 정도를 사전에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이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을 따라 전방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갈 때, 상부미끄럼블록(130)에는 거더(10)의 무게에 의한 수직 하중이 작용한다.
이와 같은 거더(10)의 무게에 의한 수직하중은, 하향경사면(121)에 의해 수직 및 수평의 2방향의 힘의 성분으로 나누어지고, 그중 수평 방향의 힘의 성분은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전방 하방으로 쉽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출용 잭장치(150)가 부담하여야 할 힘이 줄어들어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적은 힘으로도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가 있으며, 종래보다 작은 용량의 진출용 잭장치(150)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서로 미끄럼 접촉하는 하향경사면(121)과 하향미끄럼면(131), 또는 양측 미끄럼판(122)(132)에 무리가 가지 않고 그들이 쉽게 손상되지도 않아 압출장치의 사용연한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의 부담도 줄어든다.
거더(10)가 전방으로 이동한 이후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상용 잭장치(140)를 수축 방향으로 작동시켜 거더(10)를 기둥부(112)에 다시 안착시킨다. 압상용 잭장치(140)를 완전히 내리면 상부미끄럼블록(130)과 거더(10) 사이에 최초에 유지되었던 여유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어서 진출용 잭장치(150)를 도 4c에 도시된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상부미끄럼블록(130)이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을 거슬러 올라가 최고점에 이르게 된다. 이 경우 상부미끄럼블록(130)은 하부승강블록(120)의 경사면(121)을 거슬러 올라오기는 하나, 상부미끄럼블록(130)에는 거더(10)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올라온다.
(실시예 2)
첨부 도면 도 5 ,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b)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3에는 전체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6a 및 도 6b에는 압출장치의 동작 과정이 순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b)는, 거더(10)를 들어 올리는 동작(및 역할)과 거더(10)를 전진시켜 내려놓는 동작(및 역할)을 구분하여 수행하고, 거더(10)의 무게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고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구현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b)는, 거더(10)를 들어올리기 위한 압상용 잭장치(200)와,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를 기울이기 위한 틸팅(tilting)용 잭장치(250)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는, 그의 고정단(211)이 하부 구조물(110)의 상부에 진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피벗 결합되고, 그의 가동단(212)이 상기 거더(10)의 저면을 향하여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좀 더 자세하게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의 고정단(211)은 하부 구조물(110)에 정착되어 있는 지지대(220)에 힌지축(221)에 의해 피벗 결합된다.
또한, 압상용 잭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의 가동단(212)에 의해 거더(10)를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으면서, 거더(10)를 받친 상태에서 각운동할 수 있도록(기울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동작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가동단(212)의 단부에 받침구(230)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받침구(230)는 상기 거더(10)에 넓은 면적으로 안정적으로 밀착되는 한편, 가동단(212)의 단부에 힌지축(231)으로써 진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압상용 잭장치(200)가 기울어질 때 거더(10)를 받친 상태로 회동하여 압상용 잭장치(200)의 각운동에 순응하게 된다(거더(10)를 받친 상태에서도 압상용 잭장치(200)의 각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는 다르게, 가동단(212)의 상단부가 그대로 거더(10)를 받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가동단(212)의 단부를 구면(球面)으로 처리하거나 원호면으로 처리하여 접촉하도록 하면, 압상용 잭장치(200)가 기울어질 때 구면이나 원호면에 의해 미끄럼이 일어나면서 각운동에 순응하게 된다.
틸팅용 잭장치(250)는,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를 쓰러지지 않게 잡아주고, 특히 압상용 잭장치(200)를 진출방향으로 각운동시킨다. 이러한 틸팅용 잭장치(250)의 고정단(251)은 지지대(260)와 힌지축(261)을 통해 기둥부(112)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틸팅용 잭장치(250)의 가동단(252)은 압상용 잭장치(200)의 측면, 더 구체적으로는 압상용 잭장치(200)의 고정단(211) 측면에 지지대(270)와 힌지축(27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틸팅용 잭장치(250)는 그 양단부가 모두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음으로써, 압상용 잭장치(200)의 각운동에 순응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270)는 압상용 잭장치(200)의 측면에 볼트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압출장치(100b)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작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기립해 있는 압상용 잭장치(200)에 유압을 공급하면, 압상용 잭장치(200)의 가동단(252)이 신장하여 그의 받침구(230)가 거더(10)를 받치면서 들어올린다.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용 잭장치(250)에 유압을 공급하면, 그의 가동단(252)이 전방으로 신장하여 압상용 잭장치(200)를 전방으로 기울이게 된다. 압상용 잭장치(200)가 기울어지면, 그가 받치고 있는 거더(10)는 전방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의 각운동 말미에서는 거더(10)가 기둥부(112)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의 기울임 량을 사전에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이 좋다.
거더(10)가 전방으로 이동한 이후에는, 압상용 잭장치(200)를 수축 방향 즉, 도 6b에서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켜, 거더(10)를 기둥부(112)에 다시 안착시키고, 틸팅용 잭장치(250)를 수축 방향, 즉 도 6b에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후퇴시켜 압상용 잭장치(200)를 본래의 수직한 위치로 회동시킨다.
(실시예 3)
첨부 도면 도 7,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c)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7에는 전체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8a 및 도 8b에는 압출 동작 과정이 순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c)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a)와 대비되는 것으로서, 거더(10)의 무게와 경사면의 각도에 의해 상부미끄럼블록(330)이 저절로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한 점이 다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c)는, 하부승강블록(320), 상부미끄럼블록(330) 및 압상용 잭장치(34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은 하부 구조물(110)의 상면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의 상면에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경사면(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은, 그의 하면에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에 대응한 하향미끄럼면(331)이 형성되어 있어, 해당 하향미끄럼면(331)을 통해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에 안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하향경사면(321)과 하향미끄럼면(331)은, 거더(10)의 무게에 의해 상부미끄럼블록(330)이 저절로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와 마찰계수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의한 하향경사면(321) 및 하향미끄럼면(331)은, 전술한 제1실시예(도 3 참조)에 의한 하향경사면(121) 및 하향미끄럼면(131)에 비해 기울기를 크게 하고 마찰계수를 작게 구성하여 상부미끄럼블록(330)이 잘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에 거더(10)의 무게가 작용하면, 상부미끄럼블록(330)은 별도의 외부적 도움(힘의 작용)이 없더라도 거더(10)의 무게와 경사면(미끄럼면)(321)(331)의 기울기에 의해 저절로(자력으로)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121) 위를 미끄러져서 전방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압상용 잭장치(340)는, 하부승강블록(3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하부승강블록(320)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이를 위해 압상용 잭장치(340)의 고정단(341)은 하부 구조물(110) 상에 정착되고, 그의 가동단(342)은 하부승강블록(320)을 받친다. 도 7에서는 압상용 잭장치(340)가 2개 설치된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과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의 하향미끄럼면(33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는 미끄럼판(322) 또는/및 (3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구조물(110) 전방의 기둥부(112)에는 완충구(4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구(400)는,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의 미끄럼 이동과정의 말미에서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 전방 단부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그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완충구(400)는 공지의 탄성고무나 공압 실린더형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압출장치(100c)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미끄럼블록(330)이 하부승강블록(320)의 최고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압상용 잭장치(340)에 유압을 공급하면, 그의 가동단(342)이 신장하여 하부승강블록(320) 및 상부미끄럼블록(330)을 상승시켜 거더(10)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렇게 하여 거더(10)가 기둥부(112)로부터 들어 올려지면, 거더(10)의 무게에 의한 하중은 상부미끄럼블록(330)에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부미끄럼블록(330)은 하부승강블록(320) 상에 하향미끄럼면(331)과 하향경사면(321)을 통해 안착되어 있으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은 거더(10)의 무게에 의해 전방 하방으로 저절로 미끄러져 내려가고, 그에 따라 거더(1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부미끄럼블록(330)의 이동 말미에서, 상부미끄럼블록(330)은 기둥부(112)에 설치된 완충구(400)에 닿아 충격이 흡수되면서 안정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10)가 기둥부(112)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미끄럼블록(330)이 완충구(400)에 닿아 정지하면, 압상용 잭장치(340)를 도 8b에서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수축 작동시켜 거더(10)를 기둥부(112)에 다시 올려놓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을,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윈치나 유·공압 실린더, 또는 수동의 방법으로 도 8b에서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하부승강블록(320)의 최고점으로 이동시킨다.
(실시예 4)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d)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d)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c)에 비하여,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과 상부미끄럼블록(330)의 하향미끄럼면(331)의 구성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3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d)는,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과 상부미끄럼블록(330)의 하향미끄럼면(331) 중 어느 한쪽에 구름부재(rolling member)(500)를 설치한 구성이다. 구름부재(500)에 의해 상부미끄럼블록(330)의 미끄럼이 더욱 원활히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름부재(500)가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름부재(500)는 롤러(roller), 니들 롤러(needle roller), 볼(ball), 타이어 바퀴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름부재(500)는 통상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장치(510)에 의해 설치된다. 지지장치(510)로서는 공지의 베어링 리테이너(bearing retainer)와 같이 구름부재(500)를 구를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해 주고 빠져나가지 못하게 잡아준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하부승강블록(320) 상에 구름부재(500)를 구비한 경우, 상부미끄럼블록(330)에는 미끄럼판(33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판(332)은, 상부미끄럼블록(330)의 하향미끄럼면(331) 및 구름부재(5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교체시에도 미끄럼판(332)만을 교체하면 되도록 한다.
(실시예 5)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e)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e)는, 전술한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d)에 비하여, 구름부재(500)의 설치 위치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4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e)에서는, 구름부재(500)가 상부미끄럼블록(330)에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하부승강블록(320)에는 미끄럼판(322)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e)도 전술한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d)와 마찬가지로, 거더(10)의 무게가 상부미끄럼블록(330)에 작용할 때 구름부재(500)에 의해 하향 미끄럼이 더욱 원활히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구름부재(500)는 지지장치(510)에 의해 지탱되고 구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f)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f)는, 거더(10)의 무게와 경사면의 각도에 의해 상부미끄럼블록(330)이 저절로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한 전술한 압출장치 즉,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c)(도 7 참조),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d)(도 9 참조) 및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e)(도 10 참조)에 모두 적용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11에서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c)에 적용된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d)(100e)에도 동일한 구성과 구조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f)는, 전술한 제3, 4, 5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에서,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을 따라 전방 하방으로 내려가 있는 상부미끄럼블록(330)을 하향경사면(321)의 최고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귀장치(600)를 더 구비한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고 있는 복귀장치(600)는, 유압 또는 공압 잭(또는 실린더)으로 이루어져서, 그의 고정단(610)은 하부 구조물(110)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의 가동단(620)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고정단(610)으로부터 신축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복귀장치(600)는 이러한 유압 또는 공압 잭에 의하지 않고, 윈치와 같은 다른 수단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귀장치(600)에 있어서는, 상부미끄럼블록(330)의 중앙을 밀기 위하여, 완충구(400)의 중앙과 기둥부(112)에 구멍(410)(112a)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410)(112a)에 그의 가동단(620)을 통과시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귀장치(600)는,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이 거더(10)의 압출(전진 이동) 사이클 마지막 단계에서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 경사면(321)의 최저점 부근에 위치하고 있을 때 작동하여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을 되밀어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의 최고점을 향해 밀어올림으로써 그 다음의 압출 사이클을 진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실시예 7)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g)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g)는, 기둥부(112)의 상면에 롤러(700)를 설치한 것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각각 제1 ~ 6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a ~ 100f)와 동일하다. 즉, 전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0a ~ 100f)들의 각 기둥부(112)에 모두 롤러(70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도 12는 앞선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중에서 도 8b를 선택하여 거기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나머지의 실시예 및 도면에도 동일한 구조로 적용하면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거더(10)를 전진이동시키는 동작 말미에서는, 본래 거더(10)가 기둥부(112)에 접촉하기 전에 약간의 틈새를 유지한 상태에서 멈추도록 하고, 이어서 압상용 잭장치(140, 또는 200, 또는 340)를 수축방향으로 작동시켜 거더(10)를 기둥부(112) 상면에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만일의 경우, 거더(10)의 전진이동 동작 말미에서 거더(10)가 멈추기 전에 먼저 기둥부(112) 상면에 닿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거더(10)가 아직 앞으로 이동되고 있는 도중에 기둥부(112)에 닿게 되기 때문에, 거더(10)와 기둥부(112)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한 하중으로 기둥부(112)가 쓰러지거나 거더(1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위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기둥부(112)에 롤러(700)를 설치해 두고, 거더(10)가 전진 이동 동작을 멈추기 전에 먼저 기둥부(112)에 닿으려고 할 때에, 롤러(700)가 먼저 거더(10)와 접촉되어 구름운동하여 거더(10)의 나머지 이동 동작이 부드럽게 연속되고 마무리되도록 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기둥부(112)가 쓰러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는, 거더를 밀어 올리면서 진출시키는 종래의 방식을 배제하고, 거더를 먼저 연직상방으로 들어올리고, 들어 올린 후에는 거더의 자중의 도움을 받아 앞으로 이동시켜 내려놓는 매우 효과적이고 용이한 압출 방식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출 장치를 도로나 교량 시공시 상부 구조물(거더)을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공법에 적용하는 경우, 거더의 압출이 매우 쉽고, 그 과정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더 나아가서는 압출 장치의 시설 규모를 극소화할 수 있고, 시공비용과 기간도 크게 감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압출 장치를 도로나 교량의 연속압출공법에 적용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잇대어 가면서 진출시키는 모든 형태의 토목 및 건설 공사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7795호, 제0797796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108891호 등에 개시된 '수중 교량' 또는 '부유 교량'을 연속압출방식에 의해 건설하는 공사에서 교량 본체를 압출하는 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들은 당연히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부 구조물의 기둥부에 얹힌 거더를 교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장치로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면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경사면(121)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승강블록(120);
    하면에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에 대응한 하향미끄럼면(131)이 형성되고, 상기 하향미끄럼면(131)을 통해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에 안착되는 상부미끄럼블록(130);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하부승강블록(120)과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압상용 잭장치(140); 및
    가동단 및 고정단이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의 측면과 상기 기둥부(112)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진출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진출용 잭장치(150)를 포함하며,
    상기 압상용 잭장치(140)를 신장시켜 상기 하부승강블록(120) 및 상부미끄럼블록(130)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10)가 들어 올려지고, 상기 진출용 잭장치(150)를 신장시켜 상부미끄럼블록(130)을 하부승강블록(120) 상에서 전방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블록(120)의 하향경사면(121)과 상기 상부미끄럼블록(130)의 하향미끄럼면(13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는 미끄럼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3. 하부 구조물의 기둥부에 얹힌 거더를 교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장치로서,
    고정단이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진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피벗 결합되고, 가동단은 상기 거더(10)를 받치기 위해 거더(10)의 저면을 향하는 상태로 기립하여 설치되는 압상용 잭장치(200); 및
    가동단 및 고정단이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의 측면과 상기 기둥부(112)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진출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를 진출방향으로 각운동시키는 틸팅용 잭장치(250)를 포함하며,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해 거더(10)가 들어 올려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틸팅용 잭장치(250)를 신장시켜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상용 잭장치(200)의 가동단에는, 상기 거더(10)와 밀착되는 별도의 받침구(230)가 진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5. 하부 구조물의 기둥부에 얹힌 거더를 교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장치로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면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경사면(321)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승강블록(320);
    하면에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에 대응한 하향미끄럼면(331)이 형성되고, 상기 하향미끄럼면(331)을 통해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에 안착되며, 위로부터 거더(10)의 무게가 작용하면 거더(10)의 무게에 의해 상기 하향경사면(321)을 미끄러져 내려오는 상부미끄럼블록(330); 및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하여 하부승강블록(320)과 상부미끄럼블록(33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압상용 잭장치(340)를 포함하며,
    상기 압상용 잭장치(340)를 신장시켜 상기 하부승강블록(320) 및 상부미끄럼블록(330)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10)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거더(10)의 무게와 하향경사면(321)의 기울기에 의해 상부미끄럼블록(330)이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 위에서 전방으로 스스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에 의해 상기 거더(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과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의 하향미끄럼면(33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는 미끄럼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과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의 하향미끄럼면(331)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복수개의 구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과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의 하향미끄럼면(331) 중 상기 복수개의 구름부재가 설치된 블록에 마주하는 블록의 미끄럼면에는 미끄럼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전방 기둥부(112)에는,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의 미끄럼 이동과정 말미에 상기 상부미끄럼블록(330) 전방 단부면이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구(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12)의 일측에는, 각 압출 사이클 말미에서, 전방 하부로 내려와 있는 상부미끄럼블록(330)을 다시 하부승강블록(320)의 하향경사면(321)의 후방 최고점 쪽으로 밀어 이동시키기 위한 복귀장치(6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KR1020080027468A 2008-03-25 2008-03-25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KR20090102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68A KR20090102182A (ko) 2008-03-25 2008-03-25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68A KR20090102182A (ko) 2008-03-25 2008-03-25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82A true KR20090102182A (ko) 2009-09-30

Family

ID=4135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68A KR20090102182A (ko) 2008-03-25 2008-03-25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2182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2914A (zh) * 2010-11-17 2011-04-06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钢箱梁的架设顶推装置
CN102493348A (zh) * 2011-12-14 2012-06-13 中铁大桥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顶推施工的横向限位与纠偏装置
CN103397603A (zh) * 2013-04-28 2013-11-20 李勇 桥梁磁悬浮顶推系统及两阶段悬臂建造方法
CN106437176A (zh) * 2016-10-14 2017-02-22 穆钜(上海)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交替顶推施工系统
CN106437177A (zh) * 2016-10-14 2017-02-22 上海天演建筑物移位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同步交替顶推施工的方法
CN107558372A (zh) * 2017-08-24 2018-01-09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预制u型梁落梁定位装置及定位施工方法
CN107587431A (zh) * 2017-09-17 2018-01-16 湖南金海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工件顶推装置
CN109853402A (zh) * 2019-03-29 2019-06-07 中铁十一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用于连续刚构桥合龙顶推的大吨位大偏位顶推力方向自调节装置及应用
US20220081854A1 (en) * 2020-09-16 2022-03-17 Jia-Yu Machinery Engineering Co., Ltd. Wedge-shaped Pushing Devic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4481832A (zh) * 2020-11-13 2022-05-13 佳彧机械工程有限公司 桥梁用楔型推进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541276A (zh) * 2022-02-26 2022-05-27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拖拉滑移支架安装公路变截面钢箱梁施工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2914A (zh) * 2010-11-17 2011-04-06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钢箱梁的架设顶推装置
CN102493348A (zh) * 2011-12-14 2012-06-13 中铁大桥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顶推施工的横向限位与纠偏装置
CN102493348B (zh) * 2011-12-14 2014-12-10 中铁大桥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顶推施工的横向限位与纠偏装置
CN103397603A (zh) * 2013-04-28 2013-11-20 李勇 桥梁磁悬浮顶推系统及两阶段悬臂建造方法
CN106437176B (zh) * 2016-10-14 2018-09-25 穆钜(上海)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交替顶推施工系统
CN106437176A (zh) * 2016-10-14 2017-02-22 穆钜(上海)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交替顶推施工系统
CN106437177A (zh) * 2016-10-14 2017-02-22 上海天演建筑物移位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同步交替顶推施工的方法
CN107558372A (zh) * 2017-08-24 2018-01-09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预制u型梁落梁定位装置及定位施工方法
CN107558372B (zh) * 2017-08-24 2019-04-23 宁波市产城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预制u型梁落梁定位装置及定位施工方法
CN107587431A (zh) * 2017-09-17 2018-01-16 湖南金海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工件顶推装置
CN109853402A (zh) * 2019-03-29 2019-06-07 中铁十一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用于连续刚构桥合龙顶推的大吨位大偏位顶推力方向自调节装置及应用
US20220081854A1 (en) * 2020-09-16 2022-03-17 Jia-Yu Machinery Engineering Co., Ltd. Wedge-shaped Pushing Devic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4481832A (zh) * 2020-11-13 2022-05-13 佳彧机械工程有限公司 桥梁用楔型推进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541276A (zh) * 2022-02-26 2022-05-27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拖拉滑移支架安装公路变截面钢箱梁施工装置
CN114541276B (zh) * 2022-02-26 2023-10-03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拖拉滑移支架安装公路变截面钢箱梁施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2182A (ko)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압출장치
KR100986478B1 (ko)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자동압출장치
US20210354735A1 (en) Telescopic multifunctional working vehicle capable of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and evacuating transversely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WO2016201777A1 (zh) 桥梁检测车行走机构及桥梁检测车
CN202492807U (zh) 钢箱梁步履式多点顶推施工系统
CN110700871A (zh) 一种土木工程用隧道支撑模板
CN113789722B (zh) 基于承载梁的钢桁梁顶推装置及方法
US20220081854A1 (en) Wedge-shaped Pushing Devic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14022B1 (ko) 중량체 이송장치
CN110541582A (zh) 一种步进式建筑平移方法
CN212771985U (zh) 一种钢箱梁的顶推装置
CN210507166U (zh) 钢箱梁步进式多点顶推施工装置
CN113802462B (zh) 节拼架桥机及其吊重前支腿
CN211114958U (zh) 一种步进式建筑平移装置
CN112431997B (zh) 一种管道错位修复装置
KR101931598B1 (ko) Ilm공법에서의 교각변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변위 제어방법
CN113123610B (zh) 一种大跨屋面钢桁架结构施工方法
CN110761183A (zh) 橡胶减振防侧翻支座
KR20160006364A (ko) 대형 구조물 이송장치
CN214993153U (zh) 一种用于顶推法拼装移动模架的顶推装置
CN111749712B (zh) 一种隧道施工设备
CN217479989U (zh) 一种桥梁工程步履式顶推施工用墩顶支撑体系
CN220433416U (zh) 一种钢桁架顶推装置
CN219993243U (zh) 一种老旧建筑结构托换装置
CN117967366B (zh) 一种二衬施工台车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