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841A -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전자 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841A
KR20090101841A KR1020090024397A KR20090024397A KR20090101841A KR 20090101841 A KR20090101841 A KR 20090101841A KR 1020090024397 A KR1020090024397 A KR 1020090024397A KR 20090024397 A KR20090024397 A KR 20090024397A KR 20090101841 A KR20090101841 A KR 2009010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tential
voltage
pixe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또시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8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57Static memory circuit, e.g. flip-flo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전력 소비를 억제하면서 표시 화상의 리프레시 동작을 가능하게 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 스텝 ST2와, 표시된 화상을 유지하는 화상 유지 스텝 ST3과, 표시부에 화상을 재표시시키는 리프레시 스텝 ST4를 갖고, 화상 유지 스텝 ST3에서,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을 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된 전원계의 최저 전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화소 내에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메모리 회로(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장치는, 마이크로 캡슐이 배열된 전기 영동 소자를 구비한 제2 기판에 대하여, 전기 영동 소자를 협지하도록 화소 전극이 형성된 제1 기판을 접착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4314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 내에 설치된 SRAM(래치 회로)에, 흑백 2치 중 어느 하나를 전위(하이 레벨/로우 레벨)로서 기억하고, 래치 회로의 출력 전위를 화소 전극에 인가하여 화상의 흑백을 표시한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경우, 한번 화상을 표시한 후에는 래치 회로의 전원을 정지하여도 표시 화상은 유지된다.
그러나, 표시 화상은 유지된다고는 하여도 경시적으로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기 때문에, 표시 화상을 재표시시켜 콘트라스트를 회복시키는(리프레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 오프 상태의 래치 회로에 다시 전원 전압을 공급하여 온 상태로 한 후, 다시 래치 회로에 화상 신호(화상 데이터)를 기입할 필요가 있었다. 그렇게 하면, 다시 구동 회로를 동작시키게 되어, 리프레시 동작의 소비 전력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한편, 화상 표시 후에도 래치 회로의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면, 리프레시 동작 시에 구동 회로를 동작시킬 필요는 없지만, 래치 회로에의 전원 공급에 의해 전력을 소비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력 소비를 억제하면서 표시 화상의 리프레시 동작을 가능하게 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 쌍의 기판간에 전기 영동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소자를 협지하고,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마다, 화소 전극과, 화소 스위칭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래치 회로가 설치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 스텝과, 표시된 상기 화상을 유지하는 화상 유지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상기 화상을 재표시시키는 리프레시 스텝을 갖고, 상기 화상 유지 스텝에서, 상기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을, 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된 전원계의 최저 전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동 방법에 의하면, 화상 유지 스텝에서 래치 회로를 온 상태로 유지하므로, 리프레시 스텝에서 화상 신호의 재기입이 불필요하여, 구동 회로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화상 유지 스텝에서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을 전원계의 최저 전압으로 하므로, 화상 유지 스텝에서의 래치 회로의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소비를 억제하면서 표시 화상의 리프레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최저 전압이, 상기 전원계에 설치된 전지의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동 방법에 의하면, 통상적으로, 장치의 최저 전압으로 되는 전지의 전압을 직접적으로 래치 회로의 전위 유지에 사용하므로, 간소한 전원계를 이용하여 래치 회로의 전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시 스텝에서, 상기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을, 상기 최저 전압으로부터 상기 전기 영동 소자를 구동 가능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동 방향으로 함으로써, 확실한 리프레시 동작을 실행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신속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한 쌍의 기판간에 전기 영동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소자를 협지하고,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마다, 화소 전극과, 화소 스위칭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래치 회로가 설치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기간과, 표시된 상기 화상을 유지하는 화상 유지 기간과, 상기 표시부에 화상을 재표시시키는 리프레시 기간을 갖고, 상기 화상 유지 기간에서, 상기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이, 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된 전원성의 최저 전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화상 유지 기간에서 래치 회로를 온 상태로 유지하므로, 리프레시 기간에서 화상 신호의 재기입이 불필요하여, 구동 회로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화상 유지 기간에서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을 전원계의 최저 전압으로 하므로, 화상 유지 기간에서의 래치 회로의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소비를 억제하면서 표시 화상의 리프레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최저 전압이, 상기 전원계에 설치된 전지의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지 전압을 직접적으로 래치 회로의 전위 유지에 사용하므로, 간소한 회로를 이용하여 화상 유지 기간의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 회로에 복수의 전원 전압을 선택 공급하는 전압 선택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선택 회로가, 최고 전위인 제1 하이 레벨 전위와, 제2 하이 레벨 전위와, 최저 전위인 제3 하이 레벨 전위를 출력 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 가능하며,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제1 하이 레벨 전위를 공급하는 제1 스위칭 회로가, 고내압 트랜지스터와 그 고내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 레벨 시프터를 갖고,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제2 하이 레벨 전위를 공급하는 제2 스위칭 회로가, 제1 저내압 트랜지스터와 그 제1 저내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 레벨 시프터와, 상기 제1 저내압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개삽(介揷)된 다이오드를 갖고,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제3 하이 레벨 전위를 공급하는 제3 스위칭 회로가, 제2 저내압 트랜지스터와 그 제2 저내압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개삽된 다이오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화상 유지 기간에서 래치 회로의 전위를 유지하기 위한 제3 하이 레벨 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전압 선택 회로를 구비한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압 선택 회로에서는, 고내압 트랜지스터의 수가 적기 때문에, 회로 면적이 작아, 리크 전류도 적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앞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력 소비를 억제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콘트라스트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마이크로 캡슐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전압 선택 회로의 회로 구성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방법에서의 타이밍차트.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방법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도.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방법에서의 타이밍차트.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방법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
도 15는 전자 기기의 일례인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전자 기기의 일례인 전자 페이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전자 기기의 일례인 전자 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전기 영동 표시 장치
5: 표시부
32: 전기 영동 소자
35, 35a, 35b: 화소 전극
37: 공통 전극
40, 40A, 40B, 140, 140A, 140B: 화소
41, 41a, 4lb: 구동용 TFT(화소 스위칭 소자)
49: 저전위 전원선
50: 고전위 전원선
62: 데이터선 구동 회로
63: 컨트롤러(제어부)
64a: 전압 선택 회로
70, 70a, 70b: 래치 회로(메모리 회로)
71, 73, PM1, PM2, PM3, PM11, PM12: P-MOS 트랜지스터
D1, D2: 다이오드
LS1, LS2: 레벨 시프터
SC1: 제1 스위칭 회로
SC2: 제2 스위칭 회로
SC3: 제3 스위칭 회로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화소(40)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표시부(5)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5)의 주변에는, 주사선 구동 회로(61), 데이터선 구동 회로(62), 컨트롤러(제어부)(63) 및 공통 전원 변조 회로(64)가 배치되어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61), 데이터선 구동 회로(62) 및 공통 전원 변조 회로(64)는, 각각 컨트롤러(63)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63)는, 상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이들을 종합적으로 제어한다. 표시부(5)에는 주사선 구동 회로(61)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주사선(66)과, 데이터선 구동 회로(62)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선(6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교차 위치에 대응하여 화소(40)가 설치되어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61)는, m개의 주사선(66)(Y1, Y2, …, Ym)을 통해서 각각의 화소(40)에 접속되어 있으며, 컨트롤러(63)의 제어 아래, 1행째부터 m행째까지의 주사선(66)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화소(40)에 설치된 구동용 TFT(41; 도 2 참조)의 온 타이밍을 규정하는 선택 신호를, 선택한 주사선(66)을 통해서 공급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62)는, n개의 데이터선(68)(X1, X2, …, Xn)을 통해서 각각의 화소(40)에 접속되어 있으며, 컨트롤러(63)의 제어 아래, 화소(40)의 각각에 대응하는 1비트의 화소 데이터를 규정하는 화상 신호를 화소(40)에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소 데이터 '0'을 규정하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L)의 화상 신호를 화소(40)에 공급하고, 화소 데이터 '1'을 규정하는 경우에는 하이 레벨(H)의 화상 신호를 화소(40)에 공급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부(5)에는 또한, 공통 전원 변조 회로(64)로부터 연장되는 저전위 전원선(49), 고전위 전원선(50) 및 공통 전극 배선(55)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선은 화소(40)와 접속되어 있다. 공통 전원 변조 회로(64)는, 컨트롤러(63)의 제어 아래, 상기한 배선의 각각에 공급할 각종 신호를 생성하는 한편, 이들 각 배선의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하이 임피던스화)을 행한다.
도 2는, 화소(40)의 회로 구성도이다.
화소(40)에는, 구동용 TFT(41; Thin Film Transistor)(화소 스위칭 소자)와, 래치 회로(메모리 회로)(70)와, 전기 영동 소자(32)와, 화소 전극(35)과, 공통 전극(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소자를 둘러싸도록, 주사선(66), 데이터선(68), 저전위 전원선(49) 및 고전위 전원선(50)이 배치되어 있다. 화소(40)는, 래치 회로(70)에 의해 화상 신호를 전위로서 유지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방식의 구성이다.
구동용 TFT(41)는, N-MOS(Negative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화소 스위칭 소자이다. 구동용 TFT(41)의 게이트 단자는 주사선(66)에 접속되고, 소스 단자는 데이터선(68)에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는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에 접속되어 있다.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출력 단자 N2는 화소 전극(35)과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35)과 공통 전극(37) 사이에 전기 영동 소자(32)가 협지되어 있다. 화소(40)는, 래치 회로(70)로부터 화소 전극(35)에 입력된 전위와, 공통 전극(37)에 공통 전극 배선(55; 도 1)을 통해서 입력된 공통 전극 전위 Vcom과의 전위차에 의해 생기는 전계에 의해 전기 영동 소자(32)를 구동하고, 화상을 표시시키는 구성이다.
래치 회로(70)는, 전송 인버터(70t)와 귀환 인버터(70f)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인버터에는, 고전위 전원 단자 PH를 통해서 접속된 고전위 전원선(50)과, 저전위 전원 단자 PL을 통해서 접속된 저전위 전원선(49)으로부터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전송 인버터(70t) 및 귀환 인버터(70f)는 모두 C-MOS 인버터이며, 서로의 입력 단자에 다른 쪽의 출력 단자가 접속된 루프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전송 인버터(70t)는, 각각의 드레인 단자가 데이터 출력 단자 N2에 접속된 P-MOS(Positive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71)와 N-MOS 트랜지스터(72)를 갖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71)의 소스 단자는 고전위 전원 단자 PH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72)의 소스 단자는 저전위 전원 단자 PL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71) 및 N-MOS 트랜지스터(72)의 게이트 단자(전송 인버터(70t)의 입력 단자)는, 데이터 입력 단자 N1(귀환 인버터(70f)의 출력 단자)과 접속되어 있다.
귀환 인버터(70f)는, 각각의 드레인 단자를 데이터 입력 단자 N1에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73)와 N-MOS 트랜지스터(74)를 갖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73) 및 N-MOS 트랜지스터(74)의 게이트 단자(귀환 인버터(70f)의 입력 단자)는, 데이터 출력 단자 N2(전송 인버터(70t)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래치 회로(70)에서, 하이 레벨(H)의 화상 신호(화소 데이터 '1')가 기억되면,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출력 단자 N2로부터, 로우 레벨(L)의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래치 회로(70)에 로우 레벨(L)의 화상 신호(화소 데이터 '0')가 기억되면, 데이터 출력 단자 N2로부터 하이 레벨(H)의 신호가 출력된다.
도 3은, 표시부(5)에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의 부분 단면도이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소자 기판(30)과 대향 기판(31) 사이에,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20)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소자(32)를 협지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5)에서, 소자 기판(30)의 전기 영동 소자(32) 측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35)이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 영동 소자(32)는 접착제층(33)을 개재하여 화소 전극(35)과 접착되어 있다.
소자 기판(30)은, 글래스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이며, 화상 표시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투명한 것이 아니어도 된다. 화소 전극(35)은, Cu박 상에 니켈 도금과 금 도금을 이 순서로 적층한 것이나, Al, ITO(인듐 주석 산화물) 등에 의해 형성된 전극이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화소 전극(35)과 소자 기판(30) 사이에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주사선(66), 데이터선(68), 구동용 TFT(41), 래치 회로(70)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향 기판(31)은 글래스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이며, 화상 표시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투명 기판으로 된다. 대향 기판(31)의 전기 영동 소자(32) 측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35)과 대향하는 평면 형상의 공통 전극(37)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 전극(37) 상에 전기 영동 소자(32)가 설치되어 있다. 공통 전극(37)은, MgAg, ITO, IZO(인듐 아연 산화물) 등으로 형성된 투명 전극이다.
또한, 전기 영동 소자(32)는, 미리 대향 기판(31) 측에 형성되며, 접착제층(33)까지를 포함시킨 전기 영동 시트로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조 공정에서, 전기 영동 시트는 접착제층(33)의 표면에 보호용의 박리 시트가 접착된 상태로서 취급된다. 그리고, 별도 제조된 소자 기판(30; 화소 전극(35)이나 각종 회로 등이 형성되어 있음)에 대하여, 박리 시트를 떼어낸 해당 전기 영동 시트를 접착함으로써, 표시부(5)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접착제층(33)은 화소 전극(35) 측만에 존재하게 된다.
도 4는, 마이크로 캡슐(20)의 모식 단면도이다. 마이크로 캡슐(20)은, 예를 들면 30㎛∼50㎛ 정도의 입경을 갖고 있고, 내부에 분산매(21)와, 복수의 백색 입자(전기 영동 입자)(27)와, 복수의 흑색 입자(전기 영동 입자)(26)를 봉입한 구 형상체이다. 마이크로 캡슐(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전극(37)과 화소 전극(35)에 의해 협지되며, 1개의 화소(40) 내에 1개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20)이 배치된다.
마이크로 캡슐(20)의 외곽부(벽막)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산에틸 등의 아크릴 수지, 우레아 수지, 아라비안 고무 등의 투광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분산매(21)는, 백색 입자(27)와 흑색 입자(26)를 마이크로 캡슐(20) 내에 분산시키는 액체이다. 분산매(21)로서는, 물, 알코올계 용매(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옥탄올, 메틸셀로솔브 등), 에스테르류(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 지방족 탄화수소(펜탄, 헥산, 옥탄 등), 지환식 탄화수소(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장쇄 알칼기를 갖는 벤젠류(크실렌, 헥실 벤젠, 헵틸 벤젠, 옥틸 벤젠, 노닐 벤젠, 데실 벤젠, 운데실 벤젠, 도데실 벤젠, 트리데실 벤젠, 테트라데실 벤젠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 카르복실산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그 밖의 오일류이어도 된다. 이들 물질은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 등을 더 배합하여도 된다.
백색 입자(27)는,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아연화, 삼산화안티몬 등의 백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입자(고분자 혹은 콜로이드)이며, 예를 들면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이용된다. 흑색 입자(26)는, 예를 들면, 아닐린 블랙,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입자(고분자 혹은 콜로이드)이며, 예를 들면 플러스로 대전되어 이용된다.
이들 안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전해질, 계면 활성제, 금속 비누, 수지, 고무, 오일, 바니시, 컴파운드 등의 입자로 이루어지는 하전 제어제, 티탄계 커플링제, 알루미늄계 커플링제, 실란계 커플링제 등의 분산제, 윤활제, 안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흑색 입자(26) 및 백색 입자(27) 대신에,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안료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5)에 적색, 녹색, 청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전기 영동 소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화소(40)를 백 표시하는 경우, 도 5의 (b)는, 화소(40)를 흑 표시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에서는, 구동용 TFT(41)를 통해서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에 화상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래치 회로(70)에 화상 신호를 전위로서 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출력 단자 N2로부터 화소 전극(35)에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위가 입력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35)과 공통 전극(37)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화소(40)가 흑 또는 백 표시된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백 표시의 경우에는, 공통 전극(37)이 상대적으로 고전위, 화소 전극(35)이 상대적으로 저전위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마이너스로 대전한 백색 입자(27)가 공통 전극(37)에 가까이 당겨지는 한편, 플러스로 대전한 흑색 입자(26)가 화소 전극(35)에 가까이 당겨진다. 그 결과, 표시면 측으로 되는 공통 전극(37) 측으로부터 이 화소를 보면, 백색(W)이 인식된다.
도 5의 (b)에 도시한 흑 표시의 경우, 공통 전극(37)이 상대적으로 저전위, 화소 전극(35)이 상대적으로 고전위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플러스로 대전한 흑색 입자(26)가 공통 전극(37)에 가까이 당겨지는 한편, 마이너스로 대전한 백색 입자(27)가 화소 전극(35)에 가까이 당겨진다. 그 결과, 공통 전극(37) 측으로부터 이 화소를 보면 흑색(B)이 인식된다.
[제어부]
도 6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에 구비된 컨트롤러(63)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6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서의 제어 회로(161)와, EEPROM(Electrically-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기억부)(162)과, 전압 생성 회로(163)와, 데이터 버퍼(164)와, 프레임 메모리(165)와, 메모리 제어 회로(166)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161)는, 클럭 신호 CLK, 수평 동기 신호 Hsync, 수직 동기 신호 Vsync 등의 제어 신호(타이밍 펄스)를 생성하고, 제어 회로(161)의 주변에 배치된 각 회로에 이들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EEPROM(162)은, 제어 회로(161)에 의한 각 회로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설정값(모드 설정값이나 볼륨값) 등을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동작 모드마다의 구동 시퀀스의 설정값을 LUT(Look Up Table)로서 기억하고 있다. 또한, EEPROM(162)에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 등의 표시에 이용하는 프리셋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해 둘 수도 있다.
전압 생성 회로(163)는, 주사선 구동 회로(61), 데이터선 구동 회로(62) 및 공통 전원 변조 회로(64)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회로이다.
데이터 버퍼(164)는, 컨트롤러(63)에서의 상위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부이며, 상위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D를 유지함과 함께, 제어 회로(161)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 D를 송신한다.
프레임 메모리(165)는, 표시부(5)의 화소(40)의 배열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갖는 읽기 쓰기 가능한 메모리이다. 메모리 제어 회로(166)는, 제어 회로(161)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 D를, 제어 신호에 따라서 표시부(5)의 화소 배열에 대응시켜 전개하고, 프레임 메모리(165)에 기입한다. 프레임 메모리(165)는, 기억된 화상 데이터 D로 이루어지는 데이터군을, 화상 신호로서 순차적으로 데이터선 구동 회로(62)에 송신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62)는, 제어 회로(16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레임 메모리(165)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신호를 1라인분씩 래치한다. 그리고, 주사선 구동 회로(61)에 의한 주사선(66)의 순차 선택 동작에 동기하여, 래치한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68)에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에서는, 공통 전원 변조 회로(64)에, 고전위 전원선(50)에 대하여 복수의 전원 전위 Vdd를 절환하면서 공급하는 전압 선택 회로(64a)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의 (a)는, 전압 선택 회로(64a)의 회로 구성도이며, 도 7의 (b)는, 전압 선택 회로(64a)에 포함되는 레벨 시프터 LS1의 회로 구성도이다.
전압 선택 회로(64a)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입력 배선 SL1을 통해서 입력되는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제1 하이 레벨 전위; 예를 들면 15V)의 출력을 절환하는 제1 스위칭 회로 SC1과, 제2 입력 배선 SL2를 통해서 입력되는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제2 하이 레벨 전위; 예를 들면 5V)의 출력을 절환하는 제2 스위칭 회로 SC2와, 제3 입력 배선 SL3을 통해서 입력되는 전지 전위 VB(제3 하이 레벨 전위; 예를 들면 2V)의 출력을 절환하는 제3 스위칭 회로 SC3을 갖는다. 제1∼제3 스위칭 회로 SC1∼SC3은, 출력 배선 DL을 통해서 출력 단자 Nout와 접속되어 있다.
제1 스위칭 회로 SC1은, P-MOS 트랜지스터 PM1과 레벨 시프터 LS1을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PM1의 소스 단자에 제1 입력 배선 SL1이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에 출력 배선 DL이 접속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배선 GL1을 통해서 레벨 시프터 LS1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스위칭 회로 SC1은, 스위칭 신호 XVHSEL의 입력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스위칭 신호 XVHSEL로서 그라운드 전위(0V; 로우 레벨)의 펄스가 P-MOS 트랜지스터 PM1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면, P-MOS 트랜지스터 PM1이 온 상태로 되어 제1 입력 배선 SL1과 출력 배선 DL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가 출력 단자 Nout에 출력된다.
레벨 시프터 LS1은, P-MOS 트랜지스터 PM1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이 레벨 전위를 생성한다. 즉, 제어 회로의 전원 전위인 전지 전위 VB를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로 승압하여 게이트 배선 GL1에 공급한다.
레벨 시프터 LS1은, 예를 들면 도 7의 (b)에 도시한 회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 단자 Vin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진폭을 증폭하여 출력 단자 Vout에 출력한다. 레벨 시프터 LS1은, 소스 단자가 고전위 전원(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에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 PM11, PM12와, 소스 단자가 저전위 전원(그라운드 전위 GND)에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 NM11, NM12를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PM11의 드레인 단자는, N-MOS 트랜지스터 NM11의 드레인 단자와, P-MOS 트랜지스터 PM12의 게이트 단자와, 출력 단자 Vout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 PM12의 드레인 단자는, N-MOS 트랜지스터 NM12의 드레인 단자와, P-MOS 트랜지스터 PM11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단자 Vin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N-MOS 트랜지스터 NM12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됨과 함께, 인버터 INV1에 의해 반전된 입력 신호가 N-MOS 트랜지스터 NM11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된다.
레벨 시프터 LS1은, P-MOS 트랜지스터 PM11을 통해서 입력되는 고전위(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 또는 N-MOS 트랜지스터 NM11을 통해서 입력되는 저전위(그라운드 전위 GND)를, 각각 하이 레벨, 로우 레벨로서 출력한다.
제2 스위칭 회로 SC2는, P-MOS 트랜지스터 PM2와 레벨 시프터 LS2와 다이오드 D1을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PM2의 소스 단자에 제2 입력 배선 SL2가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에 다이오드 D1을 통해서 출력 배선 DL이 접속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배선 GL2를 통해서 레벨 시프터 LS2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1은 P-MOS 트랜지스터 PM2로부터 출력 배선 DL을 향해서 순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스위칭 회로 SC2는, 스위칭 신호 XVLSEL의 입력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스위칭 신호 XVLSEL로서 그라운드 전위(0V; 로우 레벨)의 펄스가 P-MOS 트랜지스터 PM2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면, P-MOS 트랜지스터 PM2가 온 상태로 되어 제2 입력 배선 SL2와 출력 배선 DL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이, 다이오드 D1을 통해서 출력 단자 Nout에 출력된다.
레벨 시프터 LS2는, P-MOS 트랜지스터 PM2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이 레벨 전위를 생성한다. 즉, 전지 전위 VB를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로 승압하여 게이트 배선 GL2에 공급한다.
레벨 시프터 LS2의 구체적 구성은, 도 7의 (b)에 도시한 레벨 시프터 LS1과 마찬가지이지만, 고전위 전원으로부터는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이 공급된다. 따라서, 레벨 시프터 LS2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에는 내압 10V 이상의 고내압 트랜지스터는 불필요하며, 모두 내압 5∼6V 정도의 저내압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스위칭 회로 SC3은, P-MOS 트랜지스터 PM3과 다이오드 D2를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PM3의 소스 단자에 제3 입력 배선 SL3이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에 다이오드 D2를 통해서 출력 배선 DL이 접속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배선 GL3이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2는 P-MOS 트랜지스터 PM3으로부터 출력 배선 DL을 향해서 순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3 스위칭 회로 SC3은, 스위칭 신호 XVBSEL의 입력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스위칭 신호 XVBSEL로서 그라운드 전위(0V; 로우 레벨)의 펄스가 P-MOS 트랜지스터 PM3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면, P-MOS 트랜지스터 PM3이 온 상태로 되어 제3 입력 배선 SL3과 출력 배선 DL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지 전위 VB가, 다이오드 D2를 통해서 출력 단자 Nout에 출력된다. 제3 스위칭 회로 SC3에서는, 게이트 배선 GL3에 레벨 시프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전압 선택 회로(64a)는, 제2 스위칭 회로 SC2, SC3에, 다이오드 D1, D2가 각각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사용하는 고내압 트랜지스터의 수를 적게 하여, 회로 면적의 축소와 리크 전류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선, 제2 및 제3 스위칭 회로 SC2, SC3에서, 제1 스위칭 회로 SC1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를 다이오드 D1, D2에 의해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 PM2, PM3에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예를 들면, 5V)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저내압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P-MOS 트랜지스터 PM2, PM3을 형성할 수 있어,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 PM2에서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를 차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2 스위칭 회로 SC2에 설치된 레벨 시프터 LS2에, 전지 전위 VB를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로 승압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벨 시프터 LS2를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일 없이 구성할 수 있어, 레벨 시프터 LS2의 사이즈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제3 스위칭 회로 SC3의 P-MOS 트랜지스터 PM3에는, 전원계의 최저 전압인 전지 전위 VB만이 입력되기 때문에, 레벨 시프터는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전압 선택 회로(64a)에서는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는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1개의 스위칭 회로에만 설치하면 되며, 게다가 레벨 시프터의 수도 적기 때문에, 회로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리크 전류가 큰 고내압 트랜지스터의 수가 적기 때문에, 회로 전체로서의 리크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선택 회로(64a)에서는 다이오드 D1, D2가 설치되어 있지만, 다이오드는 트랜지스터보다도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리크 전류도 적으므로, 제2 스위칭 회로 SC2의 P-MOS 트랜지스터 PM2나 제3 스위칭 회로 SC3의 P-MOS 트랜지스터 PM3을 고내압 트랜지스터로 한 구성보다도 회로 면적은 작고, 또한 리크 전류도 적게 된다. 또한, 다이오드는 구조가 간소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레이아웃 공정수도 적게 된다.
다만, 다이오드는 순방향 전압 Vf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입력 전압에 따라서는 0.2∼0.6V 정도의 전압 강하가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2 스위칭 회로 SC2에 입력하는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은, 상기한 전압 강하분을 예측하여 약간 높은 전위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출력 단자 Nout에서 5V의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압 선택 회로(64a)에 공급하는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은 5.5V 정도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도 래치 회로(70)에의 화상 신호의 기입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라면, 입력 전위의 조정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3 스위칭 회로 SC3에서도, 다이오드 D2에서 전압 강하가 생기지만, 제3 스위칭 회로 SC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지 전위 VB는, 후술하는 화상 유지 스텝 ST3에서의 래치 회로(70)의 전위 유지에만 사용된다. 그리고, 안정 상태의 래치 회로(70)에는 대부분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다이오드 D2에 흐르는 전류도 작아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순방향 전류에 의존하는 순방향 전압 Vf도 작아지게 되어, 래치 회로(70)의 기억 내용이 상실될 정도의 전압 강하는 생기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다만, 전압 강하가 작아도 래치 회로(70)의 전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2 스위칭 회로 SC2와 마찬가지로, 입력 전위를 약간 높게 설정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구동 방법]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구비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방법은, 화소(40)의 래치 회로(70)에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화상 신호 입력 스텝 ST1(화상 신호 입력 기간)과, 기입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부(5)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 ST2(화상 표시 기간)와, 표시한 화상을 유지하는 제1 화상 유지 스텝 ST3(화상 유지 기간)과,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회복하는 리프레시 스텝 ST4(리프레시 기간)와, 제2 화상 유지 스텝 ST5(화상 유지 기간)를 갖는다.
도 9는, 도 8에 대응하는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도 10은,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2개의 화소(40A, 40B)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각 부호의 'A' 'B' 'a' 'b'의 첨자는, 설명의 대상으로 한 2개의 화소(40(40A, 40B))와, 그들에 속하는 구성 요소를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서 붙인 것으로 다른 의미는 없다.
도 9에는, 주사선(66)의 전위 G, 고전위 전원선(50)의 전위 Vdd, 저전위 전원선(49)의 전위 Vss, 래치 회로(70a)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a의 전위, 래치 회로(70b)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b의 전위, 공통 전극(37)의 전위 Vcom, 화소 전극(35a)의 전위 Va, 화소 전극(35b)의 전위 Vb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화소(40A)는, 후술하는 화상 표시 스텝에서 흑 표시되는 화소를 나타내고, 화소(40B)는 백 표시되는 화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화상 신호 입력 스텝 ST1에서, 고전위 전원선(50; Vdd)에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예를 들면, 5V)이 공급된다. 즉, 도 7의 (a)에 도시한 전압 선택 회로(64a)에서, 제2 스위칭 회로 SC2만을 온 상태로 하는 스위칭 신호 XVLSEL(로우 레벨)이 입력되고, 출력 단자 Nout로부터 고전위 전원선(50)에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이 입력된다.
또한, 저전위 전원선(49; Vss)에는 그라운드 전위 GND(0V; 로우 레벨)가 입력되어 있다. 공통 전극(37)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이다.
또한, 컨트롤러(63)에서, 데이터 버퍼(164)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 D가 제어 회로(161)에 의해 메모리 제어 회로(166)에 공급되고, 메모리 제어 회로(166)는 화상 데이터 D를 프레임 메모리(165)에 전개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 D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부(5)에 표시시키는 준비가 완료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40)의 래치 회로(70)에 화상 신호가 입력된다. 즉, 주사선(66)에 선택 신호인 하이 레벨(H)의 펄스가 입력되고, 이러한 주사선(66)에 접속된 구동용 TFT(41)가 온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선(68)과 래치 회로(70)가 접속되고, 프레임 메모리(165)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신호가 래치 회로(70)에 입력된다.
화소(40A)에서는, 구동용 TFT(41a)를 통해서 데이터선(68a)으로부터 래치 회로(70a)에, 흑 표시(화소 데이터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그라운드 전위 GND; 0V)의 화상 신호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래치 회로(70a)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a의 전위가 그라운드 전위 GND, 데이터 출력 단자 N2a의 전위가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로 된다.
한편, 화소(40B)에서는, 구동용 TFT(41b)를 통해서 데이터선(68b)으로부터 래치 회로(70b)에, 백 표시(화소 데이터 '1')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의 화상 신호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래치 회로(70b)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b의 전위가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 데이터 출력 단자 N2b의 전위가 그라운드 전위 GND(로우 레벨)로 된다.
또한, 화상 신호 입력 스텝 ST1에서, 래치 회로(70a)와 접속된 화소 전극(35a)의 전위는,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로 되고, 래치 회로(70b)와 접속된 화소 전극(35b)의 전위는 그라운드 전위 GND로 되지만, 공통 전극(37)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이기 때문에, 전기 영동 소자(32)의 표시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화소(40A, 40B)에 각각 화상 신호가 입력되면, 화상 표시 스텝 ST2로 이행한다.
화상 표시 스텝 ST2에서는, 고전위 전원선(50)의 전위 Vdd가, 화소 기입용 하이 레벨 전위 VL(예를 들면, 5V)로부터 전기 영동 소자(3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예를 들면, 15V)로 끌어올려진다. 즉, 전압 선택 회로(64a)에서, 제2 스위칭 회로 SC2가 오프 상태로 됨과 함께 제1 스위칭 회로 SC1이 온 상태로 되어, 출력 단자 Nout로부터 고전위 전원선(50)에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가 입력된다.
저전위 전원선(49)의 전위 Vss는 그라운드 전위 GND(0V)로 된다. 또한, 공통 전극(37)에는,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와 그라운드 전위 GND를 소정 주기에서 반복하는 사각 형상의 펄스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화소(40A)에서는, 래치 회로(70a)의 데이터 출력 단자 N2a의 전위가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로 상승하고, 화소 전극(35a)의 전위 Va가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로 된다. 그리고, 사각 형상의 펄스가 입력된 공통 전극(37)이 그라운드 전위 GND인 기간에, 화소 전극(35a)과 공통 전극(37)의 전위차에 의해 전기 영동 소자(32)가 구동된다. 즉,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스로 대전한 흑색 입자(26)가 공통 전극(37) 측에 가까이 당겨지고, 마이너스로 대전한 백색 입자(27)가 화소 전극(35a) 측에 가까이 당겨져서, 화소(40A)가 흑 표시된다.
한편, 화소(40B)에서는,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출력 단자 N2b는 그라운드 전위 GND이기 때문에, 화소 전극(35b)의 전위 Vb도 그라운드 전위 GND로 된다. 그리고, 공통 전극(37)이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인 기간에, 화소 전극(35b)과 공통 전극(37)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전기 영동 소자(32)가 구동된다. 즉,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너스로 대전한 백색 입자(27)가 공통 전극(37) 측에 가까이 당겨지고, 플러스로 대전한 흑색 입자(26)가 화소 전극(35a) 측에 가까이 당겨져서, 화소(40B)가 백 표시된다.
이상의 화상 신호 입력 스텝 ST1 및 화상 표시 스텝 ST2에서의 일련의 동작에 의해, 화상 데이터 D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부(5)에 표시시킬 수 있다.
화상 표시 동작이 종료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상 유지 스텝 ST3으로 이행한다.
제1 화상 유지 스텝 ST3에서는, 공통 전극(37)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또한, 전압 선택 회로(64a)에서 제1 스위칭 회로 SC1이 오프 상태로 됨과 함께 제3 스위칭 회로 SC3이 온 상태로 되고, 이것에 의해 래치 회로(70)의 고전위 전원 단자 PH가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로부터 전지 전위 VB로 강압된다. 즉, 래치 회로(70)는 전지 전위 VB(예를 들면, 2V)에 의해 구동되는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화상 신호 입력 스텝 ST1에서 입력된 화상 신호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1 화상 유지 스텝 ST3에서, 래치 회로(70)가 전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화소 전극(35a)의 전위 Va는 전지 전위 VB로 되고, 화소 전극(35b)의 전위 Vb는 그라운드 전위 GND로 되지만, 공통 전극(37)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이기 때문에 전기 영동 소자(32)가 구동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1 화상 유지 스텝 ST3에서 표시부(5)의 표시가 변화하는 일은 없다. 이것은, 제2 화상 유지 스텝 ST5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1 화상 유지 스텝 ST3으로 이행한 후,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리프레시 스텝 ST4로 이행한다.
리프레시 스텝 ST4에서는, 전압 선택 회로(64a)에서 제3 스위칭 회로 SC3이 오프 상태로 됨과 함께 제1 스위칭 회로 SC1이 온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위 전원선(50)의 전위 Vdd가 다시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로 끌어올려진다. 또한, 공통 전극(37)에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와 그라운드 전위 GND를 소정 주기에서 반복하는 사각 형상의 펄스가 입력된다.
그렇게 하면, 공통 전극(37)이 그라운드 전위 GND인 기간에, 화소 전극(35(35a))과 공통 전극(37)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전기 영동 소자(32)가 구동되어, 해당 화소(40(40A))가 흑 표시된다. 이 흑 표시 동작에 의해, 흑 표시의 화소(40(40A))에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저하되고 있던 콘트라스트를, 화상 표시 스텝 ST2 직후의 상태로까지 회복할 수 있다.
한편, 공통 전극(37)이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인 기간에, 화소 전극(35(35b))과 공통 전극(37)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전기 영동 소자(32)가 구동되어, 해당 화소(40(40B))가 백 표시된다. 이 백 표시 동작에 의해, 백 표시의 화소(40(40B))에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저하되고 있던 콘트라스트를, 화상 표시 스텝 ST2 직후의 상태로까지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공통 전극(37)에 대하여 2주기분의 펄스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리프레시 스텝 ST4에서 공통 전극(37)에 입력되는 펄스는,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의 기간과 그라운드 전위 GND의 기간이 적어도 1회씩 설정되어 있으면 되며, 2주기를 초과하여 길게 할 수도 있다.
리프레시 스텝 ST4에서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회복시킨 후에는, 제2 화상 유지 스텝 ST5로 이행한다. 래치 회로(70)의 전원 전압을 다시 전지 전위 VB(하이 레벨)로 저하시켜 최소한의 소비 전력으로 화상 신호를 유지하면서, 공통 전극(37)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하여 표시 화상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한다. 그 후에는, 리프레시 스텝 ST4와 소정 기간의 화상 유지 스텝 ST5(ST3)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세히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화상 표시 스텝 ST2의 후에, 화상 유지 스텝 ST3과 리프레시 스텝 ST4를 설정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표시 화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유지 스텝 ST3에서, 래치 회로(70)의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 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래치 회로(70)에 대한 재차의 화상 신호 입력을 행하지 않고, 리프레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어, 화상 신호의 전송에 의한 전력 소비를 없앨 수 있다.
또한, 화상 유지 스텝 ST3에서는 고전위 전원 단자 PH의 전위 Vdd를 전지 전위 VB로까지 내리고, 래치 회로(70)의 구동 전압을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의 최저 전압으로까지 내리고 있으므로, 화상 유지 스텝 ST3, ST5에서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에서는, 도 7에 도시한 전압 선택 회로(64a)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전위 전원선(50)에 대하여 전지 전위 VB를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유지 스텝 ST3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시간을 길게 하면 콘트라스트의 저하 폭이 크게 되고, 그에 수반하여 리프레시 스텝 ST4에서의 전기 영동 소자(32)의 구동 시간을 길게 해야만 된다. 또한, 리프레시 동작에 의한 콘트라스트 변화가 크게 되어, 눈에 띄어 시인되기 쉬어진다. 따라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과도하게 생기지 않는 시점에서 리프레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화상 유지 스텝 ST3의 길이를 설정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방법에서는, 화상 표시 스텝 ST2에서, 공통 전극(37)에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와 그라운드 전위 GND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사각 형상의 펄스를 복수 주기분 입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동 방법을, 본 출원에서는 '커먼 스윙 구동'이라고 한다. 커먼 스윙 구동의 정의로서는, 화상 표시 스텝 ST2에서, 공통 전극(37)에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하이 레벨)와 그라운드 전위 GND(로우 레벨)를 반복하는 펄스가 적어도 1주기 이상 인가되는 구동 방법이다.
이 커먼 스윙 구동 방법에 의하면, 흑색 입자와 백색 입자를 보다 확실하게 원하는 전극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에 인가하는 전위를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와 그라운드 전위 GND의 2치에 의해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저전압화가 도모됨과 함께, 회로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35)의 스위칭 소자로서 TFT를 이용한 경우에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TFT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커먼 스윙 구동의 주파수 및 주기수는, 전기 영동 소자(32)의 사양 및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상 표시 스텝 ST2에서 커먼 스윙 구동을 행하지 않는 구동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화상 표시 스텝 ST2를, 흑색 화상 표시 기간과 백색 화상 표시 기간으로 분할하고, 흑색 화상 표시 기간에서는 공통 전극(37)을 그라운드 전위 GND로 고정하고, 백색 화상 표시 기간에서는 공통 전극(37)을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흑색 화상 표시 기간에서 화소(40A)가 흑 표시되고, 백색 화상 표시 기간에서 화소(40B)가 백 표시되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부(5)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의 화소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 앞의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에서는, 표시부(5)에 화소(140)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화소(140)에는, 공통 전원 변조 회로(64)로부터 연장되는 제1 제어선(91)과 제2 제어선(92)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화소(140)에 접속된 다른 배선(주사선(66), 데이터선(68), 공통 전극 배선(55), 고전위 전원선(50), 저전위 전원선(49))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의 화소(140)는, 도 2의 화소(40)의 구성 외에, 래치 회로(70)와 화소 전극(35) 사이에 개삽된 스위치 회로(80)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회로(80)는,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 TG1과,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 TG2를 갖는다.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 TG1은, P-MOS 트랜지스터(81)와 N-MOS 트랜지스터(82)를 갖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81) 및 N-MOS 트랜지스터(82)의 소스 단자는 제1 제어선(91)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는 화소 전극(35)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81)의 게이트 단자는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구동용 TFT(41)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82)의 게이트 단자는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출력 단자 N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 TG2는, P-MOS 트랜지스터(83)와 N-MOS 트랜지스터(84)를 갖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83) 및 N-MOS 트랜지스터(84)의 소스 단자는 제2 제어선(92)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는 화소 전극(35)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83)의 게이트 단자는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출력 단자 N2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84)의 게이트 단자는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에서 표시부(5)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구동용 TFT(41)를 통해서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에 화상 신호를 입력하고, 래치 회로(70)에 화상 신호를 전위로서 기억시킨다. 그렇게 하면, 래치 회로(70)의 데이터 입력 단자 N1 및 데이터 출력 단자 N2로부터 출력되는 전위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스위치 회로(80)에 의해, 제1 제어선(91) 또는 제2 제어선(92)과, 화소 전극(35)이 접속된다. 그 결과, 제1 또는 제2 제어선(91, 92)으로부터 화소 전극(35)에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위가 입력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35)과 공통 전극(37)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화소(140)가 흑 또는 백 표시된다.
도 13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참조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구동 방법에 의해 흑 표시되는 화소(140A)와 백 표시되는 화소(140B)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참조한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3에는, 도 9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밍차트 외에, 제1 제어선(91)의 전위 S1과, 제2 제어선(92)의 전위 S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에 대해서도, 도 8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화소(140)의 래치 회로(70)에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화상 신호 입력 스텝 ST1과, 기입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부(5)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 ST2와, 표시한 화상을 유지하는 제1 화상 유지 스텝 ST3과,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회복하는 리프레시 스텝 ST4와, 제2 화상 유지 스텝 ST5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구동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의 구동 방법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스텝 ST2를 흑색 화상 표시 스텝 ST21과 백색 화상 표시 스텝 ST22로 분할하고, 각각의 기간에서 흑 표시와 백 표시를 행함으로써 표시부(5)에 화상을 표시하는 구동 방법으로 하고 있다.
흑색 화상 표시 스텝 ST21에서는, 제1 제어선(91)에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가 입력되는 한편, 제2 제어선(92)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화소(140A)의 화소 전극(35a)의 전위 Va가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로 되는 한편, 화소(140B)의 화소 전극(35b)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따라서, 화소(140A)에 속하는 전기 영동 소자(32)만이 구동되어, 화소(140A)가 흑 표시된다.
한편, 백색 화상 표시 스텝 ST22에서는, 제1 제어선(91)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되고, 제2 제어선(92)에 그라운드 전위 GND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화소(140B)의 화소 전극(35b)의 전위 Vb가 그라운드 전위 GND로 되는 한편, 화소(140A)의 화소 전극(35a)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따라서, 화소(140B)에 속하는 전기 영동 소자(32)만이 구동되어, 화소(140B)가 백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부(5)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한 구동 방법에 의하면, 화상 표시 스텝 ST2에서 제1 제어선(91)과 제2 제어선(92) 중 어느 한쪽이 반드시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인접하여 배치된 화소 전극(35a, 35b) 간의 전위차에 의해 접착제층(33)이나 마이크로 캡슐(20)을 통한 리크 전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 절약화성이 더 우수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유지 스텝 ST3, ST5에서 제1 및 제2 제어선(91, 92)의 쌍방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래치 회로(70)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제어선(91, 9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화소 전극(35)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되므로, 화상 유지 스텝 ST3, ST5에서도 리크 전류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에서는, 화소 전극(35)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또는 제2 제어선(91, 92)으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리프레시 스텝 ST4에서 제1 및 제2 제어선(91, 92)의 쌍방에 전위를 입력하고 있다. 리프레시 스텝 ST4는 단시간에 종료하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제어선(91, 92)의 쌍방에 전위를 입력하여도 리크 전류의 발생은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보다 확실하게 리크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상 표시 스텝 ST2와 마찬가지로, 리프레시 스텝 ST4를 흑색 화상 표시 스텝과 백색 화상 표시 스텝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스텝에서 제1 및 제2 제어선(91, 92) 중 어느 하나에 전위를 입력하는 한편, 다른 쪽의 제어선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200)에서는, 래치 회로(70)와 화소 전극(35) 사이에, 스위치 회로(80)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회로(80)에 접속된 제1 및 제2 제어선(91, 92)의 전위를 조작함으로써, 래치 회로(70)의 유지 전위에 상관없이 표시부(5)의 표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제어선(91, 92)의 쌍방에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를 입력하면, 모든 화소(140)의 화소 전극(35)에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공통 전극(37)에 그라운드 전위 GND(로우 레벨)를 입력하면, 표시부(5)를 전체면 흑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제어선(91, 92)의 쌍방에 그라운드 전위 GND(로우 레벨)를 입력하고, 공통 전극(37)에 구동용 하이 레벨 전위 VH를 입력하면, 표시부(5)를 전체면 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래치 회로(70)에 화상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표시부(5)의 소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전자 기기]
다음으로,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 200)를, 전자 기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손목 시계(1000)의 정면도이다. 손목 시계(1000)는, 시계 케이스(1002)와, 시계 케이스(1002)에 연결된 한 쌍의 밴드(1003)를 구비하고 있다.
시계 케이스(1002)의 정면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200))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005)와, 초침(1021)과, 분침(1022)과, 시침(1023)이 설치되어 있다. 시계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조작자로서의 용두(1010)와 조작 버튼(1011)이 설치되어 있다. 용두(1010)는,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태엽축(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으며, 태엽축과 일체로 되어 다단계(예를 들면, 2단계)로 당기고 밀기가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005)에서는, 배경으로 되는 화상, 날짜나 시간 등의 문자열, 혹은 초침, 분침, 시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전자 페이퍼(1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자 페이퍼(1100)는,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200))를 표시 영역(1101)에 구비하고 있다. 전자 페이퍼(1100)는 가요성을 갖고, 종래의 종이와 마찬가지의 질감 및 유연성을 갖는 재기입 가능한 시트로 이루어지는 본체(110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7은, 전자 노트(1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자 노트(1200)는, 상기한 전자 페이퍼(1100)가 복수매 묶여져, 커버(1201)에 끼워져 있는 것이다. 커버(1201)는, 예를 들면 외부의 장치로부터 보내어지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는 표시 데이터 입력 수단(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그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전자 페이퍼가 묶여진 상태 그대로, 표시 내용의 변경이나 갱신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손목 시계(1000), 전자 페이퍼(1100) 및 전자 노트(1200)에 의하면, 표시부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200))가 채용되어 있으므로, 전력 절약화성이 우수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 된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한 전자 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휴대용 오디오 기기 등의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한 쌍의 기판간에 전기 영동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소자를 협지하고,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마다, 화소 전극과, 화소 스위칭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래치 회로가 설치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 스텝과, 표시된 상기 화상을 유지하는 화상 유지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상기 화상을 재표시시키는 리프레시 스텝을 갖고,
    상기 화상 유지 스텝에서, 상기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을, 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된 전원계의 최저 전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전압이, 상기 전원계에 설치된 전지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스텝에서, 상기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을, 상기 최저 전압으로부터 상기 전기 영동 소자를 구동 가능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4. 한 쌍의 기판간에 전기 영동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소자를 협지하고,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마다, 화소 전극과, 화소 스위칭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래치 회로가 설치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기간과, 표시된 상기 화상을 유지하는 화상 유지 기간과, 상기 표시부에 화상을 재표시시키는 리프레시 기간을 갖고,
    상기 화상 유지 기간에서, 상기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이, 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구비된 전원성의 최저 전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전압이, 상기 전원계에 설치된 전지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에 복수의 전원 전압을 선택 공급하는 전압 선택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선택 회로가, 최고 전위인 제1 하이 레벨 전위와, 제2 하이 레벨 전위와, 최저 전위인 제3 하이 레벨 전위를 출력 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 가능하며,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제1 하이 레벨 전위를 공급하는 제1 스위칭 회로가, 고내압 트랜지스터와 그 고내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 레벨 시프터를 갖고,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제2 하이 레벨 전위를 공급하는 제2 스위칭 회로가, 제1 저내압 트랜지스터와 그 제1 저내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 레벨 시프터와, 상기 제1 저내압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개삽(介揷)된 다이오드를 갖고,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제3 하이 레벨 전위를 공급하는 제3 스위칭 회로가, 제2 저내압 트랜지스터와 그 제2 저내압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개삽된 다이오드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7. 제4항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90024397A 2008-03-24 2009-03-23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전자 기기 KR20090101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5438A JP2009229832A (ja) 2008-03-24 2008-03-24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8-075438 2008-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841A true KR20090101841A (ko) 2009-09-29

Family

ID=4108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397A KR20090101841A (ko) 2008-03-24 2009-03-23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37393A1 (ko)
JP (1) JP2009229832A (ko)
KR (1) KR20090101841A (ko)
CN (1) CN1015465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2217B2 (ja) * 2008-03-24 2013-08-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圧選択回路、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581677B2 (ja) * 2009-12-04 2014-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2376262B (zh) * 2010-08-17 2015-07-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电子墨水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驱动装置
KR101894768B1 (ko) * 2011-03-14 2018-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3156392A (ja) 2012-01-30 2013-08-1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回路
CN102646394B (zh) * 2012-04-27 2015-09-23 福州瑞芯微电子有限公司 电泳显示方法
JP2015169902A (ja) * 2014-03-10 2015-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15184521A (ja) * 2014-03-25 2015-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駆動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方法
KR102204378B1 (ko) * 2014-09-04 2021-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6857982B2 (ja) * 2016-08-10 2021-04-14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CN109427282B (zh) * 2017-09-01 2021-11-0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器装置
CN111292702B (zh) * 2020-03-31 2022-04-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13838412B (zh) * 2021-10-15 2023-06-13 四川启睿克科技有限公司 电致发光显示器件的像素驱动电路及其像素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5300B2 (ja) * 2001-09-07 2011-10-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気泳動型表示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200511178A (en) * 2003-08-25 2005-03-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ompensating image instability and improving greyscale accuracy for electrophoretic displays
JP4529139B2 (ja) * 2005-08-31 2010-08-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コントローラ、電気泳動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556244B2 (ja) * 2006-01-20 2010-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4631768B2 (ja) * 2006-03-22 2011-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泳動装置の駆動方法
JP2008033241A (ja) * 2006-07-04 2008-02-14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装置、電気泳動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JP5262217B2 (ja) * 2008-03-24 2013-08-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圧選択回路、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7393A1 (en) 2009-09-24
JP2009229832A (ja) 2009-10-08
CN101546523A (zh)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1841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전자 기기
JP5262217B2 (ja) 電圧選択回路、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499238B (zh) 电泳显示装置的驱动方法、电泳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20080088469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090082157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전자 기기
KR20090051706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US8610748B2 (en) Driving method for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1150010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JP5568975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JP5375007B2 (ja) マトリクス装置の駆動回路、マトリクス装置、画像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150009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JP5304324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45859A (ja)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9294617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9288685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262539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459617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45479A (ja) マトリクス装置の駆動回路、マトリクス装置、画像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224140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98689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1257595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電子機器
JP2009134244A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22600A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103750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 기기
JP2011257593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