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827A - 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827A
KR20090101827A KR1020090019676A KR20090019676A KR20090101827A KR 20090101827 A KR20090101827 A KR 20090101827A KR 1020090019676 A KR1020090019676 A KR 1020090019676A KR 20090019676 A KR20090019676 A KR 20090019676A KR 20090101827 A KR20090101827 A KR 20090101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controlled device
host
dbd
w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309B1 (ko
Inventor
타다시 에구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BD에 의한 불필요한 비콘 송신을 없애고,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기기의 전력소모를 억제한다. 본 발명은, 무선 USB를 거쳐서 DBD와 무선통신하는 호스트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통신제어방법은, DBD가 기동했을 경우에, DBD에 캡처 패킷 커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수신한 캡처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호스트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의 유무를 판단하는 공정과, 상기 호스트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기동한 DBD에 대하여, 상기 호스트와 동기한 무선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비콘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UWB(Ultra Wide Band)을 사용한 무선 USB에 의한 무선통신이 주목받고 있다(예를 들면, Wireless Ultra Serial Bus Specification 1.0 참조).
무선 USB는, 자립 분산형의 Wimedia 프로토콜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한편, 호스트를 제어국으로서 사용하는 중앙 제어형의 무선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USB에서는, 호스트(제어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기기로서 "디바이스"(피제어장치)가 정의되어 있다. 디바이스로서는,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디바이스("Wimedia 디바이스")와,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지 않는 디바이스("비Wimedia 디바이스")가 있다. 전자의 디바이스로서는, 셀프 비코닝 디바이스(SBD;self beaconing device)가 있고, 후자의 디바이스로서는, 디렉티드 비코닝 디바이스(DBD;directed beaconing device)가 있다.
SBD는,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비콘의 송수신을 자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DBD는,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비콘의 송신을 자립적으로 행할 수는 없지만, 호스트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비콘을 송신하는 것은 가능하다.
무선 USB에서는, 각 디바이스는 서로 공존하기 위해서 호스트로부터 송신되는 MMC(Micro-scheduled Management Command)에 의거하여 동기화한다.
또는, 디바이스는 호스트와 동기화되는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면, SBD나 DBD등)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에 의거하여 호스트와 동기화한다. 예를 들면, 호스트의 무선 통신범위 밖에 있는 Wimedia 디바이스가, 호스트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디바이스를 거쳐서 호스트와 동기화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를, 이하에서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라고 칭할 것이다.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기동과 동시에 자립적으로 비콘 송신을 시작한다. 그렇지만, 디바이스는 호스트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존재하기 때문에, 호스트에 의해 직접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디바이스는 호스트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디바이스(SBD, DBD 등)를 거쳐서 호스트에 의해 인식될 수 있고, 해당 소정의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비콘에 의거하여 호스트와 동기화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는,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서로 동기화하고 있다.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디바이스(예를 들면, 호스트, Wimedia 디바이스(SBD), 또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는, 계속적으로 송수신되는 비콘을 사용해서 호스트와 동기화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비Wimedia 디바이스(DBD)는, 자립적으로 비콘을 송신할 수도 없고, 또 수신한 비콘을 이해하는 것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디바이스는 호스트에 의해 송신된 MMC(Micro-scheduled Management Command)을 직접 검출함으로써,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디바이스의 동기화를 확보한다.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기기 중, 다른 Wimedia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호스트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을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다른 Wimedia 디바이스는 호스트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있는 비코닝 디바이스(SBD 또는 DBD)를 거쳐서, 호스트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의 내용을 인식하고, 호스트와 동기화한다.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SBD을 거쳐서 비콘의 내용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SBD로부터 계속적으로 송신되는 비콘을 수신함으로써 호스트와 동기화할 수 있다.
그렇지만, DBD는, 자립적으로 비콘을 송신할 수 없다. 이 때문에, DBD을 거쳐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동기시키기 위해서는, 호스트가, DBD에 대하여 비콘 송신의 시작을 지시해야만 한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가 DBD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비콘 송신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그렇지만, 무선 USB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태에 근거해서 DBD에게 비콘을 송신시켜야 할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구성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 즉, 어떤 조건으로 DBD에게 비콘 송신을 개시시킬지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설계자가 행하는 설정에 맡겨져 있다.
이 때문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상태(디바이스 구성이나 각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상태)에 의존해서, DBD가 불필요하게 비콘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의 DBD가 비콘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디바이스가 비콘 송신을 이미 시작했기 때문에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호스트와 동기화는 경우에는, DBD에 의한 비콘 송신이 중복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대하여 중복해서 행하는 비콘 송신은, 불필요한 비콘 송신이다.
이러한 불필요한 비콘 송신을 행하는 DBD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DBD은 자신의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덧붙여, 비콘 송신을 행하는 디바이스의 수가 증가하면, 그것에 비례해서 비콘 페리오드(period)도 길어진다. 이 때문에, 비콘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도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피제어장치에 의한 불필요한 비콘 송신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피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제어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가 캡처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제1의 지시수단과, 상기 제1의 지시수단의 지시에 따라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캡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복수의 피제어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캡처 신호에 의거하여,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비콘을 송신하도록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제2의 지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피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은, 상기 피제어장치가 캡처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스텝과, 상기 캡처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지시스텝에 있어서의 지시에 따라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캡처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스텝에 있어서 복수의 피제어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캡처 신호에 의거하여,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스텝과, 비콘을 송신하도록 상기 결정스텝에 있어서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스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제어장치에 의한 불필요한 비콘 송신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다.
도 2는, 무선 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비콘 페리오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비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 5는, 데이터 통신용 타임 슬롯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 6a 및 6b는, 호스트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와, 대응하는 DBD에 의한 호스트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은,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와, 대응하는 DBD에 의한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0은,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비콘 슬롯의 점유 상태의 변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비콘 슬롯의 점유 상태의 변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1. 호스트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컨트롤러(10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통신 제어 기능을 실현한다. 컨트롤러(101)는, CPU(102)를 포함하고, ROM(103)에 저장되는 무선통신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통신 제어 기능을 실현한다.
실현되는 통신 제어 기능은, 디바이스 기동시에 디바이스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 접속 처리 기능과, 무선 접속 후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통신 처리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제어 기능은 무선통신 중의 DBD에 의한 비콘 송신을 제어하는 비콘 송신 제어 처리 기능도 포함한다.
비콘 송신 제어 처리 기능은, 또한, DBD에 대하여 각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감시시키기 위한 커맨드(카운트 패킷 커맨드)를 DBD에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또한, 그 기능은 DBD에 대하여 수신한 모든 신호를 캡처(획득)시키기 위한 커맨드(캡처 패킷 커맨드;capture packet command)를 DBD에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또한, 그 기능은 해당 캡처 패킷 커맨드에 응답해서 DBD로부터 송신된 캡처 신호를 해석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덧붙여, 이 기능은 해석 결과에 의거하여 호스트(100)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DBD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비콘 송신의 시작을 지시하는 비콘 송신 커맨드를 DBD에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RAM(104)은 CPU(102)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작업 영역을 제공한다. 무선 인터페이스(105)는 컨트롤러(101)로부터 출력된 송신 신호를, 안테나(106)를 거쳐서 송신하거나, 안테나(106)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를 컨트롤러(101)로 처리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호스트(100) 이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기기(SBD 및 DBD)는, 호스트(100)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SBD 또는 DBD의 통신 제어 기능은, 적어도 호스트(100)를 무선 접속하기 위한 무선 접속 처리 기능 및 호스트(10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DBD의 통신 제어 기능은, 호스트(100)로부터의 커맨드에 의거하여 비콘 송신을 제어하는 비콘 송신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2.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기기들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통신 영역을 공유하는 방법>
다음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각 기기(호스트 및 SBD)를 동기화시키는 방법과, 통신 영역을 공유하는 방법에 관하여, 각 기기가 사용하는 무선 프레임의 구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무선 프레임의 전체 구성
도 2는 무선 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기기는,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고정 시간 길이의 슈퍼 프레임(super frame)에 근거해서 동기화하고 있다.
슈퍼 프레임은 약 65msec의 시간 길이를 갖고, 256개의 타임 슬롯으로 등간격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타임 슬롯 중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용 타임 슬롯의 사용권은,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각 기기가 서로 비콘을 교환함으로써 조정된다.
슈퍼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대응하는 1개 이상의 타임 슬롯은, 각 기기가 비콘을 송신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확보된다. 상기 영역은 비콘 페리오드(페리오드)라고 부르고 있다.
(2)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비콘 페리오드의 구성
도 3은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비콘 페리오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콘 페리오드는, 약 85μsec의 길이를 각각 갖는 복수의 비콘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콘 페리오드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기기의 수에 의존하는 가변 길이를 갖는다.
비콘 페리오드의 시작 시점은, BPST(Beacon Period Start Time)이라고 부르고 있다. 즉, 이 BPST는, 슈퍼 프레임의 시작 시점이기도 한다.
1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기(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기기)는, 슈퍼 프레임의 시작 시점에 대응하는 BPST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각 기기가 송신하는 비콘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3) 비콘의 구성
도 4는 비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기기는 자신의 비콘 내에, 기기의 어드레스(401) 및 비콘 송신을 위해 기기가 사용하고 있는 비콘 슬롯 번호(402)를 가지고 있다.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기기는 비콘을 수신하면, 비콘의 내용을 해석한다. 기기는 실제로 비콘을 수신한 시점과 비콘에 포함되어 있는 비콘 슬롯 번호(402)에 의거하여, 비콘을 송신한 기기에 의해 인식된 BPST를 산출한다.
이렇게,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각 기기는, 다른 기기에 의해 인식된 BPST을 판정하고, 이 BPST를 슈퍼 프레임의 시작 기준점으로서 정의함으로써, 서로 동기화하고 있다.
또한,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각 기기는, 자신의 비콘 내에, 다른 인식된 기기의 어드레스를 비콘 슬롯 번호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비콘 슬롯 점유 정보(403)를 포함한다.
도 4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비콘에는, 또한 DRP(Distributed Reservation Protocol) 예약 정보로서, 프라이빗 예약이나 디바이스 지정 예약 등의 예약을 의미하는 종별이 포함된다. 또한, 예약의 대상이 되는 상대편 기기에 관한 정보 및 예약된 데이터 통신용 슬롯에 관한 정보 등도 포함된다.
호스트(100)는, 비콘에 포함되는 이들의 정보를 사용해서 프라이빗 DRP를 예약한다.
SBD는, 호스트(100)와 같은 통신 영역을 프라이빗 DRP로서 비콘을 사용해서 예약한다.
(4) 데이터 통신용 타임 슬롯의 구성
데이터 통신용 타임 슬롯에는, Wimedia 프로토콜상에서 비콘을 사용해서 호스트(100)에 의해 DRP로서 예약된 슬롯이 포함된다.
호스트(100)에 의해 DRP로서 예약된 슬롯에는, MMC(Micro-Scheduled Management Command)와 데이터가 포함된다.
도 5는, 데이터 통신용 타임 슬롯에서 호스트(100)에 의해 DRP로서 예약된 슬롯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동기화해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각 기기는, 한 개의 슬롯을 공유한다. 한 개의 슬롯 내에 있어서, 각 기기에는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MMC(Micro-Scheduled Managemet Command)는, 호스트(100)에 의해 송신된다. 호스트(100) 이외의 각 기기는 각 영역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이 영역은 MMC에 따라 할당된다.
<3. 비Wimedia 디바이스들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통신영역을 공유하는 방법>
비Wimedia 디바이스인 DBD는,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비콘을 수신해도 이 수신한 비콘을 인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DBD는, MMC을 직접 검출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영역을 인식함으로써, 호스트(100)와 통신을 행한다. DBD는 호스트(100)가 예약한 프라이빗 DRP 내에 있어서 MMC에 따라 통신을 행한다. 이 때문에, DBD는 호스트(100)가 인식한 Wimedia 단말과 동기화해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4. 호스트(100)와 무선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의 동작에 관한 설명>
다음에, 호스트(100)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SBD와 DBD의 동작(호스트(100)가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동시에,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호스트(100)와 동기화할 때까지의 SBD 및 DBD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4.1 SBD의 동작에 관한 설명>
Wimedia 디바이스인 SBD는,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비콘을 자립적으로 송신한다. 즉, Wimedia 프로토콜로 정의된 비콘 페리오드를 갖고, 호스트와 같은 비콘 페리오드의 미리 결정된 비콘 슬롯에 SBD 자신의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비콘을 송신한다.
SBD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비콘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수신한 비콘의 내용을 판단한다. SBD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와 비콘을 교환함으로써, 다른 Wimedia 디바이스와 비콘 페리오드를 공유한다(서로 다른 비콘 슬롯에 각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SBD는 또한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의해 비콘 페리오드가 공유되는 비콘을 호스트(100)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호스트(100)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의 비콘 페리오드를 예약한다. 그때부터, 호스트(10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의 비콘 슬롯에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의 어드레스가 저장되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는 호스트(100)에 동기하게 된다.
<4.2 DBD의 동작에 관한 설명>
한편, 비Wimedia 디바이스인 DBD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비콘을 이해할 수 없다. 또한, 호스트(100)가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는 한, DBD는 자립적으로 비콘을 송신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호스트(100)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을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DBD가 존재하고 있다고 해도, 다른 Wimedia 디바이스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다.
호스트(100)는, DBD을 거쳐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해서, DBD에 카운트 패킷 커맨드와 캡처 패킷 커맨드를 송신한다.
DBD는 호스트(100)로부터 카운트 패킷 커맨드를 수신하면, 일정 기간 내의 모든 통신의 타이밍과 ID를 검출하는 동시에, 검출 결과를 호스트(100)에 송신한다. 호스트(100)는, 해당 검출 결과에 근거해서, DBD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기기가 존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 있다.
호스트(100)는, DBD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기기가 존재하고 있다고 인식했을 경우에, DBD에 캡처 패킷 커맨드를 송신한다. DBD는 호스트(100)로부터 캡처 패킷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기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캡처하고, 캡처한 신호를 호스트(100)에 송신한다.
호스트(100)는, 캡처 신호를 해석해서 DBD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호스트에 의해 인식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호스트(100)는, 인식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인식한 후에 필요에 따라(후술하는 비콘 송신 제어 처리에 따라) DBD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DBD는, 비콘 송신을 개시한다.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호스트(100)와 동기하는 DBD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을 수신함으로써 호스트(100)에 동기하게 된다.
<5. 호스트(100)에 관한 설명>
다음에, 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 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호스트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와, 대응하는 DBD에 의한 호스트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이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호스트(100)는, Wimedia 프로토콜에 따라 비콘 송신을 시작한다.
스텝 S611에 있어서, DBD는 MMC을 수신한다. 스텝 S612에서는, DBD는 수신한 MMC에 설정되어 있고, 신규 디바이스의 접속 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을 취득하고, 해당 취득한 시간에서 호스트(100)에 접속 허가 신호를 송신한다.
호스트(100)는, 스텝 S601에 있어서, DBD로부터 송신된 접속 허가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스텝 S602에 있어서, 호스트(100)는 해당 DBD에 ACK 신호를 송신한다.
DBD는, 스텝 S613에 있어서, 호스트(100)로부터 송신된 ACK 신호를 수신하고, 스텝 S614로 진행된다(호스트(100)는, 스텝 S602에 있어서 ACK 신호를 송신한 후, 스텝 S603로 진행된다).
스텝 S614 또는 S603에서는, 호스트(100)와 DBD이 키(keys)를 교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무선 접속 처리가 완료한다. 이에 따라, 호스트(100)와 DBD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비콘 송신 제어 처리가 개시된다.
비콘 송신 제어 처리가 개시되면, 호스트(100)는, 스텝 S604에 있어서, DBD에 카운트 패킷 커맨드를 송신한다.
DBD는, 스텝 S615에 있어서, 호스트(100)로부터 송신된 카운트 패킷 커맨드를 수신한다. 스텝 S616에 있어서, 일정 기간 내에 수신한 모든 통신의 타이밍과 상기 통신을 행하는 기기의 ID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호스트(100)에 송신한다.
호스트(100)는, 스텝 S605에 있어서, 검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DBD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호스트(100)는, 스텝 S606에 있어서 캡처 패킷 커맨드를 DBD에 송신한다(제1의 지시유닛).
DBD는, 스텝 S617에 있어서, 호스트(100)로부터 캡처 패킷 커맨드를 수신한다. 또한, DBD는 스텝 S618에 있어서,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캡처하고, 캡처한 신호를 호스트(100)에 송신한다.
호스트(100)는, 스텝 S607에 있어서, DBD로부터 송신된 캡처 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해석한다. 호스트(100)는, 스텝 S608에 있어서, 캡처 신호의 해석 결과에 의거하여, 그 시점에서 호스트(100)에 의해 인식되지 않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1의 판단유닛).
호스트(100)는 스텝 S608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609로 진행되어서, 해당 DBD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다(제2의 지시유닛).
스텝 S608에 있어서, 호스트(100)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고, 비콘 송신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DBD는, 스텝 S619에 있어서, 호스트(100)로부터 비콘 송신 커맨드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DBD가 비콘 송신 커맨드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620로 진행되어서, 비콘 송신을 시작한다.
DBD는 스텝 S619에 있어서, 호스트(100)로부터 비콘 송신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비콘 송신을 시작하지 않고, 비콘 송신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는, DBD가 기동했을 때에, 호스트 자신이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의 유무를 판단한다.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없을 경우에는, DBD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한다(점선 범위 참조).
이 결과, 이미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호스트에 동기하고 있더라도, 호스트와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동기시키기 위해서 새롭게 무선 접속된 DBD가 중복해서 비콘을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제 1 실시예>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의 7a 내지 7c의 각각에 있어서, 지면 좌측은, 호스트(100)가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를 실행하기 전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지면 우측은, 호스트(100)가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를 실행한 후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H"은 호스트를, "W"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D"는 DBD를, "S"는 SBD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7에서의 실선은,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기기가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실선으로 나타낸 범위는, 기기의 무선통신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의 각 점선은, DBD에 의해, 비콘 송신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나타낸 범위는, DBD의 무선통신 범위를 나타낸다.
도 7의 7a의 좌측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01이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01 및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702가 기동했다고 한다.
이 경우, 호스트(100)는 DBD 702로부터 송신된 캡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01을 인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텝 S608에서, 호스트(100)는 그 시점에서 호스트(100)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DBD 702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다(스텝S609). DBD 702는, 70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콘 송신을 시작한다.
도 7의 7b의 좌측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11이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고,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11과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712가 이미 기동하여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11과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713가 기동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호스트(100)는 DBD 713으로부터 송신되는 캡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11을 다시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11은, DBD 713이 기동한 시점에서, 이미 DBD 712를 거쳐서 호스트(100)에 의해 인식되었다. 이 때문에, 호스트(100)는 스텝 S608에서, 그 시점에서 호스트(100)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는 없다고 판단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DBD 713에 비콘 송신 코맨드를 송신하지 않는다. DBD 713은, 비콘 송신을 개시하지 않는다.
도 7의 7c의 좌측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21가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고,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21과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SBD 722가 이미 기동하여,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21과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723이 기동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DBD 723으로부터 송신된 캡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호스트(100)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21을 다시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Wimedia 디바이스 721은, SBD 722로부터 송신된 비콘에 의거해서 호스트(100)에 의해 이미 인식되었다. 이 때문에, 스텝 S608에서, 호스트(100)는 그 시점으로 호스트(100)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없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DBD 723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는다. DBD 723은, 비콘 송신을 개시하지 않는다.
<7. 제 2 실시 예>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1대만 존재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이하,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8a의 좌측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01, 802가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고,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01과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803이,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02와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804가 기동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호스트(100)는, DBD 804로부터 송신된 캡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02를 인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텝 S608에서, 호스트(100)는 그 시점에서 호스트(100)가 인식하고 있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DBD 804에 비콘 송신 코맨드를 송신한다. DBD 804는, 이 커맨드를 받아서, 80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콘 송신을 시작한다.
도 8의 8b의 좌측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11 및 812가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고,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11과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SBD 813이,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12와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814가 기동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호스트(100)는, DBD 814로부터 송신되는 캡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12를 인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텝 S608에서, 호스트(100)는 그 시점에서 호스트(100)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DBD 814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다. DBD 814는, 이 커맨드를 받아서, 81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콘 송신을 개시한다.
도 8의 8c의 좌측은, 2대의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21 및 822가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고, DBD 823이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DBD 823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21 및 822와 호스트(100) 모두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21 및 822와 호스트(100) 모두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824가 기동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호스트(100)가 DBD 824로부터 송신되는 캡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21 및 822를 다시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21 및 822는, DBD 824가 기동한 시점에서 이미 DBD 823을 거쳐서 호스트(100)에 의해 인식되었다. 이 때문에, 호스트(100)는 스텝 S608에서, 그 시점에서 호스트(100)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는 없다고 판단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DBD 824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는다. DBD 824는 비콘 송신을 개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8의 8d의 좌측은, 2대의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31 및 832가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고, SBD 833이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SBD 833이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31 및 832와 호스트(100) 모두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에 유념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31 및 832와 호스트(100) 모두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834가 기동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호스트(100)가 DBD 834로부터 송신되는 캡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31 및 832를 다시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Wimedia 디바이스 831 및 832는, SBD 833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에 의거해서 이미 호스트(100)에 의해 인식되었다. 이 때문에, 스텝 S608에서, 호스트(100)는 그 시점에서 호스트(100)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는 없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DBD 834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는다. DBD 834는, 비콘 송신을 개시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는, 새롭게 DBD가 기동했을 때에, 해당 DBD로부터 송신된 캡처 신호에 의거하여, 호스트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의 유무를 판단한다.
호스트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호스트와 동기시키기 위해 해당 DBD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 결과, 해당 DBD에 의해 불필요한 비콘 송신이 행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기기의 전력 소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의 실시형태]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새롭게 기동된 DBD가 불필요한 비콘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미 호스트와 동기해서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DBD에 대해서도, 해당 비콘 송신이 불필요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비콘 송신이 불필요하면, DBD는 비콘 송신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 경우의 DBD의 비콘 송신의 정지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정지 조건 1
·새롭게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가 DBD다.
·이미 비콘을 송신하고 있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준거하는 비콘을 검출한다.
·이미 비콘을 송신하고 있는 디바이스 대신에, 새롭게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가 비콘을 송신하면, 호스트에 의해 인식 가능한 모든 Wimedia 디바이스와 동기화가 가능하다.
2) 정지 조건 2
·새롭게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는 SBD다.
·SBD가 비콘 송수신을 시작하면, 이미 비콘을 송신하고 있는 DBD가 비콘 송신을 행할 필요가 없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호스트(100)에 관한 설명>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9b는,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와, 대응하는 DBD에 의한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호스트가 DBD와 무선 접속되어, 무선통신을 시작할 때까지의 처리는, 도 6a의 스텝 S601~S603와 스텝 S611~S614와 같기 때문에, 도 9a에 있어서는, 생략하고 있다.
무선통신을 시작하고 나서 행해지는 비콘 송신 제어 처리 중, 스텝 S604~S607 및 스텝 S615~S618에서의 처리는, 도 6b의 대응하는 처리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901에서, 호스트는 DBD로부터 송신된 캡처 신호를 해석하고, DBD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스텝 S608에서, 호스트(100)는 스텝 S901에 있어서 기억된, DBD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그 시점에서 호스트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608에 있어서, 호스트(100)는 호스트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처리가 스텝 S609로 진행되어서, 해당 DBD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다.
한편, 스텝 S608에 있어서, 호스트(100)는 호스트가 인식하지 않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하는 않고, 비콘 송신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DBD는, 스텝 S619에 있어서, 호스트(100)로부터 비콘 송신 커맨드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DBD가 비콘 송신 커맨드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620로 진행되어서, 비콘 송신을 시작한다.
스텝S619에 있어서, DBD는 호스트(100)로부터 비콘 송신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DBD는 비콘 송신을 시작하지 않는다.
스텝 S609에 있어서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100)는, 스텝 S902로 진행된다. 스텝 S902에서는, 호스트(100)는 스텝 S609에서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 결과, 이미 비콘 송신을 시작했던 DBD 중 어느 하나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중복해서 비콘을 송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제2의 판단유닛).
본 실시형태의 호스트(100)는, DBD가 무선 접속된 경우에, 스텝 S901에 있어서, 해당 DBD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를 기억한다.
이 때문에, 스텝 S902에서는, 이하의 기억 내용을 비교함으로써,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이미 비콘을 송신했던 DBD가, 무선 접속되었을 때에 기억된 각 DBD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이때 기동한 DBD가 무선 접속되었을 때에 기억된 DBD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스텝 S902에 있어서, 호스트(100)는 이미 비콘 송신을 시작했던 DBD 중의 하나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중복해서 비콘을 송신한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903로 진행된다.
스텝 S903에서는, 호스트(100)는 해당 DBD에 비콘 송신 정지 커맨드를 송신한다. 비콘 송신 정지 커맨드를 수신한 DBD는, 스텝 S920에 있어서 비콘 송신을 정지한다(제3의 지시유닛).
스텝 S902에 있어서, 호스트(100)는 이미 비콘 송신을 시작했던 DBD 중 어느 것도,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중복해서 비콘을 송신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비콘 송신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비콘 송신 정지 커맨드는 송신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는, 이미 호스트에 무선 접속하여, 비콘 송신을 행하고 있는 DBD에 대해서도, 해당 비콘 송신이 불필요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해당 DBD에 의한 불필요한 비콘 송신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실시 예>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 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10a 및 10b의 각각에 있어서, 지면 좌측은,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 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가 실행되기 전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지면 중앙 및 우측은, 호스트(100)에 의한 DBD와의 무선접속 처리 및 비콘 송신 제어 처리가 실행된 후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10a의 좌측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 및 1002가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고,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과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DBD 1003(제1의 피제어장치)이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 및 1002와 호스트(100) 모두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DBD 1005가 새롭게 기동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도 8의 8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호스트(100)는 DBD 1005(제2의 피제어장치)가 기동되는 경우에만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2를 인식한다. 즉,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2는, DBD 1005가 비콘 송신을 시작하는 경우에만, 호스트와 동기화한다.
이 때문에, 호스트(100)는 DBD 1005에 비콘 송신 커맨드를 송신한다(스텝S609).
DBD 1005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2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도 위치하고 있다(도 10의 10a의 중앙). 이 때문에, DBD 1005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은, 2대의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 및 1002에 의해서 수신된다. 2대의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 및 1002는, DBD 1005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에 의거하여 호스트와 동기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DBD 1005가 기동하기 전에, 이미 비콘 송신을 시작했던 DBD 1003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에 중복해서 비콘을 송신한다.
이 결과, 스텝 S902에서, 호스트(100)는 이미 비콘 송신을 시작했던 DBD 중의 하나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중복해서 비콘을 송신한다고 판단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해당 DBD에 비콘 송신 정지 커맨드를 송신한다(스텝 S903). 비콘 송신 정지 커맨드를 수신한 DBD는, 비콘 송신을 정지한다(도 10의 10a의 우측).
도 10의 10b의 좌측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11이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고,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11과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DBD 1013이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11과 호스트(100) 양쪽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SBD 1014가 새롭게 기동했다고 간주한다.
SBD 1014는,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기동하면, 자동적으로 비콘 송신을 시작하게 된다.
SBD 1014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11이 존재한다(도 10의 10b의 중앙). 이 때문에, SBD 1014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11에 의해 수신된다.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11은, SBD 1014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에 의거하여 호스트와 동기화한다.
이 때문에, SBD 1014가 기동하기 전에, 이미 비콘 송신을 시작했던 DBD 1013은,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11에 중복해서 비콘을 송신하게 된다. 이 결과, 스텝 S902에서는, 호스트(100)는 이미 비콘 송신을 시작했던 DBD 중의 하나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중복해서 비콘을 송신한다고 판단한다.
이 결과, 호스트(100)는 DBD 1013에 비콘 송신 정지 커맨드를 송신한다(스텝 S903). 비콘 송신 정지 커맨드를 수신한 DBD 1013은, 비콘 송신을 정지한다(도 10의 10b의 우측).
상기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스트(100)는, 이미 무선 접속된 DBD가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비콘을 불필요하게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DBD에게 비콘 송신을 정지시키게 한다. 비콘 송신이 불필요한지의 여부는, 가령 해당 DBD의 비콘 송신을 정지시킨 경우에 다른 DBD 또는 SBD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에 의거해서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호스트와 동기화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에 의거해서 판단된다.
이 결과, 해당 DBD에 의해 불필요하게 비콘 송신이 행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기기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다른 Wimedia 디바이스에 복수의 DBD가 중복해서 비콘을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비콘 송신을 행하는 DBD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의 실시형태]
상기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비콘 송신을 개시시켜야 하는 DBD와 비콘 송신을 정지시켜야 하는 DBD를 판별하고, 무선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 비콘 송신을 행하는 DBD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기기의 전력 소모를 억제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비콘 페리오드를 짧게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도 9a 및 9b의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비콘 슬롯의 점유 상태가 변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11a는, 캡처 패킷 커맨드가 송신되기 전의 상태(도 10의 10a의 지면좌측의 상태, 혹은 도 9a의 스텝 S604이 실행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1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콘을 송신하기 위해 호스트(100)가 사용하는 비콘 슬롯의 다음 비콘 슬롯에 있어서, DBD 1003이 비콘을 송신한다. 그 다음 비콘 슬롯에 있어서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이 비콘을 송신한다.
도 11의 11b는, DBD 1005가 비콘 송신을 개시하고, 호스트(100)가 해당 비콘을 수신한 상태(도 10의 10a의 지면 중앙의 상태, 혹은 도 9b의 스텝 S608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11b에서는, DBD 1005가 비콘을 송신하기 때문에,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2도 호스트(100)와 동기화한다.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가 비콘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콘 슬롯의 다음 비콘 슬롯에 있어서, DBD 1005가 비콘을 송신한다. 그 다음 비콘 슬롯에 있어서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2가 비콘을 송신하고 있다.
도 11의 11c는, DBD 1003가 비콘 송신을 정지한 직후의 상태(도 10의 10a의 지면 우측의 상태, 혹은 스텝 S903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1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BD 1003가 비콘 송신을 정지한 경우에는, DBD 1003이 비콘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한 비콘 슬롯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된다.
도 11의 11d는, DBD 1003이 비콘의 송신을 정지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11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BD 1003이 비콘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이용가능하게 되었던 비콘 슬롯에 있어서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2가 비콘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비콘 페리오드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도 11의 11c의 상태로부터 도 11의 11d의 상태로 천이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려서, 그 시간 동안에는 비콘 페리오드가 낭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콘 페리오드를 짧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12a 내지 12c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콘 슬롯의 점유 상태가 변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12a는, 캡처 패킷 커맨드가 송신되기 전의 상태(도 10의 10a의 지면좌측의 상태, 혹은 도 9a의 스텝 S604가 실행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1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호스트(100)가 비콘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콘 슬롯의 다음 비콘 슬롯에 있어서는 DBD 1003이 비콘을 송신한다. 그 다음 비콘 슬롯에 있어서는,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1이 비콘을 송신한다.
도 12의 12b는, DBD 1005기 비콘의 송신을 개시하는 대신에, DBD 1003가 비콘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새롭게 비콘 송신을 개시하는 DBD 1005는, 비콘을 송신하기 위해 DBD 1003이 사용하고 있었던 비콘 슬롯에서 비콘을 송신한다.
도 12의 12c는, DBD 1005가 비콘 송신을 개시하여, 다른 Wimedia 디바이스 1002가 호스트(100)와 동기화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콘 송신을 정지해야 하는 다른 DBD가 사용하고 있었던 비콘 슬롯에서, 비콘 송신을 개시해야 하는 DBD가 비콘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비콘 페리오드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기기의 전력 소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설명에서는, DBD의 접속 개시시에 있어서의 비콘 송신의 시작 또는 정지의 방법을 서술했다. 그렇지만, 호스트(100)는 접속된 각 DBD에게 임의의 타이밍에서 수신가능한 신호를 캡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호스트는 이미 접속되어 있는 DBD에게 정기적으로 수신 신호를 캡처시키고, 이 캡처 신호에 의거하여 비콘 송신의 시작/정지를 판단해도 된다. 이러한 제어를 함으로써, 예를 들면 호스트(100)의 무선통신 범위 밖에서, 또 DBD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서, 새로운 다른 Wimedia 디바이스가 기동되었을 경우에도, 최적의 DBD가 비콘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기, 리더(reader), 프린터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적용해도 되고, 또는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진 장치(예를 들면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등)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함으로써도 달성된다. 이 경우,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기능이 실현된다. 이 경우,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된다.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의 메모리에 기록된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코드가 메모리에 기록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의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된다.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모든 변경 및 균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피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가 캡처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제1의 지시수단과,
    상기 제1의 지시수단의 지시에 따라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캡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복수의 피제어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캡처 신호에 의거하여,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비콘을 송신하도록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제2의 지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지시수단은, 상기 피제어장치에 의해 캡처된 신호의 송신원으로서의 통신장치와 상기 제어장치를 동기화하기 위한 비콘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캡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장치의 통신 범위 밖에 존재하고, 게다가 상기 캡처 신호를 송신한 상기 피제어장치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장치를 인식하는 인식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인식수단의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모든 통신장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 결과와, 상기 인식수단의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제1의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캡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모든 통신장치들이, 제2의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캡처신호에 근거해서 인식된 통신장치들과 같은 경우,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제1의 피제어장치 및 상기 제2의 피제어장치 중의 하나를,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제1의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캡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모든 통신장치들이, 제2의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캡처신호에 근거해서 인식된 통신장치들에 포함되고, 또 상기 제2의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캡처 신호에 근거해서 인식된 통신장치들이, 상기 제1의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캡처신호에 근거해서 인식된 통신장치들과 다른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제2의 피제어장치를,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이, 지금까지 비콘을 송신한 피제어장치와 다른 피제어장치를,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로서 결정한 경우, 상기 제2의 지시수단은, 지금까지 비콘을 송신했던 피제어장치가 사용한 비콘 슬롯에 있어서 비콘을 송신하도록 새롭게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무선 USB의 호스트이며,
    상기 캡처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피제어장치는, 무선 USB의 디렉티드 비코닝 디바이스이고,
    상기 피제어장치가 캡처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장치는, Wimedia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9. 피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제어장치에서의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가 캡처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스텝과,
    상기 캡처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지시스텝에 있어서의 지시에 따라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캡처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스텝에 있어서 복수의 피제어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캡처 신호에 의거하여, 비콘을 송신해야 하는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스텝과,
    비콘을 송신하도록 상기 결정스텝에 있어서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지시하는 스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KR20090019676A 2008-03-24 2009-03-09 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101018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6405A JP5290600B2 (ja) 2008-03-24 2008-03-24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JP-P-2008-076405 2008-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827A true KR20090101827A (ko) 2009-09-29
KR101018309B1 KR101018309B1 (ko) 2011-03-04

Family

ID=4095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9676A KR101018309B1 (ko) 2008-03-24 2009-03-09 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84737B2 (ko)
EP (1) EP2106075B1 (ko)
JP (1) JP5290600B2 (ko)
KR (1) KR101018309B1 (ko)
CN (1) CN1015470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9650A (en) * 2005-09-06 2007-03-07 Tayside Flow Technologies Ltd A tubular graft
JP4910803B2 (ja) * 2007-03-15 2012-04-0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ホスト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8478820B2 (en) 2009-08-26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ervice discovery management in peer-to-peer networks
US8478776B2 (en) 2009-10-30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eer-to-peer network discovery using multi-user diversity
US8825818B2 (en) 2009-11-1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Host initiated connection to a device
US8730928B2 (en) 2010-02-2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for increased spatial reuse in ad-hoc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5992A (en) * 1994-11-14 1996-06-11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system for conserving power in a recognition system
US6584330B1 (en) * 2000-07-18 2003-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power management for a node of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1237335B1 (en) * 2001-02-21 2006-07-0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ulti-hop packet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957356B2 (en) * 2002-05-13 2011-06-07 Misomino Chi Acquisitions L.L.C. Scalable media access control for multi-hop high bandwidth communications
US7941149B2 (en) * 2002-05-13 2011-05-10 Misonimo Chi Acquistion L.L.C. Multi-hop ultra wide ban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JP4396416B2 (ja) * 2003-10-24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67160A (ja) * 2004-08-26 2006-03-09 Fujitsu Ltd 無線タグシステム、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装置、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方法、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無線タグ
JP4310253B2 (ja) * 2004-09-21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7720471B2 (en) 2005-07-27 2010-05-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Method for managing hidden stations in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KR100647906B1 (ko) * 2005-09-15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광대역방식의 무선 usb 호스트 장치
KR100678905B1 (ko) 2005-09-27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usb 호스트, 무선 usb 디바이스, 이중 역할장치 호스트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중 역할 장치호스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KR100772403B1 (ko) 2006-03-20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JP4533342B2 (ja) 2006-04-28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070294456A1 (en) * 2006-06-16 2007-12-20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communication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20080247366A1 (en) * 2006-09-26 2008-10-09 Ulrico Celentano Forced silencing of transmitting device
US20090096580A1 (en) * 2007-10-11 2009-04-16 Nokia Corporation Secure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7265A1 (en) 2009-09-24
KR101018309B1 (ko) 2011-03-04
JP5290600B2 (ja) 2013-09-18
CN101547042A (zh) 2009-09-30
US8884737B2 (en) 2014-11-11
EP2106075A2 (en) 2009-09-30
CN101547042B (zh) 2016-08-24
EP2106075A3 (en) 2013-05-15
EP2106075B1 (en) 2018-05-30
JP2009232259A (ja)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309B1 (ko) 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EP2322086B1 (en) Radiation imaging system, method for radiation imaging system, computer-executable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7029322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7563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joining a wireless network and searching for a printer having a predetermined function
JP6124656B2 (ja) 給電装置、給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06327A (ja) 無線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コーディネーターの交代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2009003615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808199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th power adjustment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apparatuses on first and second networks
US807296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nother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occupancy of beacon slot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the same
EP2034675A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4533342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50074948A (ko) 비접촉 ic카드
US66712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396422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method of determining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0633336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装置及びそれらのネットワーク生成方法
JP4960841B2 (ja) 制御局、通信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010017931A (ko) 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무선망과 연결되는 망 인터페이스 방법
JP2017112432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233032A (ja)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89465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101537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