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713A - 탑 로드형 세탁기 - Google Patents

탑 로드형 세탁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713A
KR20090101713A KR1020080027017A KR20080027017A KR20090101713A KR 20090101713 A KR20090101713 A KR 20090101713A KR 1020080027017 A KR1020080027017 A KR 1020080027017A KR 20080027017 A KR20080027017 A KR 20080027017A KR 20090101713 A KR20090101713 A KR 2009010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ball balancer
wall
inner tub
typ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수
조천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1713A/ko
Publication of KR2009010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71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탑 로드형 세탁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탑 로드형 세탁기는, 세탁용량 확대부와 그 세탁용량 확대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포함하고 있어, 세탁기의 외관을 크게 하지 않고도 세탁용량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 대용량의 세탁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가 커진다.

Description

탑 로드형 세탁기{TOP LOADING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탑 로드형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용량의 세탁용량을 가지면서, 진동 및 소음이 저감 된 탑 로드형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 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류, 침구 등 세탁물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 중 세탁물을 세탁기의 상측에서 투여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아웃터 터브(outer tub)와, 아웃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inner tub)와, 인너터브에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펄세이터와, 인너터브와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탑 로드형 세탁기의 인너터브와 그 상부에 설치된 액체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탑 로드형 세탁기에는 인너터브(4)의 상부에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액체 밸런서(3)가 설치되어 있는 데, 이러한 액체 밸런서(3)와 인너터브(4)에 의해서 세탁물이 적재되는 공간(S)의 크기가 결정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너터브(4)의 외경은 D1이고 높이는 H1이고, 액체 밸런서(3)의 내경은D2이고 외경은 D3이고 폭은 W이고 높이는 H2이다.
세탁물이 적재되는 공간(S)의 전체 높이는 인너터브(4)의 높이 H1과 액체 밸런서(3)의 높이 H2를 합친 H3이고, 세탁물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S)의 최대 직경은 인너터브(4)의 직경 D1이고, 최소 직경은 액체 밸런서(3)의 내경인 D2이다.
이러한 종래의 탑 로드형 세탁기는 폭(W)과 높이(H2)가 크고 내경(D2)은 작은 액체 밸런서(3)가 인너터브(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세탁물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S)이 협소하다.
그 이유는, 케이싱을 크게 하지 않은 한 크게 할 수 없는, 세탁물이 적재되는 공간(S)의 전체 높이 H3에서, 액체 밸런서(3)의 높이(H2)가 커지면 인너터브(4)의 높이(H1)는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내경(D1)이 큰 인너터브(4)가 세탁물이 적재되는 공간(S)을 형성하는 비율도 작아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내경(D2)이 작고 높이(H2)가 큰 액체 밸런서(3)가 세탁물이 적재되는 공간(S)을 형성하는 비율이 커지면, 내경(D1)이 큰 인너터브(4)의 높이(H1)가 작아질 수 밖에 없고, 그 만큼, 세탁물이 적재되는 공간(S)의 전체 부피는 작아질 수 밖에 없다. 이는 최근의 대용량의 세탁용량을 소비자들의 요구에 역행하는 구조인 것이다.
물론, 세탁용량을 늘리기 위해 단순히,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크게 만들고, 케이싱 내부에 적재되는 아웃터 터브와 인너터브도 모두 크게 만들어 세탁용량을 늘릴 수는 있다.
그러나, 이렇게 케이싱을 크게 할 경우 세탁기의 전체부피가 커져 세탁기의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부피가 커진 만큼, 운반비, 설치비 등이 많이 소요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외관을 크게 하지 않고도 대용량의 세탁용량을 가진 탑 로드형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진공 및 소음이 저감 된 탑 로드형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초기 운전시 진공 및 소음이 저감된 탑 로드형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 로드형 세탁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내 설치된 아웃터 터브; 상기 아웃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 상기 인너터브의 세탁물 수용공간을 넓혀주는 세탁용량 확대부; 및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는, 상기 인너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 밸런서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 방향으로 돌출된 제1벽; 상기 볼 밸런서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며 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3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벽의 끝단은 상기 인너터브와 컬링(curling)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2벽에는 상기 볼 밸런서와 후크결합하기 위한 후크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벽에는 물고임 방지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는, 상기 인너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 밸런서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벽; 및 상기 볼 밸런서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벽의 끝단은 상기 인너터브와 컬링(curling)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2벽 및 상기 인너터브에는 상기 볼 밸런서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벽에는 물고임 방지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는, 상기 인너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 밸런서의 내주면을 감싸는 제1벽; 상기 볼 밸런서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 및 상기 볼 밸런서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3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벽의 끝단은 상기 인너터브와 컬링(curling)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2벽 및 상기 인너터브에는 상기 볼 밸런서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벽에는 물고임 방지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내 설치된 아웃터 터브; 상기 아웃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 상기 인너터브의 세탁물 수용공간을 넓혀주는 세탁용량 확대부; 및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및 상기 인너터브의 하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더 포함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인너터브의 하측에 결합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 밸런서는 상기 서포터의 내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내 설치된 아웃터 터브; 상기 아웃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 상기 인너터브의 세탁물 수용공간을 넓혀주는 세탁용량 확대부; 및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및 상기 볼 밸런서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강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부;를 포함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볼 밸런서의 양측에 설치된 전자석이거나, 상기 강구가 일정한 갯수 만큼만 빠지도록 상기 볼 밸런서의 내부 바닥면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파여진 홈이거나, 상기 볼 밸런서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강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알고리즘를 구현하는 마이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은 그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기의 초기운전시 상기 인너터브를 180°의 위상차를 가지게 반복 회전운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로드형 세탁기에 의하면, 세탁용량 확대부와 그 세탁용량 확대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포함하고 있어, 세탁기의 외관을 크게 하지 않고도 세탁용량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대용량의 세탁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가 커진다.
또한, 외관은 그대로 인고 세탁용량만 늘리므로, 세탁기가 커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반비, 설치비 등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인너터브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볼 밸런서가 설치되어 있어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정숙한 세탁환경이 조성된다.
또한, 인너터브의 하부에 서포터를 사용하여 볼 밸런서를 설치하므로, 그 설치가 편리하다.
또한, 분산부를 구비하고 있어 세탁기의 초기운전시 분산된 강구로 인해 1Hz 대역에서 진동 및 소음이 심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정숙한 세탁환경이 조성된다. 특히, 1Hz 대역에서의 진동 및 소음의 저감이 뛰어나다.
도 1은 종래 탑 로드형 세탁기의 인너터브와 그 상부에 설치된 액체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로드형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인너터브와 그 인너터브의 상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인너터브와 그 인너터브의 상부에 결합된 볼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인너터브와 볼 밸런서의 결합부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세탁용량 확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세탁용량 확대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인너터브의 하부에 설치된 서포터와 그 서포터 내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인너터브와 서포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볼 밸런서 내부에 설치된 강구의 불균형한 분포로 인해 세탁기의 초기운전시 인너터브가 흔들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분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산부에 의해 볼 밸런서 내 설치된 강구가 정렬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1의 분산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산부에 의해 볼 밸런서내 설치된 강구가 정렬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케이싱 6: 아웃터 터브
8: 인너터브 9: 구동부
20: 세탁용량 확대부 15,17: 볼 밸런서
16: 서포터 30: 분산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로드형 세탁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로드형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인너터브와 그 인너터브의 상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인너터브와 그 인너터브의 상부에 결합된 볼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인너터브와 볼 밸런서의 결합부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로드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5); 케이싱(5)내 설치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아웃터 터브(6); 아웃터 터브(6)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8); 인너터브(8)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펄세이터(10); 인너터브(8) 또는/및 펄세이터(10)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동력전달방향을 바꾸어주는 클러치를 구비한 구동부(9); 인너터브(8)의 세탁물 적재공간(S)을 넓혀주는 세탁용량 확대부(20); 세탁용량 확대부(20)에 설치된 볼 밸런서(15); 인너터브(8)의 하측에 결합된 서포터(16); 서포터(16) 내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17, 도 8참조); 볼 밸런서(15)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강구(15a)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5)의 상부에는 탑커버(11)가 설치된다. 탑커버(11)의 후방에는 탑커버(1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리드(12)가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11)의 후방에는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컨트롤 패널(13)이 설치된다.
상기 볼 밸런서(15)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강구(15a)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점성이 큰 작동유(미도시)가 채워져 있다.
상기 강구(15a)는 소금물보다 비중이 7배 크며, 강 자성체의 성질을 가진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20)는, 인너터브(8)의 원주면을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되며, 볼 밸런서(15)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 방향으로 돌출된 제1벽(21); 볼 밸런서(15)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22); 및 바닥면과 연결되며 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3벽(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벽(22)의 끝단은 인너터브(8)와 컬링(C, curling)되어 연결되며, 제2벽(22)에는 볼 밸런서(15)의 후크(15b)와 결합하기 위한 후크홈(23a)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구조로 인해 볼 밸런서(15)을 제2벽(22)에 얹어 놓기만 하면, 볼 밸런서(15)의 무게에 의해 후크(15b)와 후크홈(23a)이 쉽게 결합 된다.
상기 제2벽(22)에는 고인 물이 인너터브(8)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물고임 방지구(22a)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술한 세탁용량 확대부(20)로 인해, 세탁물 적재공간(S)이 커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인너터브(8)의 외경은 D1이고 높이는 H1이고, 볼 밸런서(15)의 내경은 D2이고 외경은 D3이고 폭은 W이고 높이는 H3이고, 세탁용량 확대부(20)의 외경은 D3이고 내경은 D2이고 높이는 H2이다. 따라서, 세탁물 적재공간(S)의 전체 높이는 인너터브(8)의 높이 H1와 세탁용량 확대부(20)의 높이 H2를 합친 H4이다.
여기서, 세탁물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S)의 최대 직경은 인너터브(8)의 직경 D1이고, 최소 직경은 세탁용량 확대부(20)의 내경인 D2이다. 이로 인해 세탁물 적재공간(S)은 종래 탑 로드형 세탁기의 세탁물 적재 공간(S, 도 1참조)에 비해 현저히 커지게 된다.
왜냐하면, 세탁용량 확대부(20)가 인너터브(8)와 컬링되어 인너터브(8)의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탁물 적재공간(S)은 제1벽(21)과 제3벽(22)로 인해 위로 H2 만큼 늘어나게 되어 그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액체 밸런서(3, 도 1참조)가 차지하는 높이(H2, 도 1참조)를 제1벽(21)과 제3벽(22)의 높이로 대처할 수 있어, 세탁기의 전체높이 H4가 종래의 세탁물이 적재되는 공간(S, 도 1참조)의 전체 높이(H3, 도 1참조)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도 세탁물 적재공간(S)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세탁용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세탁기의 외관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도 된다.
즉, 종래의 폭(W, 도 1참조)과 높이(H2, 도 1참조)가 크고 내경(D2, 도 1참조)은 작은 액체 밸런서(3, 도 1참조)를 사용하는 대신에, 폭(W)과 높이(H3)는 작고 내경(D2)은 큰 볼 밸런서(15)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세탁용량 확대부(20)의 내경(D2)도 크게 할 수 있어, 세탁용량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볼 밸런서(15)의 높이(H3)가 작기 때문에 세탁용량 확대부(20)의 제1벽(21)의 높이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세탁용량 확대부(20)의 외경(D1) 보다 작은 내경(D2) 부분이 높이 H3를 가지고 세탁물 적재공간(S)을 형성하는 비율을 줄일 수 있어, 세탁용량이 더욱 늘어난다.
도 6은 도 5의 세탁용량 확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세탁용량 확대부(120)는, 인너터브(80)의 원주면을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되며, 볼 밸런서(115)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벽(121); 및 볼 밸런서(115)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벽(122)에는 고인 물이 인너터브(80)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물고임 방지구(미도시)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2벽(122)의 끝단은 인너터브(80)와 컬링(C)되어 연결되며, 제2벽(122) 및 인너터브(80)에는 볼 밸런서(115)와 나사(B)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115b,122a,80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공(80a,122a)은 단순한 구멍이고, 체결공(115b)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이어서, 나사(B)와 체결공(115b)이 용이하게 체결된다. 상술한 변형예에 따르면, 세탁물 적재공간(S, 도 4참조)은 제1벽(121)으로 인해 제1벽(121)의 높이 만큼 커지게 된다. 또한, 세탁용량 확대부(120)와 인너터브(80)가 나사로 인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 된다.
도 7은 도 5의 세탁용량 확대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변형예에 따른 세탁용량 확대부(220)는, 인너터브(80)의 원주면을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되며, 볼 밸런서(215)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벽(221); 및 볼 밸런서(215)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222); 및 볼 밸런서(215)의 일측으로 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3벽(2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벽(222)에는 고인 물이 인너터브(80)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물고임 방지구(미도시)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2벽(222)의 끝단은 인너터브(80)와 컬링(C)되어 연결되며, 제2벽(222) 및 인너터브(80)에는 볼 밸런서(215)와 나사(B)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215b,22a,80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공(80a,222a)은 단순한 구멍이고, 체결공(215b)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이어서, 나사(B)와 체결공(215b)이 용이하게 체결된다. 또한, 세탁용량 확대부(220)와 인너터브(80)가 나사로 인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 된다.
상술한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세탁물 적재공간(S, 도 4참조)은 제1벽(221)과 제3벽(223)으로 인해 제1벽(221)과 제3벽(223)을 더한 높이 만큼 커지게 된다.
도 8은 도 1의 인너터브의 하부에 설치된 서포터와 그 서포터 내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인너터브와 서포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16)는 인너터브(8)의 바닥면(8a)에 형성된 체결공(8b)을 통해 인너터브(8)와 나사결합된다. 물론, 서포트(16)에도 체결공(8b)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16)와 인너터브(8)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인너터브(8)의 바닥면(8a)은 일부가 융기되어 있으며, 인너터브(8)의 융기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서포트(16)의 상면에는 돌기(16a)가 융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 밸런서(15)가 인너터브(8)의 하부에도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을 한층 더 저감 시킬 수 있다. 또한, 인너터브(8)의 하부에 서포터(16)를 사용하여 볼 밸런서(15)를 설치하므로, 볼 밸런서(15)의 인너터브(8)로의 설치가 편리하다.
도 10은 도 1의 볼 밸런서 내부에 설치된 강구의 불균형한 분포로 인해 세탁기의 초기운전시 인너터브가 흔들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분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산부에 의해 볼 밸런서 내 설치된 강구가 정렬된 도면이다. 참고로, 점선은 세탁기의 초기운전시 인너터브가 좌우로 흔들리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 화살표는 강구가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세탁기의 초기 운전시 상기 인너터브(8)의 상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15)의 내부에 불균일하게 분포된 강구(15a)와 인터터브(8)의 하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17)의 내부에 불균일하게 분포된 강구(17a)에 의해 인너터브(8)가 심하게 흔들리게 된다. 특히, 실험적으로 측정한 결과 1Hz 대역에서의 진동 및 소음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1을 참조하면, 세탁기의 초기 운전시 볼 밸런서를 사용함으로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부(30)가 볼 밸런서(15)의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분산부(30)는 세탁기의 초기 운전시 강 자성체인 강구(15a)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력한 자력으로 끌어당겨 10개씩 좌우로 균일하게 정렬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산부(30)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강구(15a)가 분산부(30)에 의해 정렬됨으로 인해, 볼 밸런서(15, 17)를 사용함으로서 세탁기의 초기 운전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방지된다. 물론, 분산부(30)를 인너터브(8)의 하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17)의 양측에 설치하여 강구(15a, 17a)를 동시에 정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은 도 11의 분산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산부에 의해 볼 밸런서내 설치된 강구가 정렬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세탁기의 초기 운전시 볼 밸런서(15,17)를 사용함으로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부는 볼 밸런서(15)의 내부 바닥에 파진 홈(15b)으로 구성된다.
상기 홈(15b)은 볼 밸런서(15)의 내부 바닥면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강구(15a)가 10개씩만 삽입되는 길이(V)를 가진다. 물론, 삽입되는 강구(15a)의 갯수에 따라 홈(15b)의 길이(L)는 달라질 수 있고, 홈(15b)도 초기운전시, 진동 및 소음만 방지된다면 2개가 아닌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너터브(8)가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화살표 방향으로 반복 회전운전하게 될 때, 강구(15a)는 분산부인 홈(15b)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일정시간이 지나면 강구(15a)가 10개씩 홈(15b)에 삽입되어 균일하게 정렬된다. 이렇게 강구(15a)가 균일하게 정렬됨으로 인해, 볼 밸런서(15, 17)를 사용함으로서 세탁기의 초기 운전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방지된다.
물론, 분산부인 홈(15b)을 인너터브(8)의 하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17)의 바닥면에도 형성하여 강구(15a, 17a)를 동시에 정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분산부의 변형예로 다음과 같이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세탁기의 각종 운전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이 분산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마이컴이 볼 밸런서(15,17)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강구(15a,17b)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알고리즘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알고리즘으로, 세탁기의 초기운전시 인너터브(8)를 180°의 위상차를 가지게 일정시간 계속 반복 회전운전시키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물론, 강구(15a,17a)만 초기운전시 균일하게 정렬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알고리즘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마이컴이 분산부의 역할을 할 경우, 분산부를 구성하기 위한 전자석이 필요없고 볼 밸런서의 바닥면에 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재료비, 가공비가 절감된다.

Claims (20)

  1. 케이싱;
    상기 케이싱내 설치된 아웃터 터브;
    상기 아웃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인너터브;
    상기 인너터브의 세탁물 수용공간을 넓혀주는 세탁용량 확대부; 및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포함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는,
    상기 인너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된 탑 로드형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는,
    상기 볼 밸런서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 방향으로 돌출된 제1벽;
    상기 볼 밸런서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며 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3벽;을 포함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의 끝단은 상기 인너터브와 컬링(curling)되어 연결된 탑 로드형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에는
    상기 볼 밸런서와 후크결합하기 위한 후크홈이 형성된 탑 로드형 세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는,
    상기 볼 밸런서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벽; 및
    상기 볼 밸런서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을 포함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의 끝단은 상기 인너터브와 컬링(curling)되어 연결된 탑 로드형 세탁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 및 상기 인너터브에는
    상기 볼 밸런서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탑 로드형 세탁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용량 확대부는,
    상기 볼 밸런서의 내주면을 감싸는 제1벽;
    상기 볼 밸런서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제2벽; 및
    상기 볼 밸런서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3벽;을 포함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의 끝단은 상기 인너터브와 컬링(curling)되어 연결된 탑 로드형 세탁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 및 상기 인너터브에는
    상기 볼 밸런서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탑 로드형 세탁기.
  12. 제3항, 제6항,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에는 물고임 방지구가 형성된 탑 로드형 세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터브의 하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를 더 포함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터브의 하측에 결합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 밸런서는 상기 서포터의 내부에 설치된 탑 로드형 세탁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강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볼 밸런서의 양측에 설치된 전자석인 탑 로드형 세탁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강구가 일정한 갯수 만큼만 빠지도록 상기 볼 밸런서의 내부 바닥면에 파여진 홈인 탑 로드형 세탁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탑 로드형 세탁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볼 밸런서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강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알고리즘를 구현하는 마이컴;인 탑 로드형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그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기의 초기운전시 상기 인너터브를 180°의 위상차를 가지게 반복 회전운전시키는 탑 로드형 세탁기.
KR1020080027017A 2008-03-24 2008-03-24 탑 로드형 세탁기 KR20090101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017A KR20090101713A (ko) 2008-03-24 2008-03-24 탑 로드형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017A KR20090101713A (ko) 2008-03-24 2008-03-24 탑 로드형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713A true KR20090101713A (ko) 2009-09-29

Family

ID=4135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017A KR20090101713A (ko) 2008-03-24 2008-03-24 탑 로드형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17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4672B2 (en) 2013-10-17 2016-03-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b and basket having matched characteristics
CN107034622A (zh) * 2017-05-31 2017-08-1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平衡环、用于平衡环的控制方法和洗衣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4672B2 (en) 2013-10-17 2016-03-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b and basket having matched characteristics
US10119216B2 (en) 2013-10-17 2018-11-0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b and basket having matched characteristics
CN107034622A (zh) * 2017-05-31 2017-08-1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平衡环、用于平衡环的控制方法和洗衣机
CN107034622B (zh) * 2017-05-31 2020-10-02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平衡环、用于平衡环的控制方法和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2850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2292829B1 (en) Drum type washing maschine
KR100478670B1 (ko) 드럼식 세탁기
RU2504606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8033145B2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258349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71463B1 (ko) 세탁기
EP1881099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829590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2055349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9951453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ashing tub being provided therein
JP6750162B2 (ja) 洗濯機
EP2248934B1 (en) Pulsator uni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10020365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아우터터브 지지구조
KR20090101713A (ko) 탑 로드형 세탁기
KR101756407B1 (ko) 세탁기
KR20060115230A (ko) 드럼 세탁기의 리프트
US10704185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JP201217068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028290A (ja) 洗濯機
WO2015063982A1 (ja) 洗濯機
KR101084117B1 (ko) 드럼세탁기의 베이스구조
JP6127270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3730687A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RU2049182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