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621A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621A
KR20090101621A KR1020080026877A KR20080026877A KR20090101621A KR 20090101621 A KR20090101621 A KR 20090101621A KR 1020080026877 A KR1020080026877 A KR 1020080026877A KR 20080026877 A KR20080026877 A KR 20080026877A KR 20090101621 A KR20090101621 A KR 20090101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il
speaker
damper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박휘찬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1621A/ko
Publication of KR2009010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6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3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스피커는 댐퍼가 낱장으로 된 적어도 2장의 면포를 열가소성수지에 함침한 후, 접착제로 접착 적층하여 성형한다. 이로인해, 댐퍼의 변형 및 복원시의 길이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가 선형적이고, 변형시 소모된 에너지와 복원시 소모된 에너지에 차이가 거의 없다. 따라서, 스피커의 구동시 고조파(Harmonics Distortion) 발생이 억제된다. 이로인해, 재생되는 음이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음질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스피커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
스피커에는 진동판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가 설치되는데, 종래의 댐퍼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스피커의 댐퍼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댐퍼의 변형 및 복원시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댐퍼(1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한 장의 면포(綿布)를 페놀과 멜라민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후 성형한다.
댐퍼(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보이스코일(미도시)의 외주면이 결합된다. 그리고, 댐퍼(10)에는 상기 보이스코일 및 진동판(미도시)의 진동 방향으로 댐퍼(10)가 진동할 수 있도록 댐퍼(10)의 진폭을 허용하는 주름(Corrugation)부(1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댐퍼(10)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진동방향으로 변형 및 복원될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및 복원시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가 비선형적으로 급격하게 변한다. 또한, 댐퍼(10)의 변형시 소모된 에너지와 복원시 소모된 에너지의 차가 크다.
댐퍼(10)의 변형 및 복원시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비선형적인 변화, 댐퍼(10)의 변형 및 복원시 소모된 에너지의 큰 차는, 스피커의 구동시, 고조파(Harmonics Distortion)를 발생시킨다. 그런데, 고조파는 재생되는 음에 간섭을 일으켜 Peak와 Deep를 발생시키므로, 음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상기 보이스코일에 결합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상기 보이스코일에 결합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을 지지하는 댐퍼를 가지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열경화성수지에 함침된 낱장의 적어도 2장의 면포(綿布)를 접착제로 상호 접착 적층하여 성형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 중앙부에는 관통공(113)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프레임(110)이 마련된다.
이하, 프레임(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관통공(113)이 형성된 프레임(110)의 하면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120)가 결합되고,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전기력을 발생하는 진동부(130)가 설치된다.
자기회로부(120)는 플레이트(121)와 마그네트(123) 및 요크(125)를 가진다. 플레이트(121)는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관통공(113)측 프레임(110)의 하면에 결합되고, 마그네트(123)는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결합된다. 요크(125)는 마그네트(123)의 하면에 결합되는 받침판(125a)과 받침판(125a)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그네트(123)와 플레이트(121)를 관통하는 폴(Pole)(125b)을 가진다. 이때, 폴(125b)과 마그네트(123) 사이 및 폴(125b)과 플레이트(121)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진동부(130)는 보이스코일(131), 진동판(132) 및 댐퍼(135)를 가진다.
보이스코일(131)은 하부측은 자기회로부(120)의 갭(G)에 위치되고 상부측은 폴(125b)의 상측에 위치된 보빈(131a)과 보빈(131a)의 하부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31b)을 가진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코일(131b)에 공급되면, 코일(131b)과 자기회로부(120) 사이에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이스코일(131)이 수직방향으로 진동한다.
진동판(132)은 콘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측은 에지(133)를 매개로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보빈(131a)의 상부측 외주면에 결합된다. 진동판(133)은 보이스코일(131)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댐퍼(135)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측은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보빈(131a)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보이스코일(131)의 진동시 보이스코일(131)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판(132)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댐퍼(135)는 보이스코일(131)과 함께 진동하면서 보이스코일(131) 및 진동판(132)이 상하로 진동하도록 지지한다. 이때, 댐퍼(135)가 상하로 진동할 수 있도록 댐퍼(135)에는 댐퍼(135)의 진폭을 허용하는 주름(Corrugation)부(135a)(도 3a 참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진동하는 댐퍼(135)의 변형 및 복원시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하고, 댐퍼(135)의 변형 및 복원시 소모되는 에너지의 차가 거의 없도록 형성하여, 음질을 향상시킨다.
이를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댐퍼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댐퍼의 변형 및 복원시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35)는 낱장으로 된 적어도 2장의 면포(綿布)(136)를 열경화성수지에 함침한 후, 각 면포(136)를 접착제(137)로 상호 접착 적층하여 금형속에 넣어서 성형한다.
그러면, 각 낱장의 면포(136)가 다른 각 낱장의 면포(136)의 운동을 제한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35)의 변형 및 복원시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가 선형적이다. 또한, 댐퍼(135)의 변형시 소모된 에너지와 복원시 소모된 에너지의 차이가 거의 없다. 이로인해, 고조파(Harmonics Distortion) 발생이 억제되어 음질이 향상된다.
면포(136)는 순면, 합성섬유, 혼방 또는 교직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접착제(137)는 핫멜트, 열가소성수지, 변성고무 또는 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그리고, 접착제(137)는 각 면포(136)가 동일하게 변형 및 복원될 수 있도록 연성(軟性)을 가진 필름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각 면포(136)의 두께는 0.15∼0.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미설명 부호 140은 보이스코일(131)의 내부 및 자기회로부(12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이고, 150은 외부의 전원이 접속되는 단자판이며, 155는 코일(131b)과 단자판(150)을 접속시켜 외부의 전원을 코일(131b)로 전달하는 틴셀와이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단면도로서, 도 3a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35)의 면포(236)와 접착제(237) 사이에는 외부의 전원을 코일(131b)(도 2참조)로 전달하기 위한 틴셀와이어(255)가 삽입되어 댐퍼(235)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댐퍼가 낱장으로 된 적어도 2장의 면포를 열가소성수지에 함침한 후, 접착제로 접착 적층하여 성형한다. 이로인해, 댐퍼의 변형 및 복원시의 길이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가 선형적이고, 변형시 소모된 에너지와 복원시 소모된 에너지에 차이가 거의 없다. 따라서, 스피커의 구동시 고조파(Harmonics Distortion) 발생이 억제된다. 이로인해, 재생되는 음이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음질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a는 종래의 스피커의 댐퍼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댐퍼의 변형 및 복원시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댐퍼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댐퍼의 변형 및 복원시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프레임 120 : 자기회로부
130 : 진동부 135 : 댐퍼
136 : 면포 137 : 접착제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상기 보이스코일에 결합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상기 보이스코일에 결합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을 지지하는 댐퍼를 가지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열경화성수지에 함침된 낱장의 적어도 2장의 면포(綿布)를 접착제로 상호 접착 적층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포는 순면, 합성섬유, 혼방 또는 교직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핫멜트, 열가소성수지, 변성고무 또는 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연성(軟性)을 가진 필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는 외부의 전원을 상기 보이스코일로 전달하기 위한 틴셀와이어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낱장의 면포의 두께는 0.15∼0.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080026877A 2008-03-24 2008-03-24 스피커 KR20090101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877A KR20090101621A (ko) 2008-03-24 2008-03-24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877A KR20090101621A (ko) 2008-03-24 2008-03-24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621A true KR20090101621A (ko) 2009-09-29

Family

ID=4135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877A KR20090101621A (ko) 2008-03-24 2008-03-24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16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205A (ko) 2015-04-23 2016-11-03 한일화섬 주식회사 내구성이 우수한 스피커용 댐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205A (ko) 2015-04-23 2016-11-03 한일화섬 주식회사 내구성이 우수한 스피커용 댐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4693B (zh) 辐射器及双悬边扬声器和音箱及其应用
KR101000757B1 (ko) 선형 진동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US11057712B2 (en) Speaker
WO2004098231A1 (ja) 平面型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具えた電気機器
WO2021232474A1 (zh) 一种发声器件
KR101381255B1 (ko) 하이브리드 마이크로스피커
WO2011007403A1 (ja) 電磁変換器
KR101222282B1 (ko) 고출력 마이크로 스피커
KR20130029850A (ko) 압전 종이를 사용한 친환경 고출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46005B1 (ko) 스피커
US20030156732A1 (en) Speak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9017298U (zh) 扬声器
KR20090101621A (ko) 스피커
KR101061284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0987464B1 (ko) 지향성 스피커
KR101518607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CN207884880U (zh) 扬声器
KR101607529B1 (ko) 스피커
KR101468629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모듈
KR101131941B1 (ko) 진동부의 결속력을 강화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2667297B1 (ko) 방수용 인클로져 스피커
KR100993242B1 (ko) 스피커
KR101046786B1 (ko) 스피커
KR102152980B1 (ko) 패널 가진형 익사이터
KR20110085102A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