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133A -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133A
KR20090101133A KR1020090065650A KR20090065650A KR20090101133A KR 20090101133 A KR20090101133 A KR 20090101133A KR 1020090065650 A KR1020090065650 A KR 1020090065650A KR 20090065650 A KR20090065650 A KR 20090065650A KR 20090101133 A KR20090101133 A KR 2009010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ool
passenger
server
terminal
passeng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완
Original Assignee
홍창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완 filed Critical 홍창완
Priority to KR102009006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1133A/ko
Publication of KR2009010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행자단말기와 동승자단말기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운영서버에 카풀의 시작을 알리면서 카풀이 시작되는 단계; 운행자단말기와 동승자단말기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여 카풀운영서버에 카풀의 종료를 알리면서 카풀이 종료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상기의 사실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특히,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의 운행자영역에 카풀 실행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정보를 기관서버, 보험사서버, 및/혹은 회원사서버에 제공하거나 및/혹은 기관서버, 보험사서버, 및/혹은 회원사서버로부터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인증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카풀 서비스에 가입하는데 있어서, 운행자단말기 및/혹은 동승자단말기로부터 카풀운영서버에 회원가입이 요청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실명확인 후, 운행자단말기 및/혹은 동승자단말기에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사업자(교통유발부담금의 대상이 되는 사업체를 소유하고 있는 주체로써 이하 "회원사"라 함)가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들 중 사업 체의 고객인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회원사서버가 수집된 참여자의 정보를 카풀운영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해당 운행자와 동승자가 카풀을 실행하고, 카풀운영서버가 카풀을 인식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상기 카풀의 목적지가 운행자와 동승자의 정보가 수집된 사업체임을 확인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당 사업체에 대한 카풀 횟수에 상기의 사실을 기록, 추가, 및/혹은 저장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상기의 기록을 제공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기관서버 및/혹은 회원사서버에 제공하거나 및/혹은 기관서버 및/혹은 회원사서버들로부터 열람될 수 있도록 자료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43802178-PAT00001
카풀, 교통유발부담금

Description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The System and Method for Carpool Operation}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카풀을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풀을 제공하는 차량운행자(이하 "운행자"라 함)에게는 카풀 제공에 대한 대가를 제공하고, 카풀을 제공받는 차량동승자(이하 "동승자"라 함)로부터는 일정대가를 제공받는 방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운행자와 동승자간에 직접적인 현금거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당사자들간의 현금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어색함을 방지하고, 동승자에게 특약되는 보험을 카풀을 실행하는 동안 제공하여 동승자가 보호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사고시 발생할 수 있는 상당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또한 타인들이 카풀을 진행하는데 따르는 상대방의 신분에 대한 불신을 해소 할 수 있는 카풀 비용 정산 및 운영 구조를 제공하여 카풀을 활성화 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 절약 및 도심의 교통문제에 도움이 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건축물에 부과되는 교통유발부담금을 책정하여 납세하는 데 있어서, 특정사업자가 그 사업장에 출입하는 고객, 직원, 입주자 등 그 사업장의 편의시실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카풀이용 빈도를 증명하여, 실질적으로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정도에 따라 교통유발부담금을 납세하도록 함으로써, 납세의 형평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특정 사업자가 교통유발부담금의 절세를 위하여 카풀이용에 대한 캠페인 등을 시행하도록 독려할 수 있는 카풀 운영 방법을 제공하여 카풀을 활성화 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 절약 및 도심의 교통문제에 도움이 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에게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혜택을 부여하는데,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들의 실적에 따라 혜택을 차등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들에게 카풀이용의 동기를 부여하여 카풀이용을 활성화 하고 그에 딸, 에너지 절약 및 도심의 교통문제에 도움이 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에너지 절약 및 도심 교통 체증 문제 등으로 카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카풀과 관련된 많은 특허가 출원되어 왔다. 특히, 위치기반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카풀을 중개하여 운행자와 동승자의 연결을 편리하게 제공하고, 따라서, 많은 참여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계념에 기본된 특허들이 상당수 있으며, 이에 맥락을 같이하여 많은 카풀 중계 웹사이트들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전에 언급된 카풀에 관한 특허들과 카풀을 중개하는 카풀중개 웹사이트를 살펴보면, 카풀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중개할 것인가에 대하여는 어느 정도 발전하여 왔으나 카풀이후에 어떻게 이러한 정보를 이용할 것이며, 또한 카풀운행이 자동차 운행이라는 특성상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사고발생시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책임에 대한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하는데 대한 논의가 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얼마나 많은 참여자들이 카풀을 이용하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통계치로써 사업주들이 세금을 합리적으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이 제공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카풀이 실행되어 운행 중 사고가 발생하면 운행자가 많은 부분에 대해서 책임져야 하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각 사업자들이 사업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카풀이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도록 하는데 실패하였고, 또한 많은 운행자들이 카풀에 대해 비선호적으로 변하여 왔다.
또한, 카풀은 타인간의 협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만큼, 타인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부터의 불안감 및/혹은 안전에 확신을 할 수 없는 것으로부터의 불안감 등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 않아 이 또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카풀을 선호하지 않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가 되어왔음에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못하여 왔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카풀을 하는 것을 단순히 개인적 취향 및/혹은 문제로 인식하며, 사업자의 카풀활성화에 있어서의 중요도가 인식되어오지 못하여, 사업자가 직접적 및/혹은 간접적으로 사업자의 사업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카풀이용을 홍보 하도록 독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여왔다.
또한, 카풀이용자들에 대해서 혜택을 부여하는데 있어서도, 기존에는 단순히 참여한다는 증거, 즉 스티커 부착 등을 통하여 실질적인 참여여부와 상관없이 혜택을 부여하여 왔으며, 따라서 혜택을 받기 위해 캠페인 등에 참여는 하면서도, 실질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참여자들을 양산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풀이 시작되는 시점과 카풀이 끝나는 시점을 명확히 하여, 카풀이 실행되는 동안, 운행자는 카풀로부터 적정한 비용 을 지급받고, 동승자는 보험금을 포함한 적정한 비용을 지급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카풀이 시작되기 전에 운행자와 동승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절차를 걸쳐 카풀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범죄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교통유발부담금을 담당하는 기관에 회원사의 신뢰할 수 있는 카풀이용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회원사의 절세를 돕고, 이에 회원사들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카풀이용에 대한 적극적 홍보활동을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및 도심 교통 체증 감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카풀의 이용 빈도에 따른 혜택의 기준을 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서 협력업체에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들에게 혜택을 부여할 수 있도록 데이터 망을 구축하여, 차등적으로 혜택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는 타인과의 카풀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대방의 신변에 대한 의구심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운행자와 동승자는 카풀 비용의 정산에 대한 부분을 직접적으로 계산할 필요없이 거리, 시간, 도로 등에 따라서 자동으로 정산되어 심적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카풀운행시 사고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동승자는 자신에 대한 보험을 가입하여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으며, 운행자와 동승자간의 관계유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카풀을 많이 수행하는 만큼 그 혜택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합리적인 구조를 제공함으로 해서 카풀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사업자의 사업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데이터를 상기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얼마나 많은 고객이 카풀을 이용하는지를 파악하여, 회원사에게 합리적인 교통유발부담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면, 따라서 사업자들은 이전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고객들을 대상으로 카풀이용에 대한 캠페인을 하게 하여 카풀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은 운행자단말와 동승자단말기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운영서버에 카풀의 시작을 알리면서 카풀이 시작되는 단계; 운행자단말기와 동승자단말기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여 카풀운영서버에 카풀의 종료를 알리면서 카풀이 종료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상기의 사실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특히,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의 운행자영역에 카풀 실행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단계; 카풀운영서 버가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정보를 기관서버, 보험사서버, 및/혹은 회원사서버에 제공하거나 및/혹은 기관서버, 보험사서버, 및/혹은 회원사서버로부터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인증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카풀 서비스에 가입하는데 있어서, 운행자단말기 및/혹은 동승자단말기로부터 카풀운영서버에 회원가입이 요청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실명확인 후, 운행자단말기 및/혹은 동승자단말기에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사업자(교통유발부담금의 대상이 되는 사업체를 소유하고 있는 주체로써 이하 "회원사"라 함)가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들 중 사업체의 고객인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회원사서버가 수집된 참여자의 정보를 카풀운영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해당 운행자와 동승자가 카풀을 실행하고, 카풀운영서버가 카풀을 인식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상기 카풀의 목적지가 운행자와 동승자의 정보가 수집된 사업체임을 확인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당 사업체에 대한 카풀 횟수에 상기의 사실을 기록, 추가, 및/혹은 저장하는 단계; 카풀운영서버가 상기의 기록을 제공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기관서버 및/혹은 회원사서버에 제공하거나 및/혹은 기관서버 및/혹은 회원사서버들로부터 열람될 수 있도록 자료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교통유발부담금의 합리적인 징세를 위하여, 특정 사업체를 방문하는 고객들 중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고객에 대해서도 상기의 방법으로 통하여 데이터를 기록, 추가, 및/혹은 저장하는 것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이 명확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위한 각 개체간의 관계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카풀운영서버(S),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 보험사서버(I), 협력업체서버(U), 기관서버(G), 회원사서버(M), 운행자단말기(CR) 및 동승자단말기(CE)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풀운영서버(S)는 1)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카풀운용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할 때, 개인별 페이지를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특징, 2)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카풀운용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할 때,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특징, 3)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연결 및/혹은 접속에 의해서 카풀이 시작되는 신호를 감지할 때,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에 수집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무작위 질문메시지를 전송하여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의 답변에 의해, 본인확인 과정을 거치는 특징, 4)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연결 및/혹은 접속에 의해서 카풀이 시작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을 인지하는 특징, 5)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에 의해서 카풀이 종료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카풀의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을 인지하는 특징, 6)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으로부터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까지 위치기반시스템을 이용하여 카풀의 경로 및/혹은 경과시간을 감안하여 관련된데이터(운행자에 지급해야할 비용, 보험료, 및/혹은 동승자로부터 제공받아야할 비용 등)를 생성하여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특징, 7)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연결 및/혹은 접속에 의해서 카풀이 시작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을 인지할 때, 보험사서버(I)에 카풀이 시작됨을 알리는 특징, 8)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으로부터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까지 위치기반시스템을 이용하여 카풀의 경로 및/혹은 거리 및/혹은 경과시간을 감안하여 생성된 보험료데 이터를 보험사서버(I)에 제공하는 특징, 9)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협력업체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협력업체서버(U)로부터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에 대한 정보요청이 있는 경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 10)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협력업체에서 제품 및/혹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협력업체서버(U)로부터 비용정산 요청이 있는 경우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계좌에서 비용을 차감하고 협력업체서버(U)에 청구된 비용을 정산하는 특징, 11)회원사서버(M)로부터 제공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정보를 해당 회원사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특징, 12)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에 의해서 카풀이 종료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카풀의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을 인지하여, 그 지점이 당 운행자와 동승자를 해당 참여자로 등록한 회원사의 사업장의 위치와 매칭하여, 상기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해당 사업장을 목적지로 카풀을 실행 했는지는 판단하고, 해당 기록들을 기록, 저장하는 특징, 13)기관서버(G)에 회원사와 당 회원사에 관련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기록을 이용하여 교통유발부담금에서 할인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는 1)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개인홈페이지가 저장되는 특징, 2)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카풀 이용에 대한 기록이 저장되는 특징, 3)보험사서버(I)에 제공되는 카풀 실시 정보 및/혹은 보험료 및/혹은 보험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특징, 4)협력업체서버(U)의 정보 및/혹은 협력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제품 및/혹은 서비스의 정보가 저장되는 특징, 5)기관서버(G)에 제공되는 회원사와 당 회원사에 관련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참여정도에 대한 정보 및/혹은 기관서버(G)에 제공되는 보고서 정보가 저장되는 특징 6)회원사서버(M)로부터 제공받은 회원사에 연관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고객 정보가 회원사와 연계되어 저장되는 특징, 7)회원사서버(M)에 제공되는 참여자들의 참여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특징 중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험사서버(I)는 1)카풀운영스시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동승자가 가입을 요청하는데 있어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상품가입 요청이 있는 경우, 보험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요청되는 상품을 제공하는 특징, 2)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실시간으로 카풀의 사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동승자에 대한 보험을 적용하는 특징, 3)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기간을 주기로 보험료를 카풀운영서버(S)에 청구하는 특징, 4)카풀운행 중, 사고발생 시, 동승자단말기(S)로부터 보험금 지급요청이 있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여 카풀실행의 사실을 확인하여 동승자에게 보험료를 지급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협력업체서버(U)는 1)운행자 및/혹은 동승자로부터 제품 및/혹은 서비스의 요청이 있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에 해당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혜택부분을 확인하여 해당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에게 제공 가능한 제품 및/혹은 서비스의 목록을 제공하는 특징, 2)카풀운영서버(S)에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에 의해서 사용된 혜택 및/혹은 결제된 부분을 알리고, 필요한 경우 카풀운영서버(S)에 비용을 청구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관서버(G)는 1)회원사에 교통유발부담금을 책정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회원사의 교통유발부담금의 할인율을 책정하는 특징, 2)회원사에 교통유발부담금을 부과하는데 있어서, 할인된 교통유발부담금을 회원사에 부과하는 특징, 3)회원사에 교통유발부담금을 부과하는데 있어서, 회원사에는 할인전의 교통유발부담금을 부과하고, 카풀운영서버(S)를 통해 각 회원사에 할인 가능한 금액 및/혹은 요율을 제공하여 카풀운영서버(S)가 회원사서버(M)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원사서버(M)는 1)사업체의 고객인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회원사의 정보와 연계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 2)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실제 참여자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행자단말기(CR)는 1)카풀운영서버(S)에 접속하여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하는 특징, 2)동승자단말기(CE)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의 시작을 카풀운영서버(S)에 알리는 특징, 3)카풀운영서버(S)로부터 본인확인 및/혹은 인증 받는 특징, 4)동승자단말기(CE)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여 카풀의 종료를 카풀운영서버(S)에 알리는 특징, 5)협력업체서버(U)에 제품 및/혹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특징, 6)운행자가 회원사의 사업체에 방문하는 경우, 사업체내에 위치하는 특정 단말기에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방문에 대한 사실을 카풀운영서버(S)가 인식하게 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승자단말기(CE)는 1)카풀운영서버(S)에 접속하여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하는 특징, 2)보험사서버(I)로부터 보험상품 목록을 제공받는 특징, 3)보험사서버(I)에 특정 보험상품을 요청하는 특징, 4)운행자단말기(CR)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의 시작을 카풀운영서버(S)에 알리는 특징, 5)카풀운영서버(S)로부터 본인확인 및/혹은 인증 받는 특징, 6)운행자단말기(CR)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여 카풀의 종료를 카풀운영서버(S)에 알리는 특징, 7)협력업체서버(U)에 제품 및/혹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특징, 8)운행자가 회원사의 사업체에 방문하는 경우, 사업체내에 위치하는 특정 단말기에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방문에 대한 사실을 카풀운영서버(S)가 인식하게 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운행자단말기(CR) 및 동승자단말기(CE)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여, PDA, GPS 및/혹은 컴퓨터 등 어느 특정의 형태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및/혹은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의 활용이 가능한 단말기 간의 및/혹은 카풀운영서버(S) 및/혹은 회원사서버(M) 및/혹은 협력업체서버(U)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사업체를 방문하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목적지를 검색하여, 해당 사업장의 위치와 매칭하여 카풀을 이용한 사례로 포함할 수 있지만, 좁은 지역에 여러 사업장이 위치하고, 목적지 만으로 확실하게 증명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사업체 내부에 특정 단말기를 설치하여,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방문하여 사업체 내부에 설치된 특정 단말기에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을 증명하였을 때, 방문의 사실로써 카풀 및/혹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횟수에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자가 회원가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로의 가입이 신청되는 제1단계; 신청자가 운행자인지 동승자인지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여, 개인정보 및 계좌신설 요청 및 개인페이지 신설 등을 요청하는 제2단계; 신청자가 운행자로 선택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및 계좌 를 신설하고 및 개인페이지를 신설하는 제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상기의 실행사실을 확인하여 가입을 승인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개인정보라 함은, 정형화되지 않는 정보로써, 타인이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를 습득하여 사용 시도할 경우, 정화화 되지 않는 본인만이 알 수 있는 정보이다. 특히,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카풀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대화메시지의 방식을 통하여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에게 본인확인을 위한 절차에서 사용될 정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자가 회원가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로의 가입이 신청되는 제1단계; 신청자가 운행자인지 동승자인지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여, 개인정보 및 계좌신설 요청 및 개인페이지 신설 등을 요청하는 제2단계; 신청자가 동승자로 선택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및 계좌를 신설하고 및 개인페이지를 신설하는 제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단말기(CE)로 보험가입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4단계;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상품 가입이 요청되며 보험상품 목록을 요청하는 제5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보험상품 목록을 동승자단말기(CE)로 제공하는 제6단계;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선택된 보험상품이 요청되는 제7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선택된 보험상품을 동승자단말기(CE)와 연계하여 승인하고, 회원가입을 승인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3의 제5단계에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상품 가입이 요청되며 보험상품 목록을 요청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보험사서버(I)에 보험상품 목록을 요청하는 제5-1단계; 보험사서버(I)가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된 동승자 정보를 이용하여 가능한 보험상품 목록을 카풀운영서버(S)에 제공하는 제5-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3의 제7단계에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선택된 보험상품이 요청되는 경우에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보험사서버(I)에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요청된 보험상품을 요청하는 제7-1단계; 보험사서버(I)가 카풀운영서버(S)로 동승자에 대해서 특정 보험상품을 승인하는 제7-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풀운영 과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연결 및/혹은 접속 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개시를 승인하는 제2단계;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여 전송하는 카풀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종료를 승인하는 제4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상기의 카풀 실행에 근거하여 운행자 및 동승자에 관한 정산, 보험료 정산, 카풀 실행 사실 정보, 회원사 관련정보 등의 변화된 내용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제5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 정보를 기관서버(G), 보험사서버(I), 및/혹은 회원사서버(M)에 제공하거나 및/혹은 기관서버(G), 보험사서버(I), 및/혹은 회원사서버(M)로부터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1단계에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 시작 신호를 전송할 때, 카풀운영서버(S)가 도 2및 도 3에서 설명된 수집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개인정보와 관련된 질문하여 답변을 통해 개인확인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1단계에서, 운행자단말기(CR)와 다수의 동승자단말기(CE)들이 연결 및/혹은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첫번째 동승자단말기(CE)와의 연결 및/혹은 접속하는데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신분증명의 과정을 거치고 두번째 동승자단말기(CE)와의 연결부터는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카풀의 요청으로부터 동승자단말기(CE)의 신분증명의 과정만을 포함하고, 운행자단말기(CR)로의 신분증명 없이, 카풀승인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동승자단말기(CE)들과 카풀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1단계에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연결 및/혹은 접속 방법에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일예로써,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를 카풀모드로 변경하여 단말기 간의 적외선 통신을 활용하여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를 결합하는 형태로서 연결하는 방법이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이 가능한 일예이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일예로써, 운행자단말기(CR)가 동승자단말기(CE)의 단말기 번호(010-1234-5678)를 이용하여 예로써, *95**010-1234-5678로 전송하면, 동승자단말기(CE)가 승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예"혹은"아니오"의 신호가 수신되어 카풀이 시작되거나 혹은 시작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승자단말기(CE)가 운행자단말기(CR)의 단말기 번호(010-8765-4321)를 이용하는 예로써, *96**010-8765-4321로 전송하면, 운행자단말기(CR)가 승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예"혹은"아니오"의 신호가 수신되어 카풀이 시작되거나 혹은 시작되니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1단계에서 기계적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카풀모드로 변경되는 제1-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모드변화를 인지하는 제1-2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시작을 감지하여,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적외선통신을 요청하는 제1-3단계;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적외선 통신을 감지하는 제1-4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을 승인하는 제1-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5의 제1-2단계에서,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모드변화를 인지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로 개인정보에 관련된 질문항목이 포함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2-1단계;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답변이 수신되는 제1-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1단계에서 통신망적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동승자단말기(CE)로 카풀이 요청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가 카풀의 또 다른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의 단말기 번호를 활용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의 시작을 요청하는 제1-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수신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요청에 포함된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 카풀 시작을 승인 받기 위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2단계; 대화메시지가 송신된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1-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시작을 승인하는 제1-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6의 제1-2단계에서, 카풀운영서버(S)가 수신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요청에 포함된 카풀의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 카풀 시작을 승인 받기 위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카풀을 요청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개인정보로 기반된 신분증명 질문을 포함하는 대화메시지를 보내면서, 카풀이 요청된 동승자단말 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에 카풀 시작요청 대화메시지와 함께 개인정보로 기반된 신분증명 질문을 포함하는 대화메시지를 함께 전송하는 제1-2-1단계; 카풀을 요청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신분증명 답변이 수신되고, 카풀이 요청된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카풀 승인과 함께 신분증명 답변이 수신되는 제1-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6의 제1-2단계에서, 카풀을 요청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번호와 카풀을 요청할 동승자단말기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의 번호가 최소한 일회이상의 카풀이력이 있는 단말기들인 경우 운행자와 동승자가 서로 신분확인이 된 경우라고 판단하여, 신분증명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2단계에서, 카풀이 시작되면서,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가 보험상품에 가입한 경우, 보험사서버(I)에 실시간으로 카풀의 시작을 알리고 동승자의 보험을 유효화하여 적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보험을 유효화하여 적용시키는 것은, 동승자가 보험상품에 가입한 경우에도 동승자가 카풀을 실행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보험료를 청구하지 않으며, 보험이 유효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책정, 청구하는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2단계에서, 카풀운행 중 사고발생시, 동승자가 특정 보험상품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카풀운영서버(S)에 보험금지급이 요청되는 제2-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당 카풀에 대한 카풀실행 사실에 대한 데이터 및/혹은 카풀 실행 경로 및/혹은 동승자 보험상품 데이터 및/혹은 사고 사실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보험사서버(I)에 보험금을 요청하는 제2-2단계; 보험사서버(I)가 사고사실을 판단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보험금 지급 가부를 알리는 제2-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단말기(CE)에 보험금지급 가부의 사실을 알리는 제2-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2단계에서, 카풀운행승인 후 카풀이 종료되기 이전에, 즉 카풀이 유효할 때 사고 발생시, 보험금 요청 및 지급의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고발생시, 카풀운영서버(S)에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금지급이 요청되는 제2-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단말기(CE)에 사고 사실에 대한 정보 확인 후 보험금 지금 승인하는 제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7의 제2-1단계에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금지급이 요청되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가 보험사서버(I)에 카풀 실시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면서, 보험금지급을 요청하는 제2-1-1단계; 보험사서버(I)가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보험금 지급을 승인하는 제2-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7에서 설명되는 바에서, 보험사서버(I)가 일정부분의 업무부분을 카풀운영서버(S)에 위임하여 특정 보험금 지급부분에 대해서는 카풀운영서버(S)가 승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4의 제3단계에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는 방법에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를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일예로써,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를 단말기 간의 적외선 통신으로부터 불리하여, 카풀모드를 일반모드로 변경하여 분리하는 방법이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이 가능한 일예이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해제하는 일예로써, 운행자단말기(CR)가 동승자단말기(CE)의 단말기 번호(010-1234-5678)를 이용하여 예로서, *59**010-1234-5678로 전송하면, 동승자단말기(CE)로 승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예"혹은"아니오"의 신호가 수신되어 카풀이 끝나거나 혹은 끝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승자단말기(CE)가 운행자단말기(CR)의 단말기 번호(010-8765-4321)를 이용하여 예로서, *69**010-8765- 4321로 전송하면, 운행자단말기(CR)로 승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예"혹은"아니오"의 신호가 수신되어 카풀이 끝나거나 혹은 끝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3단계에서 기계적 분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카풀운영서버(S)가 적외선통신 신호가 없어진 것을 감지하는 제3-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카풀모드에서 일반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3-2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을 종료를 승인하는 제3-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3단계에서 통신망적 접속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동승자단말기(CE)로 카풀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가 카풀을 시행한 또 다른 카풀의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의 단말기 번호를 활용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의 종료를 알리는 제3-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수신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요청에 포함된 카풀의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 카풀 종료를 승인 받기 위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2단계; 대화메시지가 송신된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3-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종료를 승인하는 제3-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3단계에서, 운행자단말기(CR)가 동승자단말기(CE)가 통신망을 통해 카풀의 접속해제가 없더라도, 일정시간이상 일정거리로 떨어져 있는 상황이면, 카풀운영서버(S)가 자동으로 카풀 접속해제하는 것을 역시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 방법은 카풀운영서버(S)가 상당시간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카풀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으로 동승자에게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의 제3단계에서 일정시간이상 일정거리로 떨어져 있는 상황에 대한 자세히 설명하면, 카풀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일정이상 거리를 초과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을 감지 하는 제3-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일정거리 이상을 초과하여 위치하는 것이 일정이상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3-2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을 종료시키는 제3-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3-2단계에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일정거리 이상을 초과하는 것이 일정이상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감지한 때,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카풀 종료에 대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2-1단계;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카풀 종료에 대한 답변을 전송 받는 제3-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3-2-2단계에서, 운행자단말기(CR) 및 동승자단말기(CE) 어느 것으로부터도 답변을 전송 받지 못하는 경우, 일정 시간 이상 초과되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4단계에서, 카풀이 종료되면서,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가 보험에 적용이 되고 있는 경우, 보험사서버(I)에 카풀의 종료를 알리고 동승자 보험의 적용을 해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 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 4의 제4단계에서, 카풀이 종료되면서, 동승자에 대한 보험이 종료되어, 카풀을 실행함으로써 발생한 보험료가 계산되어 정산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이 종료되는 시점마다 보험료를 지급하는 방법과 일정기간을 주기로 보험료를 납부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5단계에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 실행에 근거하여 운행자 및 동승자에 관한 정산, 보험료 정산의 변화된 내용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과 카풀의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을 감안하여, 운행자에 지급되어야할 비용 및/혹은 동승자로부터 지급받아야할 비용 및/혹은 보험사에 지급해야 할 보험료를 책정하는 제5-1단계; 책정된 카풀 비용 및/혹은 보험료를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제5-2단계; 운행자단말기(CR)에 적립된 비용을 안내하고 동승자단말기(CE)에 차감됨 비용을 안내하는 제5-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5-1단계에서, 카풀비용을 책정하는데 있어서, 운행거리 및/혹은 운행도로종류 및/혹은 운행시각 및/혹은 운행중 발행한 부가비용 등을 차등적으 로 적용하여 카풀비용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5-1단계에서, 동승자에 대한 보험료를 책정하는데 있어서, 운행거기 및/혹은 운행도로종류 및/혹은 운행시각 및/혹은 운전자 정보 등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보험료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5단계에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 실행 사실 정보, 회원사 관련정보의 변화된 내용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을 감안하여,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를 대상으로 하는 회원사가 카풀의 종료 지점의 일정거리 내에 있는지 및/혹은 카풀의 종료 시점이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를 대상으로 하는 회원사의 운영시간 내인지를 판단하는 제5-1단계;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카풀이 특정 회원사에 유효한 경우, 회원사의 교통유발부담금에 관련하여 카풀의 횟수를 갱신하는 제5-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5-1단계에서, 교통유발부담금을 할인 할 수 있는 카풀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회원사의 사업체 내부에 특정 단말기를 설치하여, 운행자 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가 사업체 내부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카풀을 유효하게 적용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5-2단계에서, 카풀의 횟수를 갱신하는데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를 대상으로 하는 회원사에서 카풀이용에 따른 쿠폰을 제공하는 경우,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전자 쿠폰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6단계에서, 카풀운영서버(S)가 기관서버(G)에 카풀 수행 사실을 보고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일정기간 동안 수집된 각 회원사별 방문객의 카풀 횟수(율)에 대한 보고서를 기관서버(G)에 일정날짜 및/혹은 일정주기로 제공하는 제6-1단계; 기관서버(G)가 할인율이 적용된 교통유발부담금을 해당 회원사에 징세하는 제6-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제6-2단계에서, 기관서버(G)는 할인율이 적용된 교통유발부담금을 해당 회원사에 징세하는 것 및/혹은 할인율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유발부담금을 해당 회원사에 징세 하고 회원사서버(U)로 하여금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해당 할인 서류를 첨부하여 할인 받도록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협력업체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협력업체서버(U)에 제품 및/혹은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단계; 협력업체서버(U)가 제품 및/혹은 서비스를 요청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제공가능한 혜택 및/혹은 제품 및/혹은 서비스 제공 할인율(액) 및/혹은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구매 가능금액에 관한 정보를 카풀운영서버(S)에 요청하는 제2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요청된 정보를 협력업체서버(U)에 제공하는 제3단계; 협력업체서버(U)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요청된 제품 및/혹은 서비스의 제공을 승인하는 제4단계; 협력업체서버(U)가 카풀운영서버(U)에 승인사실을 통보하고 결재를 요청하는 제5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결제를 승인하고,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상기 거래사실을 통보하고 결제된 내용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의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 영역에 저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위한 각 개체간의 관계 개념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자가 회원가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자가 회원가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풀운영 과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1단계에서 기계적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1단계에서 통신망적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2단계에서, 카풀운행승인 후 카풀이 종료되기 이전에, 즉 카풀이 유효할 때 사고 발생시, 보험금 요청 및 지급의 방법 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3단계에서 기계적 분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3단계에서 통신망적 접속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협력업체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34)

1)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카풀운용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할 때, 개인별 페이지를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특징, 2)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카풀운용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할 때,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특징, 3)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연결 및/혹은 접속에 의해서 카풀이 시작되는 신호를 감지할 때,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에 수집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무작위 질문메시지를 전송하여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의 답변에 의해, 본인확인 과정을 거치는 특징, 4)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연결 및/혹은 접속에 의해서 카풀이 시작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을 인지하는 특징, 5)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에 의해서 카풀이 종료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카풀의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을 인지하는 특징, 6)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으로부터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까지 위치기반시스템을 이용하여 카풀의 경로 및/혹은 경과시간을 감안하여 관련된데이터(운행자에 지급해야할 비용, 보험료, 및/혹은 동승자로부터 제공받아야할 비용 등)를 생성하여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특징, 7)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연결 및/혹은 접속에 의해서 카풀이 시작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을 인지할 때, 보험사서버(I)에 카풀이 시작됨을 알리는 특징, 8)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으로부터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까지 위치기반시스템을 이용하여 카풀의 경로 및/혹은 거리 및/혹은 경과시간을 감안하여 생성된 보험료데이터를 보험사서버(I)에 제공하는 특징, 9)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협력업체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협력업체서버(U)로부터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에 대한 정보요청이 있는 경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 10)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협력업체에서 제품 및/혹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협력업체서버(U)로부터 비용정산 요청이 있는 경우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계좌에서 비용을 차감하고 협력업체서버(U)에 청구된 비용을 정산하는 특징, 11)회원사서버(M)로부터 제공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정보를 해당 회원사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특징, 12)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에 의해서 카풀이 종료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카풀의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을 인지하여, 그 지점이 당 운행자와 동승자를 해당 참여자로 등록한 회원사의 사업장의 위치와 매칭하여, 상기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가 해당 사업장을 목적지로 카풀을 실행 했는지는 판단하고, 해당 기록들을 기록, 저장하는 특징, 13)기관서버(G)에 회원사와 당 회원사에 관련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기록을 이용하여 교통유발부담금에서 할인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서버(S),
1)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개인홈페이지가 저장되는 특징, 2)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카풀 이용에 대한 기록이 저장되는 특징, 3)보험사서버(I)에 제공되는 카풀 실시 정보 및/혹은 보험료 및/혹은 보험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특징, 4)협력업체서버(U)의 정보 및/혹은 협력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제품 및/혹은 서비스의 정보가 저장되는 특징, 5)기관서버(G)에 제공되는 회원사와 당 회원사에 관련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참여정도에 대한 정보 및/혹은 기관서버(G)에 제공되는 보고서 정보가 저장되는 특징 6)회원사서버(M)로부터 제공받은 회원사에 연관된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고객 정보가 회원사와 연계되어 저장되는 특징, 7)회원사서버(M)에 제공되는 참여자들의 참여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특징 중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
1)카풀운영스시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동승자가 가입을 요청하는데 있어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상품가입 요청이 있는 경우, 보험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요청되는 상품을 제공하는 특징, 2)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실시간으로 카풀의 사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동승자에 대한 보험을 적용하는 특징, 3)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기간을 주기로 보험료를 카풀운영서버(S)에 청구하는 특징, 4)카풀운행 중, 사고발생 시, 동승자단말기(S)로부터 보험금 지급요청이 있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여 카풀실행의 사실을 확인하여 동승자에게 보험료를 지급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사서버(I),
1)운행자 및/혹은 동승자로부터 제품 및/혹은 서비스의 요청이 있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에 해당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혜택부분을 확인하여 해당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에게 제공 가능한 제품 및/혹은 서비스의 목록을 제공하는 특징, 2)카풀운영서버(S)에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에 의해서 사용된 혜택 및/혹은 결제된 부분을 알리고, 필요한 경우 카풀운영서버(S)에 비용을 청구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업체서버(U),
1)회원사에 교통유발부담금을 책정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회원사의 교통유발부담금의 할인율을 책정하는 특징, 2)회원사에 교통유발부담금을 부과하는데 있어서, 할인된 교통유발부담금을 회원사에 부과하는 특징, 3)회원사에 교통유발부담금을 부과하는데 있어서, 회원사에는 할인전의 교통유발부담금을 부과하고, 카풀운영서버(S)를 통해 각 회원사에 할인 가능한 금액 및/혹은 요율을 제공하여 카풀운영서버(S)가 회원사서버(M)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서버(G),
1)사업체의 고객인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회원사의 정보와 연계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 2)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실제 참여자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사서버(M),
1)카풀운영서버(S)에 접속하여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하는 특징, 2)동승자단말기(CE)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의 시작을 카풀운영서버(S)에 알리는 특징, 3)카풀운영서버(S)로부터 본인확인 및/혹은 인증 받는 특징, 4)동승자단말기(CE)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여 카풀의 종료를 카풀운영서버(S)에 알리는 특징, 5)협력업체서버(U)에 제품 및/혹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특징, 6)운행자가 회원사의 사업체에 방문하는 경우, 사업체내에 위치하는 특정 단말기에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방문에 대한 사실을 카풀운영서버(S)가 인식하게 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자단말기(CR),
1)카풀운영서버(S)에 접속하여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하는 특징, 2)보험사서버(I)로부터 보험상품 목록을 제공받는 특징, 3)보험사서버(I)에 특정 보험상품을 요청하는 특징, 4)운행자단말기(CR)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의 시작을 카풀운영서버(S)에 알리는 특징, 5)카풀운영서버(S)로부터 본인확인 및/혹은 인증 받는 특징, 6)운행자단말기(CR)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여 카풀의 종료를 카풀운영서버(S)에 알리는 특징, 7)협력업체서버(U)에 제품 및/혹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특징, 8)운행자가 회원사의 사업체에 방문하는 경우, 사업체내에 위치하는 특정 단말기에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방문에 대한 사실을 카풀운영서버(S)가 인식하게 하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자단말기(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로의 가입이 신청되는 제1단계;
신청자가 운행자인지 동승자인지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여, 개인정보 및 계좌신설 요청 및 개인페이지 신설 등을 요청하는 제2단계;
신청자가 운행자로 선택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및 계좌를 신설하고 및 개인페이지를 신설하는 제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상기의 실행사실을 확인하여 가입을 승인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2항 제2단계에 있어서,
정형화되지 않은 개인정보를 사용하여,
타인의 정보 습득을 통해서 알 수 없는 정보로써, 본인확인을 위한 정보로써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하는 서비스로의 가입이 신청되는 제1단계;
신청자가 운행자인지 동승자인지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여, 개인정보 및 계좌신설 요청 및 개인페이지 신설 등을 요청하는 제2단계;
신청자가 동승자로 선택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및 계좌를 신설하고 및 개인페이지를 신설하는 제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단말기(CE)로 보험가입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4단계;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상품 가입이 요청되며 보험상품 목록을 요청하는 제5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보험상품 목록을 동승자단말기(CE)로 제공하는 제6단계;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선택된 보험상품이 요청되는 제7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선택된 보험상품을 동승자단말기(CE)와 연계하여 승인하고, 회원가입을 승인하는 제8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4항 제2단계에 있어서,
정형화되지 않은 개인정보를 사용하여,
타인의 정보 습득을 통해서 알 수 없는 정보로써, 본인확인을 위한 정보로써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4항 제5단계에 있어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상품 가입이 요청되며 보험상품 목록을 요청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보험사서버(I)에 보험상품 목록을 요청하는 제5-1단계;
보험사서버(I)가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된 동승자 정보를 이용하여 가능한 보험상품 목록을 카풀운영서버(S)에 제공하는 제5-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4항 제7단계에 있어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선택된 보험상품이 요청되는 경우에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보험사서버(I)에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요청된 보험상품을 요청하는 제7-1단계;
보험사서버(I)가 카풀운영서버(S)로 동승자에 대해서 특정 보험상품을 승인하는 제7-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개시를 승인하는 제2단계;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분리 및/혹은 접속해제하여 전송하는 카풀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종료를 승인하는 제4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상기의 카풀 실행에 근거하여 운행자 및 동승자에 관한 정산, 보험료 정산, 카풀 실행 사실 정보, 회원사 관련정보 등의 변화된 내용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제5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 정보를 기관서버(G), 보험사서버(I), 및/혹은 회원사서버(M)에 제공하거나 및/혹은 기관서버(G), 보험사서버(I), 및/혹은 회원사서버(M)로부터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1단계에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연결 및/혹은 접속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 시작 신호를 전송할 때,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개인정보와 관련된 질문하여 답변을 통해 개인확인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1단계에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와 다수의 동승자단말기(CE)들이 연결 및/혹은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첫번째 동승자단말기(CE)와의 연결 및/혹은 접속하는데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동승자단말기(CE)의 신분증명의 과정을 거치고 두번째 동승자단말기(CE)와의 연결부터는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카풀의 요청으로부터 동승자단말기(CE)의 신분증명의 과정만을 포함하고 운행자단말기(CR)로의 신분증명 없이, 카풀승인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동승자단말기(CE)들과 카풀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1단계에 있어서,
기계적 결합에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카풀모드로 변경되는 제1-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모드변화를 인지하는 제1-2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시작을 감지하여,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적외선통신을 요청하는 제1-3단계;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의 적외선 통신을 감지하는 제1-4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을 승인하는 제1-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11항 제1-2단계에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모드변화를 인지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로 개인정보에 관련된 질문항목이 포함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2-1단계;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답변이 수신되는 제1-2-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1단계에 있어서,
통신망적 접속에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가 카풀의 또 다른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의 단말기 번호를 활용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의 시작을 요청하는 제1-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수신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요청에 포함된 카풀의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 카풀 시작을 승인 받기 위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2단계;
대화메시지가 송신된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1-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시작을 승인하는 제1-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13항 제1-2단계에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수신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요청에 포함된 카풀의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 카풀 시작을 승인 받기 위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카풀을 요청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개인정보로 기반된 신분증면 질문을 포함하는 대화메시지를 보내면서, 카풀이 요청된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에 카풀 시작요청 대화메시지와 개인정보로 기반된 신분증명 질문을 포함하는 대화메시지를 함께 전송하는 제1-2-1단계;
카풀을 요청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신분증명 답변이 수신되고, 카풀이 요청된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카풀 승인과 함께 신분증명 답변이 수신되는 제1-2-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13항 제1-2단계에 있어서,
카풀을 요청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번호와 카풀이 요청된 동승자단말기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의 번호가 최소한 일회이상의 카풀이력이 있는 단말기들인 경우 운행자와 동승자가 서로 신분확인이 된 경우라고 판단하여, 신분증명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2단계에 있어서,
카풀이 시작되면서,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가 보험상품에 가입한 경우, 보험사서버(I)에 실시간으로 카풀의 시작을 알리고 동승자의 보험을 유효화하여 적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2단계에 있어서,
카풀운행 중 사고발생시, 동승자가 특정 보험상품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사고발생시, 카풀운영서버(S)에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금지급이 요청되는 제2-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단말기(CE)에 사고 사실에 대한 정보 확인 후 보험금 지금 승인하는 제2-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17항 제2-1단계에 있어서,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보험금지급이 요청되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가 보험사서버(I)에 카풀 실시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면서, 보험금지급을 요청하는 제2-1-1단계;
보험사서버(I)가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보험금 지급을 승인하는 제2-1-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3단계에 있어서,
기계적 분리에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카풀운영서버(S)가 적외선통신 신호가 없어진 것을 감지하는 제3-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카풀모드에서 일반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3-2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을 종료를 승인하는 제3-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3단계에 있어서,
통신망적 접속해제에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가 카풀을 시행한 또 다른 카풀의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의 단말기 번호를 활용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카풀의 종료를 알리는 제3-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수신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요청에 포함된 카풀의 대상인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 카풀 종료를 승인 받기 위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2단계;
대화메시지가 송신된 동승자단말기(CE) 및/혹은 운행자단말기(CR)로부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3-3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종료를 승인하는 제3-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 3단계에 있어서,
카풀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일정이상 거리를 초과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제3-1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일정거리 이상을 초과하여 위치하는 것이 일정이상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3-2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을 종료시키는 제3-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21항 제3-2단계에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와 동승자단말기(CE)가 일정거리 이상을 초과하는 것이 일정이상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감지한 때,
카풀운영서버(S)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카풀 종료에 대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2-1단계;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카풀 종료에 대한 답변을 전송 받는 제3-2-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22항 제3-2-2단계에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 및 동승자단말기(CE) 어느 것으로부터도 답변을 전송 받지 못하는 경우, 일정 시간 이상 초과되는 경우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4단계에 있어서,
카풀이 종료되면서, 카풀운영서버(S)가 동승자가 보험에 적용이 되고 있는 경우, 보험사서버(I)에 카풀의 종료를 알리고 동승자 보험의 적용을 해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4단계에 있어서,
카풀이 종료되면서, 동승자에 대한 보험이 종료되어, 카풀을 실행함으로써 발생한 보험료가 계산되어 정산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이 종료되는 시점마다 보험료를 지급하는 방법과 일정기간을 주기로 보험료를 납부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5단계에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 실행에 근거하여 운행자 및 동승자에 관한 정산, 보험료 정산의 변화된 내용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시작 시점 및/혹은 지점과 카풀의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을 감안하여, 운행자에 지급되어야할 비용 및/혹은 동승자로부터 지급받아야할 비용 및/혹은 보험사에 지급해야 할 보험료를 책정하는 제5-1단계;
책정된 카풀 비용 및/혹은 보험료를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제5-2단계;
운행자단말기(CR)에 적립된 비용을 안내하고 동승자단말기(CE)에 차감됨 비용을 안내하는 제5-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26항 제5-1단계에 있어서,
카풀비용을 책정하는데 있어서,
운행거리 및/혹은 운행도로종류 및/혹은 운행시각 및/혹은 운행중 발행한 부가비용 등을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카풀비용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26항 제5-1단계에 있어서,
동승자에 대한 보험료를 책정하는데 있어서,
운행거기 및/혹은 운행도로종류 및/혹은 훈행시각 및/혹은 운전자 정보 등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보험료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5단계에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 실행 사실 정보, 회원사 관련정보의 변화된 내용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카풀의 종료 시점 및/혹은 지점을 감안하여,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를 대상으로 하는 회원사가 카풀의 종료 지점의 일정거리 내에 있는지 및/혹은 카풀의 종료 시점이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 기(CE)를 대상으로 하는 회원사의 운영시간 내인지를 판단하는 제5-1단계;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카풀이 특정 회원사에 유효한 경우, 회원사의 교통유발부담금에 관련하여 카풀의 횟수를 갱신하는 제5-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29항 제5-1단계에 있어서,
교통유발부담금을 할인 할 수 있는 카풀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가 사업체 내부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하여 카풀운영서버(S)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카풀을 유효하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29항 제5-2단계에 있어서,
카풀의 횟수를 갱신하는데 있어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전자 쿠폰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8항 제6단계에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기관서버(G)에 카풀 수행 사실을 보고하는데 있어서,
카풀운영서버(S)가 일정기간 동안 수집된 각 회원사별 방문객의 카풀 횟수(율)에 대한 보고서를 기관서버(G)에 일정날짜 및/혹은 일정주기로 제공하는 제6-1단계;
기관서버(G)가 할인율이 적용된 교통유발부담금을 해당 회원사에 징세하는 제6-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제32항 제6-2단계에 있어서,
기관서버(G)는 할인율이 적용된 교통유발부담금을 해당 회원사에 징세하는 것 및/혹은 할인율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유발부담금을 해당 회원사에 징세 하고 회원사서버(U)로 하여금 카풀운영서버(S)로부터 해당 할인 서류를 첨부하여 할인 받도록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협력업체서버(U)에 제품 및/혹은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단계;
협력업체서버(U)가 제품 및/혹은 서비스를 요청한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의 제공가능한 혜택 및/혹은 제품 및/혹은 서비스 제공 할인율(액) 및/혹은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의 구매 가능금액에 관한 정보를 카풀운영서버(S)에 요청하는 제2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요청된 정보를 협력업체서버(U)에 제공하는 제3단계;
협력업체서버(U)가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로부터 요청된 제품 및/혹은 서비스의 제공을 승인하는 제4단계;
협력업체서버(U)가 카풀운영서버(U)에 승인사실을 통보하고 결재를 요청하는 제5단계;
카풀운영서버(S)가 결제를 승인하고, 운행자단말기(CR) 및/혹은 동승자단말기(CE)에 상기 거래사실을 통보하고 결제된 내용을 카풀운영데이터베이스(DB)의 운행자 및/혹은 동승자 영역에 저장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KR1020090065650A 2009-07-19 2009-07-19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1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650A KR20090101133A (ko) 2009-07-19 2009-07-19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650A KR20090101133A (ko) 2009-07-19 2009-07-19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133A true KR20090101133A (ko) 2009-09-24

Family

ID=4135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650A KR20090101133A (ko) 2009-07-19 2009-07-19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113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089B1 (ko) * 2010-03-08 2012-02-24 심문보 보험사 카풀 대상자를 이용한 카풀 재 매칭 방법
KR20180063783A (ko) * 2016-12-02 2018-06-12 이태성 택시 합승 시스템
KR20200099237A (ko) * 2019-02-13 2020-08-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카풀 시스템
KR20200099238A (ko) * 2019-02-13 2020-08-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카풀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886621A (zh) * 2018-03-16 2020-11-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信息管理装置和信息管理方法
KR102236464B1 (ko) * 2019-10-23 2021-04-06 정민우 택시 승차 공유 방법
US11599951B1 (en) 2020-01-13 2023-03-07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n-demand insurance polici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089B1 (ko) * 2010-03-08 2012-02-24 심문보 보험사 카풀 대상자를 이용한 카풀 재 매칭 방법
KR20180063783A (ko) * 2016-12-02 2018-06-12 이태성 택시 합승 시스템
CN111886621A (zh) * 2018-03-16 2020-11-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信息管理装置和信息管理方法
KR20200099237A (ko) * 2019-02-13 2020-08-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카풀 시스템
KR20200099238A (ko) * 2019-02-13 2020-08-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카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36464B1 (ko) * 2019-10-23 2021-04-06 정민우 택시 승차 공유 방법
US11599951B1 (en) 2020-01-13 2023-03-07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n-demand insurance polic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332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providing incentives for tasks and activities and other behavioral influences related to money, individuals, technology and other assets
KR20090101133A (ko) 카풀운영시스템 및 방법
CN10555089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商圈管理平台
KR100831397B1 (ko)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US201801509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onal Validation Of Travel Expenses
CN101689260A (zh) 虚拟点数交换所
KR101211398B1 (ko) 포인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5895A (ko) 인센티브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정보 저장매체
US200500276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line ticket sales
KR20110040314A (ko) 광고비와 연계된 마일리지 발생과 운영방법 및 그 장치
KR100987837B1 (ko) 광고물 고유인식을 통한 광고와 수익배분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706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onal Validation Of Travel Expenses
JP3744855B2 (ja) 料金請求配分システム
JP2004151911A (ja) 運賃精算方法
US111270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al redemption of transportation credits
JP2012104061A (ja) 共同購入管理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269730B1 (ko) 전기자동차 대리충전 서비스 시스템
CN113962690A (zh) 预付式消费商务运营保障系统及方法
WO2003073236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providing incentives and behavioral influences related to money and technology
JP2004021598A (ja) 購買情報管理システム
CN111626570A (zh) 一种二手车检测系统及方法
US20130254009A1 (en) Transaction information interface
KR101029608B1 (ko) 골프 멤버 클럽 운용방법
KR100596151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채권등록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05273A (ja) 無事故プレゼントの広告及び提供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