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810A -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810A
KR20090099810A KR1020080025007A KR20080025007A KR20090099810A KR 20090099810 A KR20090099810 A KR 20090099810A KR 1020080025007 A KR1020080025007 A KR 1020080025007A KR 20080025007 A KR20080025007 A KR 20080025007A KR 20090099810 A KR20090099810 A KR 20090099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sensor
water level
washing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2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810A/ko
Publication of KR2009009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수조가 내장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에 구비되고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저수조에 공급하는 급수밸브; 저수조에 구비되고 배수호스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 저수조의 내측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설정수위에 도달하는지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수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급수밸브와 배수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저수조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위험수위인지를 제어부에 알려주는 보조수위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수위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해 세탁수가 저수조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며, 이러한 고장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한다.
세탁기, 수위센서, 보조수위센서부, 급수밸브, 배수밸브

Description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WASHING MACHINE FOR PREVENTING OVERFLOW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세탁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자동으로 세척해주는 가전제품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외부에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이 완료되면 오염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2) 내부에는 세탁물이 저장되어 세탁되는 탈수조(11)가 구비된다. 이러한 탈수조(11)의 외주면에는 세탁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공된 형상을 한다. 그리고, 상기 탈수조(11)는 구동부(13)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저수조(12)의 상부는 개방되고, 도어(14)가 저수조(12)를 개폐 한다.
상기 저수조(12)에는 급수밸브(1)와 배수밸브(2)가 구비된다. 이러한 급수밸브(1)는 저수조(12)의 상부와 연통되고, 급수호스(3)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저수조(12)로 공급한다. 이때, 급수밸브(1)는 공급관(5)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탈수조(11) 상방에서 낙하시킨다. 상기 배수밸브(2)는 저수조(12)의 하부와 연통되고, 배수호스(4)와 연결되어 오염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급수밸브(1)와 배수밸브(2)는 미도시한 제어부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세탁기(10)의 자동세척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저수조(12) 내부에는 수위센서(6)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위센서(6)는 세탁수의 용량을 조절한다. 즉, 수위센서(6)는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각 수위센서(6)에 세탁수가 도달하면, 제어부는 설정된 세탁수 용량과 비교하여 재급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종래 세탁기는 수위센서에 의해 세탁수가 저장용량을 결정하므로, 수위센서가 고장나면 세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저수조에서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탁기의 수위센서가 고장나더라도 세탁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수조가 내장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고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를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는 급수밸브;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고 배수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수가 설정수위에 도달하는지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배수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수가 위험수위인지를 상기 제어부에 알려주는 보조수위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수위센서부는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수가 유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격판; 상기 격판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탁수에 의해 부유되는 부상체; 및 상기 격판 내측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부상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정보를 제공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은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과 연계되고, 상기 버튼의 가압 신호를 측정하여 경고음을 생성하는 경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세탁수가 저수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는 수위센서가 설정수위에 상기 세탁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설정수위에 상기 세탁수가 도달됨을 감지하지 못하면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면 경고음이 발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세탁수가 저수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는 수위센서가 설정수위에 상기 세탁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설정수위에 상기 세탁수가 도달됨을 감지하지 못하면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되고, 상 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 및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된 후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상기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밸브가 소정시간동안 개방된 후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설정수위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상기 수위센서에 도달된 세탁수가 상기 보조수위센서부에 도달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면 경고음이 발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보조수위센서부가 구비되어 수위센서의 오작동으로 저수조에 물세탁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경고음이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수위센서의 고장을 알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보조수위센서가 세탁수를 감지한 경우 소정시간동안 세탁수를 배출하여 원활한 세탁모드 진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20) 외에 급수밸브(30), 배수밸브(40), 수위센서(50), 제어부(60) 및 보조수위센서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저수조(20)에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탈수조(21)가 구비되고,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22)는 탈수조(21)와 결합되어 탈수조(21)를 회전시킨다.
상기 급수밸브(30)는 저수조(20)에 구비되고, 일단이 급수호스(31)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저수조(20)에 공급한다. 이때, 급수밸브(30)의 타단에는 공급관(32)이 구비되어 탈수조(21)의 상방에서 세탁수를 낙하한다.
상기 배수밸브(40)는 저수조(20)에 구비되고, 일단이 배수호스(41)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수위센서(50)는 저수조(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저수조(20)에 저장되는 세탁수의 높이를 측정한다. 이러한 수위센서(50)는 복수개가 저수조(20)의 내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세탁을 위한 설정수위에 세탁수가 도달하는지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수위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고, 급수밸브(30)와 배수밸브(4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한다. 즉, 세탁물의 양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수위가 정해지면, 제어부(60)는 급수밸브(30)가 개방되도록 하여 세탁수가 저수조(20)에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위센서(50)가 설정수위에 도달한 세탁수를 측정하여 제어부(60)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60)는 급수밸브(30)가 폐쇄되도록 하여 세탁수가 저수조(2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보조수위센서부(70)는 저수조(20)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넘치지 않도록 제어부(60)에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보조수위센서부(70)는 수위센서(50)의 고장 발생시 보조적으로 저수조(20)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60)가 급수밸브(30)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상기 보조수위센서부(70)는 설정수위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수위센서(50) 보다 높고, 저수조(20)의 저장용량을 넘어서기 전 세탁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이 바 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보조수위센서부(70)는 격판(71), 부상체(72) 및 버튼(73)를 구비한다.
상기 격판(71)은 저수조(20)의 내측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유입되는 관통홀(74)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74)에 의해 격판(71)의 내부 수위는 저수조(20)와 동일한 수위가 된다. 상기 부상체(72)는 격판(71) 내부에 위치되며, 세탁수에 의해 부유되는 물질로 성형된다.
이러한 부상체(72)는 관통홀(74)을 통해 격판(71)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버튼(73)은 격판(71)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고 제어부(60)와 연계된다. 따라서, 부상체(72)가 세탁수에 의해 부상되어 버튼(73)을 가압하면, 버튼(73)은 제어부(60)에 세탁수가 위험수위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보낸다.
이때, 버튼(73)은 설정수위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수위센서(50)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세탁수가 저수조(20)를 넘는 위험수위 보다 낮은 곳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버튼(73)이 저수조(20)의 상단에 해당되는 부분에 위치된다.
한편, 경고음을 생성하는 경고부(80)가 버튼(73)과 연계된다. 이러한 경고부(80)는 세탁기(100)에서 작동음향을 송출하는 스피커가 될 수 있으며, 버튼(73)의 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위험수위임을 알려준다.
이때, 상기 경고부(80)는 제어부(60)와 연계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제어부(60)는 버튼(73) 신호를 받는 즉시 경고부(80)에 신호를 보내 경고음이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탈수조(21)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을 실행하면, 제어부(60)에 의해 급수밸브(30)가 개방되어 저수조(20)에 세탁수가 유입된다(S301).
이와 같이 저수조(20)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상태에서, 제어부(60)는 수위센서(50)와의 송수신을 통해, 세탁물의 양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설정수위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수위에 세탁수가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한다(S303).
상기한 상태에서, 수위센서(50)가 설정수위에 세탁수가 도달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60)의 신호에 의해 급수밸브(30)는 폐쇄되고(S305), 구동부(22)의 작동에 따른 탈수조(21)의 구동으로 설정된 세탁모드가 실행된다(S307).
한편, 수위센서(50)가 설정수위에 세탁수가 도달된 것을 감지하지 못하면,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감지하였는지를 체크한다(S311). 이때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감지하면, 수위센서(50)의 오작동이라고 판단되어 급수밸브(30)는 폐쇄된다(S305). 그리고,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면, 세탁수가 설정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수위센서(50)가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S303)로 리턴된다.
상기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감지하는 경우, 경고부(80)에 의해 경고음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S313). 이러한 경고음은 사용자에게 수위센서(50)의 고장을 알려주게 된다. 도 3의 흐름도에서는 경고음이 발생된 다음 급수밸브(30)가 폐쇄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고음은 보조수위센서(70)가 세 탁수를 감지한 이후 세탁모드가 실행되는 과정에 걸쳐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탈수조(21)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을 실행하면, 제어부(60)에 의해 급수밸브(30)가 개방되어 저수조(20)에 세탁수가 유입된다(S401).
이와 같이 저수조(20)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상태에서, 제어부(60)는 수위센서(50)와의 송수신을 통해, 세탁물의 양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설정수위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수위에 세탁수가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한다(S403).
상기한 상태에서, 수위센서(50)가 설정수위에 세탁수가 도달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60)의 신호에 의해 급수밸브(30)는 폐쇄되고(S405), 구동부(22)의 작동에 따른 탈수조(21)의 구동으로 설정된 세탁모드가 실행된다(S407).
한편, 수위센서(50)가 설정수위에 세탁수가 도달된 것을 감지하지 못하면,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감지하였는지를 체크한다(S411). 이때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감지하면, 수위센서(50)의 오작동이라고 판단되어 급수밸브(30)는 폐쇄된다(S413). 그리고,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면, 세탁수가 설정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수위센서(50)가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S403)로 리턴된다.
상기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감지하는 경우, 경고부(80)에 의해 경고음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S415). 이러한 경고음은 사용자에게 수위센서(50)의 고장을 알려주게 된다. 도 4의 흐름도에서는 급수밸브(30)가 폐쇄된 다음 경고음이 발생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고음은 보조수위센서(70)가 세탁수를 감지한 이후 세탁모드가 실행되는 과정에 걸쳐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30)가 폐쇄된 후에는 저수조(20)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일부 배출하도록 배수밸브(40)가 소정시간동안 개방된 후 폐쇄된다(S417). 이와 같이 세탁수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면, 세탁모드가 실행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저수조(20)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배수밸브(40)가 개방되는 소정시간은 실험을 통해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소정시간은 설정수위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수위센서(50)에 도달된 세탁수가 보조수위센서부(70)에 도달되는 시간으로 한다. 즉, 수위센서(50)는 세탁물의 양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개가 저수조(20)에 설치되고, 최상 높이에 위치한 수위센서(50) 보다 보조수위센서부(70)의 버튼(73) 위치가 더 높다. 따라서, 최상 높이에 위치된 수위센서(50)까지 도달된 세탁수를 기점으로 하여, 보조수위센서부(70)가 세탁수를 측정하는 시간을 소정시간으로 한다. 그리하면, 수위센서(50)의 오작동으로 인해 저수조(20)에 세탁수가 가득 차더라도, 일부가 배출되어 원활한 세탁모드 실행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러한 소정시간은 세탁모드의 실행 중 세탁수가 저수조(20)에서 넘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시간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저수조 30 : 급수밸브
40 : 배수밸브 50 : 수위센서
60 : 제어부 70 : 보조수위센서부
80 : 경고부 100 : 세탁기

Claims (9)

  1. 탈수조가 내장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고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를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는 급수밸브;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고 배수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수가 설정수위에 도달하는지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배수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수가 위험수위인지를 상기 제어부에 알려주는 보조수위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위센서부는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수가 유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격판;
    상기 격판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탁수에 의해 부유되는 부상체; 및
    상기 격판 내측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부상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정보를 제공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연계되고, 상기 버튼의 가압 신호를 측정하여 경고음을 생성하는 경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5.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세탁수가 저수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는 수위센서가 설정수위에 상기 세탁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설정수위에 상기 세탁수가 도달됨을 감지하지 못하면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면 경고음이 발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의 제어방법.
  7.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세탁수가 저수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는 수위센서가 설정수위에 상기 세탁수가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설정수위에 상기 세탁수가 도달됨을 감지하지 못하면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면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 및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된 후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상기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밸브가 소정시간동안 개방된 후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설정수위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상기 수위센서에 도달된 세탁수가 상기 보조수위센서부에 도달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위센서부가 상기 세탁수를 감지하면 경고음이 발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080025007A 2008-03-18 2008-03-18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90099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007A KR20090099810A (ko) 2008-03-18 2008-03-18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007A KR20090099810A (ko) 2008-03-18 2008-03-18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810A true KR20090099810A (ko) 2009-09-23

Family

ID=4135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007A KR20090099810A (ko) 2008-03-18 2008-03-18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8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25108A1 (en) * 2019-07-25 2021-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5188152A (zh) * 2022-06-28 2022-10-14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家居安防智能预警装置、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25108A1 (en) * 2019-07-25 2021-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5188152A (zh) * 2022-06-28 2022-10-14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家居安防智能预警装置、系统及方法
CN115188152B (zh) * 2022-06-28 2023-05-16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家居安防智能预警装置、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936B2 (en) Steam dish washer
RU26173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20130112666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093643B1 (ko) 세탁기의 잔수배출 제어방법
KR20090099810A (ko) 물넘침 방지용 세탁기 및 이러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7093536A (ja) 洗濯機
JP544100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20100081221A (ko) 세탁기
EP3026165B1 (en)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dispensing system
JP2013028956A (ja) 便器装置
KR101192191B1 (ko) 세탁기
KR20090114602A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3071185A (ja) 電気洗濯機
EP2757189B1 (en) Laundry appliance
CN113136688B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4857693B2 (ja) トイレ装置
JP2020185088A (ja) 洗濯機
TR201715623A2 (tr) Bi̇r çamaşir maki̇nesi̇ ve bi̇r çamaşir maki̇nesi̇ çaliştirma yöntemi̇
KR20120044571A (ko) 세탁기용 급수장치
CN216838627U (zh) 配重块组件及洗衣机
KR102479941B1 (ko)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JP709448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20000009795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21030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JP2023140949A (ja) 水洗式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