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826A -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 Google Patents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826A
KR20090096826A KR1020080021886A KR20080021886A KR20090096826A KR 20090096826 A KR20090096826 A KR 20090096826A KR 1020080021886 A KR1020080021886 A KR 1020080021886A KR 20080021886 A KR20080021886 A KR 20080021886A KR 20090096826 A KR20090096826 A KR 20090096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s
gripper
pair
link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880B1 (ko
Inventor
이일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리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리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리팩
Priority to KR102008002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8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포장용기에 전가되는 관성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를 제공한다. 상기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는, 회전 가능한 주축 및 주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며, 상기 회전 테이블 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복수의 그립퍼와, 상기 주축 상에 장착된 배럴 캠의 캠면에 대한 로울러의 승강운동을 포장용기 홀딩 및 포장용기 입구 개방에 적합한 상기 그립퍼의 회동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 테이블 상의 복수 조의 링크기구를 포함하고, 하나의 스테이션에는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룬 그립퍼 두 쌍이 위치하여 다음 스테이션으로 두 쌍이 한 꺼번에 한 스텝씩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진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룬 상기 두 쌍의 그립퍼가 한 조의 링크기구로서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립퍼는 회전 테이블 주면으로부터 동일한 연장길이를 가지면서 뻗어나와, 포장용기 홀딩을 위해 각각의 그립퍼 선단에 마련된 그립퍼 죠가 하나의 원호궤적을 공유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Rotary type automatic seal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우치(pouch)와 같은 포장용기를 포장기에 탑재하면, 이후의 포장용기 공급, 포장 대상 내용물 계량 및 용기내 내용물 충전, 용기 입구의 봉합 등의 일련의 과정이 하나의 원호궤적을 따르면서 단계별로 자동 수행되는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제품 양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기존 라인방식의 제품 포장에서 벗어나 정해진 원호궤적을 따라 테이블이 간헐적으로 회전(step motion)하면서 제품의 포장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가 알려진 바 있다.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는 파우치(pouch)와 같은 포장용기를 포장기에 탑재하고 이후의 포장용기 공급, 포장 대상 내용물 계량 및 용기내 내용물 충전, 용기 입구의 봉합 등의 일련의 과정이 원호궤적을 따라 단계별로 자동 수행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로타리 타입 포장기는 그립퍼(gripper)에 파우치와 같은 포장용기를 홀 딩시키는 과정에서부터 시작해서, 홀딩된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충전시키기 위해 포장용기의 입구를 개방시키는 과정, 입구가 개방된 포장용기 내에 충전노즐을 통해 내용물을 충전하는 과정, 내용물 충전 후 씰링 바(sealing-bar)를 이용해 포장용기 입구를 봉합하는 과정 및, 봉합이 완료된 포장용기 입구를 냉각시켜 포장을 완성하는 일련의 과정이 한 스텝씩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테이블 상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로타리 타입 포장기로는 간헐적인 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한 스텝에 하나의 포장용기가 처리되는 싱글타입과 한 스텝에 두개의 포장용기가 동시 처리되는 듀얼타입이 있다. 싱글타입은 비교적 중량의 중포장용에 적합하지만 한 스텝에 하나의 포장용기에 대한 포장처리만이 수행되므로, 전반적으로 제품 양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 듀얼타입의 경우 한 스텝에 복수의 포장용기에 대한 포장처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져서, 다품종 대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며, 따라서 최근 포장업계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듀얼타입의 로타리 포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 듀얼타입 로타리 포장기는 캠면에 대한 로울러의 승강운동을 포장용기 홀딩 및 포장용기 입구 개방에 적합한 그립퍼의 스윙운동으로 전환하는 각종 링크기구가 장착된 회전 테이블(1)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 테이블(1) 원주면을 따라 그립퍼(2)가 일정 이격 간격을 두고 복수 조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그립퍼(2)는 하나의 고정 그립퍼(2a)를 중심으로 그 양측방에 두 개의 가동 그립퍼(2b)가 연동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나의 스테이션에 두 개 의 표장용기(P)가 위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회전 테이블(1)에 의해 고정 그립퍼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두 개의 가동 그립퍼가 한 스텝씩 이동하면서 그 사이에 홀딩된 두 개의 포장용기(P)에 대한 포장처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듀얼타입 로타리 포장기의 경우 도 2a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포장용기에 대한 홀딩을 수행하는 가동 그립퍼(2b) 선단에 마련된 그립퍼 죠(jaw, 20b)가 고정 그립퍼(2a)에 선단부에 마련된 그립퍼 죠(20a) 중심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된 직선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다음 스테이션으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회전 테이블(1)이 간헐적 회전운동(step motion)을 하게 되면, 포장용기(P)는 고정 그립퍼(2a)의 그립퍼 죠(20a) 회전궤적(T1)과 이 회전궤적(T1) 바깥측에 위치한 가동 그립퍼(2b)의 그립퍼 죠(20b) 궤적(T2) 사이에서 직선에 가까운 각운동을 하게 되므로 그만큼 관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처럼 회전 테이블(1)의 간헐적 회전운동에 따라 포장용기(P)에 전가되는 관성 모멘트가 커지면, 내용물을 충전하고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포장용기(P)에 충전된 내용물 특히, 액상의 내용물일 경우에는 상기 관성의 영향을 받아 용기 바깥으로 분출되거나, 출렁거림으로 인한 내용물이 포장용기(P) 입구 주변을 오염시켜 차후 진행될 입구 봉합과정에서의 접착 불량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회전 테이블(1)의 각속도를 낮춤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 가능하지만, 회전 테이블(1)의 회전 각속도를 낮추면 제품의 양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대안이 요구된다.
더욱이, 위와 같이 고정 그립퍼(2a) 선단의 그립퍼 죠(20a) 회전궤적(T1) 바깥측에 일정거리 이격된 다른 궤적(T2) 사이에서 포장용기(P)가 이동하는 경우,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 입구를 봉합 및 냉각시키는 구간에서의 한 쌍의 마주하는 씰링 바(3) 및 쿨링 바(미도시)는 상기 그립퍼 죠(20a)의 회전궤적(T1)과 다른 궤적(T2) 간의 편차(D)를 포괄할 수 있을 정도의 보다 큰 스윙 스트로크(stroke, S)를 가져야 하는데, 씰링 바(3) 및 쿨링 바(미도시)의 스윙 스트로크(S)가 커지면 접착 내지는 냉각 시 열 편차에 의해 포장용기 입구에 대한 접착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포장용기 한 쪽 끝은 회전 테이블(1)에 고정된 고정 그립퍼(2a)에, 다른 쪽 끝은 고정 그립퍼(2a)에 대해 상대 스윙운동을 하는 가동 그립퍼(2b)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그립퍼(2b)의 스윙만으로 포장용기(P) 입구측 한쪽 끝을 변위시켜 용기 입구에 대한 개방이 수행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포장용기 입구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포장용기(P)의 입구 중심(C1→C2)이 가변될 수 밖에 없었다. 이 경우에는 내용물을 충전하는 구간에서의 노즐 내지는 호퍼 중심과 상기 포장용기 입구 중심 간 불일치되는 현상이 연출되어 내용물이 정량 투입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충전 불량이 야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그립퍼를 외주연에 장착한 회전 테이블이 다음 스테이션으로의 이동을 위해 간헐적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그립퍼에 홀딩되어 그립퍼와 함께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포장용기에 전가되는 관성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각각의 그립퍼들이 하나의 원호궤적을 따라 원주에 가까운 간헐적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용기 입구에 대한 봉합 및 냉각을 수행하는 구간에서의 씰링 바 및 쿨링 바의 스윙 스트로크를 줄여 봉합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포장용기를 홀딩하는 좌, 우 한 쌍의 그립퍼가 상호 연동하여 동시에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을 가져, 포장용기의 입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의 입구 중심이 가변되지 않도록 한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주축 및 주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며, 상기 회전 테이블 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복수의 그립퍼와, 상기 주축 상에 장 착된 배럴 캠의 캠면에 대한 로울러의 승강운동을 포장용기 홀딩 및 포장용기 입구 개방에 적합한 상기 그립퍼의 회동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 테이블 상의 복수 조의 링크기구를 포함하고, 하나의 스테이션에는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룬 그립퍼 두 쌍이 위치하여 다음 스테이션으로 두 쌍이 한 꺼번에 한 스텝씩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진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룬 상기 두 쌍의 그립퍼가 한 조의 링크기구로서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립퍼는 회전 테이블 주면으로부터 동일한 연장길이를 가지면서 뻗어나와, 포장용기 홀딩을 위해 각각의 그립퍼 선단에 마련된 그립퍼 죠가 하나의 원호궤적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배럴 캠 곡면을 따라 승강이동하는 롤러의 상, 하방 승강운동을 주축 접선 방향에 대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원동링크와; 상기 원동링크와 연결되며 이 원동링크로부터 전달된 작동 동력을 2방향으로 분기시키는 분기부 캠과; 연결링크를 매개로 상기 분기부 캠과 연결되어 작동 동력을 제공받는 부채꼴 형상의 편심 캠과; 회전 테이블 주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그립퍼가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립퍼 힌지부를 연동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동링크와; 한 쌍의 그립퍼 힌지부를 연결하는 연동링크와 상기 분기부 캠을 연결하는 제1 종동링크; 및 상기 한 쌍의 그립퍼와 이웃하는 다른 한 쌍의 그립퍼의 힌지부를 연결하는 다른 연동링크와 상기 편심 캠을 연결하는 제2 종동링크;를 포함하여 한조를 이룸 으로써, 하나의 원동링크의 직선운동으로 한 쌍의 그립퍼 및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한 쌍의 그립퍼가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서로 대향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그립퍼가 쌍을 이뤄 두 쌍이 한 조를 이루되, 포장 내용물에 따라 회전 테이블 상에 7 내지 9조의 그립퍼가 장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우치와 같은 포장용기를 홀딩하는 각각의 그립퍼 선단에 마련된 복수의 그립퍼 죠가 하나의 원호궤적을 따라 간헐적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다음 스테이션으로의 이동을 위해 그립퍼를 장착한 회전 테이블이 간헐적으로 회전운동을 하면, 한 쌍의 그립퍼 죠 사이에 홀딩된 포장용기 역시 상기 원호궤적을 따라 그 원호궤적에 가까운 간헐운동을 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회전 시 포장용기에 전가되는 관성 모멘트가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포장용기 내에 충전된 내용물의 출렁거림이 줄어들게 되므로, 내용물이 용기 바깥으로 분출되거나 출렁거림으로 인해 내용물이 포장용기 입구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회전에 따라 장치의 전반적인 회전속도 또한 높일 수 있어서 제품의 양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장용기가 위와 같이 그립퍼 죠가 이동하는 하나의 원호궤적에 근사히 간헐적 회전운동을 하므로, 포장용기 입구에 대한 봉합 및 냉각을 수행하는 구간에서의 씰링 바 및 쿨링 바의 스윙 스트로크를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으고, 따라서 보다 정교한 접착 및 쿨링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접착공정에서의 포장용기 입구에 대한 접착 불량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스트로크가 줄어듦에 따른 소음저감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하나의 포장용기를 홀딩하는 좌, 우 한 쌍의 그립퍼가 한 조의 링크기구로서 상호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임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포장용기의 입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의 포장용기 입구 중심(C)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내용물을 충전하는 구간에서의 노즐 내지는 호퍼 중심과 상기 포장용기 입구 중심 간 불일치되는 현상에 따른 종래와 같은 내용물 충전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자동 포장기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 타입 자동포장기는 회전 가능한 주축(100) 및 주축(100)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테이블(200)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 테이블(200) 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복수의 그립퍼(300)를 포함한다. 그립퍼(300)는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룬 두 쌍이 하나의 스테이션에 위치하며(종래도면 참조), 주축(100) 및 회전 테이블(200)의 회전에 따라 다음 스테이션으로 두 쌍이 한 꺼번에 한 스텝씩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룬 상기 두 쌍의 그립퍼(300)는 한 조의 링크기구(400)로서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링크기구(400)는 상기 주축(100) 상에 장착된 배럴 캠(미도시)의 캠면에 대한 로울러의 승강운동을 포장용기 홀딩 및 포장용기 입구 개방에 적합한 상기 그립퍼(300)의 스윙운동으로 전환하며, 회전 테이블(200) 상에는 여러 쌍의 그립퍼(300)에 대한 변위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복수 조의 링크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조의 링크기구를 통해 그립퍼(300)는 포장용기를 홀딩하는 과정에서부터 시작해서 포장용기 입구를 개봉하는 과정 및 봉합하는 과정 등 해당 스테이션에 적합한 스윙운동을 한다.
쌍을 이룬 상기 두 쌍의 그립퍼(300)를 동시 변위시키는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된 한 조의 링크기구(400)는, 원동링크(410), 분기부 캠(420), 부채꼴 형상의 편심 캠(430), 연동링크(440)를 포함한다. 상기 원동링크(410)는 주축(100) 상에 장착된 배럴 캠(미도시) 곡면을 따라 승강이동하는 롤러의 상, 하방 승강운동을 주축 접선 방향에 대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분기부 캠(420)은 원동링크(410)로부터 전달된 작동 동력을 2방향, 구체적으로 한 쌍의 그립퍼 및 이웃한 다른 한 쌍의 그립퍼 측으로 분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원동링크(410)와 분기부 캠(420)은 작동 동력이 전달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데, 부채꼴 형상의 편심 캠(430)은 연결링크(425)를 매개로 상기 분기부 캠(420)과 상호 연결되어 이러한 분기부 캠(420)으로부터 작동 동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연동링크(440)는 회전 테이블(200) 주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그립퍼(300)가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립퍼 힌지부(305)에 연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동링크(440) 중 한 쌍의 그립퍼 힌지부(305)를 연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일측 연동링크(440)는 제1 종동링크(450a)를 통해 상기한 분기부 캠(420)과 상호 연결되며, 한 쌍의 그립퍼(300)와 이웃하는 다른 한 쌍의 그립퍼(300)의 힌지부(305)를 연결하는 다른 일측의 연동링크(440)는 제2 종동링크(450b)를 통해 상기 편심 캠(430)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원동링크(410)로부터 전달된 작동 동력은 분기부 캠(420)을 거치면서 제1 종동링크(450a) 및 편심 캠(430)과 연결된 제2 종동링크(450b) 측으로 동시에 전달되고, 그 결과, 하나의 원동링크(410)의 직선운동으로 한 쌍의 그립퍼(300-1) 및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한 쌍의 그립퍼(300-2)가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회전 테이블(200) 주면에 스윙 가능하게 장착된 각각의 그립퍼(300)는 회전 테이블(200) 주면으로부터 동일한 연장길이를 가지면서 뻗어나와 포장용기 홀딩을 위해 각각의 그립퍼 선단에 마련된 그립퍼 죠(310)는 도 3에 도시된 하나의 원호궤적(T3)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다음 스테이션으로의 이동을 위해 그립퍼(300)를 장착한 회전 테이블(200)이 간헐적으로 회전운동을 하면, 한 쌍의 그립퍼 죠(310) 사이에 홀딩된 포장용기(P) 역시 상기 원호궤적(T3)을 따라 이 원호궤적(T3)에 근사한 간헐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한 그립퍼(3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서로 대향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그립퍼가 쌍을 이뤄 두 쌍이 한 조를 이룬 상태에서 한 조가 한 스텝씩 간헐적으로 이동되면서 포장용기에 대한 포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포장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회전 테이블 상에는 7 내지 9조의 그립퍼가 장착될 수 있다. 7조의 그립퍼가 장착된 경우에는 하나의 스테이션에 두 쌍의 그립퍼 즉, 그립퍼 한 조가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기가 총 7개의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며, 9조의 그립퍼가 장착된 경우에는 하나의 스테이션에 한 조가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기가 총 9개의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스테이션의 개소수는 포장 대상 내용물 및 포장용기의 형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파우치(pouch)와 같은 포장용기를 포장기에 탑재하는 것에서 부터 이후의 그립퍼의 그립퍼 죠에 포장용기를 홀딩, 포장용기의 입구 개봉, 개봉된 입구를 통해 포장용기 바닥 및 내부를 벌리는 과정, 포장 대상 내용물 계량 및 용기내 내용물 충전, 용기 입구의 봉합 및 봉합된 부분에 대한 냉각 등의 스테이션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이외에 포장용기에 유통기한을 표시하거나 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우치와 같은 포장용기 를 홀딩하는 각각의 그립퍼(300) 선단에 마련된 복수의 그립퍼 죠(310)가 하나의 원호궤적(T3)을 공유하면서 이러한 원호궤적(T3)을 따라 간헐적 회전운동을 한다. 따라서 다음 스테이션으로의 이동을 위해 그립퍼를 장착한 회전 테이블(200)이 간헐적으로 회전운동을 하면, 한 쌍의 그립퍼 죠(310) 사이에 홀딩된 포장용기(P) 역시 상기 원호궤적(T3)을 따라 그 원호궤적에 가까운 간헐운동을 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회전 시 포장용기에 전가되는 관성 모멘트가 현저히 줄어든다.
종래에는 고정 그립퍼 선단의 그립퍼 죠와 그 양측방에 이격 배치된 가동 그립퍼 선단의 그립퍼 죠가 하나의 동일축선 상에 위치하는 구조임에 따라, 다음 과정으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회전 테이블이 간헐적 회전운동(step motion)을 하는 경우에, 포장용기 중심은 고정 그립퍼의 그립퍼 죠 회전궤적 바깥측에 위치한 궤적을 따르면서 직선에 가까운 각운동을 하게 되므로 그만큼 관성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각각의 그립퍼 죠(310)가 하나의 원호궤적(T3)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쌍의 그립퍼 죠 사이에 홀딩된 포장용기 역시 상기 원호궤적(T3)에 근접한 간헐운동을 할 수 있어서, 다음 스테이션으로의 이동을 위해 회전 테이블(200)이 한 스텝씩 간헐적으로 회전할 경우 포장용기(P)에 전가되는 관성 모멘트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이다.
이처럼 그립퍼 죠(310)에 홀딩되어 있는 포장용기(P)에 전가되는 관성 모멘트가 줄어들게 되면, 포장용기(P) 내에 충전된 내용물의 출렁거림이 줄어들게 되므로, 내용물이 용기 바깥으로 분출되거나 출렁거림으로 인해 내용물이 포장용기 입 구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호궤적(T3)에 근접하여 포장용기(P)가 안정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반적인 장치의 회전속도 또한 높일 수 있어서 제품의 양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그립퍼 죠(310)가 하나의 원호궤적(T3)을 회전하고 그 사이에 홀딩된 포장용기 역시 상기 하나의 원호궤적(T3)에 근접한 간헐적 회전운동을 하므로, 포장용기(P) 입구에 대한 봉합 및 냉각을 수행하는 구간에서의 씰링 바 및 쿨링 바(도 2a 참조)의 스윙 스트로크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보다 정교한 접착 및 쿨링 작업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접착공정에서의 포장용기 입구에 대한 접착 불량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포장용기를 홀딩하는 좌, 우 한 쌍의 그립퍼(300)가 한 조의 링크기구(400)로서 상호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스윙됨에 따라, 포장용기의 입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의 포장용기 입구 중심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내용물을 충전하는 구간에서의 노즐 내지는 호퍼 중심과 상기 포장용기 입구 중심 간 불일치되는 현상에 따른 종래와 같은 내용물 충전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듀얼타입 로타리 포장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자동 포장기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주축 200...회전 테이블
300...그립퍼 305...힌지부
310...그립퍼 죠 400...링크기구
410...원동링크 420...분기부 캠
425...연결링크 430...편심캠
450a...제1 종동링크 450b...제2 종동링크
T3...원호궤적

Claims (3)

  1. 회전 가능한 주축 및 주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며, 상기 회전 테이블 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복수의 그립퍼와, 상기 주축 상에 장착된 배럴 캠의 캠면에 대한 로울러의 승강운동을 포장용기 홀딩 및 포장용기 입구 개방에 적합한 상기 그립퍼의 회동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 테이블 상의 복수 조의 링크기구를 포함하고, 하나의 스테이션에는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룬 그립퍼 두 쌍이 위치하여 다음 스테이션으로 두 쌍이 한 꺼번에 한 스텝씩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진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룬 상기 두 쌍의 그립퍼가 한 조의 링크기구로서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립퍼는 회전 테이블 주면으로부터 동일한 연장길이를 가지면서 뻗어나와, 포장용기 홀딩을 위해 각각의 그립퍼 선단에 마련된 그립퍼 죠가 하나의 원호궤적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배럴 캠 곡면을 따라 승강이동하는 롤러의 상, 하방 승강운동을 주축 접선 방향에 대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원동링크와;
    상기 원동링크와 연결되며 이 원동링크로부터 전달된 작동 동력을 2방향으로 분기시키는 분기부 캠과;
    연결링크를 매개로 상기 분기부 캠과 연결되어 작동 동력을 제공받는 부채꼴 형상의 편심 캠과;
    회전 테이블 주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그립퍼가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립퍼의 힌지부를 연동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동링크와;
    한 쌍의 그립퍼 힌지부를 연결하는 연동링크와 상기 분기부 캠을 연결하는 제1 종동링크; 및
    상기 한 쌍의 그립퍼와 이웃하는 다른 한 쌍의 그립퍼의 힌지부를 연결하는 다른 연동링크와 상기 편심 캠을 연결하는 제2 종동링크;를 포함하는 구성이 한 조를 이뤄,
    하나의 원동링크의 직선운동으로 한 쌍의 그립퍼 및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한 쌍의 그립퍼를 동시에 벌리거나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그립퍼가 쌍을 이뤄 두 쌍이 한 조를 이루되, 포장 내용물에 따라 회전 테이블 상에 7 내지 9조의 그립퍼가 장착됨을 특징으 로 하는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KR1020080021886A 2008-03-10 2008-03-10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KR10094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886A KR100940880B1 (ko) 2008-03-10 2008-03-10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886A KR100940880B1 (ko) 2008-03-10 2008-03-10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826A true KR20090096826A (ko) 2009-09-15
KR100940880B1 KR100940880B1 (ko) 2010-02-09

Family

ID=4135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886A KR100940880B1 (ko) 2008-03-10 2008-03-10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93B1 (ko) * 2013-03-18 2014-09-12 주식회사 오토팩코리아 포장팩 공급장치 및 포장팩 포장장치
KR101912464B1 (ko) * 2018-06-05 2018-10-26 주식회사 지씨에이 제품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350B1 (ko) 2013-02-18 2013-04-25 주식회사 솔팩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KR101550857B1 (ko) 2014-03-04 2015-09-07 주식회사리팩 평평한 백을 사면체 형상 백으로 전환하는 로타리 자동포장기의 장치
KR101733275B1 (ko) 2015-03-09 2017-05-08 박화춘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의 그립퍼 조립체
KR101652466B1 (ko) 2016-06-01 2016-08-31 홍승일 Rfid를 이용한 순환식 자동포장기
KR101652465B1 (ko) 2016-06-01 2016-08-31 홍승일 원격제어를 이용한 순환식 자동포장기
JP6830573B2 (ja) 2016-07-29 2021-02-17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ロータリー式包装機
KR20230068790A (ko)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솔팩 듀얼타입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2422A (ja) * 1992-10-05 1994-05-06 Fuaburika Toyama:Kk 包装装置
JPH08156918A (ja) * 1994-12-05 1996-06-18 General Packer Kk 包装袋支持幅調整装置
JP3554502B2 (ja) 1999-03-23 2004-08-18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包装機
JP3554236B2 (ja) 1999-11-19 2004-08-18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包装機におけるグリップ対の開度調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93B1 (ko) * 2013-03-18 2014-09-12 주식회사 오토팩코리아 포장팩 공급장치 및 포장팩 포장장치
KR101912464B1 (ko) * 2018-06-05 2018-10-26 주식회사 지씨에이 제품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880B1 (ko)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880B1 (ko) 로타리 타입 자동 포장기
CN108001757B (zh) 装袋包装机的夹钳装置
US9650165B2 (en) Tray sealer
US8684431B2 (en) Duplex-type product bag unloading apparatus
JP5944738B2 (ja) 連続移送式袋詰め包装機
US6712196B2 (en) Empty bag supplying apparatus and a product-filled bag extraction apparatus in a continuous conveying type bag-filling packaging machine
KR102061432B1 (ko) 진공 포장기
US11247796B2 (en) Machine for forming filter bags for infusion products
JP6758776B2 (ja) 容器搬送装置
US3903672A (en) Method and machine for filled bag production
CN108583973A (zh) 一种用于糖果包装机的进料装置及糖果包装机
US6604560B2 (en) Packaging processing apparatus in a packaging machine
CN103387072B (zh) 一种包装容器成型排包的选择装置
US4621485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supplying containers of boxes to the outlet of tube-filling machines, particularly for use with tube-filling and boxing machines
KR102042962B1 (ko) 연속 진공 시스템
JP2020138778A (ja) 袋搬送方法及び袋処理システム
EP2508434B1 (en) Packaging module, machine and method for performing at least two operations on flexible containers
US2543280A (en) Apparatus for handling containers
US4627216A (en) Apparatus for the positive transfer of tubes from the line which processes them into boxes of tube-filling and boxing machines
US65573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ly wrapping products
EP1737645B1 (en) Transfer star-wheel, in particular for flexible containers, and method for cooling said containers
JP2021172377A (ja) 袋移送装置
ITBO980076A1 (it) Metodo per il trasferimento di articoli.
WO2013088412A2 (en) An apparatus for making a respective package.
KR20230068790A (ko) 듀얼타입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