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524A -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524A
KR20090095524A KR1020090063797A KR20090063797A KR20090095524A KR 20090095524 A KR20090095524 A KR 20090095524A KR 1020090063797 A KR1020090063797 A KR 1020090063797A KR 20090063797 A KR20090063797 A KR 20090063797A KR 20090095524 A KR20090095524 A KR 20090095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id
compaction
mesh network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076B1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호 filed Critical 최성호
Priority to KR102009006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0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이 격자 그물 형태로 엮어져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메쉬망과,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쉬망에 일부 중첩되어 고정되고, 격자 그물 형태를 이루도록 포설된 그리드와,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쉬망의 내측에 썩는 천연 식물 재질의 물질로 매립된 식생기반층과, 상기 그리드 상에 성토되어 다짐 처리된 다짐층을 포함하며, 상기 메쉬망, 상기 그리드, 상기 식생기반층 및 상기 다짐층은 경사면을 따라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다층으로 적층된 'ㄷ'자형 구조의 메쉬망 상에 경사면을 따라 포설되어 경사면의 식생토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와, 식물이 뿌리 내림하여 경사면의 토사를 고착화하기 위해 상기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를 커버하도록 경사면을 따라 타설된 식생토를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는, 토압에 의한 전단 응력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으면서 시공이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미관상 녹색 식물에 의한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줄 수 있고 친환경적이다.
성토부, 메쉬망, 지오그리드(토목섬유), 식생토(녹생토), 능형망

Description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Structure of raising the ground level and excecu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성토부 구조 및 성토부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압에 의한 전단 응력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으면서 시공이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미관상 녹색 식물에 의한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 현장은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토부의 절개면에 대한 보강이나, 지반을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되는 성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보강이 고려되어야 한다.
절토부는 임의적인 절개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를 갖는 절개면에 대한 구조물이며, 성토부는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차로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다.
절개면 및 경사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강을 위한 시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이 중 성토부에는 특히 안전성과 경제성 뿐만 아니라 외적 미관을 고려한 조경이 고려된 보강 시공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성토부의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또는 조경석을 이용한 돌벽 구조물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은 설치대상 경사지 및 암반 등의 형태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유연성 및 가변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지기반이 필요한데 지지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공간의 확보는 뒷채움 작업 등을 많이 필요로 하며, 그에 따라서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공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차후 옹벽 구조물의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된 경우, 이의 보수가 곤란하며, 미관을 고려한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조경석을 이용한 돌벽 구조물의 경우 조경적인 측면이 충족되고, 경사면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으나, 성토와 더불어 돌을 쌓는 경우 조경석이 직립 상태로 유지되기 어렵고, 다단으로 쌓는 경우 고도로 숙련된 시공자가 필요하고 공사비가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성토부에 대하여 자연석과 같은 조경석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성토부의 시공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미관을 고려한 자연친화적인 성토부 구조가 요구되고 있고, 오염원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시공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안정적으로 토압에 의한 전단 응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안정감을 주여야 하며 배수가 잘 이루어지는 성토부의 시공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토압에 의한 전단 응력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으면서 시공이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미관상 녹색 식물에 의한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줄 수 있고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토압에 의한 전단 응력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으면서 시공이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미관상 녹색 식물에 의한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줄 수 있고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는,
지반상에 파진 골에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층;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 상에 놓여지는 기초석;
상기 기초석의 하부를 메우는 채움 콘크리트층;
상기 기초석의 일측에 토사를 부어서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형성되는 다층의 제 1 다짐층;
상기 기초석과 상기 제 1 다짐층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골재를 다짐하여 형성되는 제 1 배수층;
상기 제 1 다짐층의 상부에 놓여지고 턴버클 및 세트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석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그리드;
상기 기초석의 상부에 상기 제 1 다짐층 쪽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상부석;
상기 상부석의 일측인 상기 1 그리드 상부에 토사를 부어서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형성되는 다층의 제 2 다짐층;
상기 상부석과 상기 제 2 다짐층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골재를 다짐하여 형성되는 제 2 배수층; 및
상기 제 2 다짐층의 상부에 놓여지고 턴버클 및 세트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석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석, 상기 제 2 다짐층, 상기 제 2 배수층 및 상기 제 2 그리드가 반복 적층되고,
철근이 격자 그물 형태로 엮어져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메쉬망;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쉬망에 일부 중첩되어 고정되고, 격자 그물 형태를 이루도록 포설된 제 3 그리드;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쉬망의 내측에 썩는 천연 식물 재질로 매립된 식생기반층; 및
상기 제 3 그리드 상에 성토되어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짐 처리된 제 3 다짐층을 포함하며,
상기 메쉬망, 상기 그리드, 상기 식생기반층 및 상기 제 3 다짐층은 최상위의 상기 제 2 다짐층 상에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다층으로 적층된 'ㄷ'자형 구조의 메쉬망 상에 포설되어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 및
식물이 뿌리 내림하여 토사를 고착화하기 위해 상기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를 커버하도록 타설된 식생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시공 방법은,
(a1) 지반 상에 골을 파서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a2)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 상에 기초석을 놓는 단계;
(a3) 상기 기초석의 하부를 채움 콘크리트층으로 메우는 단계;
(a4) 상기 기초석의 일측에 토사를 부어서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다층의 제 1 다짐층을 형성하는 단계;
(a5) 상기 기초석과 상기 제 1 다짐층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골재를 다짐하여 제1 배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a6) 상기 제 1 다짐층의 상부에 제 1 그리드를 놓고, 턴버클 및 세트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석에 상기 그리드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a7) 상기 기초석의 상부에 상기 제 1 다짐층 쪽으로 엇갈리도록 상부석을 배치하는 단계;
(a8) 상기 상부석의 일측인 상기 1 그리드 상부에 토사를 부어서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다층의 제 2 다짐층을 형성하는 단계;
(a9) 상기 상부석과 상기 제 2 다짐층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골재를 다짐하 여 제 2 배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a10) 상기 제 2 다짐층의 상부에 제 2 그리드를 놓고, 턴버클 및 세트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석에 상기 제 2 그리드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및
(a11) 상기 상부석, 상기 제 2 다짐층, 상기 제 2 배수층 및 상기 제 2 그리드를 반복 적층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중력식 보강토를 형성하고,
(b1) 철근을 격자 그물 형태로 엮은 'ㄷ'자형 구조의 메쉬망을 설치하는 단계;
(b2) 상기 메쉬망에 일부 중첩되게 고정되고 격자 그물 형태를 이루는 제 3 그리드를 포설하는 단계;
(b3) 씨앗이 발아하거나 식물로 성장하는데 거름을 제공하도록 'ㄷ'자형 구조의 상기 메쉬망의 내측에 썩는 천연 식물 재질의 물질로 식생기반층을 매립하는 단계;
(b4) 상기 제 3 그리드 상에 성토하고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짐 처리하여 제 3 다짐층을 형성하는 단계;
(c1) 상기 (b1) 내지 상기 (b4) 단계를 반복하여 다층으로 상기 메쉬망, 상기 제 3 그리드, 상기 식생기반층, 및 상기 제 3 다짐층을 다층으로 반복 적층하는 단계;
(c2) 다층으로 적층된 상기 메쉬망 상에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C3) 상기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를 커버하도록 식생토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 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토부의 경사면에 'ㄷ'자형의 메쉬망을 다층으로 시공하고 상기 메쉬망과 일부 중첩되게 그리드를 포설하여 토압에 의한 전단 응력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으면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성토부 구조를 갖는다.
또한, 시공이 쉽고 간단하며, 배수가 잘 이루어지고, 친환경적이다. 식생기반층은 볏짚이나 마대와 같이 친환경성을 갖는 썩는 재질의 물질로 형성되므로 자연적인 상태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썩게 되고, 따라서 어떠한 오염원도 배출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 상부의 식생토에서 자란 식물이 메쉬망 내측에 매립된 식생기반층에 뿌리 내림하여 경사면의 토사를 고착화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보는 사람에게 식물에 의한 자연친화적이고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층이 다른 층의 위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층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게재될 수도 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토압에 의한 전단 응력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를 제시한다.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는 다층으로 적층되는 다짐층(224) 내부에 그리드(214)가 삽입되고 경사면에 'ㄷ'자형 구조의 메쉬망(212)이 포설되어 그리드(214)의 마찰력과 메쉬망(212)의 지지력으로 다짐층(224)의 전단 응력에 의한 토사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 상부의 식생토(230)에서 자란 식물이 메쉬망(212) 내측에 매립된 식생기반층(222)에 뿌리 내림하여 경사면의 토사를 고착화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반(208)을 터파기하여 형성된 영역에 내에 기초 다짐을 위한 골재지반층(210)이 형성되어 있다. 골재지반층(210)은 성토부의 하중을 지지하고 배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골재지반층(210)은 여러 가지 크기로 이루어진 골재로 쌓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골재 사이에는 공극이 많으므로 골재지반층(210)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골재지반층(210)의 재질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 중 배수나 자원의 재활용을 고려하여 직경 75 ㎜ 이하의 잡석(재활용 골재 포함)으로써 골재지반층(210)이 형성될 수 있다.
골재지반층(210) 상에 'ㄷ'자형의 메쉬망(212)이 구비되어 있다. 메쉬망(212)은 경사면의 형태를 유지하고 토사의 유출을 억제하며, 경사면을 따라 다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메쉬망(212)은 철근(예컨대, 6㎜ 두께의 철근)을 장방형의 격자 모양으로 엮어서 만든 것이다. 메쉬망(212)에 구비된 다수의 구멍은 식생토(230)에서 발아된 식물의 뿌리가 번식할 수 있도록 통로의 역할을 한다. 도 11a는 메쉬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망(212)은 'ㄷ'자형 형태로 제작되어 경사면을 따라 순착적으로 적층되며, 'ㄷ'자형에서 개구가 있는 부분이 성토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ㄷ'자형을 이루는 메쉬망(212)의 천정 및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는 다짐층(224)의 두께(약 60㎝ 정도)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성토될 영역에는 메쉬망(212)의 일부와 중첩되게 그리드(토목섬유)(214)가 포설되어 있다. 다짐층(224)이 적층되는 사이에 그리드(214)가 설치된다. 도 11b는 그리드(214)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214)는 폴리에틸렌 계통의 격자형 토목섬유 제품이다. 그리드(214)는 일 단부가 메쉬망(212)과 일부 중첩되게 포설되고 중첩되는 부분을 상하로 덮은 연결 플레이트(216)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18) 및 너트(220)로 고정되며, 타단은 고정핀(215)으로 고정된다. 다짐층(224)이 각각 60cm 정도의 두께로 적층되므로, 그리드(214)는 상하층이 각각 60cm 정도의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볼트(218) 및 너트(220)와 고정핀(215)을 이용한 그리드(214) 설치 방법은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설치되는 그리드(214)는 상하부 다짐층(224)에 대한 마찰력을 가지며,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다짐층(224)의 전단 응력에 견딜 수 있고, 일단에 연결된 메쉬망(212)을 지지한다.
그리고, 메쉬망(212)의 내측('ㄷ'자형의 안쪽 내부)에는 식생기반층(222)이 매립되어 있다. 메쉬망(212)의 내측(메쉬망과 다짐층의 사이)에는 토사 유출 방지 및 배수를 위한 식생기반층(222)이 형성되어 있다. 식생기반층(222)은 볏짚이나 마대와 같이 친환경성을 갖는 썩는 재질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볏짚이나 마대와 같은 재질의 물질은 자연적인 상태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썩게 되고, 따라서 어떠한 오염원도 배출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식생기반층(222)은 일반 토양에 비하여 공극이 많은 물질로 형성되므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도 한다. 식생기반층(222)은 썩는 재질의 볏짚 또는 마대 등으로 형성되므로 식생토(230)에 포함된 씨앗이 발아되어 성장하는데 천연 거름이 되고, 더욱 튼튼하게 뿌리 내릴 수 있도록 성장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된다.
식생기반층(222)의 일측, 즉 성토된 쪽은 지로그리드(214) 상에 다짐층(224)이 성토되어 구성된다. 다짐층(224)은 양질의 토사로 형성되며, 대략 60㎝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소요 다짐 밀도(예컨대, 90%) 이상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메쉬망(212), 그리드(214), 식생기반층(222) 및 다짐층(224)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일정한 높이 까지 반복되어 적층되어 성토부를 이룬다.
메쉬망(212)을 적층하는 경우,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메쉬망의 하부와 하부 메쉬망의 상부가 일부 중첩되게 적층하고, 그 중첩된 부분이 또한 그리드(214)의 일단과 일부 중첩되게 한 다음, 중첩되는 부분을 덮도록 상부 및 하부에 연결 플레이트(216)를 배치하여 볼트(218) 및 너트(220)로 고정한다.
다층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메쉬망(212) 상부에는 성토부의 경사면을 커버하도록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가 포설된다. 성토부의 경사면을 커버하는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는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능형망(226)은 PVC로 코팅된 철사를 마름모꼴 모양의 격자 그물 형태로 엮어서 만든 것이고, 코아넷트(226)은 코코넛의 줄기를 마름모꼴 모양의 격자 그물 형태로 엮어서 만든 것이다. 코아넷트(226)는 천연식물성 섬유질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오염원을 배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에 구비된 다수의 구멍은 식생토(230)에서 발아된 식물의 뿌리가 번식할 수 있도록 통로의 역할을 한다.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는 경사면에 펼쳐져 접혀지지 않게 한 상태에서 고정핀(228)에 의해 고정된다.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가 설치된 경사면에 식생토(230)가 타설되어 있다. 식생토(또는 녹생토)(230)는 씨앗이 포함된 토양으로서 씨앗(예컨대, 잔디 씨앗)이 발아되어 뿌리 내림을 하여 고착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경사면을 지지할 수 있다. 식생기반층(222)은 썩는 재질의 볏짚 또는 마대 등으로 형성되므로 식생토(230)에 포함된 씨앗이 발아되어 성장하는데 천연 거름이 되고, 더욱 튼튼하게 뿌리 내릴 수 있도록 성장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된다. 성토부의 경사면에 식생토(230)를 타설하게 되면, 식물의 뿌리 내림에 의해 토사 유출 방지와 지반 안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의 시공 방법을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지반(208)을 터파기하여 형성된 영역에 기초 다짐을 위한 골재지반층(210)을 부설한다. 상기 골재지반층(210)은 여러 가지 크기로 이루어진 골재로 쌓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골재 사이에는 공극이 많으므로 골재지반층(210)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3과 같이 경사진 부분에 'ㄷ'자형으로 메쉬망(212)을 설치한다. 메쉬망(212)은 철근(예컨대, 6㎜ 두께의 철근)을 장방형의 격자 모양으로 엮어서 만든 것이다. 메쉬망(212)은 'ㄷ'자형 형태로 제작되며, 'ㄷ'자형에서 개구가 있는 부분이 성토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ㄷ'자형을 이루는 메쉬망(212)의 천정 및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는 후술하는 다짐층(224)의 두께(약 60㎝ 정도)와 동일하게 한다.
도 4와 같이 메쉬망(212)과 일부 중첩되게 그리드(214)를 설치한다. 그리드(214)와 메쉬망(212) 간의 체결 구조 및 고정핀(215)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그리드(214)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리드(214)는 볼트(218) 및 너트(220)를 이용하여 메쉬망(212)에 일부 중첩되게 일단이 고정되고, "ㄱ"자 형상을 갖는 고정핀(215)에 의하여 다짐층(224)에 타단이 고정된다. 그리드(214)와 메쉬망(212)이 중첩되는 부분의 상부 및 하부에는 연결 플레이트(216)를 설치하고 연결 플레이트(216)를 관통하도록 볼트(218)를 체결하여 너트(22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골재지반층(210) 또는 다짐층(224) 상에 일정한 폭 이상으로 펼쳐지는 그리드(214)는 볼트(218) 및 너트(220)에 의하여 고정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는 접혀지지 않게 펴진 상태에서 고정핀(215)으로 고정된다.
도 5와 같이 'ㄷ'자형으로 설치된 메쉬망(212) 내측에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식생기반층(222)을 형성한다. 식생기반층(222)은 다짐층(224)의 토사 유출을 줄이는 동시에 안정적인 구조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적용된 것이다. 상기 식생기반층(222)은 볏짚이나 마대와 같이 친환경성을 갖는 썩는 재질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볏짚이나 마대와 같은 재질의 물질은 자연적인 상태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썩게 되고, 따라서 어떠한 오염원도 배출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식생기반층(222)은 일반 토양에 비하여 공극이 많은 물질로 형성되므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도 한다.
도 6과 같이 식생기반층(222)의 내측, 즉 식생기반층(222)을 기준으로 메쉬망(212)의 반대편 영역에 다짐층(224)을 형성하는데, 이때 다짐층(224)은 양질의 토사를 부어서 다지는 공정을 실시하여 소요 밀도(예컨대, 90%) 이상의 다짐도를 갖도록 다져진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메쉬망(212) 및 그리드(214)를 다짐층(224) 상부에 구성한 후, 식생기반층(222)과 다짐층(224)을 적층하는 성토 공정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도 9와 같이 골재지반층(210)을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로 성토가 진행되면, 경사면에 반복 설치된 메쉬망(212) 상부에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를 덮는다.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는 식생토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더욱 견고하게 성토부가 형성된 영역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도 10과 같이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226)가 설치된 경사면에 식생토(230)를 덮는다. 식생토(230)는 씨앗이 포함된 토양으로서 씨앗(예컨대, 잔디 씨앗)이 발아되어 뿌리 내림을 하여 고착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경사면을 지지할 수 있다. 식생기반층(222)은 썩는 재질의 볏짚 또는 마대 등으로 형성되므로 식생토(230)에 포함된 씨앗이 발아되어 성장하는데 천연 거름이 되고, 더욱 튼튼하게 뿌리 내릴 수 있도록 성장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성토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도 1과 같은 구조의 성토부가 완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인 배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식생기반층(222)에 유공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공관은 측면에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그에 따라 식생기반층(222)을 따라 이동된 수분은 유공관에 집수되어 흘러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식생기반층(222)이 볏짚 또는 마대와 같은 친환경성을 갖는 썩는 재질의 물질로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식생기반층(222)을 토사 유출 방지와 배수를 위해 골재로 형성한다.
식생기반층(222)은 여러 가지 크기로 이루어진 골재로 다짐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골재 사이에는 공극이 많으므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식생기반층(222)은 직경 75 ㎜ 이하의 골재(재활용 골재 포함)로써 채워짐으로써 형성되는데, 이는 다짐층(224)에 스며든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 성된 것이다. 식생기반층(222)이 직경 75 ㎜ 이하의 골재(재활용 골재 포함)로써 형성된 경우, 보다 원활하게 다짐층(224)에 스며든 물이 식생기반층(222)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식생기반층(222)을 골재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는 지반(208)을 터파기하여 골재지반층(210)을 형성하고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높이의 중력식 보강토가 형성된 영역 상에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하부에 형성되는 조경석을 이용한 중력식 보강토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조경석을 이용한 중력식 보강토 상에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를 형성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조경석을 이용한 중력식 보강토는 충분히 다짐되어 있으므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골재지반층(210)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조경석을 이용한 중력식 보강토를 일정 높이로 형성하고, 중력식 보강토의 최상부 층을 일정 깊이(예컨대, 20㎝의 깊이)로 터파기한 후, 'ㄷ'자형의 메쉬망(212)을 형성한다. 이후의 공정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진행한다.
이하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조경석을 이용한 중력식 보강토를 구 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기초석(20)을 놓을 지반(5) 상에 골이 적정한 깊이로 파지고, 골의 내부에 기초석(20)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 콘크리트층(10)을 형성한다.
그리고, 기초 콘크리트층(10)이 형성된 상부에 기초석(20)을 놓고, 골을 채움 콘크리트층(12)로 메운다.
그 후 기초석(20)의 내측, 즉 성토체를 형성할 영역에 다짐층(30, 32, 34)을 적층하는데, 이때 각 다짐층(30, 32, 34)은 양질의 토사를 부어서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일정치 이상(예컨대, 90%)의 다짐도를 갖도록 다져진다.
다져진 다짐층(30, 32, 34)과 기초석(20) 사이에 약 20cm의 폭을 갖도록 골을 형성하고, 여기에 골재를 다짐함으로써 배수층(36)을 형성한다. 이때 배수층(36)은 각 다짐층(30, 32, 34)이 형성될 때 같이 형성되거나 또는 다짐층(30, 32, 34)이 형성된 후 세 개 층에 대하여 한꺼번에 골을 파서 형성할 수 있다. 결국 배수층(36)은 다짐층(30, 32, 34)에 대하여 앞채움 방식으로 구성되며, 앞채움 방식으로 구성된 배수층(36)은 다짐층(30, 32, 34)의 토사 유출을 줄이는 동시에 안정적인 구조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적용된 것이다.
그리고, 그리드(40)가 설치된다. 그리드(40)를 다짐층(30, 32, 34) 상부에 구성한 후 다시 다짐층(30, 32, 34)과 다른 그리드(40)를 반복 적층하는 성토 공정이 진행되고, 기초석(20)을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로 성토가 진행되면 기초석(20) 상부에 내측으로 엇갈리도록 상부석(22)을 배치하면서 상기한 다짐층(30, 32, 34)과 그리드(40)를 반복 적층하는 성토 공정을 진행한다.
물론, 상술한 시공을 진행함에 있어서, 기초석(20)과 상부석(22) 하부 공간에는 부직포(54)가 토사가 이들 기초석(20)과 상부석(22) 사이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성토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성토부가 완성되며, 성토부에 포함되는 배수층(36)은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하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시공에 있어서 기초석과 상부석 또는 상부석과 그 상부의 상부석 간의 지지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샘 앵커(50)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샘 앵커(50)는 기초석(20)과 상부석(22) 간에 걸쳐서 천공된 홀에 삽입되고 시멘트 고착제로 고착됨으로써 이들의 지지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드(40)는 턴버클 및 앙카볼트 세트(42)를 이용하여 기초석(20) 또는 상부석(22, 24)에 일단이 고정되고, "ㄱ" 형상을 갖는 고정핀(44)에 의하여 다짐층에 타단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조경석을 이용한 중력식 보강토의 최상부 층을 일정 깊이(예컨대, 20 ㎝)로 터파기한 다음, 'ㄷ'자형의 메쉬망(212)을 형성한다. 이후의 공정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진행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a는 'ㄷ'자형 구조의 메쉬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그리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도 10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조경석을 이용한 성토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조성석을 이용한 성토부 상에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골재지반층 212: 메쉬망
214: 그리드(토목섬유) 216: 연결 플레이트
218: 볼트 220: 너트
222: 식생기반층 224: 다짐층
226: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 230: 식생토(녹생토)

Claims (5)

  1. 지반상에 파진 골에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층;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 상에 놓여지는 기초석;
    상기 기초석의 하부를 메우는 채움 콘크리트층;
    상기 기초석의 일측에 토사를 부어서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형성되는 다층의 제 1 다짐층;
    상기 기초석과 상기 제 1 다짐층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골재를 다짐하여 형성되는 제 1 배수층;
    상기 제 1 다짐층의 상부에 놓여지고 턴버클 및 세트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석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그리드;
    상기 기초석의 상부에 상기 제 1 다짐층 쪽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상부석;
    상기 상부석의 일측인 상기 제 1 그리드 상부에 토사를 부어서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형성되는 다층의 제 2 다짐층;
    상기 상부석과 상기 제 2 다짐층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골재를 다짐하여 형성되는 제 2 배수층; 및
    상기 제 2 다짐층의 상부에 놓여지고 턴버클 및 세트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석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석, 상기 제 2 다짐층, 상기 제 2 배수층 및 상기 제 2 그리드가 반복 적층되고,
    철근이 격자 그물 형태로 엮어져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메쉬망;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쉬망에 일부 중첩되어 고정되고, 격자 그물 형태를 이루도록 포설된 제 3 그리드;
    'ㄷ'자형 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쉬망의 내측에 썩는 천연 식물 재질로 매립된 식생기반층; 및
    상기 제 3 그리드 상에 성토되어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짐 처리된 제 3 다짐층을 포함하며,
    상기 메쉬망, 상기 그리드, 상기 식생기반층 및 상기 제 3 다짐층은 최상위의 상기 제 2 다짐층 상에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다층으로 적층된 'ㄷ'자형 구조의 메쉬망 상에 포설되어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 및
    식물이 뿌리 내림하여 토사를 고착화하기 위해 상기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를 커버하도록 타설된 식생토;를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과 상기 제 3 그리드는,
    상기 메쉬망과 상기 제 3 그리드가 일부 중첩되는 부분을 상부 및 하부에서 커버하는 연결 플레이트와, 상하부의 연결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체결하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층은 썩는 천연 식물 재질인 볏짚 또는 마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4. (a1) 지반 상에 골을 파서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a2)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 상에 기초석을 놓는 단계;
    (a3) 상기 기초석의 하부를 채움 콘크리트층으로 메우는 단계;
    (a4) 상기 기초석의 일측에 토사를 부어서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다층의 제 1 다짐층을 형성하는 단계;
    (a5) 상기 기초석과 상기 제 1 다짐층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골재를 다짐하여 제1 배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a6) 상기 제 1 다짐층의 상부에 제 1 그리드를 놓고, 턴버클 및 세트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석에 상기 그리드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a7) 상기 기초석의 상부에 상기 제 1 다짐층 쪽으로 엇갈리도록 상부석을 배치하는 단계;
    (a8) 상기 상부석의 일측인 상기 제 1 그리드 상부에 토사를 부어서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다층의 제 2 다짐층을 형성하는 단계;
    (a9) 상기 상부석과 상기 제 2 다짐층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골재를 다짐하여 제 2 배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a10) 상기 제 2 다짐층의 상부에 제 2 그리드를 놓고, 턴버클 및 세트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석에 상기 제 2 그리드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및
    (a11) 상기 상부석, 상기 제 2 다짐층, 상기 제 2 배수층 및 상기 제 2 그리드를 반복 적층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중력식 보강토를 형성하고,
    (b1) 철근을 격자 그물 형태로 엮은 'ㄷ'자형 구조의 메쉬망을 설치하는 단계;
    (b2) 상기 메쉬망에 일부 중첩되게 고정되고 격자 그물 형태를 이루는 제 3 그리드를 포설하는 단계;
    (b3) 씨앗이 발아하거나 식물로 성장하는데 거름을 제공하도록 'ㄷ'자형 구조의 상기 메쉬망의 내측에 썩는 천연 식물 재질의 물질로 식생기반층을 매립하는 단계;
    (b4) 상기 제 3 그리드 상에 성토하고 90%와 같거나 큰 다짐도를 갖도록 다짐 처리하여 제 3 다짐층을 형성하는 단계;
    (c1) 상기 (b1) 내지 상기 (b4) 단계를 반복하여 다층으로 상기 메쉬망, 상기 제 3 그리드, 상기 식생기반층, 및 상기 제 3 다짐층을 다층으로 반복 적층하는 단계;
    (c2) 다층으로 적층된 상기 메쉬망 상에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C3) 상기 능형망 또는 코아넷트를 커버하도록 식생토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에 상기 제 3 그리드가 고정되는 것은,
    상기 메쉬망과 상기 제 3 그리드가 일부 중첩되는 부분을 상부 및 하부에서 커버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하부의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체결하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시공 방법.
KR1020090063797A 2009-07-14 2009-07-14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99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797A KR100992076B1 (ko) 2009-07-14 2009-07-14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797A KR100992076B1 (ko) 2009-07-14 2009-07-14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970A Division KR100930115B1 (ko) 2008-03-04 2008-03-04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524A true KR20090095524A (ko) 2009-09-09
KR100992076B1 KR100992076B1 (ko) 2010-11-04

Family

ID=4129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797A KR100992076B1 (ko) 2009-07-14 2009-07-14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356B1 (ko) * 2014-08-29 2016-05-1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
CN111236269B (zh) * 2020-01-21 2021-11-02 山西机械化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机场高边坡区域土工材料分层铺设组合加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35B1 (ko) * 2005-11-24 2006-08-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 제방의 누수에 의한 슬라이딩 방지구조
KR100657773B1 (ko) * 2006-02-21 2006-12-14 주식회사 에코밸리 환경친화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076B1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KR100653374B1 (ko)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KR100737768B1 (ko) 식생게비온판넬
KR100802338B1 (ko) 조경석을 이용한 성토부의 시공 방법
KR100959828B1 (ko) 이중 스틸케이지로 성토부와 식생부를 분리 시공한 식생 사면 조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식생사면구조체
KR200393176Y1 (ko) 조경석을 이용한 성토부
JP3083250B2 (ja) 法面の補強・緑化工法
KR100992076B1 (ko)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930115B1 (ko)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20070030082A (ko) 수평방향으로 보강토체 자유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식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시공방법
KR102261999B1 (ko) 친환경 식생 토낭 철망 키트를 이용한 배수로 및 경사면 사방복구 옹벽 쌓기 시공방법
KR20040011787A (ko) 식생 보강토 옹벽의 시공법 및 그 구조물
KR20010026934A (ko)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CN211037008U (zh)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CN212316949U (zh) 边坡的支护结构
KR19990046526A (ko) 조경법면설치구조물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CN110939141A (zh) 边坡的支护结构
KR101824416B1 (ko) 식생기반체가 설치되는 옹벽
JPS63284321A (ja) 盛土斜面の土留工法
KR102549947B1 (ko) 사면 보강 및 복구를 위한 친환경 식생철망 복합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261997B1 (ko) 친환경 식생 토낭 철망 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472346B1 (ko) 친환경 매트리스 개비온 철망조립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