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356B1 -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 - Google Patents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56B1
KR101620356B1 KR1020140113714A KR20140113714A KR101620356B1 KR 101620356 B1 KR101620356 B1 KR 101620356B1 KR 1020140113714 A KR1020140113714 A KR 1020140113714A KR 20140113714 A KR20140113714 A KR 20140113714A KR 101620356 B1 KR101620356 B1 KR 10162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receiver
wedge
closed network
fixed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016A (ko
Inventor
김윤태
권순장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3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어망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에 관한 것으로, 사면의 바닥을 정리하는 제10단계(S10); 정리된 사면 바닥을 다짐 기계로 다져 기초를 형성하는 제20단계(S20); 기초가 형성된 사면에 포설부재인 폐어망을 포설하여 고정앵커로 고정하는 제30단계(S30); 폐어망 위에 성토재를 채우는 제40단계(S40); 성토재를 다짐 기계로 다지는 제50단계(S50); 제30단계(S30) 내지 제50단계(S50)를 반복하는 제60단계(S60);와 일정 높이로 쌓인 성토재 위에 폐어망으로 보강된 녹생매트를 포설하는 제70단계S70);를 포함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method of slope reinforcement using waste waste fish net and fixation anchor}
본 발명은 사면보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에 폐어망을 포설하여 앵커로 견고히 고정하고, 그 위에 성토재를 채우거나 또는, 성토재 위에 폐어망 보강용 녹생매트를 포설하여 앵커로 고정하도록 된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 또는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심하게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깎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형성시키게 되며,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새로이 토지를 조성하거나 도로 및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깎아내어 조성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토사를 깎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절토지역의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나대지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되어 번번히 경사면의 복구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경사면 자체가 붕괴되어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절토지역의 나대지 경사면을 보강하여 사면을 안정화시킴으로서 경사면의 붕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면보강을 실시한다.
한편, 산업폐기물 중 폐어망은 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과 같은 석유화학물질로 난분해성이며, 이러한 폐어망은 분해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해저 바닥에 장기간에 퇴적된다. 이렇게 해양에 퇴적된 폐어망은 어류, 이동성 저서생물의 서식처 및 어장 황폐화, 해양 식생물의 서식과 산란을 방해하며, 선박의 취입구를 막거나 프로펠러에 감기는 문제를 발생시켜 크고 작은 해난 사고를 유발한다.
이와 같이, 해양 쓰레기로 전락하는 폐어망을 사면보강 작업에 이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4776호(2004.01.1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0255호(2012.01.0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9949호(2010.09.0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8160호(2011.02.23.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면에 고정앵커로 폐어망을 견고히 고정시키고, 폐어망 위에 성토재를 채우고 다져 사면을 단단하게 보강하고, 이후 선택적으로 성토재 위에 폐어망으로 제작한 녹생매트를 포설하여 앵커로 고정하도록 된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을 재활용하여 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사면보강공법에 있어서, 사면의 바닥을 정리하는 제10단계(S10); 정리된 사면 바닥을 다짐 기계로 다져 기초를 형성하는 제20단계(S20); 기초가 형성된 사면에 포설부재인 폐어망을 포설하여 고정앵커로 고정하는 제30단계(S30); 폐어망 위에 성토재를 채우는 제40단계(S40); 성토재를 다짐 기계로 다지는 제50단계(S50); 일정 높이가 될 때까지 제30단계(S30) 내지 제50단계(S50)를 반복하는 제60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60단계(S60) 이후에, 성토재 위에 폐어망을 포함하여 제작된 식생용 녹생매트를 포설하는 제70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폐어망은 상호 30~50cm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용 공법에서 포설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앵커 는, 상부의 걸림부와, 걸림부 보다 폭이 작으면서 포설부재의 경사 또는 위사(t)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가공된 일정 높이를 갖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삽입체;와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용체는 삽입부가 수용되면서 삽입부의 외면과 접촉하여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축회전하도록 일부 면들이 절개되어 가공된 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쐐기는 내측면이 내향으로 볼록하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더 볼록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쐐기의 상부는 외향으로 돌출시 수용체의 표면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내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쐐기의 하부에는 상부의 축회전을 위해 수용공간이 형성된 부위에서의 수용체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도록 오목하게 굴절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체와 수용체의 결합은 삽입체의 걸림부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수용체의 상부에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의 체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삽입체와 수용체의 결합은 삽입체의 끼움홈이 굴절된 형태로 가공되어 마련된 탄성부 외면에 돌출된 결합돌기와, 수용체에 가공된 결합홈의 체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면에 종래의 지오그리드 보다 인장응력이 강한 폐어망을 포설하여 보강함으로써, 폐어망을 재활용하여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 비용이 절감되며, 사면을 더 강하게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어망을 포함하는 포설부재를 고정앵커로 고정함으로써, 포설부재를 간단하면서도 강하게 지반에 고정할 수 있고, 고정앵커의 쐐기로 인해 고정앵커가 지반으로부터 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폐어망를 씌우고, 성토재를 채워 다지는 작업을 반복하여 보강된 사면 위에, 폐어망에 배양토와 씨앗 등을 배합 및 포설하여 제작한 녹생매트를 포설함으로써, 사면을 보다 더 안정되게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면보강공법으로 작업을 마친 상태의 보강사면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강사면에 녹생매트가 설치된 사용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폐어망과 이를 비교하기 위한 지오그리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5는 도 4의 폐어망과 지오그리드의 인발저항력을 실험하기 위한 장비의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수직응력이 0.3kg/cm2일 때의 인발저항력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5의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수직응력이 0.6kg/cm2일 때의 인발저항력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5의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수직응력이 0.9kg/cm2일 때의 인발저항력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앵커가 도시된 분리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앵커의 결합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수용부의 외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법>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면보강공법으로 작업을 마친 상태의 보강사면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강사면에 녹생매트가 설치된 사용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폐어망과 이를 비교하기 위한 지오그리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5는 도 4의 폐어망과 지오그리드의 인발저항력을 실험하기 위한 장비의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수직응력이 0.3kg/cm2일 때의 인발저항력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5의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수직응력이 0.6kg/cm2일 때의 인발저항력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5의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수직응력이 0.9kg/cm2일 때의 인발저항력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도 1을 참조하여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면인 시공 부지의 바닥을 정리한다(S10). 절개된 사면을 평평하면서 고르게 정리한다.
다음으로, 정리된 사면에 기초를 형성한다(S20). 사면이 정리되면 롤러 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지반 다짐 기계로 사면의 지반을 1차 다짐을 하여 기초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기초가 형성된 사면에 포설부재인 폐어망(100)을 포설한다(S30). 이때 사용하는 폐어망(100)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종래의 지오그리드(10)를 대체한다. 이 폐어망(100)은 지오그리드(10)보다 수직응력에 대해 매우 월등하거나 대등하다. 이 결과에 대해서 본 출원인이 도 5의 사진에 보이는 인발저항력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ASTM D706-1의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이에 대해 수직응력 0.3kg/cm2, 0.6kg/cm2, 0.9kg/cm2에, 인발 속도는 1.0mm/min으로 하였으며, 성토재는 입도분포가 양호한 모래와 유사한 저회를 사용하였다. 토조 내부의 크기는 길이 60cm 폭 40cm, 높이 30cm가 되도록 하고, 토조의 상부에 고무 멤브레인을 설치하여 균등한 수직응력이 가압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가 도 6 내지 도 8에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실험 대상인 지오그리드(10)는 TRIGRID KR 6T/3T(HDPE 재질, 제조업체 삼양사)를 선택하였다. 여기서, 폐어망(100)의 인발저항력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지오그리드(10)의 인발저항력은 점섬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그래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폐어망(100)이 지오그리드(10) 보다 하중(load)에 따른 변위(displacement)가 훨씬 우월하거나 대등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지오그리드(10) 보다 더 인발저항력이 우월한 폐어망(10)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폐어망(100)은 일 예로, 지오그리드(10)와 동일한 격자 형태이고, 재질은 폴리에스테르이다.
한편, 포설부재인 폐어망(100)은 주 강도 방향이 사면의 법면에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고, 고정앵커(200)로 고정한다. 이 고정은 후속 공정에서 성토재(110)를 채우는 동안 폐어망(10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폐어망(100)은 해당 지역의 전체 면적에 하나만 포설될 수도 있지만, 다수가 상호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호 간의 간격은 대략 30~50cm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40cm로 포설한다.
다음으로, 폐어망(100) 위에 성토재(110)를 채운다(S40). 이때, 성토재(110)의 최대 입경은 폐어망(100)의 파손을 고려하여 20mm이하로 한다.
다음으로, 성토재(110)를 다진다(S50). 여기서, 성토재(110)가 사질토인 경우 진동 롤러 또는 평판 형태의 다짐 장비를 사용하고, 점성토인 경우 로무 타이어 롤러를 이용하여 2차 다짐을 실시한다. 이때, 성토재의 다짐은 현장시방규준(예를 들어 95%)의 상대밀도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일정 높이가 될 때까지 폐어망(100) 포설공정(S30), 성토재(110) 채움공정(S40), 성토재(110) 다짐공정(S50)을 반복하여 수행한다(S60).
끝으로, 일정 높이로 쌓인 성토재(110) 위에 폐어망(100)으로 제작된 녹생매트(120)를 포설한다(S70). 여기서, 녹생매트(120)는 고정앵커(200)에 의해 사면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녹생매트(120)를 포설하는 공정은 시공 계획과 현장의 사정에 따라 배제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앵커(200)는 녹생매트(120)가 배제된 경우 성토재(110)가 채워진 최상위 폐어망(120)을 사면에 고정하게 되고, 녹생매트(120)가 포설된 경우 녹생매트(120)의 폐어망(120)을 사면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앵커(200)는 사면 보강시 중첩된 각각의 폐어망(100) 또는 녹생매트(120)의 폐어망(100)에 대해 각각 사면에 고정하도록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모든 보강 작업을 마친 후 최상위의 폐어망(100)에 대해서만 사면에 고정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녹생매트(120)는 일정 크기의 폐어망(100) 위에 흙, 접착제, 영양제, 씨앗 등을 배합한 후 포설하여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식생(植生)용으로 제작된다. 또한, 녹생매트(120) 이외에 현장에 따라 간단히 씨앗을 살포하거나(seed spray) 볏짚 등을 사면에 포설하고 씨앗을 살포하는 등의 다양한 통상의 법면 녹화공법을 시공할 수 있다.
<앵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앵커가 도시된 분리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앵커의 결합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수용부의 외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용 고정앵커(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210)와 수용체(220)를 구비한다.
삽입체(210)는 수용체(220)에 삽입되면서 폐어망(100)을 포함하는 포설부재의 위사 또는 경사(t)를 끼울 수 있도록 된 부재이다. 이 삽입체(210)는 수용체(220)와 결합하였을 때, 수용체(220)의 외부에 위치하는 걸림부(211)와 수용체(2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213)를 구비한다.
먼저, 걸림부(211)는 삽입체(2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삽입부(213) 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며, 후술된 수용체(220) 상부의 걸림돌기(222)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면에 외연을 따라 폐곡선의 걸림홈(212)을 구비한다. 여기서, 걸림홈(212)은 걸림부(211)에 다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13)는 걸림부(211) 근처의 일부위에 폐어망(100)의 위사 또는 경사(t)가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굴절된 형태의 끼움홈(214)과, 끼움홈(214)의 가공으로 형성된 탄성부(215)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된 수용체(220)에 구비된 결합홈(223)과 체결되는 결합돌기(216)를 구비한다. 여기서, 끼움홈(214)에 끼워진 위사 또는 경사(t)는 삽입부(213)가 수용체(220)에 삽입되면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
수용체(220)는 삽입체(210)의 삽입부(213)를 억지끼움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21)을 마련하고, 지중에 박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221)의 하측에 하부가 중실(中實)이면서 뾰족하게 가공된 형상의 부재이다. 이 수용체(220)는 상단 부위에 외연을 따라 외향 돌출되어 삽입체(210)의 걸림홈(212)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22), 삽입체(210)의 결합돌기(216)가 끼워지도록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223)과, 삽입체(210)의 삽입부(213)가 수용체(220)에 끼워지면 일부위가 외향을 굴절하도록 절개되어 마련된 쐐기(224)를 구비한다.
먼저, 걸림돌기(222)는 삽입체(210)가 수용체(220)에 끼워졌을 때, 삽입체(210)의 걸림홈(212)에 수용되는 부위이다. 이 걸림돌기(222)와 걸림홈(212)의 결합에 의해 삽입체(210)와 수용체(220)의 결합이 지속될 수 있다. 이 걸림돌기(222)는 수용체(220)의 외면에 다수 돌출되어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홈(223)은 끼움홈(214)에 폐어망(100)의 위사 또는 경사(t)가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체(210)가 수용체(220)에 삽입되면 삽입체(210)의 결합돌기(216)가 수용되는 부위이다. 결합돌기(216)가 형성된 탄성부(215)의 탄력에 의해 결합홈(223)에 결합돌기(216)가 결합되고, 이들 결합홈(223)과 결합돌기(216)의 결합에 의해 삽입체(210)와 수용체(220)의 결합이 지속하도록 보조하게 된다.
그리고, 쐐기(224)는 수용체(220)의 수용공간(221)이 형성된 부위에 가공되고, 삽입체(210)가 수용체(220)에 삽입되면 하부를 중심으로 축회전하듯이 상부가 외향으로 돌출함으로써, 지반에 박힌 수용체(220)가 단단히 고정되면서 뽑히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 쐐기(224)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수용체(220)로부터 양측면과 상면의 3면이 절개되어 이루어진 형태이다. 또한, 쐐기(224)의 내측면은 내향으로 볼록하고, 상부는 외향으로 돌출될 때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하부는 수용체(220)와 연결되면서 상부가 외향으로 밀릴 때 쉽게 굴절되도록 두께가 수용체(220)의 두께보다 더 얇은 오목한 굴절홈(225)을 구비한다. 여기서, 쐐기(224)의 내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더 볼록한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삽입체(210)의 삽입부(213)가 수용체(220)에 수용되면, 삽입부(213)의 외면이 쐐기(224)의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쐐기(224)의 상부를 외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쐐기(224)의 내측면의 두께 차이로 인해 상부는 점점 더 큰 각도로 축회전하게 된다. 또한, 쐐기(224) 하부의 굴절홈(225)으로 인해 상부의 축회전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쐐기는 수용체(220)의 원주를 따라 다수 형성되고, 도 11에서와 같이 측면상 일정한 높이로 가공될 수도 있고, 이외에 지그재그 형태 또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지오그리드
100:폐어망
110:성토재
120:녹생매트
200:고정앵커
210:삽입체
211::걸림부
212:걸림홈
213:삽입부
214:끼움홈
215:탄성부
216:결합돌기
220:수용체
221:수용공간
222:걸림돌기
223:결합홈
224:쐐기
225:굴절홈
t:포설부재의 위사 또는 경사.

Claims (11)

  1. 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공법에 있어서,
    상기 사면의 바닥을 정리하는 제10단계(S10);
    정리된 사면 바닥을 다짐 기계로 다져 기초를 형성하는 제20단계(S20);
    기초가 형성된 사면에 포설부재인 폐어망(100)을 포설하여 고정앵커(200)로 고정하는 제30단계(S30);
    상기 폐어망(100) 위에 성토재(110)를 채우는 제40단계(S40);
    상기 성토재(110)를 다짐 기계로 다지는 제50단계(S50);
    일정 높이가 되었는지 판단하고, 일정 높이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제30단계(S30) 내지 제50단계(S50)를 반복하는 제60단계(S6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앵커(200)는,
    상부의 걸림부(211)와, 상기 걸림부(211)보다 폭이 작으면서 상기 포설부재의 경사 또는 위사(t)가 끼워지는 끼움홈(214)이 가공된 일정 높이를 갖는 삽입부(213)로 이루어진 삽입체(210)와;
    상기 삽입부(21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1)을 구비한 수용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0단계(S60) 이후에, 성토재(110) 위에 폐어망(100)을 포함하여 제작된 식생용 녹생매트(120)를 포설하는 제70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3. 삭제
  4.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200)에 있어서,
    상부의 걸림부(211)와, 상기 걸림부(211)보다 폭이 작으면서 상기 포설부재의 경사 또는 위사(t)가 끼워지는 끼움홈(214)이 가공된 일정 높이를 갖는 삽입부(213)로 이루어진 삽입체(210)와;
    상기 삽입부(21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1)을 구비한 수용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220)는 상기 삽입부(213)가 수용되면서 삽입부(213)의 외면과 접촉하여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축회전하도록 일부 면들이 절개되어 가공된 쐐기(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24)는 내측면이 내향으로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24)의 볼록한 내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더 볼록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24)의 상부는 외향으로 돌출시 수용체(220)의 표면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내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24)의 하부에는 상부의 축회전을 위해 수용공간(221)이 형성된 부위에서의 수용체(220)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도록 오목하게 굴절홈(225)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210)와 수용체(220)의 결합은 상기 삽입체(210)의 걸림부(211)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212)과, 상기 수용체(220)의 상부에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222)의 체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
  11.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210)와 수용체(220)의 결합은 상기 삽입체(210)의 끼움홈(214)이 굴절된 형태로 가공되어 마련된 탄성부(215) 외면에 돌출된 결합돌기(216)와, 상기 수용체(220)에 가공된 결합홈(223)의 체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포설부재의 고정앵커.
KR1020140113714A 2014-08-29 2014-08-29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 KR10162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714A KR101620356B1 (ko) 2014-08-29 2014-08-29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714A KR101620356B1 (ko) 2014-08-29 2014-08-29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16A KR20160026016A (ko) 2016-03-09
KR101620356B1 true KR101620356B1 (ko) 2016-05-12

Family

ID=5553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714A KR101620356B1 (ko) 2014-08-29 2014-08-29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3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48B1 (ko) * 2007-11-23 2008-02-22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사면 녹화공법
KR100992076B1 (ko) * 2009-07-14 2010-11-04 최성호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965A (en) 1994-10-28 1996-06-25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ymerization catalyst systems, their production and use
KR20110018160A (ko)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르호봇샘물 사면보강을 위한 네일 고정체
KR100979949B1 (ko) 2010-05-18 2010-09-03 (주)경동기술공사 지오그리드가 자체부착된 식생백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20120000255A (ko) 2010-06-25 2012-01-02 (주)에스엠테크텍스 사면 보강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48B1 (ko) * 2007-11-23 2008-02-22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사면 녹화공법
KR100992076B1 (ko) * 2009-07-14 2010-11-04 최성호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16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5219B2 (en) Shoreline erosion control system
US20040156687A1 (en) Environment resistant retaining wall planter block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20020745A1 (en) Tubular sock module with integrated geogrid extensions for constructing stabilized-earth walls and slopes
US11306454B2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WO2018045224A1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US20190211522A1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KR101688008B1 (ko)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620356B1 (ko) 폐어망을 재활용한 사면보강공법 및 고정앵커
KR20120000255A (ko) 사면 보강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공법
JP6694889B2 (ja) 遮水体であって具体的には堤防
KR20160136854A (ko) 침하 및 세굴을 저감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20091544A (ko) 생분해성 지오셀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101138723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101818562B1 (ko) 식생이 용이한 보강토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431783B2 (ja) 法面、壁面等の保護構造
KR10052675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자연형 하천의 비탈면 축조구조
KR101508591B1 (ko)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KR100381254B1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KR20100010797A (ko)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US20240032487A1 (en) Stake stabilization member and erosion control system using same
KR101591513B1 (ko) 초기 생육을 위한 수목 식재 공법
KR100531213B1 (ko)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