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325A -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325A
KR20090095325A KR1020080020601A KR20080020601A KR20090095325A KR 20090095325 A KR20090095325 A KR 20090095325A KR 1020080020601 A KR1020080020601 A KR 1020080020601A KR 20080020601 A KR20080020601 A KR 20080020601A KR 20090095325 A KR20090095325 A KR 20090095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torage medium
playback
digital devic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재
임상용
정경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5325A/ko
Publication of KR2009009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콘텐츠를 녹화하고 재생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DVR(Digital Video Recorder)을 위한 저장 매체를 탑재하지 않은 방송 수신기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 내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DVR 기능을 수행할 때, 외부 연결 단자에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를 버퍼로서 이용하여 콘텐츠를 녹화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고가의 저장 매체를 방송 수신기의 내부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방송 수신기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DVR 기능을 가진 방송 수신기를 소비자에게 많이 공급할 수 있으면서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20601
콘텐츠, 녹화, 재생, 버퍼

Description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recording/play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 매체가 탑재되지 않은 방송 수신기에서 콘텐츠를 녹화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는 저장 매체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를 탑재하여 부가적인 편의 기능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거나 재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트릭 재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고가의 HDD를 방송 수신기의 내부에 장착하게 되면, 방송 수신기의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송 수신기의 제품 내부가 협소하므로 방송 수신기의 내부에 HDD를 장착할 여유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게다가 방송 수신기의 슬림화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HDD가 장착되지 않은 방송 수신기에서 콘텐츠를 수신하여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DD가 탑재되지 않은 방송 수신기에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이동형 저장 매체를 연결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 내 저장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의 녹화나 재생시에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서 버퍼링 후 녹화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이동형 저장 매체의 연결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 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의 연결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의 콘텐츠 녹화 방법은, 녹화할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녹화 콘텐츠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기기 내 저장 매체에 녹화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 녹화 콘텐츠를 읽어 와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녹화 중에 상기 디지털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만 녹화 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녹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와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인크립션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의 연결 끊김이 검출되면, 상기 녹화 콘텐츠는 이동형 저장 매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디지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이동형 저장 매체의 연결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 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의 연결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은, 재생이 요청되면 상기 디지털 기기의 저장 매체에 녹화된 녹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녹화 콘텐츠 리스트에서 재생할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재생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재생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를 읽어 와 디코딩 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재생 중에 디지털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의 데이터를 읽어 와 디코딩 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재생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의 연결 끊김이 검출되면,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재생 콘텐츠는 이동형 저장 매체를 거치지 않고 디코딩을 위해 바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방송망이나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하는 콘텐츠 처리부;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저장/재생 제어부; 및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 가능한 이동형 저장 매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하며 저장 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녹화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서 복조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디지털 기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위해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고,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한 후 콘텐츠 처리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녹화 콘텐츠를 인크립션한 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된 녹화 콘텐츠를 읽어 와 인크립션한 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녹화 중에 상기 디지털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만 녹화 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녹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와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재생 중에 상기 디지털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끊김이 검출되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의 데이터를 읽어 와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콘텐츠 처리부로 출력하고,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재생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 터 전송받아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한 후 콘텐츠 처리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저장 매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면, 콘텐츠의 녹화/재생을 위해 복수개의 이동형 저장 매체를 임시 버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HDD와 같은 고가의 저장 매체를 탑재하지 않으면서 DVR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 내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녹화 및 재생을 수행할 때, USB 저장 매체와 같은 외부의 이동형 저장 매체를 버퍼로서 이용하여 콘텐츠를 녹화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첫째, 고가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HDD를 방송 수신기의 내부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방송 수신기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DVR(Digital Video Recorder) 기능을 가진 방송 수신기를 소비자에게 많이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방송 수신기의 내부에 HDD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방송 수신기를 슬림화시킬 수 있다. 셋째,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 내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녹화 및 재생할 때,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외부 이동형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할 때에도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을 끊김없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과 같은 방송망이나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프로그램 실행 파일, 주식 정보 등과 같이 정보를 갖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형 저장 매체는 방송 수신기의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저장 매체를 의미한다.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는 CF 카드(Compact Flash card), 스마트 카드, 휴 대용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USB 메모리 등이 있다. 상기 저장 매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일 뿐이며, 외부 연결 단자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어느 것이나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형 저장 매체는 전술한 단순한 저장매체 뿐만 아니라, PMP, PDA, 휴대폰, 스마트 폰 등과 같이 방송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형 저장매체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외부 연결 단자는 이동형 저장 매체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가능한 외부 연결 단자들 중 범용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 포트를 일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송 수신기의 USB 포트에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이동형 저장 매체를 USB 저장 매체라 하기로 한다.
그리고 녹화 명령에 따라 실제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는 방송 수신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디지털 기기 내 저장 매체이며, 일 예로 홈 서버의 내부에 탑재된 저장 매체가 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가 구축된 상태에서 HDD와 같은 저장 매체를 탑재하고 있고, 네트워크 기능이 있는 디지털 기기는 홈 서버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개인용 컴퓨터(PC)를 홈 서버로 이용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란 가정 내 정보가전 제품을 네트 워크로 연결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 네트워크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홈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기능이 있는 디지털 기기 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방송 수신기,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 컴퓨터, 에어컨, 오디오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기기 중 하나가 홈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홈 서버와 디바이스들 간에는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홈 서버와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에 의해 상기 각 디바이스들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HDD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서 DVR(Digital Video Recorder) 기능이 구비된 방송 수신기를 일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방송 수신기는 일 예로, DVR ready 디지털 TV가 있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홈 서버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DVR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가 선택되면 녹화를 원하는 콘텐츠가 홈 서버로 전송되어 홈 서버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또한 재생이 선택되면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가 홈 서버의 저장 매체로부터 방송 수신기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녹화할 콘텐츠를 홈 서버로 전송할 때, 녹화의 안정성을 위해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홈 서버에서 재생할 콘텐츠를 읽어올 때, 재생의 안정성을 위해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된 경우,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여 홈 서버로의 녹화 및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이렇게 하면,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의 운영 방식에 따라 녹화 및 재생 처리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거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녹화란 예약 녹화, 즉시 녹화, 타임쉬프트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타임쉬프트는 타임머신이라 하기도 한다. 일 예로, 방송 수신기의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고, 타임쉬프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타임 쉬프트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DVR 모드의 활성화/비활성화 및 타임쉬프트 동작은 유저가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DVR 모드가 활성화되면 기본 기능인 녹화와 재생 기능은 물론 타임쉬프트(time-shift), 생방송 시청 중 순간 재생(instant replay) 및 기타 각종 트릭 플레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도로서, 홈 서버(Home Server)(110), 중계기(120), 및 디지털 기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서버(110)는 HDD를 탑재하고 있으며, 홈 서버(110) 및 디지털 기기(130)가 인터넷과 접속할 수 있도록 라우팅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홈 서버(110)는 리모콘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디지털 기기(130)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거나,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기기(130)의 제어 명령이 전송되면,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디지털 기기(130)로 전송하여 디지털 기기(13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기기(130)는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디바이스들로서, 전화, 팩스, 노트북, PDA, 방송 수신기(예를 들면, 디지털 TV), DVD 플레이어, 캠코더, 전자렌지,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PC, 프린터, 스캐너, 카메라, 복사기, 핸드폰, 프로젝트, 전기밥솥, 냉장고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기기(130)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같은 종류의 디바이스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홈 서버(110)와 디지털 기기(130)의 각 디바이스들은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로 직접 접속될 수도 있고, 중계기(120)를 통해 간접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기기(130) 내 각 디바이스 간에도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로 직접 접속될 수도 있고, 중계기(120)를 통해 간접 접속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중계기(120)는 홈 서버(110)와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의 무선 접속을 중계하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 AP)일 수도 있고, AP를 포함하는 유/무선 공유기일 수도 있다.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유선 연결을 위한 LAN Hub 뿐 아니라 LAN Hub의 포트 1개가 내장 AP에 연결되어 유선 연결뿐 아니라 무선 연결된 홈 서버 및 디지털 기기 내 디바이스들도 인터넷이 되게 해 준다.
즉, 홈 서버(110)와 디지털 기기(130)의 각 디바이스들, 또는 각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즉, 네트워크 기술로는 전화선(Home Phoneline Network Alliance; 이하, Home PNA라 함), 전력선(Power Line Control; 이하, PLC라 함), 이더넷(Ethernet), IEEE1394, 및 USB, IrDA(적외선 통신), IEEE802.11x계열의 무선 LAN(IEEE802.11), HomeRF(IEEE802.15), Bluetooth(IEEE802.15), UWB(UltraWideBand), Zigbee, HiperLAN 등이 있다.
상기 Home PNA는 집안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선을 이용해 10Mbps의 전송 속도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유선 네트워크 기술로, 별도의 통신 라인을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Home PNA는 IEEE802.3 이더넷 네트워크, 모뎀, ISDN 등과 호환되며, 전화 또는 다른 서비스가 사용하는 대역폭보다 높은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용 중에도 전화선 상의 모든 방해 전파를 피할 수 있다. 상기 Home PNA는 하나의 컴퓨터만이 인터넷과 연결되어도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터가 인터넷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PLC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포설된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100KHz~30MHz의 고주파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고, 수신시에는 고주파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상기 이더넷(Ethernet)은 IEEE802.3 표준에 따른 네트워킹 기술이다. 상기 이더넷은 기업 네트워크를 비롯한 홈 네트워크의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속도가 빠르고 안전성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이더넷 방식은 유선과 무선 모두 가능하다.
상기 IEEE1394는 본래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로 개발되기 시작한 직렬 버스 방식의 인터페이스 기술로 FireWire라고도 한다. 상기 IEEE1394는 모드에 따라 100Mb㎰, 200Mb㎰, 400Mb㎰ 등의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므로 고속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양방향 통신 및 PnP(Plug and Play) 등을 지원한다. 상기 IEEE1394 방식은 유선과 무선 모두 가능하다.
상기 USB(Universal Serial Bus)는 HID(Human Interface Device)로서의 특성과 주변 장치와의 용이한 연결, 충분한 IRQ(interrupt request) 자원 그리고 PnP(Plug and Play) 기능이 지원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 USB 방식은 유선과 무선 모두 가능하다.
이에 비해, IEEE802.11x 계열의 무선 LAN 기술은 케이블 배선이 필요 없고, 이동시에도 기반 LAN에 접속가능한 통신 형태로서 LAN 구성이 신속하며, 네트워크 구조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EEE802.11x 계열의 무선 LAN 기술에는 802.11, 802.11a, 802.11b, 802.11e, 802.11g, 802.11i, 802.11n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기술 표준이 있다.
상기 HomeRF(Home Radio Frequency)는 PC, 주변기기, 통신, 소프트웨어, 반도체 산업 등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들에 의해 표준화가 진행된 기술이다. 상기 HomeRF는 적외선이 아닌 RF 방식을 사용하여 가정 내의 네트워크 구축을 타겟으로 삼고 있다.
상기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에서 다양한 기기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저전력, 저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며, 이동전화 단말기나 PDA 등 개인 통신기기, 헤드셋/키보드/스피커/프린터와 같은 PC 주변기기, 유선으로 PC에 접속된 기기들간의 개인용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 구축 기술로 많이 이 용되고 있다.
상기 UWB(Ultra-wideband)는 주로 군용 레이더나 원격 탐지 등의 특수 목적으로 이용되었던 기술이다.
즉, 상기 홈 서버(110)는 Home PNA, 블루투스, PLC, IEEE1394, 이더넷, USB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가정 내에서 서로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제어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오가는 외부 정보를 관리, 저장하여 홈 네트워크 내 디바이스들이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홈 서버(110)로 PC가 이용되고, 디지털 기기(130)의 디바이스로 방송 수신기(211)와 노트북(212)이 포함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 서버(110)는 직접 유/무선 네트워크로 방송 수신기(211)와 노트북(212)에 접속될 수도 있고, 중계기(120)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로 방송 수신기(211)와 노트북(212)에 접속될 수도 있다.
DVR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기
본 발명은 홈 서버(11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들 중 방송 수신기에서의 콘텐츠 녹화/재생 과정을 일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예약 녹화, 즉시 녹화, 타임쉬프트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해당 방송 콘텐츠를 홈 서버(110)로 전송하고, 재생 요청에 따라 해당 방송 콘텐츠를 홈 서버(110)로부터 전송받는다. 상기 홈 서버(110)는 녹화 요청에 따라 방송 수신기에서 전송되는 콘텐츠를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재생 요청에 따라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서 방송 수신기로 전송한다.
이때 방송 수신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USB 포트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상기 USB 저장 매체는 복수개의 USB 포트를 포함하는 USB 허브를 통해 방송 수신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USB 저장 매체는 방송 수신기에서 콘텐츠를 녹화하거나 재생할 때 버퍼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를 위해 전송되는 콘텐츠는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USB 저장 매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홈 서버(110)로 전송되어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또한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서 읽은 콘텐츠도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USB 저장 매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방송 수신기로 입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와 홈 서버(110) 사이의 네트워크가 불안정하거나 끊김이 발생했을 때도 안정적으로 끊김없이 녹화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중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 즉, 콘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기가 IPTV라면 인터넷 망을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DVR 기능 및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면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적용할 수 있다.
도 3의 방송 수신기(211)는 수신부(301), 복조부(302), 역다중화부(303), 디코딩부(304), 디스플레이부(305), 제어부(306), 저장/재생 제어부(307), 통신 인터페이스부(308),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OSD) 처리부(309), 포맷 컨버터(310), 및 원격 신호 수신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301), 복조부(302), 역다중화부(303), 디코딩부(304), 및 디스플레이부(305)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 처리부라 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306)와 저장/재생 제어부(307)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6)에서 저장/재생 제어부(307)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재생 제어부(307)에서 녹화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인크립션/디크립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부호화/복호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크립션과 디크립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부호화와 복호화 동작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는 유/무선 중 어느 하나로 외부 저장부(300) 가 연결되고, 또한 유/무선 중 어느 하나로 홈 서버(110)가 연결된다. 상기 외부 저장부(300)는 USB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홈 서버(110)는 HDD와 같은 저장 매체를 내부에 탑재하고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는 하나 이상의 USB 포트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에는 복수개의 USB 포트를 갖는 USB 허브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저장부(300)와 홈 서버(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구비된 USB 포트나 USB 허브의 USB 포트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USB 포트란 방송 수신기에 직접 장착된 USB 포트가 될 수도 있고,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허브에 포함된 USB 포트가 될 수도 있다.
상기 USB의 물리적 연결에는 유선(cable or wire) USB 연결과 무선(wireless) USB 연결이 있다.
상기 유선 USB 연결은 USB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방송 수신기(21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의 USB 포트와 외부 저장부(300)를 USB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송 수신기(21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의 USB 포트에 유선 랜 카드(또는 유/무선 통합 랜카드)를 연결하고, 상기 유선 랜카드와 홈 서버(110)를 USB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무선 USB 연결은 USB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방송 수신기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와 외부 저장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기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와 홈 서버(110)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의 USB 포트에 무선 랜카드(예, USB wifi dongle) 또는 유/무선 통합 랜카드가 연결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는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와 USB 인터페이스로 통신하기 위해 USB 드라이버(예, USB mass class drive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는 유/무선 랜카드를 통해 홈 서버(110)와 통신하기 위해 유/무선 랜카드 드라이버(예, wifi dongle driver)와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는 홈 서버(110)와 콘텐츠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USB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녹화와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녹화와 재생 요청은 입력 장치를 통해 방송 수신기로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홈 서버(110)를 통해 간접적으로 방송 수신기로 입력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홈 서버(110)가 입력 장치로부터 녹화와 재생 요청을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 장치는 리모콘,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방송 수신기의 키패널 등 녹화와 재생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은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모콘(350)을 입력 장치로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상기 리모콘(350)로부터 전송되는 녹화와 재생 요청에 관련된 키 신호는 방송 수신기(211)의 원격 수신부(311)에서 수신하여 제어부(306)로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306)는 원격 신호 수신부(311)에서 출력되는 키 신호를 해석하여 녹화와 재생 요청에 관련된 신호이면 저장/재생 제어부(307)로 출력한다. 일 예로, 리모콘(350)이 양방향 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리모콘(350)은 방송 수신기(21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원격 신호 수신부(311)는 원격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도 3의 방송 수신기(211)의 수신부(301)는 하나 이상의 튜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튜너를 통해 지상파, 위성,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방송 소스 예를 들어, 지상파, 케이블, 위성별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통합 튜너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튜너가 지상파 방송용 튜너라고 가정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튜너와 아날로그 튜너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고, 디지털/아날로그 통합 튜너일 수도 있다. 상기 튜너는 지상파를 예로 들 경우,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 즉, 방송 신호 중 유저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튜닝하여 복조부(302)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부(302)는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변조 방식의 역으로 복조한다.
상기 수신부(301)는 인터넷 망을 통해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301)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입/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입/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는 예를 들면, A/V(Audio/Video) 단자, 콤포넌트 단자, RGB 단자,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I 단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A/V 단자에는 VCR, 아날로그 TV 등의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고, 콤포넌트 단자, RGB 단자, HDMI 단자에는 DVD 플레이어, 방송 수신기, 위성 셋톱박스, 케이블 셋톱박스, PC 등의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맷 컨버터(3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고화질 콘텐츠를 그대로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하거나 다운 컨버전하여 저장/재생 제어부(307)로 출력한다. 즉, 디스플레이가 선택되면 외부 고화질 콘텐츠의 해상도를 다운 컨버전하지 않고 그대로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하고, 녹화가 선택되면 상기 외부 고화질 콘텐츠의 해상도를 다운 컨버전하여 저장/재생 제어부(307)로 출력한다. 상기 포맷 컨버터(310)에서 고화질 콘텐츠를 다운 컨버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운 컨버전된 콘텐츠의 해상도는 다운 컨버젼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480i(i는 비월 주사)의 CCIR656 형태로 다운 컨버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포맷 컨버터(3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콘텐츠가 아날로그 형태이면 디지털화하여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하거나 저장/재생 제어부(307)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부(302)는 수신부(301)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복조하며, 복조된 콘텐츠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역다중화부(303)로 출력된다.
상기 역다중화부(303)는 복조부(302)에서 출력되는 콘텐츠 또는 포맷 컨버터(31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오디오 요소 스트림(ES)과 비디오 요소 스트림(ES)으로 구분하여 디코딩부(304)의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로 각각 출력한다. 또한 하나의 채널에 복수개의 프로그램이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 유저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방송 콘텐츠만을 선택하여 비디오 요소 스트림과 오디오 요소 스트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만일 복조된 방송 콘텐츠에 데이터 스트림이나 시스템 정보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것도 역다중화부(303)에서 분리되어 해당 블록으로 전달된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녹화가 선택되면 상기 역다중부(303)는 복조부(302) 또는 포맷 컨버터(31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그대로, 또는 비디오 요소 스트림과 오디오 요소 스트림으로 분리한 후 저장/재생 제어부(307)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딩부(304)는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며, 역다중화부(303)에서 출력되는 A/V 요소 스트림을 각각의 디코딩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한 후 디스플레이부(305)로 출력한다.
한편 방송 수신기(211)의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즉시 녹화나 타임쉬프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역다중화부(303)를 통해 녹화할 콘텐츠를 입력받는다. 또한 예약 녹화가 설정되어 있다면, 예약된 콘텐츠도 역다중화부(303)를 통해 제공받는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콘텐츠의 녹화/재생시에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한다.
즉,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녹화나 타임쉬프트를 위해 역다중화부(303)로부터 녹화 콘텐츠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녹화 콘텐츠를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로 전송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이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USB 저장 매체로부터 녹화 콘텐츠를 읽어서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상기 홈 서버(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입력받은 녹화 콘텐츠를 내부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홈 서버(110)는 저장/재생 제어부(307)의 녹화 요청이 즉시 녹화나 예약 녹화이면 저장 매체의 반영구 저장 영역에 콘텐츠를 저장하고, 타임쉬프트 이면 저장 매체의 타임쉬프트 저장 영역에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유저의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녹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이 중 하나의 콘텐츠가 재생을 위해 선택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홈 서버(110)로 선택된 재생 콘텐츠를 요청한다. 상기 홈 서버(110)는 저장/재생 제어부(307)에서 요청하는 재생 콘텐츠를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와 방송 수신기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입력된 재생 콘텐츠를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로 전송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이어 상기 USB 저장 매체로부터 일시적으로 저장한 재생 콘텐츠를 읽어 와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03)는 재생 콘텐츠를 오디오 요소 스트림과 비디오 요소 스트림으로 분리한 후 디코딩부(304)로 출력한다.
만일 유저가 선택한 녹화 모드가 타임쉬프트라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유저가 지정한 시간차를 두고 해당 콘텐츠를 홈 서버(110)로 전송하여 녹화함과 동시에 홈 서버(11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이때에도 홈 서버(110)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서 버퍼링 후 홈 서버(110)로 전송되고, 홈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도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서 버퍼링 후 역다중화부(303)로 출력된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외부 저장부(300)로 출력되는 콘텐츠를 인크립션하거나, 외부 저장부(300)로는 인크립션없이 그대로 출력하고, 외부 저장 부(300)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콘텐츠를 홈 서버(110)로 전송할 때 인크립션하여 홈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홈 서버(110)에서 인크립션되어 재생되는 콘텐츠를 디크립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콘텐츠가 불법 복제되거나, 상기 방송 수신기가 아닌 다른 재생 기기 특히, 인증을 받지 않는 재생 기기에서 상기 콘텐츠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재생 기기는 다른 방송 수신기, PC, 휴대폰 등 인크립션되지 않고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는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인크립션되어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다른 재생 기기에서 재생하려면, 해당 재생 기기에서 상기 인크립션된 콘텐츠를 디크립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인증 과정을 거쳐 다운로드받아 재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크립션/디크립션 방법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인크립션/디크립션의 상세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인크립션/디크립션은 스크램블/디스크램블의 의미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포맷 컨버터(310)에서 입력되는 녹화 콘텐츠를 압축 부호화하고,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서 버퍼링 후 홈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압축 부호화는 MPEG 부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만일, 녹화 콘텐츠가 MPEG 부호화 알고리즘으로 압축 부호화되었다면, 해당 콘텐츠의 재생시 디코딩부(304)에서 압축 부호화 이전의 콘텐츠로 복원할 수 있다. 또는 저장/재생 제어부(307)에서 압축 부호화 이전의 콘텐츠로 복원할 수도 있다.
만일, 방송 수신기(211)에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은 외부 저장부(300)를 거치지 않고 홈 서버(110)와 직접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기(211)에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시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지 여부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유저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녹화나 재생이 선택되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유저가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하거나, 또는 OSD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방송 수신기에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녹화 및 재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는 녹화 과정의 구체적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녹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유저가 리모콘(350)을 이용하여 녹화를 선택하면(S401),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402). 일 예로, 유저에 의해 현재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의 즉시 녹화가 선택되 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유저는 리모콘(350)의 녹화를 위해 할당된 키나 방송 수신기의 메뉴 화면을 통해 즉시 녹화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S402의 확인 결과,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유저가 네트워크 연결을 체크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403). 즉, 네트워크 연결 실패 에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유/무선 랜카드를 확인하거나, USB 케이블을 확인하여 네트워크를 재설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S402에서 네트워크 연결로 확인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404).
상기 S404에서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의 사용 가능한 USB 저장 용량을 확인한다(S405). 상기 S405에서 사용 가능한 USB 저장 매체의 용량이 확인되면, 사용 가능한 용량 내에서 버퍼링 사이즈(또는 용량)를 결정한다(S406). 상기 버퍼링 사이즈의 결정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유저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버퍼링 사이즈가 결정되면, 선택된 녹화 콘텐츠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S407).
그리고 상기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된 녹화 콘텐츠를 읽어 와 홈 서버(110)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와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408). 이는 녹화 요청시에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 후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하거나 유저의 실수로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질 수도 있기 때 문이다. 이 경우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복구할 수도 있고, 유저가 네트워크 연결을 복구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녹화 요청시에는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 후 외부 저장부(300)의 연결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끊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의 연결도 확인한다. 상기 홈 서버(110)와의 연결 확인 및 USB 저장 매체와의 연결 확인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408에서 홈 서버(110)와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고 확인되면 S409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의 연결을 확인하고, 홈 서버(110)와의 연결이 끊어졌다고 확인되면 S414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의 연결을 확인한다.
상기 S409에서 USB 저장 매체와 연결이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S407에서 USB 저장 매체에 저장한 녹화 콘텐츠를 읽어 와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S410). 그러면 홈 서버(110)는 내부에 탑재된 저장 매체에 입력되는 녹화 콘텐츠를 저장한다(S411). 만일 즉시 녹화라면 반영구 저장 영역에 저장되고, 타임쉬프트라면 타임쉬프트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그러면서 녹화 종료를 확인한다(S412). 일 예로, 하나의 프로그램(또는 하나의 파일)에 대한 녹화가 완료되거나, 유저가 강제로 녹화를 종료하였을 때는 녹화 종료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412에서 녹화 종료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S408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면서 해당 콘텐츠의 녹화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 S404 또는 S409에서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즉, 방송 수신기(211)가 홈 서버(110)와는 연결되어 있으면서 외부 저장부(300)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역다중화부(303)에서 입력되는 녹화 콘텐츠를 외부 저장부(300)로 출력하지 않고, 바로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즉,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 수 없으므로 녹화 콘텐츠는 바로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S414에서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즉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도 끊어지고, USB 저장 매체와의 연결도 끊어진 상태이므로 유저가 녹화 실패를 인식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녹화 실패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416). 상기 S414에서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즉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은 끊겼는데 USB 저장 매체는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S406에서 결정된 버퍼링 사이즈만큼 USB 저장 매체에 녹화 콘텐츠를 저장하면서 네트워크 복구를 기다린다(S415).
만일, 상기 S415에서 USB 저장 매체에 콘텐츠가 저장되는 동안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된다면, 네트워크 연결 끊김이 발생하면서 홈 서버(110)로의 전송이 중단되었던 콘텐츠의 나머지 데이터는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USB 저장 매체로부터 해당 콘텐츠의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읽어 와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일시적으로 네트워크가 끊기더라도 홈 서버(110)에서 콘텐츠의 녹화는 끊김없이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복구 후의 동작은 도 7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는 재생 과정의 구체적인 실시예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녹화된 콘텐츠의 재생 과정도 녹화 과정과 거의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유저가 리모콘(350)을 이용하여 재생을 선택하면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녹화 요청에 의해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녹화 콘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녹화 콘텐츠의 리스트는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하고 있다가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홈 서버(110)로 요청한 후 홈 서버(110)로부터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중 하나의 콘텐츠가 재생을 위해 선택되면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홈 서버(110)에게 선택된 재생 콘텐츠를 요청한다. 그리고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콘텐츠는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서 버퍼링된 후 디코딩부(304)에서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부(305)로 출력된다. 이때 방송 수신기(211)에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지 여부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유저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유저에 의해 재생이 요청되고, 재생 콘텐츠가 선택되면(S501),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502).
상기 S502의 확인 결과,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유저가 네트워크 연결을 체크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503). 즉, 네트워크 연결 실패 에 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유/무선 랜카드를 확인하거나, USB 케이블을 확인하여 네트워크를 재설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S502에서 네트워크 연결로 확인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504).
상기 S504에서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의 사용 가능한 USB 저장 용량을 확인한다(S505). 상기 S505에서 사용 가능한 USB 저장 매체의 용량이 확인되면, 사용 가능한 용량 내에서 버퍼링 사이즈를 결정한다(S506). 상기 버퍼링 사이즈의 결정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유저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버퍼링 사이즈가 결정되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녹화 리스트에서 선택된 재생 콘텐츠를 홈 서버(110)로 요청한다(S507). 그러면 홈 서버(110)는 저장 매체에 녹화된 콘텐츠들 중 유저가 선택한 재생 콘텐츠를 읽어 와 방송 수신기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로 전송한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로 전송된 재생 콘텐츠를 외부 저장부(300)로 출력하여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S508).
이때, 상기 홈 서버(110)로부터 재생 콘텐츠를 읽어오거나, 홈서버(110)로부터 읽어 온 재생 콘텐츠를 외부 저장부(300)의 USB 재생 매체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와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509). 이는 재생 요청시에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 후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하거나 유저의 실수로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질 수도 있기 때문 이다. 이 경우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복구할 수도 있고, 유저가 네트워크 연결을 복구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재생 요청시에는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 후 외부 저장부(300)의 연결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끊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의 연결도 확인한다. 상기 홈 서버(110)와의 연결 확인 및 USB 저장 매체와의 연결 확인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S509에서 홈 서버(110)와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고 확인되면 S510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의 연결을 확인하고, 홈 서버(110)와의 연결이 끊어졌다고 확인되면 S514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의 연결을 확인한다.
상기 S510에서 USB 저장 매체와 연결이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를 읽어 와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한다(S511). 상기 역다중화부(303)는 재생 콘텐츠를 오디오 요소 스트림과 비디오 요소 스트림으로 분리한 후 디코딩부(304)로 출력한다.
그러면서 재생 종료를 확인한다(S512). 일 예로, 하나의 프로그램(또는 하나의 파일)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거나, 유저가 강제로 재생을 종료하였을 때는 재생 종료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512에서 재생 종료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S509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면서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계속 수행한다.
상기 S504 또는 S510에서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즉, 방송 수신기(211)가 홈 서버(110)와는 연결되어 있으면서 외부 저장부(300)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홈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재생 콘텐츠를 외부 저장부(3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한다. 즉,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 수 없으므로 재생 콘텐츠는 바로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S514에서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즉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도 끊어지고, USB 저장 매체와의 연결도 끊어진 상태이므로 유저가 재생 실패를 인식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 실패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516). 상기 S514에서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즉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은 끊겼는데 USB 저장 매체는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를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하면서 네트워크 연결 복구를 기다린다(S515).
이 후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재생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홈 서버(110)로부터 전송받아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만일,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가 모두 읽어져 역다중화부(303)로 출력되기 전에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된다면 일시적으로 네트워크가 끊기더라도 해당 재생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는 끊김없이 이루어진다.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는 타임쉬프트 과정의 구체적인 실시예
본 발명은 녹화 콘텐츠를 홈 서버(110)로 전송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저장되는 녹화 콘텐츠를 유저가 선택한 시간차를 두고 홈 서버(110)로부터 읽어 와 재생하는 것을 타임쉬프트라 하기로 한다. 상기 타임쉬프트는 유저가 리모콘(350)의 타임쉬프트를 위해 할당된 키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고,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메뉴 화면을 통해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메뉴 화면에서 타임쉬프트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이 후 방송 수신기의 전원 온시에 타임쉬프트가 자동으로 실행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타임쉬프트를 실행할 때에도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기(211)에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지 여부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유저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녹화 방법 중 타임쉬프트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유저에 의해 타임쉬프트가 선택되면(S601),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602). 상기 S602의 확인 결과,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유저가 네트워크 연결을 체크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603). 즉, 네트워크 연결 실패 에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유/무선 랜카드를 확인하거나, USB 케이블을 확인하여 네트 워크를 재설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S602에서 네트워크 연결로 확인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604).
상기 S604에서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의 사용 가능한 USB 저장 용량을 확인한다(S605). 상기 S605에서 사용 가능한 USB 저장 매체의 용량이 확인되면, 사용 가능한 용량 내에서 버퍼링 사이즈를 결정한다(S606). 상기 버퍼링 사이즈의 결정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유저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버퍼링 사이즈가 결정되면, 결정된 버퍼링 사이즈에서 다시 상기 USB 저장 매체를 녹화용 버퍼링 영역과 재생용 버퍼링 영역으로 구분한다(S607).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유저나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녹화와 재생 중 어느 하나에서만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USB 저장 매체를 녹화용 버퍼링 영역과 재생용 버퍼링 영역으로 구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S607에서 녹화용 버퍼링 영역과 재생용 버퍼링 영역의 크기는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S607에서 두 영역이 구분되면, 타임쉬프트를 위해 선택된 녹화 콘텐츠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외부 저장부(300)로 출력되어 USB 저장 매체 내 녹화용 버퍼링 영역에 일시 저장된 후 다시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홈 서버(110)로 전송된다(S608). 상기 홈 서버(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전송되는 녹화 콘텐츠를 저장 매체의 타임쉬프트 영역에 저장한다(S609). 그리고 상기 홈 서버(110)는 유저가 설정한 시간차 즉, 재생 시점부터 상기 저장 매체의 타임쉬프트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읽어 와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로 전송하고,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로 전송된 재생 콘텐츠를 외부 저장부(300)로 출력하여 USB 저장 매체의 재생 버퍼링 영역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S610). 이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상기 USB 저장 매체의 재생 버퍼링 영역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를 읽어 와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한다(S611).
한편 S604에서 홈 서버(110)와 네트워크는 연결되어 있으면서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타임쉬프트를 위해 선택된 녹화 콘텐츠는 USB 저장 매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홈 서버(110)로 전송된다(S612). 상기 홈 서버(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전송되는 녹화 콘텐츠를 저장 매체의 타임쉬프트 영역에 저장한다(S613). 그리고 상기 홈 서버(110)는 유저가 설정한 시간차 즉, 재생 시점부터 상기 저장 매체의 타임쉬프트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읽어 와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로 전송하고,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로 전송된 재생 콘텐츠를 USB 저장 매체를 거치지 않고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한다(S614).
이때, 상기 S611과 같이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면서 타임쉬프트를 실행하거나, 상기 S614와 같이 USB 저장 매체를 거치지 않고 타임쉬프트를 실행하면서 주기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와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615). 이는 타임쉬프트 요청시에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 후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하거나 유저의 실수로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복구할 수도 있고, 유저가 네트워크 연결을 복구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타임쉬프트 요청시에는 외부 저장부(300)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 후 외부 저장부(300)의 연결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끊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의 연결도 확인한다. 상기 홈 서버(110)와의 연결 확인 및 USB 저장 매체와의 연결 확인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S615에서 홈 서버(110)와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고 확인되면 S616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의 연결을 확인하고, 홈 서버(110)와의 연결이 끊어졌다고 확인되면 S617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의 연결을 확인한다.
상기 S616에서 USB 저장 매체와 연결이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상기 S605로 진행하거나, S608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면서 타임쉬프트를 실행한다. 즉, 타임쉬프트 요청시에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었으면 상기 USB 저장 매체는 이미 저장용 버퍼링 영역과 재생용 버퍼링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S608로 진행한다. 그런데 타임쉬프트 요청시에 USB 저장매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았으면 USB 저장 매체의 사용 가능한 용량 확인 및 저장용 버퍼링 영역과 재생용 버퍼링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S605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S616에서 홈 서버(110)와 연결은 되어 있으면서 USB 저장 매체와 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S612로 진행하여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지 않으면서 타임쉬프트를 실행한다.
상기 S617에서 홈 서버(110)와도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고, USB 저장 매체와도 연결이 없다고 확인되면, 유저가 타임쉬프트 실패를 인식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타임쉬프트 실패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619). 상기 S617에서 홈 서버(110)와는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고, USB 저장 매체와는 연결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S607에서 결정된 녹화용 버퍼링 영역의 사이즈만큼 USB 저장 매체에 녹화 콘텐츠를 저장하면서 네트워크 복구를 기다린다(S618). 또한 재생용 버퍼링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는 역다중화부(303)로 출력된다.
따라서 타임 쉬프트가 수행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네트워크가 끊기더라도 타임쉬프트 동작은 끊김없이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설명은 타임쉬프트 즉, 일정 시간차를 두고 동일한 콘텐츠를 녹화하면서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콘텐츠를 녹화하면서 재생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방송 프로그램은 녹화하면서, 동시에 이미 녹화된 B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경우에도 도 6a,도 6b와 같이 USB 저장 매체를 녹화용 버퍼링 영역과 재생용 버퍼링 영역으로 구분하여 녹화 및 재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타임 쉬프트와 같이 재생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많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넓은 대역폭을 가진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가 동시 화면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타임쉬프트와 같이 재생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유저의 선택에 따라 현재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방송 콘텐츠와 재생 콘텐츠를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화면 기능은 한 화면을 주화면과 하나 이상의 부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으로서,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더블 윈도우(또는 트윈 픽쳐) 등이 있다. 상기 PIP는 주화면 내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하고, POP는 주화면의 좌측(또는 우측)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더블 윈도우란 한 화면을 좌,우 화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좌화면에 주화면 영상을, 우화면에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좌,우화면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IP 기능이 선택되고, 타임쉬프트 중이라면 주화면에는 현재 수신되는 라이브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부화면에는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와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주화면에 재생 콘텐츠를, 부화면에 라이브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타임쉬프트가 아닌 즉, A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면서, 동시에 이미 녹화된 B 방송 콘텐츠를 재생할 때, PIP 기능이 선택되면, A 방송 콘텐츠는 주화면으로, B 방송 콘텐츠는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350)과 같은 입력 장치에 각각을 위한 키를 할당하여 PIP, POP, 더블 윈도우 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도 있고, 하나의 키를 할당하고 상기 키를 누를때마다 상기 각 기능들이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주화면의 영상과 부화면의 영상을 서로 바꿀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복구시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녹화나 재생 중에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하거나 유저에 의해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 끊김이 발생하면(S701,S702), 네트워크 복구를 기다린다(S703). 이때 네트워크 복구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유저가 네트워크 연결을 복구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녹화 중에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면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는 홈 서버(110)로 전송되지 못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홈 서버(110)로 전송이 중단된 데이터부터 USB 저장 매체에서 출력되도록 이어받기를 시도한다(S705). 만일, USB 저장 매체에 설정된 버퍼링 사이즈가 풀(full)이 되기 전에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된다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USB 저장 매체에 마지막으로 보낸 콘텐츠 파일과 홈 서버(110)로 보낸 콘텐츠 파일의 크기를 비교하여(S706), 홈 서버(110)로 전송되지 않은 나머지 콘텐츠 데이터를 USB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와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S707). 즉, 중단된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은 최종 전송중이던 데이터의 크기를 구하여 전송이 안된 나머지 부분의 데이터만 USB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와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방송 콘텐츠의 단위가 패킷인 경우,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의 패킷들과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의 패킷들을 비교하여, 홈 서버(110)로 전송되지 않은 콘텐츠의 나머지 패킷들을 USB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와 홈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녹화 콘텐츠의 각 패킷마다 인덱스를 할당하고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서 버퍼링한 후 홈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된 녹화 콘텐츠의 각 패킷의 인덱스와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녹화 콘텐츠의 각 패킷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홈 서버(110)로 전송되지 않은 콘텐츠의 나머지 패킷들을 알 수 있다. 상기 예는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와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방송 콘텐츠의 단위가 프레임 단위일 때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사진/음악 콘텐츠 재생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의 녹화 중에 사진이나 음악과 같은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한 재생이라면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녹화 중이 아니더라도 사진/음악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할 때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진은 정지 영상 중 하나이다. 즉, 본 발명은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정지 영상콘텐츠의 재생시에도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 른 디바이스나 홈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시에도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음악 콘텐츠의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방송 콘텐츠의 녹화 중에 사진이나 음악 콘텐츠의 재생이 선택되면(S801,S802), 재생할 사진/음악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소스를 선택한다(S803).
상기 S803에서 데이터 소스는 USB 저장 매체가 될 수도 있고,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가 될 수도 있고, 핸드폰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만일 재생할 사진/음악 콘텐츠가 USB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다면 사진/음악 콘텐츠의 선택 및 재생이 방송 수신기(211)의 저장/재생 제어부(307)와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와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재생할 사진/음악 콘텐츠가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다면, 재생할 사진/음악 콘텐츠는 홈 서버(110)를 통해 방송 수신기(211)로 전송될 수도 있고, 홈 서버(110)를 통하지 않고 바로 방송 수신기(211)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가 버퍼 역할을 수행한다. 만일 데이터 소스가 핸드폰이라면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사진/음악 콘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재생할 사진/음악 콘텐츠가 홈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어도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는 버퍼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S803에서 데이터 소스가 선택되고, 선택된 데이터 소스에 의한 사 진/음악 콘텐츠 재생이 네트워크 재생이면(S804), 선택된 데이터 소스로부터 읽어 온 사진/음악 콘텐츠를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 일시 저장한다(S805). 이어 상기 USB 저장 매체로부터 해당 사진/음악 콘텐츠를 읽어 와 디코딩 후 디스플레이한다(S806).
도 8과 같이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면서 사진이나 음악과 같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USB 저장 매체의 버퍼링 사이즈 및 녹화용 버퍼링 영역, 재생용 버퍼링 영역의 구분 등에 대한 실시예, 그리고 녹화와 재생 동작 중의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 USB 저장 매체와의 연결 상태 및 각 연결 상태에 따른 동작 실시예는 전술한 도 6을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 이용
지금까지는 하나의 USB 저장 매체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만일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USB 허브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USB 포트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USB 포트에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된다면, 본 발명은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의 이용 방법에 따라 녹화나 재생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도 있고, 녹화나 재생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녹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리모콘(350)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녹화가 선택되면(S901), 저장/재 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USB 저장 매체가 복수개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902). 만일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하나만 연결되어 있다면 도 4를 참조하여 콘텐츠의 녹화를 수행한다.
한편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다면 녹화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의 개수가 복수개인지를 확인한다(S903). 여기서 녹화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의 개수의 선택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USB 저장 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S903에서 녹화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하나라면 도 4를 참조하여 콘텐츠의 녹화를 수행한다. 상기 S903에서 녹화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복수개라면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여 녹화 콘텐츠를 일시 저장한 후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녹화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두개라고 가정하면, 두개의 USB 저장 매체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두개의 USB 저장 매체 중 어느 하나가 잘못되어도 안정적으로 홈 서버(1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두개의 USB 저장 매체의 데이터를 교대로 읽어서 홈 서버(110)로 전송하면 녹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두개의 USB 저장 매체 중 어느 하나에는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할 수도 있다. 즉, 녹화 콘텐츠의 데이터를 패킷, 라인, 필드, 프레임 중 어느 한 단위로 나 누어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에 번갈아가며 저장한 후 홈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녹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녹화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복수개라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또는 유저에 의해 수동으로 각 USB 저장 매체마다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화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3개라면, 유저가 3개의 USB 저장 매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또는 유저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의 우선 순위가 정해지면,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우선 순위가 빠른 순서대로 녹화 콘텐츠의 데이터를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녹화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USB 저장 매체의 연결,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그리고 USB 저장 매체의 연결 끊김이나 홈 서버(110)와의 연결 끊김이 발생했을 때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면 되므로 도 9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유저에 의해 재생이 선택되고, 녹화 리스트로부터 재생 콘텐츠가 선택되면(S1101),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102). 만일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하나만 연결되어 있다면 도 5를 참조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수행한다.
한편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가 연결되어 있다면 재생에 이용할 USB 저장 매 체의 개수가 복수개인지를 확인한다(S1103). 여기서 재생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의 개수의 선택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USB 저장 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S1103에서 재생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하나라면 도 5를 참조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수행한다. 상기 S1103에서 재생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복수개라면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여 홈 서버(110)로부터 읽어 온 재생 콘텐츠를 일시 저장한 후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재생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두개라고 가정하면, 두개의 USB 저장 매체에 동일한 재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두개의 USB 저장 매체 중 어느 하나가 잘못되어도 안정적으로 홈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두개의 USB 저장 매체 중 어느 하나에는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할 수도 있다. 즉, 홈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재생 콘텐츠의 데이터를 패킷, 라인, 필드, 프레임 중 어느 한 단위로 나누어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에 번갈아가며 저장한 후 역다중화부(303)로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재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녹화와 마찬가지로, 재생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복수개라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또는 유저에 의해 수동으로 각 USB 저장 매체마다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에 이용할 USB 저장 매체가 3개라면, 유저가 3개의 USB 저장 매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OSD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또는 유저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의 우선 순위가 정해지면,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우선 순위가 빠른 순서대로 홈 서버(110)로부터 읽은 재생 콘텐츠의 데이터를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재생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USB 저장 매체의 연결, 홈 서버(110)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그리고 USB 저장 매체의 연결 끊김이나 홈 서버(110)와의 연결 끊김이 발생했을 때의 동작은 도 5를 참조하면 되므로 도 10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타임쉬프트, 서로 다른 채널의 녹화와 재생을 동시에 수행한다면, 복수개의 USB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는 녹화되는 콘텐츠의 버퍼로, 나머지 USB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버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방송 수신기(211)와 홈 서버(110)와의 콘텐츠 및 제어 신호의 송/수신은 이더넷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는 이더넷 방식으로 통신하는 랜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랜카드는 유선 랜카드와 무선 랜카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유/무선 통합형 랜카드일 수도 있다.
만일 유선(즉, 이더넷 케이블)으로 홈 서버(110)가 연결되고, 녹화가 선택되었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는 저장/재생 제어부(307)에서 출력되는 녹화 콘텐츠를 유선 이더넷 방식으로 홈 서버(11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또한 무선으로 홈 서버(110)가 연결되어 있고, 녹화가 선택되었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는 저장/재생 제어부(307)에서 출력되는 녹화 콘텐츠를 무선 이더넷 방식으로 홈 서버(11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와 홈 서버(110)의 데이터 전송 단위는 이더넷 MAC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와 홈 서버(110)는 데이터 영역 내의 콘텐츠만을 파싱하는 이더넷 MAC 프레임 파서(parser)(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와 홈 서버(110)는 녹화 또는 재생 콘텐츠를 도 11과 같은 이더넷 MAC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이더넷 MAC 프레임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따르면, 이더넷 MAC 프레임은 7/1바이트의 프리엠블(preamble)/SFD(Start of Frame Byte) 영역, 6바이트의 수신측 주소 영역, 6바이트의 송신측 주소 영역, 2바이트의 데이터 필드의 길이 영역, 45바이트 내지 1500바이트의 데이터 영역, 4바이트의 체크섬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7바이트의 프리엠블 영역은 송신측 및 수신측 간의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또한 1바이트의 SFD 영역은 이더넷 MAC 프레임의 시작점을 나타낸다. 2바이트의 데이터 필드의 길이 영역에는 그 다음에 오는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나타낸다. 4바이트의 체크섬 영역은 32비트의 해시 코드로 이루어져 프레임의 에러 체크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8)에서 홈 서버(110)로 녹화 콘텐츠를 전송할 때, 이더넷 MAC 프레임 내의 송신측 주소 영역에는 방송 수신기(211)의 무선 랜카드의 어드레스가, 수신측 주소 영역에는 홈 서버(110)의 무선 랜카드의 어드레스가, 데이터 영역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녹화 콘텐츠가 각각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홈 서버(110)는 도 11과 같은 이더넷 MAC 프레임이 방송 수신기(21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8)를 통해 전송되면, 이더넷 MAC 프레임 파서(parser)에 의해 데이터 영역 내의 녹화 콘텐츠만 파싱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한 녹화
한편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녹화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307)는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녹화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녹화 콘텐츠를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에서 버퍼링 후 홈 서버(110)로 전송하여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 가이드는 수신부(301)를 통해 수신될 수 있는 신호 즉, 방송 콘텐츠에 대하여 유저에게 정리된 정보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가이드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가이드는 현재 방송되는 콘텐츠의 정보 뿐만 아니라, 미래에 방송될 콘텐츠의 정보도 제공하므로, 유저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통해 즉시 녹화 뿐만 아니라, 예약 녹화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01)가 복수개의 콘텐츠를 동시에 수신하여 처리 가능하다면, 유저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의 방송 콘텐츠의 즉시 녹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A 채널의 콘텐츠를 시청 중이라고 가정할 때, 프로그램 가이드를 통해 B 채널의 콘텐츠에 대한 즉시 녹화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화면에는 A 채널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B 채널의 콘텐츠는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통해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또 다른 예로, 유저가 리모콘(350)의 즉시 녹화를 위해 할당된 키를 입력하면 현재 시청 중인 A 채널의 콘텐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서, 동시에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를 통해 홈 서버(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도 12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한 종류인 EPG(Electronic Program Guide)의 출력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EPG는 가로축과 세로축의 2-차원(dimension)으로 구성되고, 한 축에는 채널 정보, 다른 한 축에는 타임정보가 포함된다.
즉, 방송 수신기(211)는 복수의 EPG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고, 복수의 채널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프로그램의 스케줄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위치하는 셀의 길이는 시간의 비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 정보와 끝 시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시간 축에 시각에 맞추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그램 타이틀이 위치하는 각각의 셀의 길이는 프로그램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입력 타입 표시 셀은 현재 선택된 입력 콘텐츠의 입력 타입이 예를 들어, A/V 방송 신호, 오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Data) 방송 신호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 어떤 입력 타입인지를 알려준다.
채널 리스트 셀은 채널 네임, 채널 넘버 또는 채널 로고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프로그램 타이틀이 실려오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채널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창에 7개의 채널이 동시에 OSD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되는 채널이 7개가 넘으면 스크롤을 이용하여 다음 채널 정보를 보여주도록 구현할 수 있다.
데이트 셀은 프로그램이 수신되는 날짜를 나타낸다. 이때 EPG는 복수의 날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로 8일 동안의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그램 타이틀 셀은 소정 채널에 대해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의 제목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타임 리스트는 프로그램이 수신되는 시각을 나타내한 기준 시각 정보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타임 리스트는 초, 분, 시간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면으로(하나의 OSD 상에)나타내는 EPG는 소정의 시간 동안의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현재 시각(current time) 셀은 현재의 시점을 나타내는 셀로, 현재의 날짜 및 시각 정보를 표시한다.
현재 시각 인디케이터는 상기 타임 리스트 상에, 현재의 시각을 표시하는 지시자이다. 현재 시각 인디케이터(current time indicator)가 알려주는 시간 영역에 위치하는 셀의 프로그램이 현재 출력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현재 시간 인디케이터 이후의 타임 리스트 영역에 위치하는 셀의 프로그램은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가 가능하다. 이때, 녹화 또는 시청이 예약된 시간에 앞서, 유저에게 기능 설정을 알려주거나, 설정된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를 물어볼 수 있다.
입력 타입 선택 메뉴는 방송 콘텐츠의 입력 타입 즉, TV 방송 신호, 오디오(audio) 방송 신호, 데이터(Data) 방송 신호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여러가지 입력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V 방송 신호는 위성, 케이블, 지상파 방송 신호를 각각 구별하여 식별하도록 표시하거나, 방송 형태에 관계없이 TV 방송 신호라고 표시할 수 있다. 즉, 유저가 TV 방송 신호를 입력 타입으로 선택하면, EPG는 TV 방송 신호로 수신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고, 유저가 데이터 방송 신호를 입력 타입으로 선택하면, EPG는 데이터 방송 신호로 수신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한다.
모드 선택 메뉴는 EPG 출력 형태에 따른 복수개의 실시예 모드를 변경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즉, 그리드 타입(grid type), 8-days 타입(8-days type), 나우 앤 넥스트(now and next type), 싱글 타입(single type) 등의 여러 실시예 모드를 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리드 타입으로 EPG를 출력하다가, 모드 선택 메뉴에서 싱글 타입 EPG로 모드 변환을 선택하면, 싱글 타입 EPG 형태로 출력된다.
또한 EPG 출력창 내 또는 프로그램 타이틀이 위치하는 셀 내에 프로그램 타이틀과 동시에 시각적인 아이콘(visual indicator)을 표시하도록 하여, 소정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기능, 또는 프로그램의 특징 및 성격 등을 나타내는 시각적인 아이콘은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며, 유저가 이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다른 아이콘과 구별될 수 있으면 가능하다. 즉, 동일한 형태라도 색깔로 구별할 수 있다면, 각기 다른 기능 설정 아이콘으로 사용 가능하고, 형태를 달리하여 구현도 가능하다.
이때 표시할 수 있는 설정된 기능으로 표시 가능한 실시예로는, 예약 시청 아이콘(도면상에는 Reminder icon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약 녹화 아이콘(도면상에는 Record icon 으로 표시되어 있다), 녹화 중 아이콘 등의 기능 설정 표시가 있다.
또한 입력 타입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입력 타입 아이콘도 가능하며, 채널 리스트 상에 채널을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채널 로고도 표시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 가이드 상에서 녹화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선택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이드 상의 프로그램 타이틀 셀로 커서가 이동하여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경우를 선택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고, 소정의 프로그램 타이틀에 대한 기능 선택키가 입력되는 경우를 선택된 것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상에서 프로그램 타이틀 셀을 하이라이트(highlight)시키는 경우도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택된 녹화 콘텐츠의 녹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USB 저장매체 관리
도 13은 외부 저장부(300)의 USB 저장 매체의 저장 가능 용량을 도시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기는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할 경우, USB 저장 매체의 사용 가능한 용량 및 버퍼링 용량을 체크하여, 이를 유저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는 유저가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저장 가능 용량의 표시를 요청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USB 저장 매체의 저장 가능 용량을 표시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로는 도형 내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용량 대비 버퍼링 가능한 공간으로 영역을 분리하여, 시각적으로 도시할 수 있다. 이때 도형은 평면 도형과 입체 도형 모두 가능하다.
상기 USB 저장 매체의 저장 가능 용량을 표시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로는 전체 저장 공간, 이미 사용된 저장 공간, 사용 가능한 저장 공간, 버퍼링 가능한 저장 공간의 용량을 용량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전체 저장 공간 용량, 이미 사용된 저장 공간 용량, 사용 가능한 저장 공간 용량, 버퍼링 가능한 저장 공간 용량은 선택적으로 표기할 수 있다.
상기 USB 저장 매체의 저장 가능 용량을 표시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로는 전체 저장 공간, 이미 사용된 저장 공간, 사용 가능한 저장 공간, 버퍼링 가능한 저장 공간의 용량을 시간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전체 저장 공간, 이미 사용된 저장 공간, 사용 가능한 저장 공간, 버퍼링 가능한 저장 공간의 시간은 선택 적으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녹화 품질(화질)에 따라서 저장 가능한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각각 출력함으로써, 유저는 녹화 품질(화질)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USB 저장 매체의 저장 가능 용량을 표시하는 방법의 제 4 실시예로는 전체 저장 공간 용량, 이미 사용한 저장 공간 용량, 사용 가능한 저장 공간 용량, 버퍼링 가능한 저장 공간 용량을 백분율(percentage)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서는 방송 콘텐츠, 사진/음악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시 외부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방송 콘텐츠뿐만 아니라, 각종 동영상 콘텐츠,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각종 동영상 파일도 외부의 USB 저장 매체를 버퍼로 이용하여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 홈 서버와 방송 수신기의 접속 예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녹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녹화 방법 중 타임쉬프트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복구시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중 사진/음악 콘텐츠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이동형 저장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녹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이동형 저장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MAC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EPG의 출력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저장 매체의 저장 가능 용량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홈 서버 120 : 중계기
130 : 디지털 기기 211 : 방송 수신기
212 : 노트북 301 : 수신부
302 : 복조부 303 : 역다중화부
304 : 디코딩부 305 : 디스플레이부
306 : 제어부 307 : 저장/재생 제어부
308 : 통신 인터페이스부 309 : OSD 처리부
310 : 포맷 컨버터 311 : 원격 신호 수신부
300 : 외부 저장부 350 : 리모콘

Claims (25)

  1.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이동형 저장 매체의 연결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 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의 연결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의 콘텐츠 녹화 방법에 있어서,
    녹화할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녹화 콘텐츠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기기 내 저장 매체에 녹화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 녹화 콘텐츠를 읽어 와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녹화 중에 상기 디지털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만 녹화 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녹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와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녹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와 이동형 저장 매체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녹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녹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인크립션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녹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녹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가 타임쉬프트이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는 녹화용 버퍼링 영역과 재생용 버퍼링 영역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녹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용 버퍼링 영역에 저장되는 콘텐츠의 데이터는 녹화를 위해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고, 시간차를 두고 디지털 기기에서 전송되는 콘텐츠의 데이터는 재생용 버퍼링 영역에 임시 저장한 후 디코딩을 위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녹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의 연결 끊김이 검출되면, 상기 녹화 콘텐츠는 이동형 저장 매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디지털 기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녹화 방법.
  9.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이동형 저장 매체의 연결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 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의 연결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재생이 요청되면 상기 디지털 기기의 저장 매체에 녹화된 녹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녹화 콘텐츠 리스트에서 재생할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재생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재생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를 읽어 와 디코딩 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재생 중에 디지털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의 데이터를 읽어 와 디코딩 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재생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와 이동형 저장 매체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의 연결 끊김이 검출되면,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재생 콘텐츠는 이동형 저장 매체를 거치지 않고 디코딩을 위해 바로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3. 방송망이나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하는 콘텐츠 처리부;
    콘텐츠의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저장/재생 제어부; 및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 가능한 이동형 저장 매체, 네트워크를 통해 연 결 가능하며 저장 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녹화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서 복조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디지털 기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위해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고,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한 후 콘텐츠 처리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단자는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USB 포트에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USB 포트에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디지털 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녹화 콘텐츠를 인크립션한 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된 녹화 콘텐츠를 읽어 와 인크립션한 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의 버퍼링 용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버퍼링 용량 내에서 녹화할 콘텐츠나 재생할 콘텐츠를 임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녹화 중에 상기 디지털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만 녹화 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녹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와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1.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녹화와 재생이 동시에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를 녹화용 버퍼링 영역과 재생용 버퍼링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녹화용 버퍼링 영역에 임시 저장되는 콘텐츠의 데이터는 녹화를 위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 전송되는 콘텐츠의 데이터는 재생용 버퍼링 영역에 임시 저장한 후 디코딩을 위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3.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재생 중에 상기 디지털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 끊김이 검출되면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 콘텐츠의 데이터를 읽어 와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콘텐츠 처리부로 출력하고,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시점 이후의 재생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이동형 저장 매체에 임시 저장한 후 콘텐츠 처리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저장 매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면, 콘텐츠의 녹화/재생을 위해 복수개의 이동형 저장 매체를 임시 버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는 홈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80020601A 2008-03-05 2008-03-05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 KR20090095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601A KR20090095325A (ko) 2008-03-05 2008-03-05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601A KR20090095325A (ko) 2008-03-05 2008-03-05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325A true KR20090095325A (ko) 2009-09-09

Family

ID=4129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601A KR20090095325A (ko) 2008-03-05 2008-03-05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53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9077859B2 (en) Device for recording and playing contents, server for managing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formation
US20050015805A1 (en) Power line home network
TWI252688B (en) Display device, two-way communications system and utilizing method of display information
US8978070B2 (en) Content output system,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0901353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device
US766921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system
JP2009130876A (ja) 端末連携継続視聴システム、端末、サーバ、方法
EP2445139A2 (en) Television apparatus,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4935185B2 (ja) 表示装置、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及び転送方法
EP2501160A1 (en)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KR100617876B1 (ko) 멀티룸 개인 영상저장장치
JP2009010898A (ja) 録画装置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20090095325A (ko)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
JP2008167251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案内方法
JP2008199337A (ja) 放送受信機器
US20130060910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71169B2 (ja) 番組関連プログラム
JP5888157B2 (ja) レコーダシステム、及びレコーダ装置
KR20090095856A (ko) 콘텐츠 녹화/재생 장치 및 타임시프트 방법
JP2004222042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6113438B2 (ja) データ管理装置及び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EP2503736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0664B1 (ko) 녹화/재생 장치 및 방송 콘텐츠 저장 방법
US8554059B2 (en) Broadcast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storage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