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100A -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100A
KR20090095100A KR1020080020211A KR20080020211A KR20090095100A KR 20090095100 A KR20090095100 A KR 20090095100A KR 1020080020211 A KR1020080020211 A KR 1020080020211A KR 20080020211 A KR20080020211 A KR 20080020211A KR 20090095100 A KR20090095100 A KR 2009009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464B1 (ko
Inventor
한상균
장홍민
Original Assignee
한상균
장홍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균, 장홍민 filed Critical 한상균
Priority to KR102008002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4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전송받는 것으로, 조작자의 조작기 제어 신호를 받아 기본적인 동작을 실행하는 구동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호에서 특정 키 값을 인식하는 키 인식모듈; 기본 동작 이상 내지 이하의 속도 내지 동작 범위를 가지는 특수 동작을 상기 키 값 별로 지정하고, 상기 특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조건인 키 값 누적 회수 여부를 결정하여, 특정 키 값이 일정 회수 전송되었을 경우 이에 관련된 특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 조작모듈;를 포함하는 로봇;으로 구성되어, 로봇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신호를 전송함으로 유저 스스로 로봇의 특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 일방적으로 게이머에 의해서만 진행 방식에서 유저가 직접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는 소속감과 참여감을 부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로봇, 온라인 게임, 게임 조작,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SYSTEM FOR PROCEEDING GAME USING ROBOT CONTROLLED BY MOBILE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e-스포츠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에서 로봇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수신 수단을 부여하여 이러한 호 정보를 통하여 로봇의 특정 기능의 변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저에게 직접 로봇을 조작하는 것과 같은 재미를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로봇 경기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은 물론 게임 매체의 발달에 의하여 기존 오프라인에서 진행되던 게임을 넘어서 다양한 게임이 성행하고 있는바, 현재의 이러한 신종 게임은 주로 온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게임은 이미 다수의 매니아(mania)와 게이머를 확보하고 있어 일명 e-스포츠라는 하나의 스포츠 장르를 형성하게 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e-스포츠(Electronic Sports)는 소극적 의미로는 컴퓨터 게임을 근거로한 리 그, 게임대회를 지칭하지만 보다 넓은 의미로는 컴퓨터 뿐 아니라 컴퓨터에 준하는 각종 전자장치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한 로봇 내지 기타 대상물을 통한 게임 진행 방식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로봇을 이용한 게임은 아직까지는 이미 잘 알려진 컴퓨터 게임보다는 생소하기는 하나, 현재 조작자에 의하여 로봇의 특정 기관 내지 동작을 제어함으로 상대 로봇과 전투를 벌이는 상황을 e-스포츠로서 TV에서도 중계를 하고 있는 상황이며 새로운 장르를 추구하는 현대 유저의 특성을 반영하듯이 상당한 숫자의 고정 매니아 층도 확보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로봇 게임 역시 컴퓨터 화면과 다른 현실감과 박진감을 얻을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2대 이상의 로봇이 특정 공간에서 마치 이종격투기 경기를 진행하듯이 상대 로봇을 손과 발 등으로 타격하여 상대 로봇이 작동 불능 내지 항복을 하도록 함으로써 승패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게임을 비롯하여, 스틱을 구비한 로봇이 공을 몰고 가 상대 골대에 골을 넣는 것과 같이 복수 대의 로봇이 하나의 팀을 이루어 상대 팀과 대결하는 마치 하키와 같은 구기 운동 종목을 적용한 방식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
이러한 로봇 게임은 일반적인 컴퓨터 게임과 마찬가지로 게이머가 조작기를 통해 로봇을 정밀하게 컨트롤하여 상대 로봇을 이길 수 있는 전략과 전술을 펼칠 수 있게 되며, 과거에 비한다면 로봇 역시 상당히 정밀하게 제작이 되어 다양한 동작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로봇을 이용한 게임의 경우, 로봇을 조작할 수 있는 전권을 조작자가 가지고 있어 물론 조작자의 조작 실력에 의하여 팬을 형성하거나 박진감 있는 로봇 게임이 진행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컴퓨터 게임과 달리 현실적인 공간에서 로봇이 경기를 하고 있는 것을 바라보고 있는 유저는 마치 자신이 조작하면 보다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번 쯤 생각이 들게 되어 오히려 유저 자신이 응원하는 로봇이 제대로 플레이를 펼치지 못할 경우에는 컴퓨터 게임보다 답답함을 느끼기 십상인 경우가 많을 것이 예측된다.
그렇다고 적은 인원도 아닌 수많은 유저에게 조작 권한을 줄 수 있는 상황도 아니기 때문에, 로봇은 기본적으로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이 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특수 동작 내지 행위에 의한 조작은 유저가 관여할 수 있도록 하여 마치 유저 스스로 로봇을 조작하여 게임을 펼치고 있다는 생동감을 부여할 수만 있다면 보다 재미있고 다채로운 로봇을 이용한 게임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유저 참여를 보장함으로, 단순히 게이머의 조작에 의해서만 진행되던 단조로운 게임 방식을 탈피하여 다양한 즐거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방식 내지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게이머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에서 로봇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수신 수단을 장착하고 호를 다양한 종류로 분류하여 특정 호 에 따라 로봇의 특정 행위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여,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방식에 다양성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봇에게 전송되는 호 신호를 로봇의 특정 행위 별로 디스플레이하여 특정 로봇을 응원하는 유저에게 박진감과 긴박감을 자극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로봇을 응원한 유저 중 실질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호를 전송한 유저를 대상으로 이벤트 내지 경품을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특정 로봇에게 전송된 다양한 종류의 호를 분석하여 게임 분석 자료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전송받는 것으로, 조작자의 조작기 제어 신호를 받아 기본적인 동작을 실행하는 구동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호에서 특정 키 값을 인식하는 키 인식모듈; 기본 동작 이상 내지 이하의 속도 내지 동작 범위를 가지는 특수 동작을 상기 키 값 별로 지정하고, 상기 특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조건인 키 값 누적 회수 여부를 결정하여, 특정 키 값이 일정 회수 전송되었을 경우 이에 관련된 특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 조작모듈;를 포함하는 로봇;으로 구성되어, 로봇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신호를 전송함으로 유저 스스로 로봇의 특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모듈의 호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연동모듈로부터 수신된 호 정보를 로봇의 동작 별로 그래픽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호 정보를 전송 시간, 키 값, 전송 회수 별로 소팅하여 분석 처리하는 분석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에 의하면,
1) 기존 일방적으로 게이머에 의해서만 진행 방식에서 유저가 직접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는 소속감과 참여감을 부여하여 단순히 경기를 관람하는 차원을 넘어서 유저가 직접 경기에 직접 관여를 할 수 있다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고,
2)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유저의 구체적인 게임 참여방식을 로봇의 개별적인 행동과 결부하도록 하여, 유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번호를 선택적으로 누르게 됨으로 로봇의 행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 및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마치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승패가 갈릴 수 있다는 구체적인 조작감 내지 참여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3) 실제 로봇을 조작한 유저에게 만일 유저가 조작한 로봇이 승리하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경품을 지급하여 유저의 게임 참여도를 상승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 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로봇 게임에 대한 일 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로봇(100)은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겠지만 예를 들어 인체의 형상을 본떠 만든 것이라면 머리, 몸체, 손과 발을 구비하고 또한 기타 동물 형상을 본떠 만든 것이라면 머리, 몸체, 날개, 꼬리 등을 구비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다시 말해 공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이 아닌 사람 내지 동물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 특정 기관(손, 발 등)을 구동하여 사람 내지 동물과 같이 특정 모션(동작)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조인간 내지 인조 동물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로봇(100)은 이를 지켜보는 이들에게 걷거나 뛰거나 손과 발, 몸체 등을 움직이는 행위를 보여줄 수가 있고 더 나아가 조작자의 제어에 의하여 상대 로봇(100)과 격투를 벌이거나 단체로 구기 운동을 할 수 있는 등의 이벤트 내지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종류에 한정된다고 이해할 수가 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기본적으로 로봇(100)의 동작 제어는 게이머(조작자)의 전적인 조작기의 조작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유저가 이동통신 단말기(20)를 매개로 로봇(100)의 특정 동작의 변형 내지 특정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여, 단지 로봇 게임을 단순하게 관람하는 입장을 탈피하고 유저에게 자신 스스로 직접 로봇(100)을 조작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제공하거나 로봇(100)의 승패에 직접 관여하였다는 소속감과 재미를 부여하도록 하는 것을 추구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이동통신 단말기(20)에 의하여 특정 동작과 행위를 실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손과 발 등이 가속 내지 확장 반경 범위로서 구동되는 로봇(100), 상기 로봇(100)의 이러한 특정 행위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추가적으로 관리 서버(200) 및 추첨 모듈(30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는 대부분의 현대인이 소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폰을 통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기타 PDA, 온라인 통신이 지원되는 게임기도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비록 무선 통신은 아니지만 유선 전화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범주에 포함하여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고 할 수 있다.
즉,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특 정 번호를 통해 후술할 로봇(100)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XXXX 번호를 누르고 접속을 한 다음 특정 지시사항에 따라 1번 키, 2번 키, 3번 키 등을 누름으로써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로봇(100)에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니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20)에는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봇(100)과 통신할 수 있는 특수 통신 모듈(예를 들어, 로봇과 통신할 수 있는 별도의 무선 장치를 의미)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20)가 사용되는 것도 무방한 바, 이는 특수 통신 모듈을 구비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소지자에게만 로봇(100)을 이용한 이벤트 참여 기회를 주어 이러한 로봇 이벤트 내지 로봇을 이용한 게임에 관심을 가진 유저들에게 상기 특수 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20)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 판매에 대해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100)은 구동 모듈(110), 수신모듈(120), 키 인식모듈(130), 기능 조작모듈(140), 연동 모듈(150)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모듈(110)은 로봇(100)의 조작자가 소지하고 있는 조작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 가령 앞 찌르기 공격, 돌려차기 공격과 같은 로봇(100)의 특수 동작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로봇(100)의 구체적인 구동은 수준급의 실력을 가진 조작자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로봇(100)의 직접적인 구동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를 매개로 한 일반 유저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게이머 즉 조작기를 소유한 조작자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저는 이동통신 단말기(20)를 통해 기타 부수적이거나 특정 동작 강도 내지 범위를 확장/축소하는 등에 대한 로봇 구동 제어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신호 송수신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로봇(100)의 수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즉 호(call)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수신 모듈(120)은 로봇(100)의 직접적인 조작을 하는 조작자가 구비한 조작기와는 독립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와의 통신 기능을 가지며, n:1 방식으로 무수히 많은 이동통신 단말기(20)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현재 공지되어 있는 특정 통신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로봇(100)의 수신 모듈(120)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3(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별도의 통신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고 로봇(10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 경우 로봇(100)에 장착되는 수신 모듈(120)은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모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호출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로봇과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적외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20)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바, 도 3(b)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로봇(100)의 수신 모듈(120)은 적외선 통신 모듈이 적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로봇(100)의 적외선 통신 모듈에서 수신하여 상호 통신 및 로봇 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별도의 하드웨어를 장착하여 로봇(10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로봇(100)에게 특정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특수 통신 모듈을 장착하고 이에 상응하여 로봇(100)의 수신 모듈(120) 역시 상기 특수 통신 모듈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무선 통신 모듈로서 이루어져 이동통신 단말기(20)와 로봇(100) 간의 상호 통신 및 호를 통한 로봇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20)와 로봇(100)과의 통신을 위한 예로서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특정 호 처리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와 로봇(100) 상호 통신이 한정되지 않고 기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와 로봇(100) 간의 상호 통신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로봇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로봇(100)의 키 인식모듈(130)은 상기 수신 모듈(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와 통신이 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호를 분석하여 호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키 값을 추출 인식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특정 번호 내지 이동통신회사 별로 다양화된 모바일 통신 접속 방법(예를 들어 SK사의 NATE 내지 T, KTF 사의 SHOW 등)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소유자가 특정 로봇(100)의 수신 모듈(120)에 접속한 다음, 기 설정된 지시에 따라 유저가 후속적인 키 입력을 이루었을 때 해당 키 값을 키 인식모듈(130)에서 인식을 하는 것을 말한다.
가령, 특정 로봇에 A 라는 이동통신 단말기(20)가 접속을 한 경우 접속 이후 키패드에서 1번을 눌렀을 때 키 인식모듈(130)에서 이러한 1에 대한 키 값을 파악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바, 다시 말하여 이러한 키 인식모듈(130)은 후술할 기능 조작모듈(140)에서 로봇(100)의 특정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키 인식모듈(130)은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키패드에 의한 키 값을 인식하는 것은 물론, SMS 내지 MMS 와 같은 메시지 형태의 신호도 특정 키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더불어, 키패드에 의한 키 값은 단 자리 뿐 아니라 두 자리 수 이상의 키 값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능 조작모듈(140)은 상기 키 인식모듈(130)에서 인식한 특정 키 값에 따라 로봇(100)의 특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운팅부(141), 동작 배정부(142), 기능 제어부(143)로 구분되어 있다.
카운팅부(141)는 상기 키 인식모듈(130)에서 입력된 특정 키 값의 회수를 파악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특정 로봇에서 1이라는 키 값이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호를 통해 154회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카운팅부(141)에서 1이라는 키 값 에 대해 154회 입력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더불어 다른 키 값(2, 3 등)에 대해서도 별도 카운팅(counting)을 하여 각각 별도로 관리를 하게 된다.
동작 배정부(142)는 특정 키 값이 담당하게 될 로봇의 동작, 예를 들어 손 움직임, 다리 뻗기, 다리 구부리기 등과 같은 특정 동작(특정 권한 부여도 포함)을 지정함과 더불어 특정 키 값의 입력 회수에 의해 로봇이 동작하게 되는 기준, 즉 n 회의 특정 키 값 입력 시에 로봇(100)의 특정 동작이 특정 방식(예를 들어 동작에 가속을 부여)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1 번에 대한 키 값이 특정 로봇(100)의 수신 모듈(120)에게 30회 전송된 경우, 1번이라는 키 값은 발차기라는 동작을 이루는 것으로 특정 키 값에 관련된 동작을 설정하고 그 다음 발차기의 경우 레벨이 3단계까지 지정되어 있되 1번 키 값이 30회 입력되었을 때 레벨이 2단계로 업그레이드되고 또한 60회 입력되었을 때 레벨이 3단계로 업그레이드된다고 발차기 행위에 대한 키 값 누적 기준을 적용하는 방식(상기 예에서는 30회의 1번 값 입력으로 2단계로 발차기 레벨이 업그레이드 가능)으로써, 동작의 기능 변형을 주는 기준을 특정 키 값의 입력 회수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기능 제어부(143)는 상기 동작 배정부(142)에서 설정한 기준에 의한 특정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로봇(100)의 특정 동작에 변형을 주거나 특정 권한을 부여함으로 로봇의 동작에 실제적으로서 관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로봇(100)의 특정 동작에 변형을 준다는 것은, 예를 들어 로봇(100)의 발차기 단계가 발차는 속도에 따라 작은 속도에서 빠른 속도 별로 1 내지 3단계로 이루 어져 있을 때 평소에는 1단계 수준으로 발차기를 하다가 동작 배정부(142)에서 설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키 값 입력 량이 있게 될 경우 기능의 향상, 즉 2 또는 3단계 수준의 발차기를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작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동작의 파워 업(레벨 업) 내지 파워다운(레벨다운)으로 나타날 수가 있다.
가령 손으로 내려치기 동작에서 파워 업이 될 경우 각 레벨에 따라 2배속 또는 3배속으로 손을 내려치거나, 손 내려치기 동작에서 기존 30ㅀ 정도에서 손이 하강한다고 가정을 하면 파워 업에 의하여 손의 회전 각도를 60 내지 90ㅀ 등으로 설정하여 손이 내려쳐지는 반경을 크게 함으로 로봇의 동작에 어드밴티지(adventage)를 실어주는 것을 의미하고 파워 다운의 경우 이와 반대로 로봇(100)의 동작에 패널티(penalty)를 부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로봇(100)에 특정 권한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조작자의 조작기 조작으로는 이룰 수 없었던 레이저 발사 기능이 기능 제어부의 지시에서만 실행되도록 하여, 일반적인 상대방의 로봇(100)보다 우월하거나 특별한 전투 기술을 보유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기능 제어부(143)는 조작자(게이머)의 조작에 의하여 통상 수행되는 로봇(100)의 동작 범위 내지 강도에 변형을 주도록 하여 임의적으로 로봇(100)의 동작 성능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를 매개로 로봇(100)과 접속한 유저는 마치 자신의 행위, 즉 접속 행위에 의하여 로봇(100)을 제어하는 자족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로봇(100)의 연동 모듈(150)은 상기 수신모듈(120)을 통해 로봇(100)에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20)의 다양한 키 값을 포함하고 있는 호 상황을 소정 기준에 따라 분류함으로 특정 정보, 즉 호 정보로서 변환하여 이 호 정보를 후술할 관리 서버 등의 기타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로봇(100)은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호(call)를 단순히 수신하는 역할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호(특정 키 값 포함)에 관련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도 겸비할 수가 있으며, 연동 모듈(150)은 특히 후술할 관리 서버(200)에 각종 호 상황을 전달함으로써 관리 서버(20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호에 대한 키 값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벤트 행사를 하거나 경기 중계를 위한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로봇 게임을 중계하는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로봇(100)의 연동 모듈(150)을 통해 유저가 특정 로봇(100)에 접속한 호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거나 중계 자료로서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특정 로봇(100)을 호출한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호 회수, 상기 호 중 특정 키 값의 포함 여부, 누적 회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분석 모듈(220)을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상기 연동 모듈(150)을 통해 전송받은 호 정보를 특정 로봇(100) 별로 분류 정리하여 특정 로봇(100)의 동작, 권한 설명과 상기 호 정보를 통해 해당 동작의 변형이 일어난 정도를 로봇(100)의 동작 별 등으로 그래픽 처리하여 모니터, 전광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의하여 게임장 내의 전광판, 모니터, TV 중계 화면을 통해 A라는 로봇과 B라는 로봇이 전투를 벌이고 있을 경우 로봇(100)의 일 측에 로봇의 동작 내지 공격 별로 게이지 내지 바아(bar)를 만들어 호 정보의 축척에 따라 변동이 되는 각 동작의 현재 레벨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정보를 본 시청자 내지 관중은 자신이 응원하는 로봇(100)이 불리하다고 판단할 때 상대 로봇(100)에 맞설 수 있는 전력을 업그레이드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20)를 통해 자신이 응원하는 로봇(100)에 특정 호, 구체적으로는 특정 키 값을 전송하여 특정 로봇(100)의 전력을 상승할 수가 있다.
또한, 분석 모듈(220)은 로봇(100)의 동작 변경을 주는 호 정보를 유저 별, 키 값 별, 시간별, 동작별, 레벨 별로 분리하여 별도의 데이터로서 분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석 모듈(220)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는 로봇 경기 이후에 경기 결과를 분석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 더불어 후술할 추첨 모듈(300)에서 추첨의 근거 자료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첨 모듈(300)은 승리한 로봇을 응원하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승리 로봇에게 호를 전송한 유저 중 일부를 선별하여 경품, 선물 등의 이벤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랜덤 추첨부(310)와 타켓 추첨부(320)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랜덤 추첨부(310)는 승리 로봇(100)에게 이동통신 단말기(20)를 매개로 1회의 호출이라도 한 유저를 대상으로 소정 수의 유저를 추첨하여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20) 번호로 추첨 결과를 통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타겟 추첨부(320)는 특정 상황, 예를 들어 특정 동작에 의하여 상대 로봇(100)을 제압했을 경우 특정 동작의 레벨 업을 시키고자 이동통신 단말기(20)를 매개로 특정 동작의 레벨 업을 위한 키 값을 포함한 호를 전송한 유저를 대상으로 이벤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추첨 모듈(300)은 승리한 로봇(100)에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전송하여 직접적으로 승리에 기여한 유저에게 경품을 지급함으로써 유저의 참여도를 상승하고 진행의 재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실제로 운영되는 사례를 1:1로 이루어지는 로봇 전투 게임을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진행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A라는 로봇과 B라는 로봇이 전투를 벌이고자 하는 상황에서, A 로봇은 25가지의 동작에 대해 각각 키 값이 지정이 되어 있고 B 로봇은 23가지의 동작에 대해 각각 키 값이 지정되어 있다.
A 로봇은 다리 차기를 주특기를 하고 있어 다리를 뻗는 속도에 따라 1 레벨부터 4 레벨까지 이루어져 있으나 초기 상태에는 1 레벨부터 시작이 되는 반면, B 로봇은 주먹 지르기를 주특기로 하고 있어 주먹을 지르는 속도에 따라 1 레벨부터 5 레벨까지 등급이 나뉘어져 있되 역시 초기 상태에는 1 레벨 수준에서 세팅이 되어 있다. 조작자는 이러한 초기 상태의 1 레벨 수준에서 로봇을 조작할 수 있고, 임의로 레벨 업그레이드는 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로봇은 조작자의 조작 재량에 의하여 얼마든지 다양한 공격을 조작자 자유대로 발휘할 수 있으나, 동작의 파워 내지 강도에서는 아직 초기 상태라 그 파워가 약하기 때문에 그 동작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저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로봇에 특정 키 값을 전송하도록 한다.
게임이 시작되기 이전에,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먼저 각각의 로봇에 대한 상세 공격 특성과 동작 종류를 시청자에게 소개를 하고 동작의 변형을 주기 위한 키 값을 안내하게 된다. 가령, A 로봇에서 팔 굽히기는 11번, 팔 뻗기는 12번과 같이 특정 동작에 대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눌러야 하는 번호, 즉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호 전송을 할 때 키 값을 중계자 내지 모니터 화 면을 통해 안내할 수 있다.
경기가 시작되면, A 로봇과 B 로봇은 각각의 조작자(게이머)에 의하여 조작이 되면서 전투를 벌이게 된다.
이때부터, 유저는 실시간으로 중계 화면을 보면서 자신이 응원하는 로봇의 특정 동작에 대한 기능을 상승하기 위한 행위를 하게 되는바, 이러한 행위는 로봇에 부여된 전화번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화를 걸면서 시작된다.
가령, 홍길동이라는 유저가 A 로봇을 응원할 때 A 로봇이 B 로봇에게 밟혀 넘어져 있는 불리한 상황에서, 업그레이드된 주먹 날리기를 B 로봇에게 가하여 현재 불리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한다면 A 로봇에 전화를 건 이후 주먹 날리기에 해당하는 소정의 키 값을 입력하여 보다 속도가 강화된 주먹 날리기를 할 태세를 갖추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먹 날리기의 경우 유저를 통한 호 전송(호출) 회수가 100회에 이르렀을 때 주먹 날리기의 속도가 상위 레벨로 업그레이드가 된다고 가정을 하면, 홍길동은 자신의 호출 이외에 다른 유저가 실시간으로 호출하여 호출 회수가 올라가는 상황을 전광판을 통하여 확인할 수가 있다. 때 마침, 주먹 날리기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유저 호출이 100회에 육박하여 A 로봇은 한층 강화된 속도로 B 로봇의 다리에 주먹을 날려 B 로봇이 무게 중심을 잡지 못하고 있을 때 A 로봇이 다시 일어나 위기 상황을 모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감과 박진감 있는 상황은 실시간으로 중계자의 중계를 통해 보다 생동감 있게 방영이 되어 유저의 재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전투가 계속되다가 마침내 A 로봇이 레벨이 업그레이드된 상태의 다리 차기에 의하여 B 로봇의 가슴을 가격하여 더 이상 B 로봇이 일어나지 못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A 로봇은 B 로봇에게 K.O 승을 거두게 되었다.
경기가 끝난 후, A 로봇과 B 로봇이 사용한 동작에 축척된 호 정보를 분석하여 실제 상대에게 결정적인 업그레이드 타격이 되었던 동작 기술을 소개하며, 더불어 최종적으로 A 로봇의 결정타였던 다리 차기 당시에 다리 차기 업그레이드를 위한 호출을 하였던 유저 중 3명을 선발하여 경품을 지급하였다.
상기 예에서는 유저의 호출 행위에 의하여 로봇의 전투 기술이 업그레이드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방영을 한다는 전제로 설명하였지만, 사행심을 조장한다는 우려를 얻을 수도 있기에 어느 동작이 업그레이드되었는지 여부를 아예 노출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긴박감 있게 게임 진행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로봇 게임에 대한 일 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로봇 게임을 중계하는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진행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스템 143: 기능 제어부
20: 이동통신 단말기 150: 연동 모듈
100: 로봇 200: 관리 서버
110: 구동 모듈 210: 디스플레이 모듈
120: 수신 모듈 220: 분석 모듈
130: 키 인식모듈 300: 추첨 모듈
140: 기능 조작모듈 310: 랜덤 추첨부
141: 카운팅부 320: 타겟 추첨부
142: 동작 배정부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전송받는 것으로,
    조작자의 조작기 제어 신호를 받아 기본적인 동작을 실행하는 구동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호에서 특정 키 값을 인식하는 키 인식모듈;
    기본 동작 이상 내지 이하의 속도 내지 동작 범위를 가지는 특수 동작을 상기 키 값 별로 지정하고, 상기 특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조건인 키 값 누적 회수 여부를 결정하여, 특정 키 값이 일정 회수 전송되었을 경우 이에 관련된 특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 조작모듈;를 포함하는 로봇;으로 구성되어,
    로봇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신호를 전송함으로 유저 스스로 로봇의 특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상기 로봇에 전송된 키 값 별로 수신된 호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생성한 호 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연동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모듈의 호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연동모듈로부터 수신된 호 정보를 로봇의 동작 별로 그래픽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호 정보를 전송 시간, 키 값, 전송 회수 별로 소팅하여 분석 처리하는 분석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특정 로봇에게 호를 전송한 유저를 대상으로 일정 수의 유저를 추첨하여 경품 내지 선물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벤트 처리를 하는 추첨 모듈;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 모듈은,
    승리한 로봇에게 호를 전송한 유저를 대상으로 하되, 승리의 결정 요인이 된 특정 동작 시점을 파악하여 이 동작에 관련된 키 값을 포함한 호를 전송한 유저를 대상으로 추첨 인원을 선별하는 타겟 추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 시스템.
KR1020080020211A 2008-03-04 2008-03-04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시스템 KR100918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211A KR100918464B1 (ko) 2008-03-04 2008-03-04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211A KR100918464B1 (ko) 2008-03-04 2008-03-04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100A true KR20090095100A (ko) 2009-09-09
KR100918464B1 KR100918464B1 (ko) 2009-09-24

Family

ID=4129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211A KR100918464B1 (ko) 2008-03-04 2008-03-04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49A1 (ko) * 2015-02-24 2016-09-01 주식회사 한컴 응원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14B1 (ko) 2013-03-20 2014-09-12 국방과학연구소 모듈 타입 휴대용 로봇컨트롤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743A (ko) * 2002-11-11 2004-05-20 (주)로보티즈 대전형 로봇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49A1 (ko) * 2015-02-24 2016-09-01 주식회사 한컴 응원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464B1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12383B (zh) 游戏系统、服务器及信息存储介质
US6709336B2 (en) Electronic gaming method using coded input data
WO2012127732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ゲーム管理装置
US20080139309A1 (en) Electronic gaming device using coded input data
JP5372193B2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07062A1 (zh) 真人rpg游戏系统
WO2013175873A1 (ja) ゲーム管理装置
JP6547036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01863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1314656A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2013039399A (ja) ゲーム装置、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64810A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184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봇을 이용한 게임 진행시스템
JP201920910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547037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TW202027825A (zh) 程式、終端、遊戲系統及遊戲管理裝置
WO2004050204A1 (ja) ゲームシステム
JP658520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815934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ゲームの進行方法、サーバ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Stanley et al. Gemini redux: Understanding player perception of accumulated context
TW202030008A (zh) 程式、終端、遊戲系統及遊戲管理裝置
JP6547016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116178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32169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
JP2019136318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