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59A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59A
KR20090094659A KR1020080019736A KR20080019736A KR20090094659A KR 20090094659 A KR20090094659 A KR 20090094659A KR 1020080019736 A KR1020080019736 A KR 1020080019736A KR 20080019736 A KR20080019736 A KR 20080019736A KR 20090094659 A KR20090094659 A KR 20090094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indoor unit
pump assembly
air conditione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946B1 (ko
Inventor
이광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9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 내부에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조립체의 구성을 보다 간소화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는,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220)와; 상기 펌프(220)가 펌핑한 응축수를 실내기(100) 외부로 안내하는 물안내관(240)과; 실내기(100) 내/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재(120) 일측에 인서트 고정되고, 상기 펌프(220)의 하중을 지지하는 펌프고정구(260)와; 상기 펌프(220)와 펌프고정구(260) 사이에 위치하여 펌프(220)가 고정되고, 상기 펌프(220)가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감쇠구(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안내관(240)의 일측은, 상기 펌프고정구(260)와 진동감쇠구(280)가 형성한 공간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물안내관(240)의 일측은, 상기 펌프고정구(260) 내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조립체의 조립이 용이하며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펌프조립체, 진동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A pump assembly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부분 저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구성을 보인 저면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캐비넷
120. 단열부재 122. 펌프수용부
124. 관안내구멍 130. 실내팬
140. 실내열교환기 150. 배관
160. 관지지구 170. 관연결구
200. 펌프조립체 220. 펌프
222. 모터 224. 입수구
226. 출수구 240. 물안내관
260. 펌프고정구 262. 발포액유동홀
280. 진동감쇠구 282. 펌프체결부
284. 방진구 286. 스크류
본 발명은 실내기 내부에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조립체의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도록 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종래의 펌프조립체(1)는 드레인팬(미도시)에 집수된 응축수를 펌핑하여 실내기(미도시)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펌프조립체(1)는 전원을 제공받아 흡입력을 발생하여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10)와, 상기 펌프(10) 상측에서 펌프(10)를 지지하는 펌프지지구(20)와, 상기 펌프지지구(20) 상측에 펌프지지구(20)와 결합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구(30)와, 상기 방진구(30) 상측에서 방진구(30)와 결합되어 상기 펌프조립체(1)가 베이스팬에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결합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10)는 하단부에서 응축수를 흡수하여 좌측 방향으로 안내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펌프(10)의 하단부에는 입수관(12)이 구비되고, 좌측방향으로는 상기 입수관과 연통되는 출수관(14)이 구비된다.
상기 출수관(14)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물안내관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물안내관은 실내기 외부로 안내되어 응축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펌프(10)의 상면은 펌프지지구(20)의 하면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펌프(10)는 내부에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에 의해 진동을 동반한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펌프지지구(20)와 베이스결합구(40) 사이에는 방진구(30)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방진구(30)는 펌프지지구(20)와 다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 외측에는 방진고무(32)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방진고무(32)는 한 개의 체결부재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방진구(30)의 상/하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10)에서 발생한 진동은 방진구(30)에 의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진구(30) 상측에는 베이스결합구(4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결합구(40)는 상면이 베이스팬과 결합되고 하부가 방진구(3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조립체(1)는 베이스팬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로 동작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펌프조립체(1)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펌프조립체(1)는 펌프(10)가 동작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펌프(10)가 실내기 내부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펌프조립체(1)는 다수 부품이 상/하 방향으로 조립되어 높이가 높아지므로, 방진고무(32)가 구비되긴 하지만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흔들림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립시간이 상승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펌프조립체(1)는 상단부가 베이스팬(미도시)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실내기의 내부 하측에 위치한 드레인팬 내측에 위치한다.
즉, 상기 펌프조립체(1)의 높이는 실제로 실내기의 높이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펌프조립체(1)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결국 실내기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천고의 높이가 낮은 건물의 경우 실내기의 설치성의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관(14)과 결합되는 물안내관(미도시)은 실내기 외부로 노출되도록 조립될 때 펌프조립체(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펌프조립체(1) 및 물안내관은 실내기 내부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 게 되므로 실내기의 컴팩트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조립체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높이를 낮춤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안정성을 높여 펌프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도록 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가 흡입한 응축수를 실내기 외부로 안내하는 물안내관이 펌프조립체를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체적을 줄임으로써 실내기의 컴팩트화가 가능하도록 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는,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펌핑한 응축수를 실내기 외부로 안내하는 물안내관과; 실내기 내/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재 일측에 인서트 고정되고, 상기 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펌프고정구와; 상기 펌프와 펌프고정구 사이에 위치하여 펌프가 고정되고, 상기 펌프가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감쇠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안내관의 일측은, 상기 펌프고정구와 진동감쇠구가 형성한 공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안내관의 일측은, 상기 펌프고정구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감쇠부 일측에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감쇠부와 펌프고정구는, 상기 방진구에 의해 이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조립체의 조립이 용이하며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부분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실내기(100)는 캐비넷(110)에 의해 외관 대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10) 내측에는 실내기(10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와 실내기(100) 외부의 공기가 열교환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부재(120)는 단열성능이 높은 재질로 발포 성형되며 상기 캐비넷(110)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단열부재(120)로 둘러싸인 내측에는 실내팬(130)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팬(130)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와 축결합되어 풍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한 후 외측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내팬(130) 우측에는 실내열교환기(14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 기(140)는 실내팬(130)이 외측으로 토출한 실내 공기를 냉매로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상기 실내팬(130)의 외측에 이격되어 고정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0) 상측에는 배관(150)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150)은 실내열교환기(140)와 실외기가 연통되도록 하여 냉매가 실내기(100)와 실외기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배관(150)은 관지지구(160)에 의해 처짐이 방지된다. 즉, 상기 배관(150)은 실내열교환기(140)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캐비넷(110)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캐비넷(110) 외면에는 배관(15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관지지구(16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150)은 캐비넷(110)에 부착된 관지지구(160)에 의해 하방향(실내 공간 방향)으로의 처짐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실내열교환기(140) 하측에는 드레인팬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은 실내열교환기(140)가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실내열교환기(140)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드레인팬의 상면은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집수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열부재(120) 내부 일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펌프조립체(200)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조립체(200)는 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를 펌핑하여 실내기(100) 외부로 배수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열부재(120) 일측에 함몰 형성된 펌프수용부(122)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조립체(200)는 관연결구(170)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상기 관연결구(170)는 캐비넷(110) 외면에 부착되어 펌프조립체(200)가 펌핑한 응축수를 실외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부재(120) 일측에는 펌프조립체(200)의 일측이 관연결구(170)와 연통 결합될 수 있도록 천공된 관안내구멍(124)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펌프수용부(122)에서 실내기(100) 외측 방향으로 단열부재(120)를 천공하여 상기 관안내구멍(124)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펌프조립체(2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펌프조립체(200)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펌프조립체(200) 구성을 보인 저면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상기 펌프조립체(200)는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220)와, 상기 펌프(220)가 펌핑한 응축수를 실내기(100) 외부로 안내하는 물안내관(240)과, 상기 단열부재(120) 일측에 인서트 고정되고, 상기 펌프(220)의 하중을 지지하는 펌프고정구(260)와, 상기 펌프(220)와 펌프고정구(26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펌프(220)에서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감쇠구(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220)는 펌프조립체(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응축수를 흡입한 후 측방향으로 토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펌프(220)의 상부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2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20)의 하단부에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입수구(224)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상기 입수구(224)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출수되도록 출수구(226)가 구비된다.
상기 입수구(224)와 출수구(226)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224)의 하단부는 상기 집수공간(미도시)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출수구(226)를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는 상기 물안내관(24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연결구(170)를 경유한 후 실내기(100)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물안내관(240)은 하단부 우측이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대략 "ㄷ" 형상의 외형을 가짐으로써 상기 펌프고정구(260)와 진동감쇠구(280)가 형성한 공간을 관통한 후 상기 관연결구(170)와 결합된다.
상기 펌프(220) 상측에는 진동감쇠구(280)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감쇠구(280)는 판재를 다수회 절곡하고 다수 곳을 절제 성형하여 만드어진 것으로, 상기 진동감쇠구(280)의 하단부에는 펌프(220)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펌프체결부(28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220)는 진동감쇠구(28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진동감쇠구(280)의 상부에는 방진구(284)가 구비된다. 상기 방진구(284)는 펌프(220)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여 펌프고정구(260)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방진구(284)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다수 개로 구비 되며, 상기 펌프고정구(260)와 진동감쇠구(28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진동감쇠구(280)와 펌프고정구(260)를 이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진구(284)에는 스크류(286)가 관통하게 되며, 상기 스크류(286)는 진동감쇠구(280)를 관통한 후 상기 펌프고정구(26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감쇠구(280)는 방진구(284) 및 스크류(286)에 의해 펌프고정구(260)와 이격된 상태로 결합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방진구(284) 상측에는 펌프고정구(260)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고정구(260)는 상기 펌프(220)와 진동감쇠구(280) 및 물안내관(24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실내기(100) 내부 일측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펌프고정구(260)는 단열부재(120)를 발포 성형시에 발포금형 내부에 인서트되어 단열부재(120)와 일체화되도록 성형된 것으로, 상기 펌프고정구(260)는 단열부재(120)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고정구(260)에는 단열부재(120)가 발포 성형될 때 발포액이 펌프고정구(260)의 내/외측으로 유동하여 펌프고정구(260)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다수 발포액유동홀(262)이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고정구(260)가 인서트된 단열부재(120)가 실내기(100)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고정구(260) 하면에 방진구(284) 및 진동감쇠구(280)를 스크류(286)로 체결하게 되면, 상기 펌프고정구(260)는 펌프(220)와 물안내관(240) 및 진동감쇠구(280)의 하중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고정구(260) 내부에는 물안내관(240)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펌프고정구(260)가 인서트되어 단열부재(120)를 성형시에 상기 펌프고정구(260)의 내측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지 않게 되어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은 상기 진동감쇠구(280)에 의해 하측이 차폐되어 도 3과 같이, 상기 물안내관(240)이 수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조립체(200)는 물안내관(240)이 실내기(100) 내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높이 및 면적이 감소되어 컴팩트화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펌프조립체(2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첨부된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펌프고정구(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열부재(120)를 발포 성형시에 발포 금형 내부에서 인서트되어 단열부재(120)와 결합된 상태로 캐비넷(110) 내부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펌프(220)와 진동감쇠구(280)를 체결부재로 체결하게 되며, 상기 출수구에는 물안내관(240)의 하단부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물안내관(240)의 상부는 진동감쇠구(28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된 상기 물안내관(240)과 펌프(220) 및 진동감쇠구(280)를 상기 펌프수용부(122) 내부에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안내관(240)의 상부 우측단(도 3에서 볼 때)은 관안내구멍(124)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관안내구멍(124)에 끼워진 물안내관(240)의 단부는 도 2와 같이 관연결구(17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물안내관(240)의 상부는 펌프고정구(26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방진구(284)의 상면은 펌프고정구(26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방진구(284) 내측에 스크류(286)를 삽입한 후 상기 스크류(286)의 상부를 펌프고정구(260)의 하면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펌프(220)와 물안내관(240) 및 진동감쇠구(280)는 펌프고정구(260)에 의해 실내기(100) 내부에서 하중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상기 펌프조립체(200)는 실내기(100) 내부에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에서는, 진동감쇠구와 펌프고정구에 의해 펌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펌프조립체의 부품수를 현저히 감소시켜 높이를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안내관의 일부는 펌프고정구와 진동감쇠구 사이를 관통한 후 실내기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펌프조립체의 전체적인 체적이 감소하게 되므로 실내기 자체가 컴팩트화 되며, 안정성이 높아져 펌프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펌핑한 응축수를 실내기 외부로 안내하는 물안내관과;
    실내기 내/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재 일측에 인서트 고정되고, 상기 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펌프고정구와;
    상기 펌프와 펌프고정구 사이에 위치하여 펌프가 고정되고, 상기 펌프가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감쇠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안내관의 일측은,
    상기 펌프고정구와 진동감쇠구가 형성한 공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안내관의 일측은,
    상기 펌프고정구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쇠부 일측에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쇠부와 펌프고정구는,
    상기 방진구에 의해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KR1020080019736A 2008-03-03 2008-03-03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KR101419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36A KR101419946B1 (ko) 2008-03-03 2008-03-03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36A KR101419946B1 (ko) 2008-03-03 2008-03-03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59A true KR20090094659A (ko) 2009-09-08
KR101419946B1 KR101419946B1 (ko) 2014-08-13

Family

ID=4129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736A KR101419946B1 (ko) 2008-03-03 2008-03-03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776A (zh) * 2018-09-27 2018-12-1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泵支架结构及天花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379A (ja) * 1991-07-24 1993-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ドレンポンプ及びドレンポンプの取付構造
JP2001059630A (ja) * 1999-08-20 2001-03-06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3674417B2 (ja) * 1999-10-29 2005-07-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776A (zh) * 2018-09-27 2018-12-1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泵支架结构及天花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946B1 (ko)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551B2 (en) Air conditioner
KR1019904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8592241B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KR20090094659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KR101419942B1 (ko) 공기 조화기
JP2011106756A (ja) 室外機
WO2019227892A1 (zh) 底壳装配结构和空调器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CN211650495U (zh) 窗式空调器
CN100510555C (zh) 窗式空调器
KR20180066546A (ko) 공기조화기
CN209840389U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中央空调主机外壳
CN112628875A (zh) 多功能一体式移动空调
KR101459137B1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KR20090094657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CN210179881U (zh) 用于空调器的排水装置及具有该装置的空调器
CN219036871U (zh) 天花机
CN219346729U (zh) 水箱组件和冷风扇
KR2008004363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63301B1 (ko) 공기조화기의 조립용 모듈장치
CN220707820U (zh) 一种嵌入式酒柜
CN211345505U (zh) 一种低噪音天花机
CN210128450U (zh) 空气处理装置
CN212390512U (zh) 用于窗式空调器的机壳部件和窗式空调器
WO2023124493A1 (zh) 室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