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37A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37A
KR20090094637A KR1020080019707A KR20080019707A KR20090094637A KR 20090094637 A KR20090094637 A KR 20090094637A KR 1020080019707 A KR1020080019707 A KR 1020080019707A KR 20080019707 A KR20080019707 A KR 20080019707A KR 20090094637 A KR20090094637 A KR 2009009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extract
weight
parts
tum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564B1 (ko
Inventor
이재헌
한상복
김경숙
야오란
이영춘
정은숙
이선우
조창우
김도훈
정영수
정영기
김경미
허지은
김정인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5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MP-9의 발현 억제 효과를 갖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를 파쇄한 다음, C3 -6의 저급알콜, 물, 저급유기산, 저급알콜에스테르, 저급케톤 및 할로겐화탄화수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서 MMP-9의 발현을 억제하고, 암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므로 항암용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MMP(matrix metalloproteinase),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암, 종양, 전이, 침윤

Description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Anti-Cancer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Chinese Herb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MMP-9의 발현 억제 효과를 갖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암의 전이(metastasis) 과정은 전이성 암세포가 최초 발생부위에서 이탈하여 혈관을 통하여 주변조직으로 침윤(invasion)하여 다른 부위에서의 증식에 의해 2차 종양을 형성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 있어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암세포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 BM)을 분해하여 암세포의 침윤을 유도하고 전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분해효소로서, 지금까지 20종 이상이 분리, 확인되었다. MMP는 아연을 보조효소로 이용하는 엔도프로테 아제(endoproteinase)로 구조와 특성에 따라 콜라겐분해효소(Collagenase), 젤라틴분해효소(Gelatinase), 스트로멜라이신(Stromelysins), Membrane-type MMP로 나뉘어 진다. 특히, 이들 MMP 중에서도 Type Ⅳ collagenase인 MMP-2(72 kDa type Ⅳ collagenase; gelatinase A)와 MMP-9(92 kDa type Ⅳ collagenase; gelatinase B)은 기저막의 중요 성분인 Type Ⅳ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로, 암의 이동과 전이에 가장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abeshima, K. et al ., Pathol. Int ., 52, pp255-64, 2002). 뿐만 아니라, MMP-9은 유방암의 침윤과 전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corilas A. et al ., Br . J. Cancer, 84, pp1488-96, 2001). 또한, MMP-9의 프로모터 영역에는 전사인자인 AP-1과 NF-kB 결합영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이토카인이나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와 같은 암 유발 자극원들은 이들 AP-1과 NF-kB 등의 전사인자의 활성화를 조절함으로서 MMP-9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ato H., et al ., Oncogene, 19, pp2904-2912, 2000; Lee S. O., et al ., Biochem . Biophys . Res . Commun ., 354, pp165-171, 2007). 상기와 같이, 전사인자 활성을 억제하여 MMP-9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물질은 새로운 암 억제제로 각광받고 있다.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은 한국, 몽골, 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도 쓴다. 뿌리는 진통, 복통, 무월경, 월경통, 토혈, 빈혈, 타박상의 치료 등에 쓰인다.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토당귀(土當歸), 숭검초, 조선당귀라고도 하며, 약리학적으로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두충(Eucommiae Cortex)은 중국 특산식물로서,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보약 강장제로 쓰고, 대뇌, 폐를 튼튼하게 하며, 무릎앓이, 음습증을 다스린다.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서 신경통 고혈압 치료에 쓰고 차로도 복용한다.
계지(Cinnamomum cassia Blume)는 육계나무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어린가지를 사용해 만든 약재로서, 특이한 향기를 가지고, 껍질부분은 색이 더욱 진하며, 약성은 맵고 따뜻하다. 초기 감기에 피부의 땀구멍을 열어 땀을 내며, 어깨와 등의 통증, 사지관절의 동통을 완화시켜주며, 기혈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양기부족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으로는 대장균, 고초간균, 황색포도균, 폐렴쌍구균 등의 발육 억제, 유행성감기바이러스의 억제, 이뇨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결명자(Cassia tora L.)는 눈을 밝게 해주는 씨앗이라는 뜻으로, 양명(洋明), 양각(羊角), 마제결명(馬蹄決明), 초결명(草決明), 야녹두, 가녹두라고도 한다. 간화(肝火)를 내려 눈이 충혈되고 붓고 아프며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치료하고 야맹증에도 사용하며 열이 대장에 쌓여 생기는 변비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혈압을 내리고 동맥경화 예방에도 사용한다. 약리효과로는 이뇨, 통변, 자궁수축작용과 피부진균억제, 콜레스테롤 강하 등의 기능이 있다.
홍화(Carthamus tinctorius L.)는 홍람(紅藍), 이꽃, 잇꽃, 잇나물이라고 하며, 이른 아침 이슬에 젖었을 때 꽃을 따서 말린 것을 홍화라 하여 한방에서는 부인병, 통경, 복통 등의 치료에 쓴다. 종자에서 짠 기름에는 리놀산(linolic acid)가 많이 들어 있어 콜레스테롤 과다에 의한 동맥경화증의 예방에 좋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약용식물로서,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 아, 몽골 등지에 분포하는데,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가시오갈피(Acanthopanax senticosus)는 가시오가피라고도 불리우며, 오갈피나무의 껍질을 벗겨 담근 오가피주는 요통, 손발저림, 반신불수 등의 치료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모두를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갈근(Pueraria thunbergiana Benth)은 계재(鷄齋), 녹두(豆), 건갈(乾葛), 감갈(甘葛), 분갈(粉葛), 황근(黃斤) 등의 이명을 가지고, 사슴이 먹는 9종의 풀 중 하나이기에 녹곽근(鹿藿根)이라고도 한다. 땀을 내며, 열을 내려 고열, 두통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 소화불량, 두통, 빈혈, 이질, 복통, 술독, 감기, 구토, 부인들의 하혈 치료에 쓰이고 소화를 돕는다. 생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는 산리홍(山里紅), 홍과(紅果), 북산사(北山査), 적과자(赤瓜子), 산조홍(山棗紅), 양구자(洋仇子), 당구자(棠子), 모사(茅), 산리과(山里果), 서사(鼠査), 서사(鼠), 양구(羊), 적조실(赤爪實), 후사(侯渣), 구자(仇子), 계매(繫梅)라도고 하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시고 달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비위를 따뜻하게 하여 소화를 촉진하고 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효과가 있고, 복통, 구토, 설사, 위산과다, 만성장염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또한, 혈분에 작용하여 혈의 흐름을 돕고 어혈을 없애준다. 약리 작용으로는 강심작용, 혈액순환개선작용, 혈압강하작용이 보고되었다.
단삼(Salviae Miltiorrhizae Radix)은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뿌리에서는 특이한 냄새가 나고, 약간 쓴 맛이 나는 한방 약재이다. 부인의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 복통 치료에 쓰이고, 어혈성의 심복부동통과 타박상을 치료하며, 불면증 피부 발진 치료 등에 사용된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은 국화과의 식물로서, 황국(黃菊)이라고도 하고, 한국, 타이완,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꽃을 말려서 술에 넣어 마시고, 어린 잎은 나물로 쓰며, 꽃에는 진한 향기가 있어 관상용으로도 가꾼다. 한방에서 감기, 폐렴, 기관지염, 두통, 위염, 장염, 종기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민간요법으로는 풀 전체를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생초를 달인 물로 환부를 씻어내어 사용한다.
MMP-9의 발현 억제와 관련된 종래기술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9의 발현과 파골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에피갈로카테친 갈레이트(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045770호), 포도의 주성분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의 MMP-9의 발현 억제효과(Woo J. H. et al ., Oncogene, 23, pp1845-1853, 2004), Salvita miltiorrhia BGE의 MMP-9 활성 억제 효능(Jin U. H. et al ., Vascular Pharmacol., 44, pp345-353, 2006) 및 한국 전통 한약재인 시호가-용골- 모료탕의 MMP-2, MMP-9 억제 활성(Ha K. T. et al ., Pharmacol. Res ., 50, pp279-285, 2004) 등이 보고된 바 있다.
한편, 혈통령은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로서, 오랫동안 중국에서 심혈관질환, 뇌질환, 염증성질환 등 질환의 치료 효능이 입증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되어 온 약재이나, 혈통령의 MMP-9의 발현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 억제 활성은 전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암 효과가 있는 천연 추출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이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서 MMP-9의 발현을 억제하고, 암세포 침윤과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므로 항암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 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서 MMP-9의 발현을 억제 하고, 암세포 침윤과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므로 항암에 효과적인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 당귀(Angelica gigas Nakai), 두충(Eucommiae Cortex), 계지(Cinnamomum cassia Blume), 결명자(Cassia tora L.), 홍화(Carthamus tinctorius L.),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갈근(Pueraria thunbergiana Benth),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단삼(Salviae Miltiorrhizae Radix) 및 감국(Chrysanthemum indicum)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작약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두충 추출물 10 내지 150 중량부, 계지 추출물 50 내지 200 중량부, 결명자 추출물 50 내지 250 중량부, 홍화 추출물 50 내지 250 중량부, 감초 추출물 150 내지 250 중량부, 가시오가피 추출물 150 내지 250 중량부 갈근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산사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단삼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및 감국 추출물 15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한약재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많은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상기 조성비율을 벗어난 경우, 만족스러운 항암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은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을 동결건조하여 마쇄한 후, 건조된 시료의 중량의 약 1 내지 20 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 배 분량의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실온에서 약 50 내지 100시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MMP-9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암세포의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직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요도)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생식기외부암 및 여성요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MMP-9을 자이모그래피(zymograghy), 웨스턴 블랏(western blot)과 프로모터 분석법(promoter assay)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은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서 MMP-9의 발현을 현저히 억제시켰으며, 마트리젤(matrigel)을 이용한 침윤실험에서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로 유도시키지 않은 대조군만큼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시켰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항히스타민제, 소염진통제, 항암제 및 항생제 등의 약제와 함께 제제화하거나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 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 당귀(Angelica gigas Nakai), 두충(Eucommiae Cortex), 계지(Cinnamomum cassia Blume), 결명자(Cassia tora L.), 홍화(Carthamus tinctorius L.),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갈근(Pueraria thunbergiana Benth),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단삼(Salviae Miltiorrhizae Radix) 및 감국(Chrysanthemum indicum)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다양한 기능성 식품 및 건강식품의 제조시 식품의 주성분 또는 첨가제 및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일반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식품을 의미한다. 기능성은 물성 및 생리기능성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일반식품에 첨가할 경우, 일반 식품의 물성 및 생리기능성이 향상될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향상된 기능의 식품을 포괄적으로‘기능성 식품’이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물의 항암 효과를 이용하여 항암용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항암 효과를 이용한 기능성 강화식품 등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추출물 100중량부 당 0.01~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1: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작약, 당귀, 두충, 계지, 결명자, 홍화, 감초, 가시오가피 갈근, 산사, 단삼 및 감국을 각각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 마쇄하여 분말화한 분말 1 중량부에 10배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일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잔사는 다시 메탄올로 반복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로 동결 건조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이하 HM으로 명명함).
Medicinal herbal name Dose amount (g)
1 Paeonia lactiflora Pall. (작약) 1.0
2 Angelica gigas Nakai (당귀) 1.0
3 Eucommiae Cortex (두충) 0.7
4 Cinnamomum cassia Blume (계지) 1.3
5 Cassia tora L. (결명자) 1.7
6 Carthamus tinctorius L. (홍화) 1.7
7 Glycyrrhiza uralensis Fisch (감초) 2.0
8 Acanthopanax senticosus (가시오가피) 2.0
9 Pueraria thunbergiana Benth (갈근) 2.3
10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 2.3
11 Salviae Miltiorrhizae Radix (단삼) 2.3
12 Chrysanthemum indicum (감국) 2.7
Total 21.0
실시예 2: 인간 유방암 세포주(MCF-7)의 증식 억제 활성 확인
MCF-7 세포(ATCC, USA)에서 HM의 처리가 세포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열처리된 10% 소태아 혈청(FBS, Gibco-BRL, USA), 페니실린(100units/㎖), 스트렙토마이신(100㎍/㎖) 및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2.2g/㎖)이 함유된 Dulbecco의 수식배지(DMEM, Gibco-BRL, USA)가 들어있는 96웰 플레이트에 MCF-7 세포를 첨가한 후, 100㎕의 DMEM 배양 배지당 1× 104개의 세포 수가 되도록 37℃, 5%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증식검정은 증식검정 키트-Ⅱ(XTT,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구입하여 측정하였다.
배양된 MCF-7 세포를 각각 0, 10, 50, 100, 150, 200, 250 및 300 ㎍/ml 농도의 HM이 첨가된 100㎕ 용량의 새로운 배지에 첨가한 다음, 37℃, 5%의 CO2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MCF-7 세포를 PBS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5㎖의 XTT-표식시약과 100㎕의 전자 결합(electron coupling) 시약을 혼합하여 조제한 XTT 시약 50㎕가 들어있는 각각의 웰에 첨가한 후, 37℃, 5%의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ELISA 측정기(Bio-Rad, CA, USA)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각각 3번의 독립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값을 평균치± SD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M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MCF-7 세포의 증식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MMP-9 효소활성 억제 확인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가 MMP-9 효소활성인 젤라틴 분해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젤라틴 자이모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 하였다. 10% 소태아 혈청(FBS, Gibco-BRL, USA)을 함유한 Dulbecco의 수식배지(DMEM, Gibco-BRL, USA)가 들어있는 6웰 플레이트에 1× 105개의 MCF-7 세포를 첨가하고 37℃, 5%의 CO2 배양기에서 12시간 동안 배양 후, 배양된 MCF-7 세포를 다시 무혈청 DMEM 배지가 들어있는 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37℃, 5%의 CO2 배양기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MP-9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하여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를 배양된 MCF-7 세포에 처리하고, 각각 0, 50, 150 및 200 ㎍/ml 농도의 HM을 처리한 다음, 37℃, 5%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CF-7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얻은 조건배지 20 ㎕를 62.5mM Tris-HCl(pH 6.8), 10% 글리세롤(glycerol), 2% SDS 및 0.00625%(w/v) 브로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가 함유된 완충액 5 ㎕에 재희석 시킨 후, 0.1%(w/v) 젤라틴이 함유된 10% 폴리아크릴아미드 젤(polyacrylamide gel)에 가열하지 않고 전기영동시켰다. 전기영동 후, 젤을 2.5%(v/v) Triton X-100으로 1시간 동안 세척하여 SDS를 제거하고, 반응 완충액에서 24시간 동안 보온하여 젤라틴 기질을 분해시켰다. 데이터는 각각 3번의 독립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 값을 평균치± SD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PMA 유도 대조군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HM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MMP-9 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200 ㎍/ml 농도에서는 PMA로 유도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MMP-9 활성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MMP-9 발현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웨스턴 블럿(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MCF-7 세포를 50mM Tris-HCl(pH 8.0), 150mM NaCl, 0.02% NaNO3, 100㎍/㎖ PMSF(phenylmethanesulphonylfluoride, phenylmethylsulphonyl fluoride), 1㎍/㎖ 아프로티닌(aprotinin) 및 1% Triton X-100이 함유된 완충액으로 파쇄시켰다. 단백질 정량은 단백질 정량 키트(Bio-Rad, USA)로 측정하였다. MMP-9 발현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세포추출물 단백질 (20㎍) 시료의 SDS-PAGE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MMP-9 및 GAPDH 단백질 검출은 MMP-9 항체(Cell Signalling, USA) 및 GAPDH 항체(Chemicon, USA)를 각각 구입하여 수행하였다. 호스레디쉬 퍼옥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결합(binding) 항마우스 항체로 항원-항체 반응시킨 후, ECL 화학발광 키트(chemiluminescence kit, Amersham, USA)로 단백질을 검출하였고, 데이터는 각각 3번의 독립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값을 평균치± SD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M의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단백질 양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0 ㎍/㎖ 농도에서 MMP-9 효소생성이 소멸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효소자이모그래피와 웨스턴 블랏 분석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4: MMP-9 발현 억제 활성 확인
4-1: MMP 발현을 위한 전사억제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가 MMP-9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베타엑틴(Beta-actin)을 사용하였고, 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상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센스/안티센스) 서열번호 산물크기(bp)
베타액틴 (Beta-actin) 5'-CAA GAG ATG GCC ACG GCT GCT-3' 5'-TCC TTC TGC ATC CTG TCG GCA-3' 1 2 247
MMP-9 ORF (open reading frame) 5'-GGA GCC GCT CTC CAA GAA GCT T-3' 5'-CTC CTC CCT TTC CTC CAG AAC AGA A-3' 3 4 520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 각각, 0, 50, 150 및 200 ㎍/㎖ 농도의 HM을 처리하고, 배양시킨 MCF-7 세포로부터 TRIzol 시약(Invitrogen, USA)을 이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각의 총RNA 1㎍을 이용하여 cDNA를 합성(AMV RNA PCR 키트;Takara, Japan)한 다음, 상기 표 2의 프라이머(서열번호 3 및 4)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94 ℃: 1분, 60 ℃: 1분, 72 ℃ : 1분, 30 cycles)하였다. 생성된 PCR 산물은 아가로즈 겔(agarose gel) 전기영동으로 분석하고,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상되는 MMP-9의 타겟 사이즈는520 bp로 확인되었으며, HM의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MMP-9의 전사 억제효과는 증가 하였고, 특히, 200 ㎍/㎖ 농도에서 MMP-9의 전사가 완전히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2의 프라이머(서열번호 1 및 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엑틴(대조군)의 cDNA를 합성하고, 전기영동 분석한 결과, HM의 처리가 베타엑틴의 발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4-2: MMP-9 프로모터 활성억제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가 MMP-9 프로모터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에 기재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인간 MMP-9의 5'-프로모터영역의 유전자(Accession No.D10051)를 RT-PCR을 수행하여 클로닝하였다. 생성된 PCR 산물(MMP-9 프로모터 부분)은 전기영동으로 분석한 다음, 염기배열을 확인하였다.
대상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센스/안티센스) 서열번호 산물크기(bp)
MMP-9 promoter 5'-ACA TTT GCC CGA GCT CCT GAA G -3' 5'-AGG GGC TGC CAG AAG CTT ATG GT-3' 5 6 710
클로닝된 MMP-9 프로모터 부분의 유전자를 루시퍼라제(luciferase) 유전자의 폴리아데닐레이션 시그널 업스트림(polyadenylation signal upstream) 영역을 가지고 있는 pGL2-Basic vector에 삽입하였다. MCF-7 세포를 1× 105 세포/웰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도말 후, LipofectAMINE 법(Invitrogen, USA)을 이용하여 1㎍의 MMP-9 프로모터-루시퍼라제 리포터(promoter-luciferase reporter) 구축물과 1㎍의 베타갈락토시다제 리포터 플라즈미드(β-galactosidase reporter plasmid)를 공동형질도입 하였다. 10% 소태아 혈청(FBS, Gibco-BRL, USA)을 함유한 Dulbecco의 수식배지(DMEM, Gibco-BRL, USA)에서 형질도입된 MCF-7 세포를 37℃, 5%의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교환한 다음,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를 배양된 MCF-7 세포에 처리하고, 200 ㎍/ml 농도의 HM을 처리한 다음, 37℃, 5%의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루시퍼라제 활성과 베타갈락토시다제 활성은 루시퍼라제와 베타갈락토시다제 측정키트(Promega, USA)로 측정하였으며, 루시퍼라제 활성은 베타갈락토시다제 활성으로 보정하였고, 각 세포 추출물에 대해 독립적으로 실시하였다. 데이터는 각각 3번의 독립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값을 평균치± SD로 나타내었다.
PMA 무처리군(pGL2 및 MMP-9WT)과 PMA 처리군{WT(PMA) 및 WT(PMA)+HM(200 ㎍/ml)}으로 나누었으며, PMA 처리군 중에서도 HM(200㎍/㎖)의 처리 유무에 따라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만을 처리한 WT(PMA),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을 처리하고, 200 ㎍/ml 농도의 HM을 처리한 WT(PMA)+HM(200 ㎍/ml)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3의(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M의 처리는 대조군보다 루시퍼라제의 발현을 억제하여 강력한 MMP-9 프로모터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을 처리하고, 200 ㎍/ml 농도의 HM을 처리한 WT(PMA)+HM(200 ㎍/ml)군의 경우, PMA에 의해 유발된 루시퍼라제 활성이 HM의 처리에 의하여 PMA로 유도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인간 유방암 세포주(MCF-7)의 전이 및 침윤 억제 활성 확인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가 세포의 전이 및 침윤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24웰 침윤 챔버에 맞게 마트리젤(Matrigel)을 코팅한 필터(8㎛, Becton Dickinson, USA)로 마트리젤 분석을 수행하였다. 침윤챔버(상층챔버)에는 MCF-7 세포(5× 104 cells/200㎕)를 도말하고 하층챔버에는 500 ㎕의 무혈청 DMEM 배지를 첨가하여 37℃, 5%의 CO2 배양기에서 12시간 배양한 다음,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를 처리하고, 각각 0, 100 및 200 ㎍/ml 농도의 HM을 처리한 다음, 37℃, 5%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MCF-7 세포는 상층챔버에서 하층챔버로 침윤되었고, 침윤되지 않은 세포는 상층챔버의 표면에 남아 있으므로 면봉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하층챔버로 침윤된 세포는 Hemotoxylin-Eosin 시약으로 염색하였고, 필터를 떼어낸 후 슬라이드 글라스위에 올려놓고 Eikitt 고정액으로 고정한 다음, 현미경 아래에서 마트리젤 안으로 침윤해 들어간 세포들은 세포의 총 수를 계산하였다. 데이터는 각각 3번의 독립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 값을 평균치± SD로 나타내었다.
PMA 무처리군(a)과 PMA 처리군{(b), (c) 및 (d)}으로 나누었으며, PMA 처리군 중에서도 HM(100 및 200 ㎍/ml)의 처리 유무에 따라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만을 처리한 (b),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을 처리하고, 100 ㎍/ml 농도의 HM을 처리한 (c) 및 100nM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을 처리하고, 200 ㎍/ml 농도의 HM을 처리한 (d)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b)와 (c)에서는 세포의 침윤이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HM의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MCF-7 세포의 침윤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0㎍/㎖ 농도에서는 HM의 처리(d)에 의하여 PMA로 유도되지 않은 대조군(a)과 비슷한 수준으로 세포의 침윤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M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MCF-7 세포의 전이 또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0㎍/㎖ 농도에서는 HM의 처리에 의하여 PMA로 유도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세포의 전이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제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HM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HM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HM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HM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 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HM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에 의한 세포활성변화를 XTT 분석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의 (A)는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에 의한 MMP-9 효소저해 활성을 자이모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고, (B)는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 처리에 의한 MMP-9 생성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팅한 결과이다.
도 3의 (A)는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에 의한 MMP-9 유전자 발현을 RT-PCR을 수행하여 확인한 결과이고, (B)는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에 의한 MMP-9 프로모터 억제활성을 루시퍼라제 활성을 이용하여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에 의한 MCF-7 세포의 침윤 억제효과를 마트리젤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고, (B)는 PMA로 유발시킨 MCF-7 세포에서 HM의 처리에 의한 MCF-7 세포의 전이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10>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120> Anti-Cancer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Chinese Herb as an Effective Ingredient <130> P08-B042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beta-actin <400> 1 caagagatgg ccacggctgc t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beta-actin <400> 2 tccttctgca tcctgtcggc a 21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MMP-9 ORF <400> 3 ggagccgctc tccaagaagc tt 22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MMP-9 ORF <400> 4 ctcctccctt tcctccagaa cagaa 25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MMP-9 promoter <400> 5 acatttgccc gagctcctga ag 22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MMP-9 promoter <400> 6 aggggctgcc agaagcttat ggt 23

Claims (14)

  1.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당귀(Angelica gigas Nakai), 두충(Eucommiae Cortex), 계지(Cinnamomum cassia Blume), 결명자(Cassia tora L.), 홍화(Carthamus tinctorius L.),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갈근(Pueraria thunbergiana Benth),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단삼(Salviae Miltiorrhizae Radix) 및 감국(Chrysanthemum indicum)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작약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두충 추출물 10 내지 150 중량부, 계지 추출물 50 내지 200 중량부, 결명자 추출물 50 내지 250 중량부, 홍화 추출물 50 내지 250 중량부, 감초 추출물 150 내지 250 중량부, 가시오가피 추출물 150 내지 250 중량부 갈근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산사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단삼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및 감국 추출물 15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MMP-9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암세포의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직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요도)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생식기외부암 및 여성요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당귀(Angelica gigas Nakai), 두충(Eucommiae Cortex), 계지(Cinnamomum cassia Blume), 결명자(Cassia tora L.), 홍화(Carthamus tinctorius L.),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갈근(Pueraria thunbergiana Benth),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단삼(Salviae Miltiorrhizae Radix) 및 감국(Chrysanthemum indicum)으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건강식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작약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두충 추출물 10 내지 150 중량부, 계지 추출물 50 내지 200 중량부, 결명자 추출물 50 내지 250 중량부, 홍화 추출물 50 내지 250 중량부, 감초 추출물 150 내지 250 중량부, 가시오가피 추출물 150 내지 250 중량부 갈근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산사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단삼 추출물 150 내지 300 중량부 및 감국 추출물 15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MMP-9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암세포의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직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요도)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생식기외부암 및 여성요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KR1020080019707A 2008-03-03 2008-03-03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095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07A KR100950564B1 (ko) 2008-03-03 2008-03-03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07A KR100950564B1 (ko) 2008-03-03 2008-03-03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37A true KR20090094637A (ko) 2009-09-08
KR100950564B1 KR100950564B1 (ko) 2010-04-01

Family

ID=4129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707A KR100950564B1 (ko) 2008-03-03 2008-03-03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56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3754A1 (en) * 2010-05-28 2011-12-01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nticancer composi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
KR101320948B1 (ko) * 2011-11-02 2013-10-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야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762147A4 (en) * 2011-09-23 2014-08-06 Univ Kyung Hee Univ Ind Coop Group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PUERARIAE FLOS EXTRACTS AS ACTIVE AGENT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NDOMETRIOSIS
CN104173748A (zh) * 2014-09-06 2014-12-03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 一种治疗鼻咽癌的内服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707110A (zh) * 2015-04-09 2015-06-17 张妮 一种用于胰腺癌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4940520A (zh) * 2015-06-12 2015-09-30 公安县中医医院 一种治疗腰腿痛的颗粒剂
CN104998135A (zh) * 2015-07-09 2015-10-28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一种疏肝散结治疗肝癌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6214909A (zh) * 2016-08-22 2016-12-14 鄢海军 一种缓解恢复食道癌病症的中药袋泡茶
KR101721780B1 (ko) 2015-11-27 2017-03-31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CN108969419A (zh) * 2018-08-31 2018-12-11 陈源忠 一种胸部草本精萃液及其制备方法
KR20180138302A (ko) * 2017-06-21 2018-12-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5192A1 (ko) * 2012-08-07 2014-02-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궁근종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484526B1 (ko) 2012-12-14 2015-01-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jnp3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101614205B1 (ko) * 2014-05-07 2016-05-0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27242B1 (ko) 2019-01-25 2021-03-12 한국한의약진흥원 생물전환된 생약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및 대장암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0151B1 (ko) 2022-11-15 2023-10-18 이재형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214A (ko) * 2001-06-30 2003-01-08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3754A1 (en) * 2010-05-28 2011-12-01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nticancer composi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
US9597366B2 (en) * 2010-05-28 2017-03-21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nticancer composi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
EP2762147A4 (en) * 2011-09-23 2014-08-06 Univ Kyung Hee Univ Ind Coop Group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PUERARIAE FLOS EXTRACTS AS ACTIVE AGENT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NDOMETRIOSIS
KR101320948B1 (ko) * 2011-11-02 2013-10-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야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173748A (zh) * 2014-09-06 2014-12-03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 一种治疗鼻咽癌的内服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707110A (zh) * 2015-04-09 2015-06-17 张妮 一种用于胰腺癌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4940520A (zh) * 2015-06-12 2015-09-30 公安县中医医院 一种治疗腰腿痛的颗粒剂
CN104998135A (zh) * 2015-07-09 2015-10-28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一种疏肝散结治疗肝癌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1721780B1 (ko) 2015-11-27 2017-03-31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CN106214909A (zh) * 2016-08-22 2016-12-14 鄢海军 一种缓解恢复食道癌病症的中药袋泡茶
KR20180138302A (ko) * 2017-06-21 2018-12-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969419A (zh) * 2018-08-31 2018-12-11 陈源忠 一种胸部草本精萃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564B1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56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872950B1 (ko)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종양 줄기세포 성장 억제 또는 사멸용 조성물
KR20110048236A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61739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544470B1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WO2009157712A2 (ko) 연골 재생, 통증 억제 및 부종 억제용 생약조성물
KR102045903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0851783B1 (ko) Bhh 17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골절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75618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186488B (zh) 齿裂黄鹌菜提取物用于制备肝功能改善用药物组合物及用于制备肝功能改善用健康功能食品组合物的用途
CN102497874B (zh) 用于预防或治疗肾炎的含有药草提取物的药物组合物
KR100740184B1 (ko) 텍토리딘 또는 그 비배당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200012363A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9820B1 (ko) 퀘시아 운둘라타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97463A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756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54755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79180B1 (ko) SARS-CoV-2 3CL 프로테아제와 RdRp활성을 억제하는 지유 추출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10118748A (ko)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761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130032612A (ko) 갈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궁내막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1579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