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557A -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557A
KR20090094557A KR1020080019574A KR20080019574A KR20090094557A KR 20090094557 A KR20090094557 A KR 20090094557A KR 1020080019574 A KR1020080019574 A KR 1020080019574A KR 20080019574 A KR20080019574 A KR 20080019574A KR 20090094557 A KR20090094557 A KR 2009009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ed
spring
display devic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943B1 (ko
Inventor
변상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기 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쉽고 편안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을 상기 고정 브라켓에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한 각도의 소정범위 내에서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2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 세트 브라켓, 고정 브라켓, 코일 스프링, 태엽스프링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display device}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기 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쉽고 편안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라 함은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을 말한다.
최근에는 TV 모니터의 경우, PDP, LCD 등과 같이 평면 형상을 이루며 그 크기에 있어서도 일반 CRT 모니터보다 월등히 크게 제작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가 벽면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한편, 최근에는 벽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장치가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시청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보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의 각도를 설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1)가 장착되는 세트 브라켓(2), 벽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 상기 세트 브라켓(2)이 상기 고정 브라켓(3)에 회동 가능하게 하는 링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세트 브라켓(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3)에 연결되는 제1링크(4), 일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링크(4)에 연결되는 제2링크(7), 상기 제1링크(4)와 제2링크(7)를 연결하는 힌지축(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에는 상기 세트 브라켓(2)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1링크(4)의 일측이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롯(6)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세트 브라켓(2)이 상기 고정 브라켓(3)에 회동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1)의 화면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기기(1)의 화면각도가 변경되고, 변경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상기 힌지축(8)에 소정의 마찰력(F3)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1)의 화면각도가 변경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기 기기(1)는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힌지축에 발생하는 마찰력(F3)을 크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디 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큰 힘을 주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트 브라켓(2)을 고정 브라켓(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힘(F1)을 가하는 경우에는 마찰력(F3)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체 무게에 의한 모멘트(M1)가 작용하여, 더욱 큰 힘을 주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세트 브라켓(2)이 고정 브라켓(3)에 가까워지도록 힘(F2)을 가하는 경우에는 세트 브라켓(2)이 고정 브라켓(3)에 가까워짐에 따라 모멘트(M1)가 급작스럽게 감소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을 줄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만약 그렇치 않으면, 세트 브라켓(2)이 고정 브라켓(3)에 회동되는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주어야 하는 힘의 변동 폭을 작게 함으로써, 보다 쉽고 편안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을 상기 고정 브라켓에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한 각도의 소정범위 내에서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2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일단이 상기 세트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 는 제1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을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주어야 하는 힘의 변동폭이 줄어들게 되어 보다 쉽고 편안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 된다고 할 것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 브라켓(30), 세트 브라켓(20), 상기 세트 브라켓(20)을 상기 고정 브라켓(30)에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30)은 벽 등과 같은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세트 브라켓(20)은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세트 브라켓(20)이 상기 고정 브라켓(30)에 회동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 어셈블리(4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세트 브라켓(20)이 회동됨에 따라 화면각도가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된 화면각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부(50) 및 제2탄성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하여야 하는 힘이 상기 제1탄성부(50) 및 제2탄성부(100)에 의한 탄성력의 힘만큼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50)와 제2탄성부(100)에 의한 탄성력의 합은 상기 마찰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4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30)에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부재(42)와, 일단이 상기 세트 브라켓(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연결되는 제1링크 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1슬롯(31)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40)는 일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 부재(41)에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트 브라켓(20)이 상기 고정 브라켓(30)에 회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42)는 상기 제1슬롯(3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이때 상기 제1링크 부재(41)는 상기 제2링크 부재(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링크 부재(43)는 소정의 힌지축(42)에 의해 상기 제1링크 부재(41)와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힌지축(42)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와셔(4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와셔(45)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세트 브라켓(20)은 고정 브라켓(30)에 소정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치시에 상기 와셔(45)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는 상기 와셔(45)가 힌지축(45)에 조여지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탄성부(5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한 범위 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10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한 각도의 소정범위 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부(5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한 모든 범위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10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한 모든 범위 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범위 내에서만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탄성부(50)는 제1링크 부재(41)와 제2링크 부재(43)를 연결하는 힌지축(45)에 구비되어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스프링(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10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한 각도의 소정범위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짐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엽스프링(1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탄성부(100)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하여야 하는 힘이 상기 고정 브라켓(30)과 세트 브라켓(20)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그러한 힘을 보상함으로써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이 크게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세트 브라켓(20)을 고정 브라켓(30)에 회동시키기 위하여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이 크면 그만큼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힘의 변동폭을 줄이면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안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세트 브라켓(20)를 상기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멀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필요하고, 반대로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에서 겹쳐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은 힘이 필요하다. 즉, 상기 세트 브라켓(20)이 상기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내에서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이 가장 크기 때문에, 상기 범위내에서 상기 힘의 변동폭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탄성부(10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2탄성부(100)에 의한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1탄성부(50)만이 구비된 디스플레이기 기기의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힘(F1)을 가하는 경우에는 힌지축(44)의 와셔(45)에 의한 마찰력(F3)과 디스플레이 기기(1)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M1)의 합에서, 상기 제1탄성 부(50)에 의한 탄성력(F4)을 뺀 값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 즉, F1>F3+M1-F4인 경우에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가까워지도록 힘(F2)을 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찰력(F3)은 가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도 3에서 보이는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즉, F2>F3+F4-M1인 경우에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가까워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F1, F2 각각의 경우에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여기서, 세로축(F)은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고, 가로축(θ)은 세트 브라켓(20)과 고정 브라켓(30)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θ=0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θ=θ1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θ=θ2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최대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A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과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θ=0)에서 소정각도(θ1)까지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꾸준히 많은 힘(F1)이 필요하며,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소정각도(θ1)를 이루는 상태에서 겹쳐지도록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힘(F2)의 변동폭이 큼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부(50)가 0 ~ θ2 범위에서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 켓(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F1,F2)의 절대적인 크기는 줄일 수 있지만, F1의 경우에 A영역에서 가하여야 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크며, F2의 경우에 A영역에서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도 5는 제1탄성부(50)와 함께 제2탄성부(100)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3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2탄성부(100)에 의한 탄성력(F5)이 더 발생하므로, F1>F3+M1-F4-F5 이고, F2>F3+F4+F5-M1 이어야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탄성부(10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접혀진 상태에서 소정각도(θ1) 회동되는 범위내에서만(즉, A영역) 탄성력을 발생하므로, 상기 식은 0 ~ θ1 의 범위에서 적용되며, θ1~θ2 의 범위에서 적용되는 식은 도 3과 동일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F1, F2 각각의 경우에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F1의 경우에 A영역의 초기에는 적은 힘이 필요하며, F2의 경우에 A영역에서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영역 즉,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에서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이 적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힘을 가하는 경우(F1)의 초기에 적은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쉽고 편안하 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서와 같이, 제2탄성부(100)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범위를 0 ~ θ1로 제한하면, 그만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최대로 회동가능한 각도(θ2)가 20°인 경우에, 제2탄성부(100)가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범위를 0 ~ 10°로 (즉, θ1=10°) 제한하는 경우가 사용자로 하여금 가장 쉽고 편안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상기 제2탄성부(100)는 최대로 회동가능한 각도의 절반정도의 범위까지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탄성부(100)의 구성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제2탄성부(1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탄성부(10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됨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되는 태엽스프링(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펴진 경우에 감기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말한다.
도 7에는 제2탄성부(100)가 제1링크 부재(41)와 슬라이딩 부재(42)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1태엽스프링(111), 제2태엽스프링(1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도시되지만,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2탄성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엽스프링(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편(130)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슬라이딩 되는 모든 범위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슬라이딩 되는 범위의 소정범위에서만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한 범위 즉, L 범위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제1슬롯(31)의 길이가 L 만큼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L 범위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되거나, L 보다 작은 L1 또는 L2의 범위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L 범위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되기 위해서는 상기 태엽스프링(110)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편(130)이 L 범위 양 끝 중 어느 한곳에 고정되면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부(10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상기 고정편(130)은 L 범위의 아래 끝단에 고정된다.
왜냐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L 범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최대로 회동된 상태이고, L 범위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엽스프링(110)의 타단이 고정된 고정편(130)이 L 범위의 아래쪽 끝단에 고정되면,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L 범위의 위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펴지게 되기 때문에, 감기는 방향 즉,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아래로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 가능한 모든 범위에서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L 보다 작은 L1 또는 L2의 범위에서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는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2)의 사시도는 도 8에 도시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42)는 소정의 체결부재(124)에 의해 고정 브라켓(3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42)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태엽스프링(110)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편(130)이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슬롯(121,122)이 구비되 며, 상기 고정 브라켓(30)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편(130)이 슬라이딩 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단차부(126)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슬롯(121,122) 사이에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경우에 제1링크 부재(41)가 삽입되는 제3슬롯(123)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슬롯(121,122)은 제1슬롯(31)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된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120)는 상기 태엽스프링(110)의 타단이 고정된 고정편(130)이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하는 상기 제2슬롯(121,122)의 길이를 제1슬롯(31)의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기거나 펴지게 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편(130)이 상기 제2슬롯(121,122)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범위에서는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긴채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와 함께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지만, 제1슬롯(31)의 길이보다 짧은 제2슬롯(121,122)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편(130)이 상기 제2슬롯(121,122)에 걸린 이후에는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펴지게 됨으로써,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부(100)는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 내에서만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L2의 범위에서만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2의 범위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슬롯(121,122)의 길이는 L1의 길이만큼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슬라이딩 부재(42)가 L 범위에서 슬라이딩 될 때, L1의 범위에서는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L2의 범위에서만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제2탄성부(100)의 일예인 태엽스프링(110)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슬라이딩 부재(42)에 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아래 방향 즉,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소정각도(θ1)로 회동됨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42)가 슬라이딩 되면,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점점 상기 슬라이딩 부재(42)에 감겨지게 되지만, 계속해서 아래방향, 즉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L2의 범위 즉,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과 이루는 각도가 0 ~ θ1 범위내에서 상기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최대로 회동가능한 각도(θ2)까지 회동됨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42)도 계속해서 슬라이딩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슬라이딩 부재(42)에 완전히 감긴채로 슬라이딩 부재(42)와 함께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L1의 범위 즉,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과 이루는 각도가 θ1 ~ θ2 범위내에서는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2탄성부(100)의 일예인 태엽스프링(110)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한 각도의 소정범위 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여러 실시예 중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함을 밝혀둔다. 즉, 당업자의 수준에서 자명한 변형에 해당하는 상기 제2탄성부(100)의 다른 실시예도 본 출원에 따른 제2탄성부(100)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가 제1탄성부(50) 및 제2탄성부(1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가 태엽스프링(110)으로 이루어지는 제2탄성부(100)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태엽스프링(110)은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한 모든 범위에서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에 대 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내에서 가하여야 하는 힘의 변동폭이 가장 크기 때문에, 상기 태엽스프링(110)이 상기 범위 내에서 세트 브라켓(20)이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구비된다면, 그만큼 사용자가 쉽고 편안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태엽스프링(110)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은 힌지축(44)의 와셔(45)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제2탄성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출원에 따른 일실시예인 태엽스프링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Claims (16)

  1.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기기가 장착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을 상기 고정 브라켓에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한 각도의 소정범위 내에서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내에서 감기거나 펴짐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은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에 의한 탄성력의 합은 상기 마찰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5.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기기가 장착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일단이 상기 세트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는 제1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디스플 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감겨지거나 펴지게 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1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태엽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된 고정편이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슬롯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슬롯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링크 부재에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제2링크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구비되어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한 범위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제2링크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축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와셔가 구비되고,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에 의한 탄성력의 합은 상기 마찰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1.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기기가 장착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을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스프링은 상기 세트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동되는 범위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세트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일측이 상기 세트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는 제1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태엽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감기거나 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감겨지거나 펴지게 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1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태엽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된 고정편이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제2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슬롯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 부재에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제2링크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축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와셔가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에 의한 탄성력은 상기 마찰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20080019574A 2008-03-03 2008-03-03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46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574A KR101461943B1 (ko) 2008-03-03 2008-03-03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574A KR101461943B1 (ko) 2008-03-03 2008-03-03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57A true KR20090094557A (ko) 2009-09-08
KR101461943B1 KR101461943B1 (ko) 2014-11-14

Family

ID=4129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574A KR101461943B1 (ko) 2008-03-03 2008-03-03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9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9118A (zh) * 2012-06-13 2012-09-19 昆山维金五金制品有限公司 显示屏的上固定件
CN102679117A (zh) * 2012-06-05 2012-09-19 昆山维金五金制品有限公司 适用于固定高压板的固定支架
CN107339567A (zh) * 2017-02-22 2017-11-10 郑浩杰 一种电视信号接收设备
CN107339566A (zh) * 2017-02-22 2017-11-10 郑浩杰 一种电视信号用的接收装置
WO2023114329A1 (en) * 2021-12-14 2023-06-22 Legrand Av Inc. Extendable universal soundbar mou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87B1 (ko) * 2001-06-05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KR100556244B1 (ko) * 2003-09-18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100632734B1 (ko) * 2004-09-24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9117A (zh) * 2012-06-05 2012-09-19 昆山维金五金制品有限公司 适用于固定高压板的固定支架
CN102679118A (zh) * 2012-06-13 2012-09-19 昆山维金五金制品有限公司 显示屏的上固定件
CN107339567A (zh) * 2017-02-22 2017-11-10 郑浩杰 一种电视信号接收设备
CN107339566A (zh) * 2017-02-22 2017-11-10 郑浩杰 一种电视信号用的接收装置
CN107339567B (zh) * 2017-02-22 2019-03-12 陕西广电网络传媒(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信号接收设备
WO2023114329A1 (en) * 2021-12-14 2023-06-22 Legrand Av Inc. Extendable universal soundbar m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943B1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84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이것과 디스플레이의 결합 방법
KR2009009455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US7494099B2 (en) Wall mount usable with display apparatus
KR1023937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610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8317146B2 (en)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EP4053673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90057513A1 (en) Grade control apparatus for display set used in tapestry
US20080237411A1 (en) Supporter usable with display apparatus
CN106713554A (zh) 一种显示屏组件和移动终端
WO2012158839A2 (en) Actuated hinge and cable assembly for use with computer display monitors
US20130259462A1 (en) Camera angle adjustment
KR100765242B1 (ko)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CN102563320B (zh) 一种有阻尼的旋转壁挂支架
CN113163033B (zh) 电子设备
US6676098B2 (en) Plane display with a foldable support
KR101475490B1 (ko) 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장치
KR100796978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US10317951B2 (en) Hinge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US8593797B2 (en) Display device
KR101949476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벽걸이 장치
JP2000242363A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表示装置
EP2557776B1 (en) Display device
CN105674013A (zh) 支撑装置及显示装置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