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601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601A
KR20090093601A KR1020080019212A KR20080019212A KR20090093601A KR 20090093601 A KR20090093601 A KR 20090093601A KR 1020080019212 A KR1020080019212 A KR 1020080019212A KR 20080019212 A KR20080019212 A KR 20080019212A KR 20090093601 A KR20090093601 A KR 2009009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ing
color
ai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549B1 (ko
Inventor
박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549B1/ko
Priority to CN2008100976827A priority patent/CN101482298B/zh
Priority to CN2008100983854A priority patent/CN101520209B/zh
Publication of KR2009009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상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조명부의 조명 색상이 가변되면서 다양한 분위기를 연속적으로 연출할 수 있고, 실내의 인테리어가 향상되며,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명부의 색상이 가변되는 공기조화기와, 조명부의 색상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공조시키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감 향상이나 고급화 등을 위해 장식 커버 등을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배치시키는 추세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057361호에는 개구홀이 형성된 실내기와; 상기 개구홀을 통해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실내기에 설치된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등의 광이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장식패널을 포함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기능을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조명등으로 전원이 입력되면, 조명등은 광을 조사하고, 조명등에서 조사된 광은 개구홀을 통과한 후 장식 패널을 투과하고,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10-2006-0057361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조명등의 온시 조명등의 조명이 장식 패널을 통해 전방으로 직접 조사되어 사용자 등에게 피로감을 줄 수 있고, 조명등이 단순한 조명 기능만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부의 색상이 연속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등이 조명부의 색상 변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등이 조명부의 색상 변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상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공조부 전면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개구부에 배치된 조명 커버와;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조명 커버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커버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 커버와 상기 발광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색상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는 피시비과, 상기 피시비에 설치되고 발광 색상이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는 피시비과, 상기 피시비에 설치되고 발광 색상이 상위한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의 색 고정과 색 변화와 오프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색상을 일정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조명부의 색상을 가변시키거나, 상기 조명부를 오프한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엘시디와, 상기 엘시디의 전방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조명부와;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조명부의 색상 변화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 단계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상을 설정 시간 간격으로 변화시키는 조명 색상 변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조명부의 색상 변화 속도를 가변시키면, 상기 조명 색상 변화 단계는 상기 설정 시간을 가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조명부와;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상 고정 명령과 조명 색상 변화 명령과 조명 오프 명령 중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 단계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조명부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단계에서 조명 색상 고정 명령을 입력함과 아울러 색상을 선택하면, 상기 조명부 제어 단계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입력 단계에서 선택된 색상을 조명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패널에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조명부가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의 외관을 고급화하고, 제어부가 조명부의 조명 색상이 가변될 수 있게 조명부를 제어하여, 조명부의 색상이 주기적으로 바뀌면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인테리어가 향상되며, 고급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조명 색상의 고정과 조명 색상의 변화와 조명의 오프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최적화된 조명을 연출할 수 있고, 프론트 패널의 디자인이나 무드 조명 등을 다양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등이 조명 색상을 선택함과 아울러 선택된 조명 색상이 지속적으로 조명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희망에 최대하게 대응할 수 있고, 사용자 등이 프론트 패널의 디자인이나 무드 조명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등이 조명 색상의 변화 속도를 결정할 수 있어, 조명 기능 사용률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다양한 느낌의 무드 조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실내가 너무 밝거나 사용자 등이 외출하거나 취침 예약 등과 같이 공기조화기가 실질적으로 운전되지 않을 때, 사용자 등이 조명을 오프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 및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공조부 12: 베이스
20: 캐비닛 30,40: 흡입 패널
50: 토출 패널 150: 프론트 패널
152: 프론트 프레임 154: 발광부 개구부
160: 프론트 커버 162: 장식부용 개구부
180: 조명부 181: 조명 커버
182: 프론트 조명 커버 192: 리어 조명 커버
200: 발광부 202: 발광부 커버
204: 피시비 206: 엘이디
208: 광투과부재 300: 입력부
400: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부(2)와, 프론트 패널(150)과, 조명부(180)와, 입력부(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공조부(2)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공조부(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된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된다.
공조부(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공조부(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되어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고,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흡입 패널(30)(40)과, 토출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캐비닛(20)과 흡입 패널(30)(40) 등을 지지한다.
캐비닛(20)은 공조부(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판부(24)와 우판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흡입 패널(30)(40)은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는 우측 흡입 패널(40)로 이루어진다.
좌측 흡입 패널(30)은 캐비닛(20)의 좌판부(24)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좌측 흡입 패널(30)에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함께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고 좌측 필터(32)가 장착되는 좌측 필터 케이스(34)가 설치된다.
좌측 흡입 패널(30)과 좌측 필터 케이스(3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좌측 필터(32)와 좌측 필터 케이스(3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면서 좌측 필터(3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좌측 청소 유닛(36)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우측 흡입 패널(40)은 캐비닛(20)의 우판부(26)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우측 흡입 패널(40)에는 우측 흡입 패널(40)과 함께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고 우측 필터(42)가 장착되는 우측 필터 케이스(44)가 설치된다.
우측 흡입 패널(40)과 우측 필터 케이스(4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는 우측 흡입 패널(40)과 우측 필터(42)와 우측 필터 케이스(4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면서 우측 필터(4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우측 청소 유닛(46)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토출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부(8)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와 우측판부(54)로 이루어진다.
좌측 공기 토출부(8)는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좌측판부(53)에 대해 경사진 좌측 경사부(55)가 형성되고, 좌측 경사부(55)에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의 경사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전판부(52)와 우측판부(54)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우측판부(54)에 대해 경사진 우측 경사부(57)가 형성되고, 우측 경사부(57)에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공조부(2)는 토출 패널(50)의 전방에 전면 커버(60)가 설치된다. 전면 커버(60)는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직진되지 않고, 옆으로 유도하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로서,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막는 일종의 차폐 부재의 역할을 한다.
공조부(2)는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공조부(2)의 내측 상부에서 공조부(2)의 위로 상승되고, 공조부(2)의 위에서 공조부(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공조부(2)에는 토출구 유닛(80)이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82)가 설치되고,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78)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82)의 상면 즉, 공조부(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78)가 밀폐/은닉된다.
공조부(2)에는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90)(100)이 설치된다.
이하, 베인(90)(100)은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베인(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4)(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입부(4)(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베인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8)(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베인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인(90)(100)은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함께 여닫고, 좌측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베인(90)과,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여닫고, 우측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베인(100)으로 이루어진다.
공조부(2)에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10)와, 공조부(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120)와, 공조부(2)의 내측 하부 특히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청소 유닛(36)(46)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이물질 처리 장치(13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1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82)와 송풍기(120)의 사이인 토출 패널(50)의 후방 즉, 공조부(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송풍기(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송풍기로서,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122)와, 팬모터(122)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124)과, 팬모터(122) 및 송풍팬(124)을 둘러싸고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126)과, 팬 하우징(126)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128)를 포함한다.
이물질 처리 장치(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필터(32)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안내되는 좌측 호스(132)와, 우측 필터(42)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안내되는 우측 호스(134)와, 좌측 호스(132)와 우측 호스(134)가 연결된 사이클론 분리기인 이물질 분리장치(135)와, 이물질 분리장치(135)와 연결되어 이물질 분리장치(135) 및 좌,우측 호스(132)(134)와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유닛(136)과, 이물질 분리장치(135)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집진통인 이물질 수거통(137)과,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과 흡입력 발생유닛(136)을 제어하는 청소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흡입력 발생유닛(136)은 팬과 팬모터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청소 송풍기로서, 청소 제어부(140)가 팬모터를 구동시키면, 팬이 회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외관 특히 전면측의 외관을 구성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공조부(2)의 전면 하부 전방에 배치되거나, 공조부(2)의 전면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이하 공조부(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조부(2)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옆으로 회전되도록 공조부(2)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도록 공조부(2)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하 후술하는 발광부(200) 등의 서비스를 위해 공조부(2)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베이스(12) 및 좌측 흡입 패널(30)과 우측 흡입 패널(40)과 토출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토출 패널(50) 및 전면 커버(6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여닫는다.
프론트 패널(150)은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프레임(152)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커버(160)를 프론트 프레임(150)과 고정시키는 프론트 홀더(170)를 포함하고,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홀더(170) 중 하나에는 공조부(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조명부(180)는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색상 가변형 조명기구로 이루어진다.
조명부(180)는 공조부(2)와 프론트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프론트 패널(150)에 설치될 경우 프론트 패널(150)의 장식미를 높일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 전면 외관의 고급화할 수 있으며,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부(30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리모컨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컨트롤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을 입력할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패널(302)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터치 패널(302)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터치 패널(302)은 프론트 패널(150)에 설치된 엘시디 패널과, 엘시디패널의 전방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고, 터치 스크린의 입력 좌표를 인식하는 좌표 인식부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특히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조명 명령에 따라 조명부(180)를 제어한다.
즉, 입력부(300)가 조명부(180)의 색 고정과 색 변화와 조명 오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입력하도록 아이콘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 등이 입력부(300) 중 색 고정 아이콘과, 색 변화 아이콘과, 오프(OFF) 아이콘 종 하나의 전방을 터치하면, 제어부(400)는 입력부(300)의 입력에 따라 조명부(180)의 색상을 일정하게 고정하거나, 조명부(180)의 색상을 가변시키거나, 조명부(180)를 오프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색상의 고정이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조명부(180)의 조명 색상이 단일 색상으로 고정되도록 조명부(180)를 제어하고,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색상의 변화가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조명부(180)의 조명 색상이 가변되도록 조명부(180)를 제어하며,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오프가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조명부(180)가 광을 조사하지 않도록 조명부(180)를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 등이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색상의 고정을 입력함과 아울러 조명의 색상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입력된 색상을 입력부(300)를 통해 표시하고, 조명부(180)에서 사용자 등에 의해 선택된 색상의 조명이 조사되도록 조명부(180)를 제어한다.
아울러, 입력부(300)가 조명부(180)의 색 변화 속도의 증감을 조절하도록 색 변화 속도의 증속 아이콘(예를 들면, >)과 색 변화 속도의 감속 아이콘(예를 들면, <) 등이 표시되고, 입력부(300)를 통해 색 변화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 등이 입력부(300) 중 증속 아이콘을 터치하면, 제어부(400)는 조명부(180)의 색 변화 속도를 높이고, 사용자 등이 입력부(300) 중 감속 아이콘을 터치하면, 제어부(400)는 조명부의 색 변화 속도를 낮춘다.
예를 들어, 색 변화 속도가 저속,중속,고속의 3 단계로 이루어지고, 색 변화 속도가 저속인 상태에서, 증속 아이콘을 1회 터치하면, 색 변화 속도가 중속으로 변경되고, 증속 아이콘을 1회 더 터치하면, 색 변화 속도가 고속으로 변경된다. 기타의 경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입력부(300)는 조명 색상의 고정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 등이 증속 아이콘이나 감속 아이콘을 입력하더라도, 색변화 속도 설정 기능이 입력되지 않고,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색상 변화가 입력된 경우, 조명의 색상을 선택 즉, 조명 색상의 변경 기능이 입력되지 않는다.
이하, 입력부(300)를 통한 조명 명령과, 그에 따른 조명부(180)의 제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공조부(2)에 설치되어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공조부(2)와 조명부(180)를 제어하는 공조부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프론트 패널(150)에 설치되어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공조부(2)와 조명부(180)를 제어하는 프론트 패널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조부(2)에 설치되어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공조부(2)를 제어하는 공조부 제어부와, 프론트 패널(150)에 설치되어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조명부(180)를 제어하는 프론트 패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조명부(180)는 조명 커버(181)와,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어 조명 커버(181)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200)와, 발광부(200)를 보호하는 발광부 커버(202)를 포함한다.
조명부(180)는 프론트 패널(150)의 장식미를 높이는 일종의 장식부로서,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부 외관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하, 프론트 패널(15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론트 프레임(152)은 발광부(200)를 설치하거나 발광부(200)의 광이 통과하거나 프론트 패널(150)을 연 상태에서 발광부(200)를 서비스하기 위한 개구부(154, 이하 ‘발광부용 개구부’라 칭함)가 형성되고, 입력부(300)를 설치하거나, 입력부(300)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프론트 패널(150)을 연 상태에서 입력부(300)를 서비스하기 위한 개구부(156, 이하 ‘리어 개구부’라 칭함)가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160)는 공기조화기 특히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 외관 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조명 커버(181)의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개구부(162: 이하, ‘커버용 개구부’라 칭함)가 형성되고, 입력부(300)를 프론트 커버(160)의 전방에서 볼 수 있고, 입력부(300)를 통해 운전 명령이 입력될 수 있게 하는 개구부(164: 이하, ‘프론트 개구부’라 칭함)가 입력부(300)의 전방에 개구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160)는 글래스나 합성수지 사출물이나 금속재로 성형될 수 있고, 특히 합성수지 사출물이나 금속재로 성형될 경우 커버용 개구부(162)와 프론트 개구부(164)를 전후 개구 형성하기 용이하며, 합성수지 사출물이나 금속재로 이루어질 경우 특정 색상을 갖고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조명 커버(181)는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부 장식미를 높이는 것으로서, 전후 겹치게 배치된 복수개의 커버(182)(192)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커버(182)(192)의 사이에 공간(S)이 마련된다.
조명 커버(181)는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부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커버용 개구부(162)를 막는 구조로 배치되는 바, 복수개의 커버(182)(18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커버용 개구부(162)로 삽입되어 커버용 개구부(162)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전면이 프론트 커버(16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하, 조명 커버(181)는 복수개의 커버(182)(192)가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복수개의 커버(182)(192) 모두가 투명하게 형성되거나,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커버(182)가 투명하게 형성되고,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는 커버(192)가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복수개의 커버(182)(192) 모두가 투명한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개의 커버(182)(192)는 2개 혹은 3개 이상이 전후 배치되고, 이하 프론트 조명 커버(182)와, 프론트 조명 커버(182)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조명 커버(19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조명 커버(182)는 커버용 개구부(162)로 삽입되고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돌출부(183)가 판체부(184)에서 돌출 형성된다.
리어 조명 커버(192)는 프론트 돌출부(183)로 삽입되어 프론트 돌출부(183)와의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는 리어 돌출부(193)가 판체부(194)에서 돌출 형성된다.
리어 조명 커버(192)는 리어 돌출부(193)가 프론트 돌출부(183)와 외곽 형상이 상위하고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된다.
즉, 조명 커버(181)는 프론트 돌출부(183)의 내측면(183A)과 리어 돌출부(193)의 외측면(193A)과, 리어 조명 커버(185)의 판체부(194) 전면(194A)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공간(S)은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볼 때 입체감 특히 깊이감을 주며, 프론트 패널(150)은 조명 커버(181)에 의해 미감이 향상된다.
그리고, 리어 조명 커버(192)는 리어 돌출부(193)의 배면이 개방되어 리어 돌출부(193)의 내측에 프론트 조명 커버(182)와 리어 조명 커버(192) 사이의 공간(S)과 구획된 별도의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공간(S′)은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볼 때 입체감을 주며, 프론트 패널(150)은 조명 커버(181)에 의해 미감이 향상된다.
발광부(200)는 조명 커버(181)로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조명 커버(181)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거나 조명 커버(181)의 둘레 방향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발광부(200)는 다양한 색상의 광을 조명 커버(181)로 조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엘이디 피시비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발광부(200)는 피시비(204)와, 피시비(204)에 설치된 엘이디(206)를 포함한다.
발광부(200)는 다양한 색상을 조명할 수 있도록 위해 엘이디(206) 자체가 다양한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엘이디(206)가 복수개 설치되되 복수개의 엘이디(206)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엘이디(206)가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발광부(200)는 피시비(204)에 발광 색상이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206)가 설치되거나, 피시비(204)에 발광 색상이 상위한 복수개의 엘이디(206)가 설치되고, 이하, 엘이디(206)가 복수개 설치되고, 엘이디(206) 자체가 발광 색상이 가변되는 엘이디인 것으로 설명한다.
발광부(200)는 프론트 프레임(150)과, 프론트 커버(160)와, 조명 커버(181)와, 발광부 커버(202)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이하 프론트 프레임(15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프론트 프레임(152)은 발광부(200)가 삽입되는 발광부 삽입부(155)가 형성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조명 커버(181)를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발광부 삽입부(155) 전방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명 커버(181)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조명 커버(181)는 발광부 삽입부(155)에 의해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게 지지되고, 프론트 커버(160)의 커버용 개구부(162) 주변에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게 지지되며, 돌출부 특히 프론트 돌출부(183)가 커버용 개구부(162)에 걸리는 것에 의해 후방 이외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게 지지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론트 프레임(152)에 전방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되며, 발광부(200)는 프론트 프레임(152) 특히 발광부 삽입부(155)의 후방에서 발광부 삽입부(155) 내부로 그 전부 혹은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발광부(200)가 조명 커버(181)의 후방에서 조명 커버(181)를 향해 광이 조사할 수 있도록 프론트 커버(160)의 커버용 개구부(162)의 후방에 형성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전판부(155a)와 둘레부(155b) 중 전판부(155a)에 발광부용 개구부(154)가 형성되어, 발광부(200)의 일부가 관통되게 배치되거나 발광부(200)에서 조사된 광이 발광부용 개구부(154)를 통과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전판부(155a) 중 발광부용 개구부(154) 주변에 발광부(200)의 가장자리가 전방으로 걸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발광부 커버(202)는 프론트 패널(150)을 옆으로 회전시켜 그 배면이 개방되었을 때 발광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발광부(200)의 배면을 덮는 것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패널(150)은 발광부(200)가 발광부 삽입부(155)에 삽입되게 배치되고, 발광부 커버(202)가 발광부 삽입부(155)의 후방을 덮으면서 프론트 프레임(152)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림수단으로 장착되며, 발광부(200)가 프론트 프레임(152) 특히 발광부 삽입부(155)와 발광부 커버(202) 중 하나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림수단으로 장착된다.
한편, 프론트 패널(150)은 조명 커버(181)와 발광부(200)의 사이에 위치되어 발광부(200)의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부재(208)를 더 포함한다.
광투과부재(208)는 발광부(200)의 오프시 조명 커버(181)를 통해 보이는 부분으로서, 복수개의 커버(182)(192) 중 최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조명 커버(192)와 발광부 삽입부(155)의 사이에 위치되어 장식부(190)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엘이디(206)와 발광부 삽입부(155) 사이에 위치되게 엘이디(206)의 전방에 배치되어 발광부(200)를 일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투과부재(208)는 발광부(200)의 일부를 구성할 경우 엘이디(206)의 전방에 위치되어 엘이디(206)를 보호하면서 엘이디(206)의 광이 투과되게 한다.
광투과부재(208)는 엘이디(206)의 광이 투과되면서 확산되는 일종의 광 확산부재로서, 발광부(200)의 오프시 조명 커버(191)를 통해 발광부(200)가 보이지 않고, 발광부(200)의 온시 발광부(200)의 광이 확산되도록 소정 색상을 갖는다.
광투과부재(208)는 발광부(200)의 온시 발광부(200)의 광이 투과되면서 확산되어 조명 커버(191)로 조사될 수 있는 색상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사출물 재질의 투명 부재(209)와, 투명 부재(209)의 전면 혹은 후면에 백색 등의 도색층(210)이나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백색 등의 색상을 갖고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시트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부(200)는 피시비(204)에 설치되어 엘이디(206)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212)을 더 포함한다.
반사판(212)은 엘이디(206)를 보호함과 아울러 엘이디(206)의 광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조명 커버(181)로 반사되게 하는 것으로서, 피시비(204)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발광부(200)는 반사판(212)이 피시비(204)의 전면에 ‘□’ 형상과 같이 엘이디(206)를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반사판(212)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측에 설치된 엘이디(206)에서 반사판(212)으로 조사된 광을 엘이디(206)의 전방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발광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운전 정지일 때 엘이디(206)로 전원이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운전 중일 때 엘이디(206)로 전원이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무관하게 엘이디(206)로 전원이 입력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광부(200)는 엘이디(206)로 전원이 입력되면, 엘이디(206)의 광이 조명 커버(181)로 조사되어 공기조화기 특히 조명 커버(181)가 밝게 보이면서 아울러 조명 커버(181) 및 주변의 미감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발광부용 개구부(154)와, 커버용 개구부(162)와, 조명 커버(181), 발광부(200)는 프론트 패널(150)에 복수 셋트 구비되고, 각 셋트는 크기가 같거나 상위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발광부(200)로 전원이 입력되면, 엘이디(206)는 광을 조사하고, 엘이디(206)에서 조사된 광 중 주변으로 퍼지는 광은 반사판(212)에서 반사되어 피시비(204)의 전방으로 반사되며, 상기와 같이 엘이디(206)에서 조사된 광과 반사판(212)에서 반사된 광은 광투과부재(208)를 투과하여 전방으로 향한다.
상기와 같이 발광부(200)에서 발생된 광은 리어 조명 커버(192)와 프론트 조명 커버(182)를 통과하면서 조명 커버(181)를 전체적으로 밝게 하고, 조명 커버(181)는 프론트 커버(160) 보다 밝게 보이면서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감을 높이고, 조명 커버(181)를 통과한 광이 실내의 간접 조명기구나 무드 조명기구와 같이 조명 커버(181) 및 주변을 밝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발광부(200)의 엘이디가 피시비(204)의 전면 좌측에 설치된 좌측 엘이디(206A)와, 피시비(204)의 전면 우측에 설치된 우측 엘이디(206B)로 구성되고, 반사판이 좌측 엘이디(206A)를 보호함과 아울러 좌측 엘이디(206A)에서 조사된 광을 피시비(204)의 전방 우측으로 반사시키는 좌측 반사판(212A)와, 우측 엘이디(206B)를 보호함과 아울러 우측 엘이디(206B)에서 조사된 광을 피시비(204)의 전방 좌측으로 반사시키는 우측 반사판(212B)을 포함한다.
좌측 엘이디(206A)는 피시비(204)의 전면 좌측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우측 엘이디(206B)는 피시비(204)의 전면 우측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좌측 반사판(212A)은 좌측 엘이디(206A)의 좌측에 위치되는 좌측 판체부(212A′)와, 좌측 판체부(212A′)의 선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좌측 엘이디(206A)의 전방을 가리는 좌측 절곡부(212A″)를 포함한다.
우측 반사판(212B)은 우측 엘이디(206B)의 우측에 위치되는 우측 판체부(212B′)와, 우측 판체부(212B′)의 선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우측 엘이디(206B)의 전방을 가리는 우측 절곡부(21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발광부(200)로 전원이 입력되면, 좌측 엘이디(206A)와 우측 엘이디(206B)는 광을 조사하고, 좌측 엘이디(206A)에서 조사된 광 중 좌측 반사판(212A)으로 조사된 광은 우측 엘이디(206B)를 향해 조사되며, 우측 엘이디(206B)에서 조사된 광 중 우측 반사판(212B)로 조사된 광은 좌측 엘이디(206A)를 향해 조사된다.
상기와 같이 조사된 광은 광투과부재(208)를 투과하고, 이후 조명 커버(181)를 밝게 한다. 즉, 발광부(200)의 광은 간접 조명으로 조명 커버(181)를 밝게 하고, 조명 커버(181)에는 무드 조명과 같이 은은한 조명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조명 커버(181) 특히 리어 조명 커버(192)의 배면에 도색층이나 코팅층을 갖는 판체 혹은 시트가 배치되거나 장식부재 특히 리어 조명 커버(192)의 배면 자체에 도색층이나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등은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부(180)의 조명 색상 고정 명령과 조명 색상 변화 명령과 조명 오프 명령 중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를 실시한다.(S1)(S5)(S9)
제어부(400)는 입력 단계(S1)의 입력에 따라 조명부(180)를 제어하는 조명부 제어 단계를 실시한다.(S2)(S3)(S4)(S6)(S7)(S8)(S10)
먼저,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색상 고정이 입력된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 등이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색상 고정 명령을 입력함과 아울러 조명 색상을 선택하면, 조명부(180)는 입력부(300) 선택된 색상을 계속하여 조명한다.(S1)(S2)(S3)
조명부(180)는 사용자 등에 의해 조명 색상 고정 명령만 입력되고, 조명 색상이 선택되지 않으면, 기저장된 기본 색상으로 계속하여 조명하거나, 이전에 선택되어 제어부(400) 등에 기저장된 소정 색상을 계속하여 조명한다.(S1)(S2)(S4)
이하,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색상 변화가 입력된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 등이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색상 변화 명령을 입력하면, 조명부(180)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조명 색상을 변화시키되,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부(180)의 색상 변화 속도를 가변시키면, 조명부(180)는 설정 시간을 가변하여 조명 색상을 변화시킨다.(S5)(S6)(S7)(S8)
이하,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오프가 입력된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 등이 입력부(300)를 통해 조명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조명부(180)에는 전원이 차단된다.(S9)(S10)

Claims (11)

  1.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상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공조부 전면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개구부에 배치된 조명 커버와;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조명 커버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커버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 커버와 상기 발광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색상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피시비과, 상기 피시비에 설치되고 발광 색상이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피시비과, 상기 피시비에 설치되고 발광 색상이 상위한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색 고정과 색 변화와 오프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색상을 일정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조명부의 색상을 가변시키거나, 상기 조명부를 오프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엘시디 패널와, 상기 엘시디패널의 전방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인 공기조화기.
  8.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조명부와;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조명부의 색상 변화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 단계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상을 설정 시간 간격으로 변화시키는 조명 색상 변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조명부의 색상 변화 속도를 가변시키면,
    상기 조명 색상 변화 단계는 상기 설정 시간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0.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조명의 색상 변화가 가능한 조명부와;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상 고정 명령과 조명 색상 변화 명령과 조명 오프 명령 중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 단계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조명부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계에서 조명 색상 고정 명령을 입력함과 아울러 색상을 선택하면,
    상기 조명부 제어 단계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입력 단계에서 선택된 색상을 조명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019212A 2008-01-07 2008-02-29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4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12A KR100942549B1 (ko) 2008-02-29 2008-02-29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08100976827A CN101482298B (zh) 2008-01-07 2008-05-22 空调机
CN2008100983854A CN101520209B (zh) 2008-02-29 2008-05-30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12A KR100942549B1 (ko) 2008-02-29 2008-02-29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01A true KR20090093601A (ko) 2009-09-02
KR100942549B1 KR100942549B1 (ko) 2010-02-16

Family

ID=4108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212A KR100942549B1 (ko) 2008-01-07 2008-02-29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2549B1 (ko)
CN (1) CN1015202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85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5293A (zh) * 2010-01-22 2011-07-2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
CN202675472U (zh) * 2011-12-20 2013-01-16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3388896B (zh) * 2012-05-07 2016-03-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350B1 (ko) * 1997-06-27 2000-01-1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 표시방법
CN100455910C (zh) * 2004-06-21 2009-01-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内机
JP4783115B2 (ja) * 2005-10-18 2011-09-28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基板装置
KR20070077411A (ko) * 2006-01-23 200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6132937A (ja) * 2006-02-20 2006-05-25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01086378A (zh) * 2006-06-07 2007-12-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及其运转方法
CN201028462Y (zh) * 2007-03-30 2008-02-27 上海市南汇区航头学校 多功能台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85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549B1 (ko) 2010-02-16
CN101520209A (zh) 2009-09-02
CN101520209B (zh)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689B1 (ko) 공기조화기
KR102001868B1 (ko) 공기 조화기
KR102110530B1 (ko) 공기조화기
KR101365216B1 (ko) 공기조화기
KR10094254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6296B1 (ko) 공기조화기
KR102053144B1 (ko) 공기조화기
KR100902930B1 (ko) 공기조화기
KR102033690B1 (ko) 공기조화기
JP2004085022A (ja) 空気調和機
KR20100055910A (ko) 백라이팅유닛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90043234A (ko) 공기조화기
KR101482106B1 (ko) 공기조화기
KR101611325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2532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표시 방법
KR20090098516A (ko) 공기조화기
KR201301424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0906184B1 (ko) 공기조화기
KR20110038401A (ko) 공기조화기
KR20100055928A (ko) 공기조화기
KR100909243B1 (ko) 공기조화기
KR101514004B1 (ko) 공기조화기
KR100958394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52202A (ko) 공기조화기
KR101412750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