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750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750B1
KR101412750B1 KR1020140006259A KR20140006259A KR101412750B1 KR 101412750 B1 KR101412750 B1 KR 101412750B1 KR 1020140006259 A KR1020140006259 A KR 1020140006259A KR 20140006259 A KR20140006259 A KR 20140006259A KR 101412750 B1 KR101412750 B1 KR 10141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ver
inner body
light diffus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진
권순형
김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2Ventilating systems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 박스가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전방을 덮고 장식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커버와; 베이스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배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공간이 형성된 광 확산커버와; 공간의 배면을 막는 이너 바디와; 이너 바디와 광 확산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공간을 마주보게 설치된 발광모듈를 포함하고, 광 확산커버는 발광모듈과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되는 축소부가 형성되어, 장식 패턴을 보다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에 장식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공기의 온도나 청정도나 습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나 필터 등의 공조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실내의 공기를 공기흡입구로 흡입하여 공조유닛으로 유동시키고 공조유닛에 의해 공조된 공기를 공기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미감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장식부를 설치하고, 발광부가 장식부를 밝게 하여 장식부가 밝게 보이는 공기조화기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KR 10-2009-0098516 A (2009년09월17일)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장식부를 고르게 조명하기 위해 상측 발광부와 하측 발광부를 각각 설치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측 발광부와 하측 발광부의 발광시 장식부가 평면 형상의 장식 패턴을 표현하여 장식 패턴이 고급화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 또는 베이스에 배치되는 이너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광 확산커버와; 상기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커버는 상기 발광모듈과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되는 축소부를 갖는다.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이너 바디의 상부에 상기 공간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소부는 하부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축소부는 하부로 갈수록 전후방향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커버는 상기 이너 바디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축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커버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광 확산커버 보다 크고 상기 공간을 막는 후판과, 상기 후판에서 돌출되고 상기 광 확산커버가 올려지는 하판을 포함할 수 잇다.
상기 하판은 상기 베이스에 올려질 수 있다.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베이스 커버와 결합되는 측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면과 하면 및 배면이 개방되고,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베이스 커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는 좌측부 및 우측부가 전판부와 라운드지게 형성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는 투명한 전면 판넬과; 상기 전면 판넬의 후방에 위치하고 반투명하며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는 후면 판넬과; 상기 전면 판넬과 후면 판넬 사이에 위치하고 장식부가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광 확산 커버의 상부와 상기 이너 바디의 상부 사이를 막을 수 있다.
상기 광 확산 커버는 상기 베이스 커버 및 이너 바디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컨트롤박스가 설치되는 컨트롤박스 설치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를 가릴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 전방에 위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위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된 송풍기 커버와; 상기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 커버는 상기 토출 바디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광모듈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입체적 장식 패턴을 표현할 수 있고, 입체적 장식 패턴을 선명하고 고급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 확산커버의 전체로 광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어 광 확산 커버에 의해 형성된 조명 패턴의 일부가 어둡게 표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이고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정지이고 발광모듈이 오프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이고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이고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정지이고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이고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정지이고 발광모듈이 오프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이고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정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이고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정지이고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모듈이 온일 때의 횡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베이스(2)와; 베이스(2)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커버(6)를 포함한다. 베이스 커버(6) 또는 베이스(2)에 위치되어 베이스 커버(6)를 통해 조명 패턴(PT)을 표현하는 조명모듈(L)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L)의 온시, 조명 모듈(L)에 의해 형성되는 조명 패턴(PT)은 베이스 커버(6)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베이스(2)와 베이스 커버(6) 이외에 공기흡입구(I)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된 흡입 바디(8)와, 공기흡입구(I)로 흡입된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0)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바디(11)(12)(13)(15)와, 공기를 공기흡입구(I)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0)를 통과시킨 후 적어도 하나의 토출바디(11)(12)(13)(15)로 토출시키는 송풍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바디(8)는 베이스(2)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흡입구(I)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바디(8)는 베이스(2)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배면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 바디(8)는 공기조화기의 배면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 바디(8)는 베이스(2)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리어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고, 흡입 바디(8)는 공기조화기의 리어 어퍼 케이스일 수 있으며, 베이스(2)는 공기조화기의 리어 로어 케이스일 수 있다. 흡입 바디(8)에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9)이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9)은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9)은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9)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방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9)은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온발생기와 전기집진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0)는 공기흡입구(I)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0)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열교환기(10)는 공기흡입구(I)와 송풍기(18)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0)는 베이스(2)의 상측 위치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11)(12)(13)(15)는 송풍기(18)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11)(12)(13)(15)는 송풍기(18)에서 옆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사이드 토출 바디(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토출 바디(11)(12)는 송풍기(18)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 바디(11)(12)는 송풍기(18)에서 옆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사이드 공기토출구(11A)(12A)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 바디(11)(12)에는 사이드 공기토출구(11A)(12A)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베인(11B)(12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 바디(11)(12)는 송풍기(18)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토출바디(11)를 포함할 수 있고, 좌측 토출바디(11)에는 송풍기(18)에서 좌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좌측 공기토출구(1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 토출바디(11)에는 좌측 공기토출구(11A)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좌측 공기토출구(11A)를 여닫을 수 있는 좌측 베인(11B)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 바디(11)(12)는 송풍기(18)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토출바디(12)를 포함할 수 있고, 좌측 토출바디(12)에는 송풍기(18)에서 우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우측 공기토출구(1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 토출바디(12)에는 우측 공기토출구(12A)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우측 공기토출구(12A)를 여닫을 수 있는 우측 베인(12B)이 설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11)(12)(13)(15)는 송풍기(18)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토출 바디(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토출 바디(13)는 전면에 상부 토출구(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토출 바디(13)는 송풍기(18)의 상측 위치에서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토출 바디(13)는 상승시 상부 토출구(13A)가 상승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며, 하강시 상부 토출구(13A)가 은닉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부 토출 바디(13)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14)는 흡입바디(8)와 후술하는 송풍기 커버(19)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부 토출 바디(13)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의 구동시 상부 토출 바디(13)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구동원에 설치된 피니언과, 피니언에 치합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바디(11)(12)(13)(15)는 송풍기(18)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프론트 토출 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토출 바디(15)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토출 바디(15)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프론트 토출구(15A)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토출 바디(15)는 송풍기(18)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5B)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토출 바디(15)의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되어 공기토출구(15A)를 개폐하는 무빙 키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키트(16)는 전진되어 공기토출구(15A)를 차폐할 수 있고, 후퇴되어 공기토출구(15B)를 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무빙 키트(16)를 진퇴시키는 무빙 키트 진퇴기구(17)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무빙 키트(16)가 올려지는 프론트 토출 바디(15)에 설치된 모터 등의 구동원과, 무빙 키트(16)가 안착되는 무빙 키트 캐리어와, 구동원의 구동시 무빙 키트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키트(16)는 프론트 토출 바디(15) 내부로 아로마 성분을 배출하는 아로마 키트일 수 있다. 무빙 키트(16)는 아로마 성분을 배출하는 아로마 캡슐(A)이 구비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A)에는 아로마 성분을 생성하는 아로마 발생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프론트 토출 바디(15)는 무빙 키트(16)가 무빙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로마 케이스일 수 있고, 공기는 이러한 아로마 케이스를 통과할 수 있으며, 아로마 캡슐(A)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은 아로마 케이스를 통과하는 공기와 함께 실내로 넓게 퍼질 수 있다.
송풍기(18)는 열교환기(1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18)는 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하,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18)는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18)는 복수개의 임펠러(18A)(18B)(18C)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8)는 복수개의 임펠러(18A)(18B)(18C)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팬모터에 하나의 임펠러가 설치된 셋트가 복수 셋트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8)는 복수개의 팬모터(18D)(18E)(18F)와 복수개의 임펠러(18A)(18B)(18C)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8)는 열교환기(10)를 통과한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1임펠러(18A)와, 열교환기(10)를 통과한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2임펠러(18B)와, 열교환기(10)를 통과한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3임펠러(18C)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8)는 제1임펠러(18A)를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18D)와, 제2임펠러(18B)를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18E)와, 제3임펠러(18C)를 회전시키는 제3팬모터(18F)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8)는 복수개 임펠러(18A)(18B)(18C)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18G)과, 팬하우징(18G)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8H)를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18G)은 임펠러(18A)(18B)(18C) 보다 개수가 더 적을 수 있고, 팬 하우징(18G)에는 제1임펠러(18A)의 스크롤부 및 토출부와, 제2임펠러(18B)의 스크롤부 및 토출부와, 제3임펠러(18C)의 스크롤부 및 토출부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18H)는 임펠러(18A)(18B)(18C) 보다 개수가 더 적을 수 있고, 오리피스(18H)에는 제1임펠러(18A)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18I)와, 제2임펠러(18B)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18J)와, 제3임펠러(18C)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18K)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제1팬모터(18D)와 제1임펠러(18A)는 프론트 토출 바디(15) 및 사이드 토출패널(11)(12)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제2팬모터(18E)와 제2임펠러(18B)는 사이드 토출패널(11)(12)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제3팬모터(18E)와 제3임펠러(18C)는 사이드 토출패널(11)(12) 및 상부 토출바디(13)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3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송풍기(18)의 전방에 배치되는 송풍기 커버(1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송풍기 커버(19)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기 커버(19)는 베이스 커버(6)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 커버(6)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기 커버(19)는 베이스 커버(6)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커버를 구성할 수 있다. 송풍기 커버(19)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어퍼 커버일 수 있고, 베이스 커버(6)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로어 커버일 수 있다. 송풍기 커버(19)에는 프론트 토출 바디(15)의 전방에 프론트 토출 바디(15)의 선단을 둘러싸는 개구부(19A)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 커버(19)에는 통신 모듈(19B)이 설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19B)은 컨트롤 박스(C)와 통신할 수 있다. 송풍기 커버(19)는 디스플레이(19C)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리모컨(19D)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리모컨(19D)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디스플레이(19C)와 별도로 송풍기 커버(19) 또는 베이스 커버(6)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는 디스플레이(19C)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과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조작용 앱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 조작용 앱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출력신호는 와이파이 모듈로 수신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은 기설정된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컨트롤 박스(C)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모듈(19B)에는 리모컨 수신부와, 와이파이 모듈, 음성인식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는 복수개의 통신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와 와이파이 모듈과 음성인식모듈은 모두 하나의 통신모듈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통신모듈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베이스(2)에는 컨트롤 박스(C)가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C)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는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의 각종 전장부품은 송풍기(18)와 후술하는 발광모듈(80) 등일 수 있다.
베이스(2)는 공기조화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부(23)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박스 설치부(22)는 베이스부(23)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2)는 베이스부(23)의 후방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후판(24)와, 좌측판(25) 및 우측판(26)을 포함할 수 있고, 후판(24)과 좌측판(25) 및 우측판(26)의 사이에는 베이스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설치부(22)는 베이스 공간(S1)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고, 컨트롤 박스(C)는 베이스 공간(S1)에 위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설치부(22)는 베이스부(23)와 후판(24)과 좌측판(25) 및 우측판(26)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 또는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설치부(22)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고, 후판(24)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C)는 베이스 공간(S1)의 외부에서 베이스 공간(S1)으로 진입되어 컨트롤 박스 설치부(22)로 삽입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C)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2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서비스업자 등의 작업자는 컨트롤 박스(C)의 서비스시, 베이스 커버(6)를 떼어낸 후 컨트롤 박스(C)를 서비스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베이스(2)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컨트롤 박스(C)의 서비스시 베이스(2)의 내부 특히, 베이스 공간(S1)을 개방하기 위해 베이스(2)와 분리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좌측부(6A) 및 우측부(6B)가 전판부(6C)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배면이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상면 및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좌측부(6A)와 우측부(6B) 사이에 조명 모듈(L)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베이스 커버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베이스(2)의 베이스부(23)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베이스(2)의 베이스부(23)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좌측부(6A)가 베이스(2)의 좌측판(25)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우측부(6B)가 베이스(2)의 우측판(26)에 스크류 등이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하나의 판넬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판넬에 장식부가 일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커버(6)는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장식부(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커버(6)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고급화를 위해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커버(6)는 장식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투명한 전면 판넬(42)과; 전면 판넬(42)의 후방에 위치하고 반투명한 후면 판넬(4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는 전면 판넬(42)과 후면 판넬(44) 사이에 위치하고 장식부(41)가 형성된 필름(46)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부(41)는 전면 판넬(42)이 투명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에 무관하게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전면 판넬(42)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필름(46)의 장식부(41)가 입체감 있게 보이게 도울 수 있다.
후면 판넬(44)에는 후술하는 이너 바디(70)와 체결되는 체결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판넬(44)은 후술하는 이너 바디(70)와 결합될 수 있다. 후면 판넬(44)은 전면 판넬(42)과 끼움 결합되거나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 등에 의해 전면 판넬(42)과 결합될 수 있다.
필름(46)은 전면 판넬(42) 및 후면 판넬(4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필름(46)에 형성된 장식부(41)는 전면 판넬(42)을 통해 보일 수 있다. 장식부(41)는 필름(46)의 전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필름(46)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장식부(41)는 가로 방향으로 긴 띠 형상의 복수개 장식패턴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스트라이프 장식패턴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광 확산 커버(60)와, 이너 바디(70)와, 발광모듈(80)을 포함한다. 광 확산커버(60)는 이너 바디(70)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S5)이 형성된다. 이너 바디(70)는 베이스 커버(6) 또는 베이스(2)에 배치된다. 발광모듈(80)은 광 확산커버(60)의 공간(S5)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광 확산 커버(60)와 이너 바디(70)와 발광모듈(80)은 조명 패턴(PT)은 형성하는 조명모듈(L)이 될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베이스 커버(8)와 베이스(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이너 바디(70)와 베이스 커버(8)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배면이 개방될 수 있고 내부에 빈 공간(S5)이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발광모듈(20)과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되는 축소부를 갖을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광 확산커버(60)의 공간(S5)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축소부는 하부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H)이 감소될 수 있다. 축소부는 하부로 갈수록 전후방향 폭(L)이 감소될 수 있다. 축소부는 발광모듈(80)과 멀어질수록 공간의 단면적이 감소 될 수 있다. 축소부는 하부로 갈수록 공간의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축소부는 그 전부가 베이스 커버(8)와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축소부는 일부가 베이스 커버(8)와 이격될 수 있다. 축소부는 발광모듈(20)과 근접한 부분이 베이스 커버(8)와 접촉되는 접촉영역일 수 있고, 접촉영역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이 접촉영역보다 폭이 작고 베이스 커버(8)와 이격되는 비접촉 영역일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는 발광모듈(80)에서 발생된 광이 면을 따라 확산시켜 전체적으로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보이도록 해 광 확산부재(light diffusion member)로서,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고 공간(S5)이 형성된 축소부를 갖는 커버(61)와, 커버(61)에 형성된 코팅층(6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1)는 ABS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코팅층(62)은 커버(61)의 외측면과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유백색 코팅층일 수 있다.
광 확산커버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판 형상일 경우, 발광모듈(20)에서 조사된 광이 판 형상인 광 확산커버의 전방 방향으로만 확산될 수 있고, 발광모듈(80)과 거리가 가까운 영역만 주로 밝게 보일 수 있으며, 발광모듈(80)과 거리가 먼 영역이 어둡게 보일 수 있다.
한편, 내부에 빈 공간(S5)이 형성된 축소부를 갖는 광 확산커버(60)는 발광모듈(80)에서 조사된 광을 전방 방향 뿐만 아니라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의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광을 입체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게 되고, 광 확산 커버(80)에 의해 형성되는 조명 패턴(PT)은 외부에서 볼 때, 입체적인 형상으로 보일 수 있다. 또한, 발광모듈(80)과 축소부 사이의 거리는 축소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보다 짧을 수 있다. 발광모듈(80)에서 조사된 광은 발광모듈(80)과 축소부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축소부의 전체 영역으로 고르게 확산될 수 있고, 광 확산커버(60)에 의해 표현되는 조명 패턴(PT)은 축소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보다 그 테두리 라인이 보다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그 전부가 축소부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일부만 축소부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광 확산커버(60)는 축소부의 하단측 좌우 방향 폭이 축소부의 상단측 좌우 방향 폭 보다 짧을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축소부의 하단측 전후 방향 폭이 축소부의 상단측 전후 방향 폭 보다 짧을 수 있다. 축소부는 폭이 감소되는 비율인 폭 감소율을 갖고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축소부는 그 전체의 폭 감소율이 일정한 것이 가능하고, 폭 감소율이 상이한 복수개의 영역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광 확산 커버(60)는 제1영역과, 제1영역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제1영역의 폭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감소율로 감소할 수 있으며, 제2영역의 폭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감소율로 감소할 수 있으며, 제2감소율은 제1감소율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는 제2영역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제3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는 제3영역의 폭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3감소율로 감소할 수 있고, 제3감소율은 제2감소율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이너 바디(70)에 설치될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는 베이스 커버(6) 및 이너 바디(70)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는 이너 바디(70)에 설치되었을 때, 이너 바디(70)와 베이스 커버(6) 사이의 공간(S3)을 광 확산 커버(60)와 이너 바디(70) 사이의 공간(S5)과 광 확산 커버(60)와 베이스 커버(6) 사이의 공간(S6)으로 구획할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와 이너 바디(70) 사이의 공간(S5)을 내측 공간(S5)으로 칭하고, 광 확산 커버(60)와 베이스 커버(6) 사이의 공간(S6)을 외측 공간(S6) 이라 칭할 경우, 외측 공간(S6)은 내측 공간(S5)을 에워싸게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는 토출 바디의 아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는 복수개의 토출 바디 중 프론트 토출 바디(15)의 아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광 확산커버(60)에 형성된 빈 공간(S5)의 후방을 막을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광 확산커버(60) 보다 큰 후판(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70)의 후판(72)은 광 확산커버(60)의 빈 공간(S5)을 막을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후판(72)에서 돌출되고 광 확산커버(60)가 올려지는 하판(74)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74)은 베이스(2)에 올려질 수 있다. 하판(74)은 베이스(2)의 베이스부(23)에 올려질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베이스 커버(6)와 결합되는 측판(76)(7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베이스 커버(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베이스 커버(6)의 베이스 커버 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베이스 커버 공간(S2)으로 삽입되었을 때, 베이스 커버 공간(S2)을 이너 바디(70)와 베이스 커버(6) 사이의 공간(S3)과, 베이스 공간(S1)을 마주보는 리어 공간(S4)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너 바디(70)와 베이스 커버(6) 사이의 공간(S3)을 프론트 공간(S3)이라 칭할 경우, 이너 바디(70) 특히, 이너 바디(70) 후판(72)은 프론트 공간(S3)과 리어 공간(S4)을 구획할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후판(72)이 베이스 공간(S1)을 마주볼 수 있고, 베이스(2)의 베이스 공간(S1)은 이너 바디(70)의 후판(72)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컨트롤박스 설치부(22)를 가릴 수 있다.
이너 바디(70)는 후판(72)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좌측판(76)과 후판(72)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우측판(78)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좌측판(76)은 베이스 커버(6)의 좌측부(6A)를 마주볼 수 있고, 우측판(78)은 베이스 커버(6)의 우측부(6B)를 마주볼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이너 바디(70)와 광 확산커버(6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광 확산커버(60)의 공간(S5)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바디(14)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광 확산 커버(60)의 공간(S5)을 향해 광을 조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광 확산 커버(60)의 공간(S5) 상측을 막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광 확산 커버(60)의 상부와 이너 바디(70)의 상부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광 확산 커버(60)의 상부와 이너 바디(70)의 상부 사이를 막을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의 상부와 이너 바디(70)의 상부 사이에서 하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인쇄회로기판(82)과, 인쇄회로기판(82)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84)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원(84)은 인쇄회로기판(82)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인쇄회로기판(82)이 설치되는 모듈커버(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모듈커버(86)가 이너 바디(7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발광모듈(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프론트 토출 바디(15)로는 공조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프론트 토출 바디(15)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온될 수 있다. 발광모듈(80)의 온시 발광모듈(80)의 광은 광 확산커버(60)의 빈 공간(S5)으로 조사될 수 있고, 축소부의 전체로 고르게 조사될 수 있다. 광 확산커버(60)는 전방 방향 뿐만 아니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킬 수 있고, 광 확산 커버(60)의 좌측 방향에서부터 우측 방향까지 고르게 주변으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광 확산 커버(60)에 의해 확산된 광은 베이스 커버(6)를 투과할 수 있고, 외부에서 베이스 커버(6)를 볼 때 공기조화기에는 전후 방향으로 두께를 갖는 입체적 형상의 조명 패턴(PT)이 표현될 수 있고, 입체적 형상의 조명 패턴(PT)은 그 테두리 라인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될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될 수 있다. 사용자 등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입력부를 통해 조명 모드를 별도로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운전 정지 중 발광모듈(80)을 온시킬 수 있다. 발광모듈(80)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입체적 형상의 조명 패턴(PT)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고, 입체적 형상의 선명한 조명 패턴(PT)은 실내의 분위기를 고급화할 수 있다.
2: 베이스 6: 베이스 커버
8: 흡입 바디 10: 열교환기
15: 토출 바디 16: 송풍기
19: 송풍기 커버 41: 장식부
42: 전면 판넬 44: 후면 판넬
46: 필름 60: 광 확산 커버
70: 이너 바디 72: 후판
74: 하판 80: 발광모듈

Claims (1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 또는 베이스에 배치되는 이너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광 확산커버와;
    상기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커버는 상기 발광모듈과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되는 축소부를 갖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이너 바디의 상부에 상기 공간을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축소부는 하부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감소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는 하부로 갈수록 전후방향 폭이 감소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커버는 상기 이너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축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커버와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광 확산커버 보다 크고 상기 공간을 막는 후판과,
    상기 후판에서 돌출되고 상기 광 확산커버가 올려지는 하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베이스에 올려지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베이스 커버와 결합되는 측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면과 하면 및 배면이 개방되고,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베이스 커버의 내부로 삽입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는 좌측부 및 우측부가 전판부와 라운드지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광 확산 커버의 상부와 상기 이너 바디의 상부 사이를 막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커버는 상기 베이스 커버 및 이너 바디 보다 크기가 작은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는
    투명한 전면 판넬과;
    상기 전면 판넬의 후방에 위치하고 반투명하며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는 후면 판넬과;
    상기 전면 판넬과 후면 판넬 사이에 위치하고 장식부가 형성된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컨트롤박스가 설치되는 컨트롤박스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를 가리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 전방에 위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위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된 송풍기 커버와;
    상기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바디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커버는 상기 토출 바디의 아래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40006259A 2014-01-17 2014-01-17 공기조화기 KR10141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259A KR101412750B1 (ko) 2014-01-17 2014-01-1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259A KR101412750B1 (ko) 2014-01-17 2014-01-1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750B1 true KR101412750B1 (ko) 2014-06-30

Family

ID=5113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259A KR101412750B1 (ko) 2014-01-17 2014-01-1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7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782U (ko) * 1995-11-30 199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00031788A (ko) * 1998-11-10 2000-06-05 구자홍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KR100294673B1 (ko) 1998-11-28 2001-09-29 구자홍 냉난방겸용공기조화기
KR20120037562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에어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782U (ko) * 1995-11-30 199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00031788A (ko) * 1998-11-10 2000-06-05 구자홍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KR100294673B1 (ko) 1998-11-28 2001-09-29 구자홍 냉난방겸용공기조화기
KR20120037562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에어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29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064218B1 (ko) 공기조화기
KR101385291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KR20140089068A (ko) 공기조화기
KR101365216B1 (ko) 공기조화기
KR101318354B1 (ko) 공기조화기
KR100909244B1 (ko) 공기조화기
KR100902930B1 (ko) 공기조화기
KR101349311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3234A (ko) 공기조화기
KR101385292B1 (ko) 공기조화기
KR10094254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2750B1 (ko) 공기조화기
JP6507654B2 (ja) 空気調和機
KR100936496B1 (ko) 공기조화기
KR1015665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43238A (ko) 공기조화기
KR20140092956A (ko) 공기조화기
KR20130043989A (ko) 공기조화기
KR20130043979A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1868371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2104436B1 (ko) 공기조화기
KR101440519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98516A (ko) 공기조화기
KR2020000274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