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592A -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방송 수신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592A
KR20090093592A KR1020080019198A KR20080019198A KR20090093592A KR 20090093592 A KR20090093592 A KR 20090093592A KR 1020080019198 A KR1020080019198 A KR 1020080019198A KR 20080019198 A KR20080019198 A KR 20080019198A KR 20090093592 A KR20090093592 A KR 2009009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control mode
list
parent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8001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592A/ko
Publication of KR2009009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5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송 부가 정보 및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그램 또는 채널을 시청 가능한 항목으로 선택한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스트를 기준으로 현재 시간과 설정 시간을 비교하여 방송 시청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송 수신 장치{Method for Setting And Operation Of a Broadcasting Program And Broadcasting Recei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프로그램만 시청할 수 있도록 방송 시청을 제한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셋탑 박스(STB)와 같은 유형의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임의의 한 방송 채널을 선택 지정하는 경우, 해당 방송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로 디코딩 처리하여 다양한 메뉴 영상 등과 함께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 연결기기를 통해 출력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채널을 통해 간헐적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정보(SI: Service Information)들을 저장한 후, 해당 서비스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는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방송 중이거나 또는 방송 예정인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방송 부가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방송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명, 방송 시작 시간 및 방송 종료 시간 정보 등과 같은 EPG(Electric Program Guide)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는, 채널 스캔(Scan)을 통해 자동 검색된 채널 정보를 순차적으로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지정된 방송 채널의 순서에 따라 해당 채널을 찾아 순서를 변경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여과 과정 없이 수신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어린이 또는 청소년 등이 특정 시간대에 방송되는 성인용 채널을 시청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방인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 방송 수신 장치에 따른 방송 시청은 보호자가 없는 상태에서 폭력물이나 음란물 등이 성인용 채널을 통해 무분별하게 미성년자들에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시청자가 특정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방송만을 시청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시청 제한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의 셋탑 박스가 방송 부가 정보 및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 부가 정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채널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채널들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채널을 포함하는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운용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 방송 부가 정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프로그램 및 채널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채널들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활성화하는 과정; 현재 시간이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설정된 설정 시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이 아닌 경우, 방송 신호 출력을 제한하고 시청 대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설정을 위한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부가 정보와 채널 리스트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송 부가 정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프로그램 및 상기 채널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채널들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셋탑 박스; 상기 프로그램 및 상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방송 부가 정보 및 상기 채널 리스트와, 상기 방송 신호 중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방송 신호 중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특정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한하여, 불필요한 방송 프로그램 시청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EPG 정보 중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도 3은 본 발명의 채널 리스트 중 채널을 선택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도 4는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대응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도 5는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의 항목 특성을 변경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인터페이스,
도 6은 도 5에서 인증 확인이 수행된 이후, 항목의 특성을 나타내는 화면 인터페이스,
도 7은 도 6의 메뉴 중 제한 모드 항목 활성화에 따른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인터페이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모드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송 부가 정보는 EPG(Electric Program Guide) 및 ESG(Electric Service Guide) 등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송 방식 또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뿐만 아니라, DVB-H 방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특정 화면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해당 화면 인터페이스의 형태, 버튼, 버튼의 색인 및 정보 표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화면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별로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채널의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설계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화면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는 DTV 튜너부(100), 복조부(110), 디먹스(120), 디코더부(130), 표시부(140), 스피커(150), 입력부(170), 저장부(18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40)와 스피커(150) 및 입력부(170)를 제외한 구성은 셋탑 박스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TV 튜너부(100)는 이더넷 케이블, 위성파 수신 안테나, 동축 케이블, 전화선, VHF 혹은 UHF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V 튜너부(10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물리적으로 특정 채널을 선택한다. 그리고 DTV 튜너부(100)는 선택된 채널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형태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부(110)에 전달한다.
상기 복조부(110)는 DTV 튜너부(10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복조한다. 그리고 복조부(110)는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먹스(120)에 전달한다.
상기 디먹스(120)는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의 비디오 비트스트림(MPEG-2Bitstream), 오디오 비트스트림(AC-3 Bitstream)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데이터로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한다. 그리고 디먹스(120)는 디멀티플렉싱된 각 정보들을 디코더부(130)에 전달한다. 여기서 디먹스(120)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면서 비디오 비트스트림과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동기신호에 대한 정보를 디코더부(130)에 포함된 동기 처리부(13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먹스(120)는 PSIP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상기 디코더부(130)는 디먹스(120)에서 디멀티플렉싱된 각각의 신호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디코더부(130)는 비디오 디코딩 모듈(131), 오디오 디코딩 모듈(132), 동기 처리부(133) 및 영상 처리부(134)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딩 모듈(131)은 디먹스(120)로부터 전달받은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영상 처리부(134)에 전달한다. 오디오 디코딩 모듈(132)은 디먹스(12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스피커(150)에 전달한다. 이때, 오디오 디코딩 모듈(132)은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비트스트림 생성과 동기하여 스피커(150)에 전달한다.
동기 처리부(133)는 디먹스(120)로부터 동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비디오 디코딩 모듈(131) 및 오디오 디코딩 모듈(132)에 동기 신호를 전달한다. 즉, 동기 처리부(133)는 각각의 비디오 및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타임 스탬프(Time Stamps)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비디오 디코딩 모듈(131) 및 오디오 디코딩 모듈(132)의 클록 복구 및 A/V 동기 신호를 처리한다.
영상 처리부(134)는 비디오 디코딩 모듈(131)이 복호한 신호를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표시부(140)에 전달한다. 즉, 영상 처리부(134)는 상기 비디오 디코딩 모듈(131)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출력 포맷으로 변환 처리한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134)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디코딩 모듈(131)이 복호한 신호와, 디먹스(120)로부터 전달받은 PSIP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방송 부가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34)가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신호에 대하여 표시부(140)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리모콘, 버튼 및 터치스크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70)는 방송 수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 채널 전환 신호, 시청 제한 모드 실행을 위한 신호,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위한 신호 등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영상 처리부(134)가 영상 처리한 신호 즉 프레임을 출력하여 시청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되는 경우, 입력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시청 제한 모드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 및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80)는 제어부(160)로부터 방송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디코딩 모듈(131) 및 오디오 디코딩 모듈(132)이 복호한 신호를 저장 즉,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80)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저장하고, 방송 수신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해당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시청 제한 모드는 사용자가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하고, 해당 제한 상태를 디폴트 모드 또는 특정 사용자 시청 시 운용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3인 가족의 방송 수신 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부모와 자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시청 제한 모드는 자식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시청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자식이 특정 시간에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술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 간 전달되는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디먹스(120)로부터 수신된 PSIP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송 부가 정보를 생성하며, DTV 튜너부(100)를 이용하여 채널을 스캔 한 후 채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방송 부가 정보 및 채널 리스트를 기반으로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시청 제한 모드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은 사용자가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을 활성화한 후, 방송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화면 예를 들어 EPG 화면을 통하여 특정 프로그램만을 시청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채널 리스트 표시 화면을 통하여 특정 채널에 대한 시청 시간 설정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EPG 정보 및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먹스(120)로부터 수신하여 영상 처리부(134)를 통하여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청 제한 모드 운용은 사용자가 시청 제한 모드를 설정한 이후, 해당 시청 제한 모드를 디폴트 모드로 지정하면, 방송 수신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시청 제한 모드로 동작하여, 현재 시간이 방송 시청할 수 있도록 설정된 시간인지 여부를 확인한 이후, 해당 시간일 경우 방송을 출력한다. 시청 제한 모드 운용은 사용자 전환을 위해서 타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리스트 중 특정 사용자 지정 및 해당 사용자의 시청 제한 모드 활성화를 위해서 비밀번호와 같은 암호 설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 제한 모드 운용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운용 중 EPG 화면을 이용한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하여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부가 정보인 EPG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해 놓은 상태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부(170)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고, 지정된 사용자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요청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화면의 일정 영역에 EPG 정보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예를 들면, "CH1 KBS, CH2 MBC...CH10 EBS" 등을 표시하며, 채널 리스트가 출력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 채널에서 방송할 프로그램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들의 리스트는 시간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면 인터페이스는 하단 영역에 EPG 정보 중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 EPG 정보 중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시청 제한 모드 설정 여부를 나타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EPG 정보 중 CH2 MBC의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된 "M 드라마"를 선택하고, 선택된 "M 드라마"를 시청 제한 모드에 적용될 프로그램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하단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확인" 버튼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인터페이스는 "M 드라마"가 시청 제한 모드에 적용됨을 나타내는 팝업창을 화면 중앙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M 드라마"가 시청 제한 모드에 의해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지정하게 되면, 화면 인터페이스는 하단 영역에 지정된 "M 드라마"가 시청 제한 모드가 적용된 프로그램임을 나타내는 "P" 마크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EPG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선택하여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청 가능 프로그램으로 지정된 프로그램을 선택되지 않은 프로그램들과 구별되도록 음영이 반전되거나, 하이라이트 표시가 되는 등의 효과를 가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운용 중 채널 리스트 화면을 이용한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제어부(160)는 채널 스캔 과정을 수행하여 채널 리스트를 수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화면의 일정 영역에 채널 리스트 예를 들면, "CH1 KBS, CH2 MBC...CH10 EBS" 등을 표시한다. 그리고 화면 인터페이스는 하단 영역에 채널 리스트 중 시청 제한 모드가 설정된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CH10 EBS"를 선택하고, 선택된 "CH10 EBS"를 시청 제한 모드에 적용될 프로그램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하단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확인" 버튼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인터페이스는 "CH10 EBS"가 시청 제한 모드에 적용됨을 나타내는 팝업창을 화면 중앙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CH10 EBS"가 시청 제한 모드에 의해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해당 채널을 지정하게 되면, 화면 인터페이스는 하단 영역에 지정된 "CH10 EBS"가 시청 제한 모드가 적용된 채널임을 나타내는 "P" 마크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채널 리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시청 가능한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시청 가능한 채널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청 가능 채널로 지정된 채널과 선택되지 않은 채널들이 구별되도록 음영이 반전되거나, 하이라이트 표시가 되는 등의 효과를 가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60)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으로 선택된 채널에 대하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특정 채널을 시청 제한 모드로 선택한 경우, 제어부(160)는 채널의 시청 가능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팝업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팝업창에 특정 시간을 기입함으로써, 시청 제한 모드로 선택된 채널의 시청 가능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에 따른 리스트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화면의 일정 영역에 사용자가 설정한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즉 리스트는 EPG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프로그램 항목인 "CH2 MBC M 교육1 10:30 ~ 11:30"과, 채널 리스트 기반으로 선택된 채널 항목인 "CH10 EBS E 교육1 None"을 포함한다. EPG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프로그램 항목은 채널 선국 정보인 CH2, 채널 방송사 정보인 MBC, 프로그램 정보인 M 교육1, 프로그램 시청 시간 정보인 10:30 ~ 11:30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리스트 기반으로 선택된 채널 항목은 채널 선국 정보인 CH10, 채널 방송사 정보인 EBS, 채널 상세 정보인 E 교육1, 채널 시청 시간 정보 N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상세 정보인 E 교육1은 생략될 수 있으며, None은 채널 시청 가능 시간의 제한이 없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None은 항상 시청 가능한 채널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화면 인터페이스 하단에는 각 제한 모드 리스트에 설정된 항목들을 삭제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버튼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단에 표시된 "D" 버튼 마크는 제한 모드 리스트에 설정된 항목을 삭제하여 시청할 수 없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E" 버튼 마크는 제한 모드 리스트에 EPG 정보를 기반으로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즉, "E" 버튼이 활성화되면, 도 2에 도시된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C" 버튼 마크는 제한 모드 리스트에 채널 리스트를 기반으로 시청 가능한 채널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즉 "C" 버튼이 활성화되면 도 3에 도시된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각 D, E, C 버튼은 입력부(170)의 특정 버튼 예를 들면 리모콘의 특정 버튼에 동일한 색 및 동일한 색인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특정 버튼을 지정하여 활성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리모콘의 버튼 누름 동작을 통하여 해당 버튼을 활성화할 수 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의 설정 변경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출력된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 중 특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항목을 지정하고, 변경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항목을 지정하고, 확인 키 등을 이용하여 해당 항목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변경에 대한 접근 제어를 위하여 암호 설정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적절한 암호가 입력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위한 항목 명인 "Parent control"을 표시하며, 이하 해당 프로그램 또는 채널에 대한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위한 상세 정보들을 출력한다. 상제 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채널의 시청 가능 연령대를 나타내는 "Maturity Rating", 설치(Install) 및 STB(Set-Top-Box) 잠김(Lock) 여부를 나타낸 정보, 시청 제한 모드 설정 여부를 나타내는 "Parental unlock", 핀코드 변경을 위한 "change PIN code"를 포함한다.
상술한 상세 정보에서 "Parental unlock"을 지정하여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프로그램 또는 채널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면 인터페이스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항목임을 나타내는 "Parental unlock"을 화면 일측에 표시하고, 시청 가능 프로그램 또는 채널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 "Parental unlock : Yes"를 표시하며, 해당 프로그램 또는 채널의 시청 가능한 시간에 대한 정보 "Time control"을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Time control" 영역에 기재된 시간 정보를 변경하여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이 완료되면 확인(OK)키를 이용하여 설정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는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여 출력하는 모드 방송의 출력을 제한하고, 그 중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프로그램 또는 특정 채널의 특정 시간대를 시청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특정 사용자가 한정된 시간 동안 한정된 프로그램 또는 채널만 방송 시청이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기능을 셋탑 박스에서 지원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서, 셋탑 박스에 연결되어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TV 수상기의 종류나, 방송 방식 등의 제한 없이 다양한 TV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과 각 역할 및 출력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기반으로 시청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시청 제한 모드를 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 제한 모드 운용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부(160)는 S101 단계에서 사용자의 전원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턴-온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S103 단계에서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3인 가족에 있어서, 부모 "A"와 자식 "B"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부모 "A"는 부모들이 시청할 수 있는 계정과 자식 "B"가 시청할 수 있는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팝업창에 "A" 및 "B"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식 "B"가 방송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자식 "B"는 S101 단계에서 전원을 턴-온시키고, S103 단계에서 출력되는 리스트 중 "B"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부모"A"는 자신의 계정에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S103 단계에서 선택된 계정에 암호 설정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S105 단계에서 확인하고, 암호 설정이 되어 있는 S107 단계에서 암호 입력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자식 "B"는 부모 "A" 계정으로 시청하고자 할지라도, 적절한 암호를 입력할 수 없으므로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없을 것이다.
S103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가 암호 설정이 없는 경우, S105 단계에서 S107 단계를 거치지 않고, S109 단계로 바로 진행할 수 있다. S109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선택된 시청 제한 모드를 활성화한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80)는 사용자별로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6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읽어 와서, 해당 설정 리스트에 따라 방송 시청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제어부(160)는 S111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저장부(180)로부터 읽어온 시청 제한 설정 리스트에서 허용하는 설정 시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111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설정 시간이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S113 단계로 분기하여 방송 시청을 할 수 없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S111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설정 시간이 아닌 경우 S115 단계로 분기하여 방송을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S109 단계에서 시청 제한 모드를 활성화하면서, 현재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의 시간 및 시청 가능한 채널과 시간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S103 단계에서 사용자를 선택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즉, 부모 "A"가 "B" 계정에 대하여 디폴트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60)는 S101 단계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S109 단계로 바로 진입하여 "B" 계정에 대한 시청 제한 모드 리스트를 읽어 오고, 그에 따른 방송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사용자가"A" 계정에 대하여 디폴트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107 단계로 분기하도록 제어하여, 암호 입력을 위한 팝업창을 활성화하고, 적절한 암호가 입력된 후에 S1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방송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선택하는 사용자 계정은 환경 설정을 통하여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운용은 방송 시청을 전부 제한한 후, 특정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 채널 및 채널 시간대를 설정하여 방송 시청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운용은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방송 시청에 대한 제한 설정의 변경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방송 수신 장치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부가 정보와 채널 리스트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은 먼저, S201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70)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신호가 시청 제한 모드 설정 여부인지를 확인하고,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이 아닌 경우, S203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기능 예를 들면, 방송 시청, 녹화, 채널 변경 등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S201 단계에서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을 위한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S205 단계로 분기하여 암호 입력을 요청하는 팝업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S205 단계 이전에 제어부(160)는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출력된 메뉴 화면 중 시청 제한 모드 설정에 해당하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 S205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적절한 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S207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시청 제한 모드를 설정하도록 지원한다. 즉, 제어부(160)는 EPG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설정 및 채널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채널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EPG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설정은 EPG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가 리모콘, 버튼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설정된 프로그램을 시청 제한 모드 리스트에 포함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때, 제어부(160)는 선택된 프로그램들을 선택되지 않은 프로그램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두드러지게 표시 예를 들면 음영 반전, 테두리 강조, 점멸 등의 표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채널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설정은 채널 항목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하고, 출력된 리스트 중 특정 채널을 시청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특정 채널에 대한 시청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시청 시간대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해당 채널은 별도의 시청 제한 없이 시청할 수 있는 채널로 설정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의 시청 제한 모드 설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S209 단계에서 확인하고, 종료되지 않은 경우, S207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에서, EPG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설정 및 채널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채널 설정이 완료된 이후, 즉 시청 제한 모드 리스트 설정이 완료된 이후, 해당 리스트 정정 즉, 삭제와 추가를 위하여, 리스트가 출력된 화면에서 EPG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설정 화면 및 채널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채널 설정 화면으로 분기할 수 있는 링크 예를 들면 버튼 마크를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가 시청하도록 설정한 리스트 상에서 다른 프로그램, 채널을 추가 또는 리스트에 있는 항목을 삭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특정 사용자의 방송 시청을 제한할 수 있는 리스트 즉, 방송 시청 스케줄을 셋탑 박스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용자별로 제한을 하도록 함으로써, 설정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2)

  1. 방송 수신 장치의 셋탑 박스가 방송 부가 정보 및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 부가 정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항목을 포함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채널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채널들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채널을 포함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부가 정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항목을 포함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방송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부가 정보에 포함된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채널들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채널을 포함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채널의 시청 가능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채널을 포함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송 부가 정보 중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버튼,
    상기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을 선택하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버튼 및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을 삭제할 수 있는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부가 정보 중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화면 및 상기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을 선택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프로그램 또는 채널 항목은 선택되지 않는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따라 방송 시청할 사용자를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 생성을 위한 인증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방법.
  7. 방송 수신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
    방송 부가 정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프로그램 및 채널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채널들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활성화하는 과정;
    현재 시간이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설정된 설정 시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이 아닌 경우, 방송 신호 출력을 제한하고 시청 대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 활성화 이전에 사용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 활성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사용에 대응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활성화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운용 방법.
  9.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부가 정보와 채널 리스트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송 부가 정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프로그램 및 상기 채널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채널들 중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셋탑 박스;
    상기 프로그램 및 상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방송 부가 정보 및 상기 채널 리스트와, 상기 방송 신호 중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방송 신호 중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방송 부가 정보 중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선택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채널 리스트 중 시청 가능한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선택된 채널의 시청 가능 시간대를 설정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출력된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서 항목을 삭제할 수 있는 버튼, 상기 프로그램 선택 화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채널 선택 화면 인터페이스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선택 화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채널 선택 화면 인터페이스는
    시청 가능하도록 선택된 항목과 선택되지 않은 항목이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청 제한 모드 설정 리스트에 따라 방송 시청할 사용자를 선택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에 따라 인증 확인을 위한 팝업 창을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080019198A 2008-02-29 2008-02-29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방송 수신 장치 KR20090093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98A KR20090093592A (ko) 2008-02-29 2008-02-29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방송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98A KR20090093592A (ko) 2008-02-29 2008-02-29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방송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92A true KR20090093592A (ko) 2009-09-02

Family

ID=4130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198A KR20090093592A (ko) 2008-02-29 2008-02-29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5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214A (ko) * 2012-08-13 2014-02-2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리스트 일괄 설정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단말기
WO2019024099A1 (zh) * 2017-08-04 2019-02-07 深圳市智晟达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频道锁定方法及数字电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214A (ko) * 2012-08-13 2014-02-2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리스트 일괄 설정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단말기
WO2019024099A1 (zh) * 2017-08-04 2019-02-07 深圳市智晟达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频道锁定方法及数字电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8132B1 (en) Method for diplaying the thread of program in a broadcasting receiver
WO2013157349A1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MXPA02009809A (es) Metodo y sistema para habilitar el bloqueo de un programa.
CN101779449B (zh) 用于显示电子节目指南的方法和装置
US8336072B2 (en) Television receiver device
KR101443609B1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KR20090093592A (ko) 방송 시청 제한 모드 설정과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방송 수신 장치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60008389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장치 및방법
US20150020090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system
KR10076117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JP437150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569449B1 (ko) 디지털 tv 수신기에서 채널 검색 방법
KR10062158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가이드제공 방법
KR20090127560A (ko) 영상표시기기 및 채널 탐색 방법
KR100452615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방송국별 선국 제어방법 및디지털 방송 시스템
KR20060106221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JP200424224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78262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채널 전환방법
KR101481687B1 (ko) 티브이 수신장치
JP200510187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22007B1 (ko) 옥내수신장치를 이용한 텔레비젼 시청 제한방법
KR100720688B1 (ko) Epg 정보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75158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청 제한 방법
JP2007259034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02

Effective date: 2011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