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513A -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513A
KR20090093513A KR1020080019068A KR20080019068A KR20090093513A KR 20090093513 A KR20090093513 A KR 20090093513A KR 1020080019068 A KR1020080019068 A KR 1020080019068A KR 20080019068 A KR20080019068 A KR 20080019068A KR 20090093513 A KR20090093513 A KR 20090093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anchor body
retaining wall
coupled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240B1 (ko
Inventor
홍건영
최진희
Original Assignee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주)하이텍이앤씨
홍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주)하이텍이앤씨, 홍건영 filed Critical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2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10)에 삽입고정된 앵커체(20)와, 사면(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구조물(30)과, 전방구조물(3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재(40)를 포함하는 사면보강구조물을 보강하도록, 앵커체(20)와 보강재(40)를 연결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0); 앵커체(20)의 전단부가 결합하도록 본체(100)에 설치된 앵커체 결합부(200); 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보강재(40)의 후단부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보강재 결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COUPLING DEVICE IN REINFORCED RETAINAING WALL}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와 후방 앵커 구조물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일반적인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형성된 사면(10)은 배후토사의 토압에 의한 붕괴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일네일링(20a) 등의 앵커체(20)를 설치하거나, 사면(10)의 표면(11)에 숏크리트(shotcrete)를 타설하는 등의 보강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보강토 옹벽은 사면(10)에 삽입고정된 앵커체(20)와, 사면(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구조물(30)과, 그 전방구조물(3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앵커체(20)로서 소일네일링(20a)이 시공되고, 전방구조물(30)로서 옹벽(30a)이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옹벽(30a)의 표면재가 보강재(40)에 의해 지지되어, 사면(10) 및 배후토사(50)의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보강재(40)가 옹벽(30a)의 표면재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보강재(40)의 후단부가 별도의 지중앵커에 의해 토체에 고정되거나, 사면(10)에 삽입고정된 앵커체(20)와 연결됨으로써 고정되는 등의 구조를 취하여야 한다.
사면(10)의 표면(11)과 전방구조물(30) 사이의 간격이 넓을 경우에는 별도의 지중앵커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간격이 좁을 경우에는 사면(10)에 삽입고정된 앵커체(20)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안정성이나 시공성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소일네일링(20a)의 전단부가 전면판(60) 및 너트(61)에 삽입고정됨에 의해 지지되고, 전면판(60)은 사면(10)의 표면(11)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판(60) 사이에는 띠장철근(62)이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옹벽(30a)의 표면재를 지지하는 보강재(40)는 소일네일링(20a)의 전단부에 직접 용접되거나, 전면판(60)의 표면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옹벽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첫째, 현장마다 시공여건이 상이함에 따라, 앵커체(20) 및 보강재(40)의 위치가 일정지점에서 직선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앵커체(20)의 전단부와 보강재(40)의 후단부가 안정적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둘째,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보강재(40)의 후단부가 전면판(60)의 가장자리부나 띠장철근(62)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위를 형성하므로, 옹벽 전체의 안정성을 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면(10)에 삽입고정된 앵커체(20)와, 상기 사면(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구조물(30)과, 상기 전방구조물(3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재(40)를 포함하는 사면보강구조물을 보강하도록, 상기 앵커체(20)와 보강재(40)를 연결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에 있어서, 본체(100); 상기 앵커체(20)의 전단부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앵커체 결합부(200);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재(40)의 후단부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보강재 결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를 제시한다.
상기 보강재 결합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 핀부재(310); 상기 보강재(40)의 후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핀부재(310)의 단부에 설치된 고리부재(320); 상기 고리부재(3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보강재(40)의 후단부에 설치된 이탈방지부(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부재(320)는 상기 핀부재(310)의 양단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부재(310)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고리부재(320)는 상호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체 결합부(200)는, 상기 앵커체(20)의 삽입방향을 축으로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상호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330)는 쐐기부(331a)가 상기 보강재(4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보강재(40)의 전단부에 결합하는 쐐기부재(331); 전방에 상기 쐐기부재(331)의 쐐기부(331a)가 삽입되도록 쐐기부 삽입공(332a)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보강재(40)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앵커체 삽입공(332b)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쐐기부재(331)의 쐐기부(331a) 측에 결합하는 보강재 연결부재(332); 상기 쐐기부재(331)의 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재 연결부재(332)의 쐐기부 삽입공(332a) 측에 결합하는 마개부재(3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체 결합부(200)는 쐐기부(211)가 상기 앵커체(2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앵커체(20)의 전단부에 결합하는 쐐기부재(210)와; 전방에 상기 쐐기부재(210)의 쐐기부(211)가 삽입되도록 쐐기부 삽입공(221)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앵커체(20)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앵커체 삽입공(2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쐐기부재(210)의 쐐기부(211) 측에 결합하는 앵커체 연결부재(220)와; 상기 쐐기부재(210)의 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체 연결부재(220)의 쐐기부 삽입공(221) 측에 결합하는 앵커체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쐐기부재(210,331)는 복수의 조각부재(210a,210b,210c,331a,331b,331c)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조각부재(210a,210b,210c,331a,331b,331c)는 탄성 재질에 의한 오-링(400)에 의해 상호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보다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옹벽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
도 3 내지 10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옹벽의 단면도.
도 4는 연결기구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연결기구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연결기구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이탈방지부의 단면도.
도 8은 앵커체 결합부의 제1상태도.
도 9는 앵커체 결합부의 제2상태도.
도 10은 쐐기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면 20 : 앵커체
30 : 전방구조물 40 :보강재
100 : 본체 200 : 앵커체 결합부
210 : 쐐기부재 210a,210b,210c : 조각부재
211 : 쐐기부 220 : 앵커체 연결부재
221 : 쐐기부 삽입공 222 : 앵커체 삽입공
230 : 앵커체 고정부 300 : 보강재 결합부
310 : 핀부재 320 : 고리부재
330 : 이탈방지부 331 : 쐐기부재
331a,331b,331c : 조각부재 331a : 쐐기부
332 : 보강재 연결부재 332a : 쐐기부 삽입공
332b : 앵커체 삽입공 333 : 마개부재
400 : 오-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는 기본적으로, 사면(10)에 삽입고정된 앵커체(20)와, 사면(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구조물(30)과, 전방구조물(3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재(40)를 포함하는 사면보강구조물을 보강하도록, 앵커체(20)와 보강재(40)를 연결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체(100); 앵커체(20)의 전단부가 결합하도록 본체(100)에 설치된 앵커체 결합부(200); 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보강재(40)의 후단부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보강재 결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방구조물(30)을 지지하는 보강재(40)와 사면(10)에 삽입고정된 앵커체(20)가 상호 연결되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종래의 구조물은 보강재(40)의 후단부와 앵커체(20)의 전단부가 일정지점에서 직선적으로 만나기 어렵다는 시공여건상의 문제를 해소하지 못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별도의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가 설치된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이다.
즉,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40)가 결합한 보강재 결합부(300)가 앵커체(20)가 설치된 본체(100)에 대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앵커체(20) 및 보강재(40)가 반드시 일정 지점에서 직선형으로 만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강재 결합부(300)는 보강재(40)의 후단부가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을 취하더라도 관계없다.
도 5,6은 위 보강재 결합부(300)의 일실시예로서, 본체(100)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 핀부재(310); 보강재(40)의 후단부가 삽입되도록, 핀부재(310)의 단부에 설치된 고리부재(320); 고리부재(3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보강재(40)의 후단부에 설치된 이탈방지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보강재(40)의 후단부를 회전가능한 고리부재(320)에 삽입하고, 그 후단에 이탈방지부(330)를 설치함으로써, 앵커체(20)가 어떠한 각도로 설치되더라도, 보강재(40)와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고리부재(320)는 핀부재(310)의 일단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양단에 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하나의 앵커체(20)에 2개의 보강재(40)를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하나의 본체(100)에 이와 같은 핀부재(310) 및 고리부재(320)를 복수 설치하는 경우, 하나의 앵커체(20)에 더욱 많은 수의 보강재(40)를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핀부재(310)의 양단에 설치된 고리부재(320)가 상호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앵커체(20)에 결합할 복수의 보강재(40)의 결합각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이탈방지부(330)는 보강재(4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보강재(40)가 고리부재(32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도 7은 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쐐기부(331a)가 보강재(4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보강재(40)의 전단부에 결합하는 쐐기부재(331); 전방에 쐐기부재(331)의 쐐기부(331a)가 삽입되도록 쐐기부 삽입공(332a)이 형성되고, 후방에 보강재(40)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앵커체 삽입공(332b)이 형성됨과 아울러, 쐐기부재(331)의 쐐기부(331a) 측에 결합하는 보강재 연결부재(332); 쐐기부재(331)의 두부를 지지하도록, 보강재 연결부재(332)의 쐐기부 삽입공(332a) 측에 결합하는 마개부재(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보강재(40)의 후단부에 연결부재(332) 및 쐐기부재(331)를 설치하고, 연결부재(332)의 후단에 마개부재(333)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보강재(40)와 위 부재들의 안정된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쐐기부재(210,331)는 복수의 조각부재(210a,210b,210c,331a,331b,331c)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보강재(40)의 후단부에 대한 결합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이들 복수의 조각부재(210a,210b,210c,331a,331b,331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질에 의한 오-링(400)에 의해 상호 결합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쐐기부재(210,331)의 보관 및 탈부착 작업의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앵커체 결합부(200)는 앵커체(20)의 전단부가 결합하도록 본체(100)에 설치된 구조로서, 위 보강재(40)와 이탈방지부(330)의 결합구조와 동일한 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211)가 앵커체(2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앵커체(20)의 전단부에 결합하는 쐐기부재(210)와; 전방에 쐐기부재(210)의 쐐기부(211)가 삽입되도록 쐐기부 삽입공(221)이 형성되고, 후방에 앵커체(20)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앵커체 삽입공(2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쐐기부재(210)의 쐐기부(211) 측에 결합하는 앵커체 연결부재(220)와; 쐐기부재(210)의 두부를 지지하도록,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어, 앵커체 연결부재(220)의 쐐기부 삽입공(221) 측에 결합하는 앵커체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체 결합부(200)가 회전축(240) 등의 구성에 의해, 앵커체(20)의 삽입방향을 축으로 본체(100)에 대하여 상호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앵커체(20)와 보강재(40)의 결합각을 더욱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사면(10)에 삽입고정된 앵커체(20)와,
    상기 사면(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구조물(30)과,
    상기 전방구조물(3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재(40)를 포함하는 사면보강구조물을 보강하도록, 상기 앵커체(20)와 보강재(40)를 연결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에 있어서,
    본체(100);
    상기 앵커체(20)의 전단부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앵커체 결합부(200);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재(40)의 후단부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보강재 결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결합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 핀부재(310);
    상기 보강재(40)의 후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핀부재(310)의 단부에 설치된 고리부재(320);
    상기 고리부재(3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보강재(40)의 후단부에 설치된 이탈방지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320)는 상기 핀부재(310)의 양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310)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고리부재(320)는 상호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 결합부(200)는, 상기 앵커체(20)의 삽입방향을 축으로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상호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330)는
    쐐기부(331a)가 상기 보강재(4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보강재(40)의 전단부에 결합하는 쐐기부재(331);
    전방에 상기 쐐기부재(331)의 쐐기부(331a)가 삽입되도록 쐐기부 삽입공(332a)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보강재(40)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앵커체 삽입공(332b)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쐐기부재(331)의 쐐기부(331a) 측에 결합하는 보강재 연결부재(332);
    상기 쐐기부재(331)의 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재 연결부재(332)의 쐐기부 삽입공(332a) 측에 결합하는 마개부재(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 결합부(200)는
    쐐기부(211)가 상기 앵커체(2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앵커체(20)의 전단부에 결합하는 쐐기부재(210)와;
    전방에 상기 쐐기부재(210)의 쐐기부(211)가 삽입되도록 쐐기부 삽입공(221)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앵커체(20)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앵커체 삽입공(2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쐐기부재(210)의 쐐기부(211) 측에 결합하는 앵커체 연결부재(220)와;
    상기 쐐기부재(210)의 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체 연결부재(220)의 쐐기부 삽입공(221) 측에 결합하는 앵커체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210,331)는 복수의 조각부재(210a,210b,210c,331a,331b,331c)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각부재(210a,210b,210c,331a,331b,331c)는 탄성 재질에 의한 오-링(400)에 의해 상호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1020080019068A 2008-02-29 2008-02-29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101042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068A KR101042240B1 (ko) 2008-02-29 2008-02-29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068A KR101042240B1 (ko) 2008-02-29 2008-02-29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13A true KR20090093513A (ko) 2009-09-02
KR101042240B1 KR101042240B1 (ko) 2011-06-17

Family

ID=4130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068A KR101042240B1 (ko) 2008-02-29 2008-02-29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2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351B1 (ko) * 2019-09-23 2020-04-09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옹벽 축조를 위한 소일네일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KR20200126199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블록식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61795A (ko) * 2021-05-31 2022-12-0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06979B1 (ko) * 2022-08-24 2023-03-07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절토부의 발파석 옹벽 고정용 소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발파석 옹벽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66B1 (ko) * 2002-08-12 2005-12-06 박기종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414856Y1 (ko) * 2006-02-01 2006-04-25 김범연 인장재의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그라운드 앵커체 구조
KR100767453B1 (ko) * 2006-03-17 2007-10-17 홍건영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199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블록식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099351B1 (ko) * 2019-09-23 2020-04-09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옹벽 축조를 위한 소일네일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KR20220161795A (ko) * 2021-05-31 2022-12-0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06979B1 (ko) * 2022-08-24 2023-03-07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절토부의 발파석 옹벽 고정용 소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발파석 옹벽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240B1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453B1 (ko)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101042240B1 (ko)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BR112018016237B1 (pt) Parte fêmea, dispositivo de retenção, e sistema de pinos
KR101888331B1 (ko) 흙막이 가설 구조체의 버팀보용 회전 브라켓트 장치 및 흙막이 가설 구조체의 시공방법
JP5374677B2 (ja) ピン装置を用いた既存建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JP5854508B2 (ja) 山留壁の支持構造
BRPI0410192B1 (pt) Parafuso de ancoragem expansível, e, sistema de aparafusamento de ancoragem
JP2007205113A (ja) 構造物の連結装置
KR20180111097A (ko) 회전 고정형 어스앵커체
KR102133053B1 (ko)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띠장-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체
KR101565154B1 (ko) 지주용 스크류 파일
KR101341176B1 (ko) 해상 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04342B1 (ko) Pc파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pc파일 구조물
KR20170057808A (ko) 복합파일
KR102191389B1 (ko)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KR102047520B1 (ko)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20180041845A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20180043478A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200215676Y1 (ko) 수로관 및 수로관 연결소켓
KR101996219B1 (ko) 흙막이벽의 회전 브라켓 장치 및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KR101286570B1 (ko) 지보 연결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용 지보 어셈블리
JP2010133202A (ja) スイング式ジャッキの取付構造およびコッターの回り止め板
JP2009270403A (ja) 中空パイルの埋設装置に用いるクラッチ体
KR100714042B1 (ko)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KR20150109981A (ko) 소구경 강관 말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