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055A -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 Google Patents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055A
KR20090093055A KR1020080018365A KR20080018365A KR20090093055A KR 20090093055 A KR20090093055 A KR 20090093055A KR 1020080018365 A KR1020080018365 A KR 1020080018365A KR 20080018365 A KR20080018365 A KR 20080018365A KR 20090093055 A KR20090093055 A KR 20090093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tube heater
fiber tube
heat transf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택
Original Assignee
김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택 filed Critical 김영택
Priority to KR102008001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055A/ko
Publication of KR2009009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와 급수탱크(20)를 구비하는 보일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전열핀(35)을 구비하는 전열관(30); 상기 전열관(30)의 내부에 긴밀하게 설치되고, 양단에서 절연구(42)로 보호되는 탄소섬유 튜브히터(40); 및 상기 탄소섬유 튜브히터(40)에 설정된 조건으로 전원을 인가하면서 단선검출센서(52)로 단선을 검출하는 제어패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열관(30)의 외단에는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절연구(42)와 결합되는 절연캡(44)을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중소형의 공장에서 난방과 공정작업을 겸하는 용도로서 전체적인 외형을 축소하면서도 열효율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Steam boiler apparatus using carbon fiber tube heater}
본 발명은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외형을 축소하면서도 열효율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보일러는 일반온수용의 소형원형보일러, 일반온수용과 저압증기용의 주철제보일러, 고압증기용의 관류보일러, 고온수용과 고압증기용의 강판보일러, 고압증기용의 수관보일러 등으로 구분된다. 중소규모의 공장 등에서 난방과 온수공급을 겸하는 용도로는 관류보일러보다 연관보일러와 같은 소형원형보일러나 전기보일러와 같은 특수보일러가 선호된다. 더구나 전기작동 방식의 탄소섬유가 발열체로 개발된 후에 보일러의 열원으로 채용되기도 한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0779726호에 의하면 커버 하우징, 이너 하우징, 히터 하우징, 탄소섬유 히터 유닛, 열매체유, 수관을 포함하는 보일러에서 상기 수관은 가열된 상기 열매체유의 자연대류에 의해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탄소섬유 히터 유닛의 상측에 사각형 모양으로 감겨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그러나 이는 수관 하부에 탄소섬유 히터가 배치되고 탄소섬유 히터 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열매체유를 통하여 수관 내부의 물로 전달하기 때문에 초기 가동에 따른 시간소요가 길고 높은 열용량을 기대하기 곤란하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0711734호에 의하면 아우터 하우징, 이너 하우징, 히터 서포터, 탄소섬유 히터, 전원 공급 라인을 지닌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열매체유, 순환 파이프, 순환 펌프를 포함하므로 근본적으로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 제0779726호와 원리상으로 유사하다. 다만 탄소섬유 히터가 순환 파이프의 중심에 배치되므로 다소의 용량 증가는 가능하지만 간접가열 방식에 기인한 성능 상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0779726호 “탄소섬유 히터 전기 보일러”
[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0711734호 “탄소섬유 히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규모 이상의 공장에서 난방과 공정작업을 겸하는 용도로서 전체적인 외형을 축소하면서도 열효율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와 급수탱크를 구비하는 보일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전열핀을 구비하는 전열관; 상기 전열관의 내부에 긴밀하게 설치되고, 양단에서 절연구로 보호되는 탄소섬유 튜브히터; 및 상기 탄소섬유 튜브히터에 설정된 조건으로 전원을 인가하면서 단선검출센서로 단선을 검출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열관의 외단에는 탄소섬유 튜브히터의 절연구와 결합되는 절연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패널은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단선검출센서의 신호를 검출하여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규모 이상의 공장에서 난방과 공정작업을 겸하는 용도로서 전체적인 외형을 축소하면서도 열효율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의 요부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탄소섬유 튜브히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패널의 세부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본체 20: 급수탱크
25: 순환펌프 30: 전열관
35: 전열핀 40: 탄소섬유 튜브히터
42: 절연구 44: 절연캡
50: 제어패널 52: 단선검출센서
54: 스위치 55: 마이컴
56: 디스플레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의 요부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탄소섬유 튜브히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패널의 세부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10)와 급수탱크(20)를 구비하는 보일러장치에 관련된다.
통상 보일러에 있어 본체(10)의 하부는 수실이고 상측은 증기실이다. 본체(10)의 측면으로는 수면계(12)가 설치되고, 상면에는 압력계(14)와 압력조절기(16)가 설치되며, 급수탱크(20)는 순환펌프(25)를 개재하여 본체(10)의 수실에 배관 연결된다. 연관보일러와 같은 원형보일러는 물론 수관을 사용하는 관류보일러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통형의 본체(10)를 택하는 것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과 사각형의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높은 고압을 견뎌내야 하는 증기보일러의 특성상 원통형이 적당하다.
본체(10)에서 발생한 증기는 밸브를 거쳐 난방용 코일 또는 공정장비에 공급된 후 다시 본체(10)로 순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전열관(30)과 튜브히터(40)와 제어패널(50)로 이루어진다. 외주면에 전열핀(35)을 구비하는 상기 전열관(30)이 본체(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관(30)은 본체(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전열 기능을 고려하여 보다 얇은 두께로 고강도를 발휘하는 소재를 택할 수도 있다. 전열관(30)의 외주면에 무수한 전열핀(35)이 형성되는데, 전열핀(35)은 사다리꼴의 완만한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 전열핀(35)이 높게 형성되면 일시적인 효능은 좋으나 일정 기간이 경과된 후에 물때가 끼어 오히려 전열기능을 저하시킨다. 도면상에 도시된 전열관(30)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 하였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에서 절연구(42)로 보호되는 탄소섬유 튜브히터(40)가 상기 전열관(30)의 내부에 긴밀하게 설치된다. 탄소섬유 튜브히터(40)는 탄소섬유를 나선형으로 꼬아 필라멘트를 형성하거나 그물망 형태의 격자형으로 꼬아 필라멘트를 형성하여 유리제 튜브 내부에 진공으로 봉입한 형태이다. 절연구(42)는 단열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고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된다. 절연구(42)의 외경은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설치 상태에서 전열관(30)과의 간격이 최소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설치상태에서 절연구(42)가 전열관(30)의 양단으로 약간 노출되도록 하여 피복전선(46)의 연결이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전열관(30)의 외단에는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절연구(42)와 결합되는 절연캡(44)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절연캡(44)은 절연성과 함께 단열성도 요구되며, 절연구(42)와 맞물림 방식이나 볼트 방식으로 결합한다. 본체(10)의 외면에 절연캡(44)이 설치되면 작업자나 관리자가 전기와 고온에 의한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소섬유 튜브히터(40)에 설정된 조건으로 전원을 인가하면서 단선검출센서(52)로 단선을 검출하는 제어패널(50)을 포함한다. 제어패널(50)의 주기능은 마이컴(55)에 의해 수행되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탄소섬유 튜브히터(40)를 온오프하는 통상적 제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다수의 탄소섬유 튜브히터(40)가 병렬회로로 연결되어 작동되므로 어느 부분에서 단선이 발생하여도 용이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단선검출센서(52)는 제어패널(50)의 전원부(58)에서 각 탄소섬유 튜브히터(40)로 분기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단선검출센서(52)의 일예로서 각각의 탄소섬유 튜브히터(4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전원부(58)는 교류를 그대로 인가할 수도 있고 컨버터를 구비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에 인가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어패널(50)은 스위치(54)의 온 상태에서 단선검출센서(52)의 신호를 검출하여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56)에 표시한다. 스위치(54)는 단선을 점검하기 위한 선택수단이고 평상시 오프 위치로 두어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제어패널(50)의 외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56)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LCD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탄소섬유 튜브히터(40)에 대응하는 수의 LED를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제작에 있어서, 본체(10)의 수실 측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전열관(30)을 삽입하여 용접한다. 다음으로 전열관(30)의 내부에 탄소섬유 튜브히터(40)를 밀어 넣되 유리가 전열관(30) 입구에 닿아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일단에 피복전선(46)을 연결하고 절연캡(44)을 씌운 다음 타단에도 같은 방식으로 피복전선(46)을 연결하고 절연캡(44)을 고정한다. 각각의 피복전선(46)은 제어패널(50)의 전원부(58)에 연결한다.
사용에 있어서, 제어패널(50)의 전원스위치를 온시켜 탄소섬유 튜브히터(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신속한 시간내에 본체(10)의 물이 가열되고 증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관리자가 보일러의 점검을 위해 스위치(54)를 누르면 마이컴(55)이 단선검출센서(52)의 신호를 입력하여 어느 부분에서 단선이 발생하였는지 디스플레이(56)로 표시한다. 단선 부분을 확인한 관리자는 해당 절연캡(44)을 벗겨내고 피복전선(46)을 푼 다음 탄소섬유 튜브히터(40)를 교체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설치 수량이 많은 경우에 유리한 방식이고,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설치 수량이 작으면 절연캡(44)에 손을 대어 온도로 단선을 판별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본체(10)와 급수탱크(20)를 구비하는 보일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전열핀(35)을 구비하는 전열관(30);
    상기 전열관(30)의 내부에 긴밀하게 설치되고, 양단에서 절연구(42)로 보호되는 탄소섬유 튜브히터(40); 및
    상기 탄소섬유 튜브히터(40)에 설정된 조건으로 전원을 인가하면서 단선검출센서(52)로 단선을 검출하는 제어패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30)의 외단에는 탄소섬유 튜브히터(40)의 절연구(42)와 결합되는 절연캡(4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50)은 스위치(54)의 온 상태에서 단선검출센서(52)의 신호를 검출하여 각각의 상태를 디스플레이(56)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KR1020080018365A 2008-02-28 2008-02-28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KR20090093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365A KR20090093055A (ko) 2008-02-28 2008-02-28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365A KR20090093055A (ko) 2008-02-28 2008-02-28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055A true KR20090093055A (ko) 2009-09-02

Family

ID=4130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365A KR20090093055A (ko) 2008-02-28 2008-02-28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0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476B1 (ko) * 2008-10-22 2011-04-18 김정훈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온수보일러장치
KR101697531B1 (ko) * 2015-09-15 2017-02-02 주식회사 애니핫글로벌 과열 증기 보일러
KR20200028678A (ko) 2018-09-07 2020-03-17 송영화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476B1 (ko) * 2008-10-22 2011-04-18 김정훈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온수보일러장치
KR101697531B1 (ko) * 2015-09-15 2017-02-02 주식회사 애니핫글로벌 과열 증기 보일러
KR20200028678A (ko) 2018-09-07 2020-03-17 송영화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4522A (ko)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온수보일러장치
JP2022528955A (ja) 油田石油収集輸送パイプライン用グラフェン加熱保温ジャケット
KR101578671B1 (ko) 인덕션 스팀 보일러
KR20090093055A (ko) 탄소섬유 튜브히터를 이용한 증기보일러장치
CN210601555U (zh) 一种节能变频电磁加热蒸汽机
CN201429207Y (zh) 一种电磁涡流加热壁挂炉装置
CN202229406U (zh) 一种内置管式热交换器的防护结构
CN205510440U (zh) Ptc加热管组件及具有其的电热水器
KR20110030035A (ko) 전기보일러의 온수가열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보일러
CN207849726U (zh) 一种基于半导体陶瓷片的电加热采暖炉
TWM568341U (zh) 電磁加熱式熱媒油循環器
CN201811471U (zh) 太阳能热水工程的工程联箱用的水位水温传感器结构
KR20100085468A (ko) 전기보일러용 히터
CN211557497U (zh) 一种高温气体电加热器
CN204535059U (zh) 电磁热水器
KR20150135929A (ko) 분리형 인덕션 보일러
KR100690278B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온수 및 난방 겸용 보일러
CN209247114U (zh) 一种具有水位探测的水处理设备
CN207778842U (zh) 一种防冻装置
CN208504720U (zh) 石墨烯发热板内胆电热水器
CN102331087B (zh) 一种内置管式热交换器的防护结构
CN208205172U (zh) 一种拼接式地暖组件
CN111140832A (zh) 石英玻璃管循环水电加热蒸汽发生器
CN201007546Y (zh) 即热式电热水器
CN210602226U (zh) 一种新型组合式家用清洗设备发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