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524A - 편평형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 모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524A
KR20090092524A KR1020080017817A KR20080017817A KR20090092524A KR 20090092524 A KR20090092524 A KR 20090092524A KR 1020080017817 A KR1020080017817 A KR 1020080017817A KR 20080017817 A KR20080017817 A KR 20080017817A KR 20090092524 A KR20090092524 A KR 2009009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ase
vibration motor
lower case
upp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944B1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9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4Disc armature motors o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6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consisting of prin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편평형 진동 모터가 개시된다. 상기 편평형 진동 모터는 하부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안치홈에 하부기판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토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박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하여 상부기판을 하부기판측으로 눌러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고정자와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되므로,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안정된 접속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편평형 진동 모터 {FLAT TYPE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원가절감을 위하여 전자부품들을 자동화공정이 가능한 표면실장기술(SMT : Surface Mount Technology)로 기판 등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표면실장기술로 기판 등에 설치할 수 있는 모터의 연구 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 케이스(11)와 브래킷(13)이 마련된다. 케이스(11)와 브래킷(13)에는 축(15)이 지지 고정되고, 축(15)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편심된 회전자(1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브래킷(13)의 상면에는 회전자(17)와 공극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링상의 마그네트(19)가 아크릴계 점착시트(21)를 매개로 고정된다. 마그네트(19)의 내측에는 한쌍의 브러시(23)가 설치되어 회전자(17)의 정류자(17a)에 미끄럼 접촉되며, 브러시(23)는 브래킷(13)의 상면에 접착된 플렉시블 전원공급시트(25)를 통해 외부의 전력을 받는다.
플렉시블 전원공급시트(25)는 케이스(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브래킷(13)의 부위에서 되접혀서 브래킷(13)의 하면에 접착되며, 브래킷(13)의 하면에 접착된 부위는 인쇄배선판(30)에 리플로우공정으로 납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터는 플렉시블 전원공급시트(25)가 브래킷(13)의 하면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전원공급시트(25)의 두께만큼 모터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모터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회전자(17) 또는 마그네트(19)의 두께를 얇게 하여야 하나 이는 토크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박형화가 가능한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지지된 지지축; 상기 상부케이스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된 고정자;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하여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된 회전자;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된 상부기판;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공을 통해 상기 상부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제품의 기판과 접속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와 상기 상부기판 사이에는 상기 상부기판을 상기 하부기판측으로 밀착시키는 지지부재가 개재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그네트, 상부기판, 하부케이스 및 하부기판의 상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상부케이스(111)와 하측에 위치된 하부케이스(115)가 마련된다.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면을 "상면 및 상측", 하측을 향하는 면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상부케이스(111) 및 하부케이스(115)에는 케이스(1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지지축(120)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각각 지지되고, 지지축(120)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베어링(130)이 설치된다.
베어링(130)에는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된 회전자(1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회전자(140)는 회전자기판(141), 코일(143), 정류자(145), 웨이트(147) 및 지지부재(149)를 가진다.
회전자기판(141)은 대략 반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베어링(13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코일(143)은 상부케이스(111)와 대향하는 회전자기판(141)의 상면에 접속 설치되고, 정류자(145)는 회전자기판(141)의 하면에 형성되어 코일(1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큰 진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웨이트(147)는 금속제로 마련되어 회전자기판(141)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지부재(149)는 회전자기판(141)과 코일(143)과 웨이트(147)를 일체로 형성하며 지지축(120)에 결합된다. 지지부재(149)는 합성수지제로 사출에 의하여 회전자기판(141)과 코일(143)과 웨이트(147)에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케이스(111)의 상면에는 지지축(120)을 감싸는 형태로 마그네트로 마련된 링형상의 고정자(150)가 고정되고, 고정자(150) 내측 부위의 하부케이스(115)의 상면에는 상부기판(160)이 접착 고정된다. 상부기판(160)의 상면에는 브러시(167)가 접속 설치되는데, 브러시(167)의 상단부측은 정류자(145)와 탄성 접촉된다.
그리하여, 후술할 제품의 배터리측 전원이 상부기판(160)→브러시(167)→정류자(145)를 통하여 코일(143)로 공급되면, 고정자(150)와 회전자(140)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자(140)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하부케이스(115)의 하면에 하부기판(170)이 접착 고정된다. 이때, 하부케이스(115)의 하면에는 상면측으로 함몰 형성된 안치홈(116)이 형성되고, 안치홈(116)에 하부기판(170)이 안치되어 접착 고정된다. 하부기판(170)이 안치홈(116)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하부기판(170)의 두께 만큼 편평형 진동 모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하부기판(170)의 상면은 상부기판(160)의 하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면은 제품의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부기판(170)의 상면과 상부기판(160)의 하면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하부케이스(115)에는 연통공(117)이 형성된다. 연통공(117)에 위치된 상부기판(160)의 하면과 하부기판(170)의 상면이 납땜되어 상부기판(160)과 하부기판(170)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하부기판(170)이 하부케이스(115)의 하면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자동화공정인 리플로(Reflow)공정을 통하여 하부기판(170)을 제품의 기판(21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리플로공정을 통하여 안치홈(116) 외측의 하부케이스(115)의 하면 부위가 제품의 기판210)에 결합된다. 이로인해, 편평형 진동 모터가 제품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부기판(160)과 하부기판(170)은 리플로공정 도중, 솔더 크림(Solder Cream)을 도포하여 납땜 접속한다. 그런데, 도포된 솔더 크림의 두께 및 양이 적절하지 않으면, 상부기판(160)과 하부기판(170)이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부기판(160)과 하부기판(170)이 접속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상부기판(160)과 하부기판(17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부기판(160)을 하부기판(170)측으로 눌러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80)가 고정자(150)와 상부기판(160)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지지부재(180)는 연통공(117)과 대응되는 고정자(150)와 상부기판(160) 사이의 부위에 개재된다.
그러면, 지지부재(180)에 의하여 상부기판(160)이 하부기판(170)측으로 눌려서 상부기판(160)이 하부기판(170)에 밀착되므로, 상부기판(160)과 하부기판(170)은 상호 견고하게 접속된다.
상부기판(160)이 용이하게 벤딩되어야 지지부재(180)에 의하여 상부기판(160)이 하부기판(170)측으로 눌렸을 때, 상부기판(160)이 하부기판(170)에 밀착되다. 이를 위하여 상부기판(16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된다. 그리고, 간편한 결합을 위하여, 지지부재(180)는 양면테이프로 마련된다. 또한, 지지부재(180)는 보강판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하부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안치홈에 하부기판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토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박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하여 상부기판을 하부기판측으로 눌러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고정자와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되므로,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안정된 접속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자, 상부기판, 하부케이스 및 하부기판의 상면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115 : 상부, 하부케이스 120 : 지지축
130 : 베어링 140 : 회전자
150 : 고정자 160 : 상부기판
170 : 하부기판 180 : 지지부재

Claims (8)

  1.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지지된 지지축;
    상기 상부케이스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된 고정자;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하여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된 회전자;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된 상부기판;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공을 통해 상기 상부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제품의 기판과 접속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와 상기 상부기판 사이에는 상기 상부기판을 상기 하부기판측으로 밀착시키는 지지부재가 개재된 편평형 진동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상부기판 사이의 부위에 개재된 편평형 진동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양면테이프와 보강판 중, 어느 하나인 편평형 진동 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면에는 일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판이 삽입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된 편평형 진동 모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편평형 진동 모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에는 상기 회전자측으로 상기 제품측의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브러시가 접속 설치된 편평형 진동 모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면은 상기 제품의 기판에 결합된 편평형 진동 모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은 납땜 접속된 편평형 진동 모터.
KR1020080017817A 2008-02-27 2008-02-27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36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817A KR101360944B1 (ko) 2008-02-27 2008-02-27 편평형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817A KR101360944B1 (ko) 2008-02-27 2008-02-27 편평형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524A true KR20090092524A (ko) 2009-09-01
KR101360944B1 KR101360944B1 (ko) 2014-02-13

Family

ID=4130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817A KR101360944B1 (ko) 2008-02-27 2008-02-27 편평형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9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84B1 (ko) * 2010-03-09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1238543B1 (ko) * 2010-01-06 2013-0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기
CN109713833A (zh) * 2019-01-25 2019-05-03 深圳市泓之发机电有限公司 高稳定的电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01B1 (ko) 2001-01-15 2007-06-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12300B1 (ko) * 2002-03-25 2005-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인타입 진동모터
JP3514750B1 (ja) 2002-09-13 2004-03-31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薄型コアレスモー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543B1 (ko) * 2010-01-06 2013-0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기
KR101119284B1 (ko) * 2010-03-09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CN109713833A (zh) * 2019-01-25 2019-05-03 深圳市泓之发机电有限公司 高稳定的电机
CN109713833B (zh) * 2019-01-25 2023-09-15 深圳市泓之发机电有限公司 高稳定的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944B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927B2 (en) Vibration motor
WO2004108306A1 (ja)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60944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511362B1 (ko) 진동 모터의 지지구조 및 고정방법
KR100974517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903749B1 (ko) 회전자 및 진동 모터
KR101039760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2004064908A (ja) 振動発生装置製造方法および振動発生装置
KR20100008153A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100002231U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07207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135520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2584400Y2 (ja) 扁平モータのブラシベースの組付け構造
KR101301451B1 (ko) 진동모터
KR200334273Y1 (ko)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WO2002080335A1 (fr) Mecanisme d'alimentation en energie
KR20090014521A (ko) 바형 진동 모터와 기판의 설치 구조
KR20070078165A (ko) 편평형 진동 모터
WO2009051425A2 (en) Rotor and vibration motor
KR20110022998A (ko) 진동 모터
EP2009772A2 (en) Vibration motor
KR101071054B1 (ko) 진동 모터
KR100783537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110023004A (ko) 진동 모터
KR101583576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