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273Y1 -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273Y1
KR200334273Y1 KR20-2003-0026532U KR20030026532U KR200334273Y1 KR 200334273 Y1 KR200334273 Y1 KR 200334273Y1 KR 20030026532 U KR20030026532 U KR 20030026532U KR 200334273 Y1 KR200334273 Y1 KR 200334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case
lower case
roto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을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6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4Disc armature motors o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분할형성되는 본체케이스에 피씨비(PCB : printed circuit board)와 고정축 및 회전자를 내설하되, 상기 회전자는 마크네트와 웨이트가 고정된 상부요크를 오일함유수지체에 내설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한조의 스토퍼를 돌출형성한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를 구비하여, 오일함유수지체를 통해 회전자의 부품을 복합화함과 동시에 메탈 베어링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고, 하부케이스에 요크역할을 수행하는 스토퍼를 일체로 구성하므로서 부품수를 줄임에 따른 제조원가 및 제조공정수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BRUSHLESS FLAT TYPE VIBRATION MOTOR}
본 고안은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평형 진동모터는 회전자의 중심을 편심되게 구성하여 이러한 회전자를 회전시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 것으로, 대개 진동을 필요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 예컨데 최근 소형화 및 박형화 추세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주로 탑재되고 있다.
근래에는 각종 소형 전자기기가 진동모드의 사용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임에 따라 편평형 진동모터는 고수명화와 고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브러시와 정류자를 갖는 브러시형 진동모터를 대신하여 브러시레스(BRUSHLESS) 편평형 진동모터가 범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100)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케이스(200)는 상부케이스(210)와 하부케이스(220)로 분할형성된다. 이와같은 본체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홀(HALL)소자(310), 코일(320) 및 구동IC(330)가 실장된 피씨비(PCB(printed circuit board) : 300, 이하 피씨비라 약칭한다.)과, 상기 피씨비(300)의 상부에 위치되며 고정축(400)에 축결합되는 회전자(500)가 내설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500)는 상기 고정축(400)에 축고정되는 상부요크(YOKE :510)의 하부면에 마그네트(MAGNET : 520)가 고정되고, 상기 상부요크(510)의 상부면에는 편심을 주기 위한 웨이트(WEIGHT : 530)가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20)에는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100)가 단상전파방식의 구동IC(330)를 사용함에 따라 일정위치에 회전자(500)를 정지시키기 위한 하부요크(230)가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100)는 상기 하부케이스(220)에 마련되는 브라켓(240)에 상기 고정축(400)을 고정하기 위한 메탈 베어링(600)이 부재로써 설치되고, 이와 아울러 하부케이스(220)에도 하부요크(230)가 별도로 설치됨에 따라 많은 부품수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같은 부품수의 증가는 제조원가의 상승요인과 함께 제조공정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의 복합화를 통해 제조원가 및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에 있어, 하부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에 있어, 코일과 마그네트와 스토퍼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2 : 본체케이스
3 : 피씨비(PCB) 4 : 고정축
5 : 회전자 21 : 상부케이스
22 : 하부케이스 31 : 홀소자
32 : 코일 33 : 구동IC
34 : 관통공 41 : 와셔
51 : 상부요크 52 : 마그네트
53 : 웨이트 54 : 오일함유수지체
221 : 브라켓 222 : 스토퍼
541 : 축결합공 542 : 간격유지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분할형성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며, 홀소자와 코일 및 구동IC가 실장된 피씨비;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는 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에 축결합되며, 마그네트 및 웨이트가 고정된 상부요크가 오일함유수지체에 내설된 구성을 갖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하부요크역할을 수행하는 한조의 스토퍼가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스토퍼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일함유수지체의 중앙에는 축결합공이 관통형성되고, 그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브라켓과 맞닿는 간격유지돌기가 돌출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에 있어, 하부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에 있어, 코일과 마그네트와 스토퍼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1)는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로 분할형성되는 본체케이스(2)에 피씨비(3)와 고정축(4) 및 회전자(5)를 내설하되, 상기 회전자(5)는 마그네트(52)와 웨이트(53)가 고정된 상부요크(51)를 오일함유수지체(54)에 내설하여 별도로 메탈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자(5)가 상기 고정축(4)에 축결합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2)에는 하부요크역할을 수행하는 한조의 스토퍼(222)를 돌출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본체케이스(2)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21)는 하부면이 개방되는 캡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케이스(22)는 상기 상부케이스(21)의 하부면에 끼워지는 판상체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하부케이스(22)의 상부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고정축(4)의 일단을 고정하는 브라켓(221)이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요크역할을 수행하는 한조의 스토퍼(222)가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21)과 스토퍼(222)는 상기 하부케이스(22)를 프레스가공하므로서 하부케이스(22)와 일체로 구성되게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토퍼(222)의 형성위치는 본 고안의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1)또한 단상전파방식의 구동IC를 적용함에 따라 사점발생을 고려하여 도 4에서와 같이 회전토크를 발생하기 유리한 위치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축(4)은 전술한 바와같이 그 일단이 상기 브라켓(22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케이스(21)에 내부면에 와셔(41)를 개재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상부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홀소자(31)와 코일 (32) 및 구동IC(33)가 실장된 피씨비(3)가 안착된다. 이와같은 피씨비(3)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축(4)이 관통되는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스토퍼(22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관통공(34)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회전자(5)는 마그네트(52)와 웨이트(53)가 고정된 상부요크(51)를 오일함유수지체(54)에 내설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은 회전자(5)의 오일함유수지체(54)는 오일함유수지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하되, 마그네트(52)와 웨이트(53)가 고정된 상부요크(51)가 내설되도록 사출방식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오일함유수지체(54)는 중앙에 축결합공(541)이 관통형성되고, 그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브라켓(221)과 맞닿는 간격유지돌기(542)가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5)는 상기 오일함유수지체(54)의 간격유지돌기(542)를 통해 상기 피씨비(3)와 소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1)는 고비중 금속인 웨이트(53)와 상부요크(51) 및 마그네트(52)를 오일함유수지체(54)에 의해 일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이러한 오일함유수지체(54)를 통해 메탈 베어링없이도 회전자(5)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의 복합화에 따른 부품수 및 공정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부요크역할을 수행하는 스토퍼(222)를 하부케이스(22)에 일정각도 및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부품의 절감에 따른 공정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한 오일함유수지체를 통해 회전자의 부품을 복합화함과 동시에 메탈 베어링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고, 하부케이스에 요크역할을 수행하는 스토퍼를 일체로 구성하므로서 부품수를 줄임에 따라 제조원가 및 제조공정수를 절감할 수 있는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분할형성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며, 홀소자와 코일 및 구동IC가 실장된 피씨비;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는 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에 축결합되며, 마그네트 및 웨이트가 고정된 상부요크가 오일함유수지체에 내설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하부요크역할을 수행하는 한조의 스토퍼가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스토퍼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함유수지체의 중앙에는 축결합공이 관통형성되고, 그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브라켓과 맞닿는 간격유지돌기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KR20-2003-0026532U 2003-08-18 2003-08-18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KR200334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532U KR200334273Y1 (ko) 2003-08-18 2003-08-18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532U KR200334273Y1 (ko) 2003-08-18 2003-08-18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273Y1 true KR200334273Y1 (ko) 2003-11-21

Family

ID=4941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532U KR200334273Y1 (ko) 2003-08-18 2003-08-18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2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22B1 (ko) 2004-08-30 2007-06-21 자화전자 주식회사 편심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이용한 편평형 브러시리스진동모터
KR100828649B1 (ko) 2006-04-06 2008-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쉬리스 직류 진동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22B1 (ko) 2004-08-30 2007-06-21 자화전자 주식회사 편심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이용한 편평형 브러시리스진동모터
KR100828649B1 (ko) 2006-04-06 2008-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쉬리스 직류 진동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811B1 (ko) 진동모터
KR100558456B1 (ko) 표면실장이 가능한 선형 진동자
US9077231B2 (en) Motor
CN1434557A (zh) 无刷直流电机
KR100737529B1 (ko) 슬림형 진동 모터
KR200334273Y1 (ko) 브러시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12300B1 (ko) 코인타입 진동모터
JP2011501641A (ja) 回転子及び振動モータ
KR20080084183A (ko) 코인형 진동 모터
KR100974517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467374Y1 (ko) 직류 모터
KR101360944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2000014073A (ja) 電動機
KR101039760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50102251A (ko) 모터의 영구자석 고정 구조
CN108923607A (zh) 微型空心杯无刷圆柱振动马达装置
KR200368794Y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0203699Y1 (ko) 모터의 접지구조
KR200285847Y1 (ko) 코인형 진동모터의 로터용 부쉬
KR200346596Y1 (ko) 편평형 무정류자 모터의 부품 설치구조
KR100489830B1 (ko) 브러쉬리스타입 진동모터
KR200367224Y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19812B1 (ko) 편심 중량 마그네트를 갖는 브러쉬리스 진동모터
KR20090014521A (ko) 바형 진동 모터와 기판의 설치 구조
JP2002291197A (ja) 給電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