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172A - 선회장치 - Google Patents

선회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172A
KR20090092172A KR1020080017521A KR20080017521A KR20090092172A KR 20090092172 A KR20090092172 A KR 20090092172A KR 1020080017521 A KR1020080017521 A KR 1020080017521A KR 20080017521 A KR20080017521 A KR 20080017521A KR 20090092172 A KR20090092172 A KR 20090092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ain body
fixed
rotar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396B1 (ko
Inventor
공후연
Original Assignee
(주)피스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스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피스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1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3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6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회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기구(300)가 선회기구(100)에 의해 선회 이송되면서 캠기구(200)와 연동되어서 회전되는 단순한 구조를 이루므로, 선회 운동과 회전 운동이 동시에 신속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고, 장치 비용도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회장치{Rotating aparatus}
본 발명은 선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기구가 선회기구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이동되면서 캠기구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된 선회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회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특정 대상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장치로, 이송물을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나, 실험물을 선회시키면서 이와 연동되어 회전시키는 실험장치로 주로 활용되고 있지만, 사용목적이나 대상에 따라서 이미 다양한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프리 폼(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 제품)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이송하면서 똑바로 세워진 프리 폼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180°회전시켜서 꺼꾸로 세워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꺼꾸로 세워진 프리 폼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180°회전시켜서 똑바로 세워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공정 진행방향으로 이송하는 장치와, 프리 폼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180° 회전시키는 장치가 각각 별개로 되어 있어서, 공정 처리 속도가 늦고 제조장비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송과 회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었지만,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장치비용이 상당히 비싸고, 보수 및 유지가 상당히 불리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회전기구가 선회기구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이동되면서 캠기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단순한 구조의 선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회기구 본체와, 선회기구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선회 회전축과, 선회기구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선회 회전축의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선회 회전판을 갖춘 선회기구와 ; 선회 회전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이루며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캠을 갖춘 캠기구 및; 선회 회전판에 고정되는 회전기구 본체와, 회전기구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한쪽 선단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회전블록 본체와 회전블록 본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제1·2캠에 개별적으로 간섭되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2간섭부로 구성되는 회전블록을 갖춘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기구가 선회기구에 의해 선회 이송되면서 캠기구와 연동되어서 회전되는 단순한 구조를 이루므로, 선회 운동과 회전 운동이 동시에 신속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고, 장치 비용도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를 구성하는 회전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기구의 요부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위치고정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 내지 도 13의 (A)는 제1캠과 제1회전롤러 간의 상호 연계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3의 (B)는 제2캠과 제2회전롤러 간의 상호 연계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의 평면도, 도 8 내지 도 13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의 정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1,12 ; 체결부재, 21,22 ; 스페이서,
31,32 ; 베어링, 100 ; 선회기구,
110 ; 선회기구 본체, 111 ; 본체부,
112 ; 체결부, 113 ; 지지부,
120 ; 선회 회전축, 130 ; 선회 회전판,
140 ; 벨트풀리, 200 ; 캠기구,
210 ; 제1캠, 220 ; 제2캠,
300 ; 회전기구, 310 ; 회전기구 본체,
320 ; 회전축, 330 ; 회전블록,
331 ; 회전블록 본체, 331a ; 제1회전판,
331b ; 제2회전판, 331c ; 제3회전판,
332 ; 제1간섭부, 332a ; 제1롤러,
332b ; 제2롤러, 333 ; 제2간섭부,
333a ; 제3롤러, 333b ; 제4롤러,
340 ; 위치고정부재, 341 ; 위치고정부재 본체,
342 ; 삽입돌기, 343 ; 스프링,
400 ; 클램프기구, 410 ; 클램프기구 본체,
420 ; 제1클램프, 420' ; 제2클램프,
421 ; 클램프 회전축, 422 ; 집게부,
422a ; 안착홈, 423 ; 헤드부,
423a ; 간섭돌기, h1 ; 관통구멍,
h2 ; 안착구멍.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는 선회기구(100)와 캠기구(200) 및 회전기구(300)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기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기구 본체(110)와, 선회기구 본체(1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선회 회전축(120)과, 선회기구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선회 회전축(120)의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선회 회전판(13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선회 회전축(120)의 다른 한쪽 선단에 벨트풀리(140)를 설치해서, 선회기구(111)가 벨트풀리(140)를 매개로 외부 동력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구동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스프로킷이나 치차 등의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거나, 외부 동력원의 출력축과 선회 회전축(120)을 직접 맞물려서 외부 동력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선회 회전축(120)이 직접 전달받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캠기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회전축(120)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이루며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캠(210)과 제2캠(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기구(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회전판(130)에 고정되는 회전기구 본체(310)와 ; 회전기구 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320)과 ; 회전축(320)의 한쪽 선단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회전블록 본체(331)와, 회전블록 본체(331)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제1·2캠(210,220)에 개별적으로 간섭되어서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선회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2간섭부(332)를 갖춘 회전블록(33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간섭부(332)는 회전기구 본체(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180°의 각을 이루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롤러(332a,332b)로 구성되고, 제2간섭부(333)는 회전기구 본체(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180°의 각을 이루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3·4롤러(332c,332d)로 구성되되, 제3·4롤러(332c,332d)가 회전기구 본체(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2롤러(332a,332b)로부터 90°만큼 틀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회전블록 본체(331)는 회전축(320)의 한쪽 선단에 동축으로 맞대어지는 제1회전판(331a)과, 제1회전판(331a)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회전판(331b) 및, 제2회전판(331b)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회전판(331c)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체결부재(11)를 매개로 제1·2·3회전판(331a,331b,331c)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압착되면서 회전축(320)의 한쪽 선단에 동축 고정되되, 제1·2롤러(332a,332b)는 제1회전판(331a)과 제2회전판(331b) 사이에, 제3·4롤러(332c,332d)는 제2회전판(331b)과 제3회전판(331c)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1"는 상기 체결부재(11)를 감싸면서 제1회전판(331a)과 제2회전판(331b) 사이에 배치되어 제1회전판(331a)과 제2회전판(331b)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스페이서이고, 미설명부호 "22"는 체결부재(11)를 감싸면서 제2회전판(331b)과 제3회전판(331c) 사이에 배치되어 제2회전판(331b)과 제3회전판(331c)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부호 "31,32"는 상기 회전기구 본체(310)의 양쪽 관통구멍(h1) 개구부에 설치되어, 회전기구 본체(310)와 회전축(320)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 본체(310)에 위치고정부재(340)를 설치해서, 캠기구(20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블록(330)이 위치고정부재(340)에 의해 회전각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기구 본체(310)에 설치되는 위치고정부재 본체(341)와, 위치고정부재 본체(3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삽입돌기(342) 및, 위치고정부재 본체(341)에 내설되어 삽입돌기(342)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43)으로 구성된 것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재(340)와 마주보는 위치의 회전블록 본체{331 ;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회전판(331a)}에 안착구멍(h2)을 형성해서, 스프링(343)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340)의 삽입돌기(342)가 안착구멍(h2)에 출입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위치고정부재(340)를 회전블록 본체(331)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고정부재(340)와 마주보는 위치의 회전기구 본체(310)에 안착구멍(h2)을 형성해서, 스프링(343)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340)의 삽입돌기(342)가 안착구멍(h2)에 출입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가 플라스틱 용기(P)를 공정 방향으로 선회 이송하면서 180°회전시켜 뒤집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기구(300)를 구성하는 회전축(320)의 다른 한쪽 선단에 플라스틱 용기(P)의 목부분을 감싸쥐는 클램프기구(400)가 설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클램프기구(400)는 별도의 캠기구(도시안됨)와 연동되어서 선회장치로 공급되는 플라스틱 용기(P)를 감싸쥐고 공정 진행 방향으로 이송한 후에 플라스틱 용기(P)를 놓아 보낼 수 있는 공지의 클램프기구(400)를 적용하였다. 상기 클램프기구(40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20)의 다른 한쪽 선단에 동축으로 맞대어져 고정되는 클램프기구 본체(410)와 ; 클램프기구 본체(410)에 삽입 고정되는 클램프 회전축(421)과, 안착홈(422a)을 갖추고서 클램프 회전축(421)의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집게부(422)와, 스프링 체결부(423a)를 갖추고서 클램프 회전축(421)의 다른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헤드부(423)를 갖추고서, 한 쌍을 이루며 상호 대향되게 맞대어져 연동되는 제1·2클램프(420,420') 및; 양쪽 선단이 각각 제1·2클램프(420,420')의 스프링 체결부(423a)에 고정되어, 제1·2클램프(420,420')가 오므려지도록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430)을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의 작동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기구(400)가 선회장치의 공급 위치로 이송된 플라스틱 용기(P)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선회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210)에 제1간섭부(332)의 제1롤러(332a)가 맞대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기구(300)의 회전블록(330)은 위치고정부재(340)에 의해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된 상태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회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332a)가 제1캠(210)에 간섭되어,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하면, 위치고정부재(340)의 삽입돌기(342)가 강제적으로 눌려지면서 안착구멍(h2)으로 빠져나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회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간섭부(332)의 제1롤러(332a)가 제1캠(210)에 연속적으로 간섭되어,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90° 이상의 각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회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간섭부(332)의 제1롤러(332a)가 제1캠(2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제2간섭부(333)의 제3롤러(333a)가 제2캠(220)에 간섭되어,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반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회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제3롤러(333a)가 제2캠(220)에 간섭되어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반시계방향으로 180°로 회전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롤러(333a)가 제2캠(2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반시계방향으로 180°로 회전되면, 위치고정부재(340)의 삽입돌기(342)가 안착구멍(h2)에 끼워져서, 상기 회전기구(300)의 회전블록(330)이 위치고정부재(340)에 의해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회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제1간섭부(332)의 제1롤러(332a)와 제2간섭부(333)의 제3롤러(333a)가 모두 제1캠(210)과 제2캠(220)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선회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선회장치의 배출 위치에 도달되면 클램프기구(400)가 물고 있던 플라스틱 용기(P)를 놓아서 다음 공정으로 배출한다.
한편, 미설명부호 "200'"은 상기 캠기구(200)와 동일한 캠기구로서, 선회 회전판(13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180°로 회전되어서 초기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캠기구(200')의 제1캠(210)에는 제1간섭부(332)의 제2롤러(332b)가, 캠기구(200')의 제2캠(220)에는 제2간섭부(333)의 제4롤러(333b)가 순차적으로 간섭되어서, 회전블록(330)과 이에 맞물린 회전축(320) 및 클램프기구(400)가 180°로 회전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캠기구(200)를 구성하는 2개의 캠(210,220)과, 회전블록(330)을 구성하는 2개의 간섭부(332,333)가 각각 1:1로 매칭되어, 회전블록(330)이 개별적으로 연동되는 2개의 캠(210,220)과 2개의 간섭부(332,333)에 의해 선회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캠기구(200)를 3개 이상의 캠으로 구성하고, 회전블록(330)도 이에 1:1 매칭되도록 3개 이상의 간섭부를 갖추도록 하여, 회전블록(330)이 개별적으로 연동되는 3개 이상의 캠과 3개 이상의 간섭부에 의해 선회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1간섭부(332)와 제2간섭부(333)를 각각 한 쌍의 롤러(332a,332b ; 333a,333b)로 구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1간섭부(332)와 제2간섭부(333)를 각각 1개의 롤러나 3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간섭부(332) 또는 제2간섭부(333)를 2개 이상의 롤러고 구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간섭부(332 ; 333)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롤러가 회전기구 본체(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루는 각도를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1간섭부(332)와 제2간섭부(333)가 상호 90°만큼 틀어지도록 하였지만, 이 역시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기구(200)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캠(210,220)의 모양과 형상은, 캠기구(200)를 구성하는 캠의 갯수와, 회전블록을 구성하는 간섭부의 갯수, 간섭부를 구성하는 롤러의 갯수에 따라서 변화되며, 또한 회전각도에 따라서도 적절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1간섭부(332)와 제2간섭부(333)로는 각각 2개의 롤러(332a,332b ; 333a,333b)가 적용되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단순한 무회전 돌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2간섭부(332,333)를 무회전 돌기로 구성하면 제1·2간섭부(332,333)과 제1·2캠(210,220) 간의 마찰이 크게 발생되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2간섭부(332,333)를 롤러(332a,332b ; 333a,333b)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블록 본체(331)는 간섭부들(332,333)을 갖추고서 회전축(320)에 동축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처럼 다수의 회전판(331a,331b,331c)을 샌드위치 형태로 배치하여 결합하되, 제1회전판(331a)은 원형 판으로, 제2회전판(331b)는 "十"자형 판으로, 제3회전판(331c)는 "一"자형 판으로 적용하였지만, 이들 회전판(331a,331b,331c)의 모양과 형상 역시도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Claims (7)

  1. 선회기구 본체(110)와, 선회기구 본체(1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선회 회전축(120)과, 선회기구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선회 회전축(120)의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선회 회전판(130)을 갖춘 선회기구(100)와 ;
    선회 회전축(120)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이루며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캠(210,220)을 갖춘 캠기구(200) 및;
    선회 회전판(130)에 고정되는 회전기구 본체(310)와, 회전기구 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320)과, 회전축(320)의 한쪽 선단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회전블록 본체(331)와 회전블록 본체(331)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제1·2캠(210,220)에 개별적으로 간섭되어서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선회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2간섭부(332)로 구성되는 회전블록(330)을 갖춘 회전기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부(332)는 회전기구 본체(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180°의 각을 이루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롤러(332a,332b)로 구성되고, 제2간섭부(333)는 회전기구 본체(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180°의 각을 이루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3·4롤러(332c,332d)로 구성되되, 제3·4롤러(332c,332d)가 회전기구 본체(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2롤러(332a,332b)로부터 90°만큼 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 본체(331)는 회전축(320)의 한쪽 선단에 동축으로 맞대어지는 제1회전판(331a)과, 제1회전판(331a)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회전판(331b) 및, 제2회전판(331b)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회전판(331c)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체결부재(11)를 매개로 제1·2·3회전판(331a,331b,331c)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압착되면서 회전축(320)의 한쪽 선단에 동축 고정되되, 제1·2롤러(332a,332b)는 제1회전판(331a)과 제2회전판(331b) 사이에, 제3·4롤러(332c,332d)는 제2회전판(331b)과 제3회전판(331c)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 본체(310) 또는 회전블록 본체(331)에 위치고정부재(340)가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340)는 회전기구 본체(310) 또는 회전블록 본체(331)에 설치되는 위치고정부재 본체(341)와, 위치고정부재 본체(3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삽입돌기(342) 및, 위치고정부재 본체(341)에 내설되어 삽입돌기(342)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43)으로 구성되는 한편, 위치고정부재(340)와 마주보는 위치의 회전블록 본체(331) 또는 회전기구 본체(310)에 안착구멍(h2)이 형성되어, 스프링(343)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340)의 삽입돌기(342)가 안착구멍(h2)에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300)를 구성하는 회전축(320)의 다른 한쪽 선단에 클램프기구(400)가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기구(400)는 회전축(320)의 다른 한쪽 선단에 동축으로 맞대어져 고정되는 클램프기구 본체(410)와 ; 클램프기구 본체(410)에 삽입 고정되는 클램프 회전축(421)과, 안착홈(422a)을 갖추고서 클램프 회전축(421)의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집게부(422)와, 스프링 체결부(423a)를 갖추고서 클램프 회전축(421)의 다른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헤드부(423)를 갖추고서, 한 쌍을 이루며 상호 대향되게 맞대어져 연동되는 제1·2클램프(420,420') 및; 양쪽 선단이 각각 제1·2클램프(420,420')의 스프링 체결부(423a)에 고정되어, 제1·2클램프(420,420')가 오므려지도록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장치.
KR1020080017521A 2008-02-26 2008-02-26 선회장치 KR10095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521A KR100953396B1 (ko) 2008-02-26 2008-02-26 선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521A KR100953396B1 (ko) 2008-02-26 2008-02-26 선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172A true KR20090092172A (ko) 2009-08-31
KR100953396B1 KR100953396B1 (ko) 2010-04-20

Family

ID=4120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521A KR100953396B1 (ko) 2008-02-26 2008-02-26 선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3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4360B2 (ja) 1996-10-09 2006-09-20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射出延伸ブロー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JP4796711B2 (ja) 2001-06-01 2011-10-19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装置
JP4285727B2 (ja) * 2002-11-08 2009-06-24 株式会社フロンティア ブロー成形装置の移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396B1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5044B2 (en) Heavy article inversion device
US10961001B2 (en) Transfer wheel between a lollipop forming and a lollipop wrapping unit
CA2583166A1 (en) Machining and conveying apparatus
JP2000042954A5 (ko)
CN209337447U (zh) 一种电池移送装置
JP4891321B2 (ja) キャッピングヘッド
KR101416446B1 (ko) 소재물 이송용 갠트리 그립퍼 장치
US6981437B2 (en) Pipe cutting machine
RU2384519C2 (ru) Пере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шин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осудов
CA2622866A1 (en) Transferring device for repositioning articles
WO2019167864A1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向変更装置
US20120220419A1 (en) Driving body acceleration device using elasticity
KR100953396B1 (ko) 선회장치
JP2010511579A5 (ko)
CA2426134A1 (en) Package-strapping apparatus
KR102193463B1 (ko) 피도물 이송용 스핀들 컨베이어의 확장 스핀들 지그
CN209668214U (zh) 一种电池翻转机构
JP3391238B2 (ja) ブロー成形装置
CN110369784A (zh) 用于切割管状件的切割机
JPH04279348A (ja) 印刷機のインキ移送のための装置
WO2010101313A1 (ko) 선회장치
CN108773659A (zh) 一种拨料机构
JP2005088923A (ja) 異径ボトル対応ボトルグリッ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ボトル搬送装置
JP2005154066A (ja) 異径ボトル対応ボトルグリッ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ボトル搬送装置
KR20100096091A (ko) 2 개의 외측 피봇암과 플랫폼 사이의 쓰리링 베어링을 가진 머니퓰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