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166A -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166A
KR20090092166A KR1020080017514A KR20080017514A KR20090092166A KR 20090092166 A KR20090092166 A KR 20090092166A KR 1020080017514 A KR1020080017514 A KR 1020080017514A KR 20080017514 A KR20080017514 A KR 20080017514A KR 20090092166 A KR20090092166 A KR 20090092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main body
classical
instrument
music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봉
Original Assignee
이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봉 filed Critical 이춘봉
Priority to KR102008001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2166A/ko
Publication of KR20090092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1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10G7/005Carrying case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기를 수납하여 운반하는 케이스에 마이크를 설치함으로써 연주시 별도의 마이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좁은 장소에서도 연주가 가능하고, 마이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갖출 필요가 없는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전악기를 수용하도록 중공부가 구비된 상태로 일측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경첩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 악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마이크(30)와; 상기 마이크(30)와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공명공(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KEEPING CASE FOR CLASSICAL INSTRUMENT WITH BUILT-IN MICROPHONE}
본 발명은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기를 수납하여 운반하는 케이스에 마이크를 설치함으로써 연주시 별도의 마이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좁은 장소에서도 연주가 가능하고, 마이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갖출 필요가 없으며, 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연주시 여러 가지 장비가 필요한 엠프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에 별도로 구비된 볼륨제어구를 통하여 고전악기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기 케이스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악기를 수납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며, 본체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악기 케이스는 단순히 악기를 수납하여 이동시 악기의 운반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기능이 대부분이다.
특히, 고전악기중 가야금이나 거문고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케이스가 없이는 운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 케이스의 구비는 필수적인 구성이며, 연주시에는 마이크나 엠프 그리고 스피커가 구비되어야 많은 관객에게 보다 선명한 선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가야금이나 거문고는 명주실이나 화학섬유로 된 현(絃)을 퉁기거나 눌러 연주하는 방식으로 현을 건드리게 되면 그 떨림이 공명통으로 전달된 후, 공명통의 소리구멍을 통해 외부로 그 음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야금이나 거문고는 넓은 장소에서 연주를 할 때 현악기의 자체 공명통에서 울려 나오는 음량만으로는 멀리 그 음을 전달할 수가 없으므로 그동안은 넓은 장소에 운집한 많은 관객 앞에서 거문고나 가야금을 연주할 때는 증폭기와 연결된 마이크를 현악기 앞에 놓고 연주를 하여 그 음이 마이크와 증폭기를 통해 스피커로 확성되도록 하고 있어 증폭기를 사용하기 위해 각종 장비가 필요하게 될뿐 아니라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이 필요하며 연주를 하기 위해 준비소요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악기를 수납하여 운반하는 케이스에 마이크를 설치함으로써 연주시 별도의 마이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좁은 장소에서도 연주가 가능하고, 마이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갖출 필요가 없으며, 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연주시 여러가지 장비가 필요한 엠프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에 별도로 구비된 볼륨제어구를 통하여 고전악기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고전악기를 수용하도록 중공부가 구비된 상태로 일측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경첩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 악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마이크(30)와; 상기 마이크(30)와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공명공(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에는, 상기 마이크(30)로부터 전달받은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제어구(41)와; 상기 마이크(30)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을 외부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연결공(4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와 덮개(20)의 내주면에는 방음재(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전악기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마이크를 설치하여 연주시 별도의 마이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연주자가 연주에만 더욱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연주시 각종장비를 준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 들며, 케이스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에 고전악기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형성된 공명공과 고전악기의 소리구멍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의 내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의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리구멍 5: 지지다리
10: 본체 15: 공명공
20: 덮개 30: 마이크
40: 제어부 41: 볼륨제어구
45: 스피커연결공 50: 방음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에 고전악기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형성된 공명공과 고전악기의 소리구멍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의 내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의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는 고전악기를 수용하도록 중공부가 구비된 상태로 일측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경첩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 악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마이크(30)와; 상기 마이크(30)와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공명공(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일측상부가 개방된 사각형태의 통체로 고전악기 특히 가야금이나 거문고를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공명공(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가야금이나 거문고를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연주를 하게 되면 상기 가야금이나 거문고의 소리구멍(1)을 통해 나오는 음향이 상기 공명공(15)을 통하여 본체(10) 내부로 인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야금이나 거문고를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안착시킬 경우 상기 공명공(15)의 위치는 상기 소리구멍(1)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측긴변에는 다수개의 마이크(30)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마이크(30)는 핀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이크(30)를 핀 마이크로 하는 이유는 연주자가 가야금이나 거문고를 연주시 호흡을 하거나 연주를 하다 보면 거문고나 가야금의 근접된 곳에 위치한 마이크에 얽매여서 제대로 연주를 할 수 없게 되므로 핀 마이크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장착시킴으로써 연주자는 연주중에 마이크에 대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므로 연주에만 집중하여 더욱 아름다운 선율을 관객에게 들려 줄 수 있게 된다.
제어부(40)는 상기 마이크(30)와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짧은변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에는 상기 마이크(30)로부터 전달받은 음량을 조절하기위한 볼륨제어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30)로부터 전달받은 가야금이나 거문고의 아름다운 선율을 많은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외부 스피커와 연결하는 스피커연결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얹어 있는 가야금이나 거문고를 연주자가 연주하게 되면 상기 가야금이나 거문고의 소리구멍으로 빠져나가는 소리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공명공(15)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된 소리는 상기 마이크(30)를 통하여 제어부(40)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40)의 스피커연결공(45)과 전선으로 연결된 스피커로 최종 전달되어 많은 관객에게 가야금이나 거문고의 아름다운 선율을 들려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이크(30)로 전달된 가야금이나 거문고의 음량을 크게하거나 작게하도록 상기 제어부(40)에 볼륨제어구(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덮개(20)는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부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경첩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덮개(20)의 내주면에는 방음재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된 가야금이나 거문고의 선율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연주자는 케이스에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은 고전악기를 수납하고 다니다가 연주를 할 경우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고전악기를 꺼낸다.
이후, 상기 케이스을 뒤집어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한 후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지지다리(5)로 받쳐 상기 케이스의 본체(10)저면에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은 고전악기를 얹어 놓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야금이나 거문고에 형성된 소리구멍(1)을 상기 케이스의 본체(10)저면에 형성된 공명공(15)에 일치되게 얹어 놓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후, 연주자가 연주를 하게 되면 가야금이나 거문고의 소리가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된 소리는 마이크(3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어부(40)를 거쳐 스피커로 전달되게 되어 가야금이나 거문고와 같은 고전악기의 아름다운 선율을 많은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고전악기를 수용하도록 중공부가 구비된 상태로 일측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경첩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 악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마이크(30)와;
    상기 마이크(30)와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공명공(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에는, 상기 마이크(30)로부터 전달받은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제어구(41)와; 상기 마이크(30)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을 외부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연결공(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덮개(20)의 내주면에는 방음재(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KR1020080017514A 2008-02-26 2008-02-26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KR20090092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514A KR20090092166A (ko) 2008-02-26 2008-02-26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514A KR20090092166A (ko) 2008-02-26 2008-02-26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166A true KR20090092166A (ko) 2009-08-31

Family

ID=4120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514A KR20090092166A (ko) 2008-02-26 2008-02-26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2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330A (ko) 2022-08-18 2024-02-27 김민종 현악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330A (ko) 2022-08-18 2024-02-27 김민종 현악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0012B1 (en) Device for vibrating a stringed instrument
US20070180975A1 (en) Guitar with acoustical mixing chamber
JP4986091B1 (ja) 金管楽器用消音器
US8389835B2 (en) Sound system in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20170003653U (ko) 마이크로폰 사운드박스 일체형 장치
US20140013929A1 (en) Acoustical transmission line chamb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80184864A1 (en) Electric guitar including a connection for a digital music player
TW201127091A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with enhanced low-frequency sound effect
US20180007458A1 (en) Caseic
KR200382291Y1 (ko) 스피커가 내장된 가라오케 마이크 완구
US20210104711A1 (en) Effects Control Module and Method of Magnetic Closure for Battery Door
KR20090092166A (ko) 마이크가 내장된 고전 악기용 수납케이스
CN106991996A (zh) 一种自带多功能的电贝斯或电吉他
US10504493B1 (en) Portable electric guitar
JP2006209146A (ja) 金管楽器用消音器
US11935505B2 (en) Stringed instrument resonance system
CN109767746B (zh) 一种便携式电吉他
KR200258366Y1 (ko) 전자 기타 케이스
CN101094538B (zh) 改善自身外放声音效果的装置、外挂装置及播放终端
JP2006271656A (ja) 弾球遊技機
JP3188252U (ja) 弦楽器
FR2602607A1 (fr) Instrument de musique acousto-electrophonique
CN215341910U (zh) 一种吉他共振效果器
JP3821140B2 (ja) 電気コントラバス
KR200411709Y1 (ko)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